| 서울특별시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구로구 제3선거구 구로구 일부 九老區第三選擧區 Guro District 3 | }}} | |||
| <nopad>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98,521명 (2022) |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 관할 구역 |
| |||||
| 시의원 | | 서호연 | ||||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의 시의원 선거구. 7회 지선까지의 구로구 제2선거구의 영역을 계승하면서 이름만 바뀌었다.2. 역대 선거 결과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구로구 제2선거구 구로제1동, 구로제2동, 구로제5동, 신도림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홍상필(洪常必) | 22,610 | 2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40.15% | 낙선 | |
| 2 | 조규영(曺圭寧) | 33,703 | 1위 |
| [[민주당(2008년)| 민주당 ]] | 59.84%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100,146 | 투표율 57.07% |
| 투표 수 | 57,157 | ||
| 무효표 수 | 844 |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구로구 제2선거구 신도림동, 구로제1동, 구로제2동, 구로제5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설진호(薛軫豪) | 21,623 | 2위 |
| | 34.97% | 낙선 | |
| 2 | 조규영(曺圭寧) | 30,871 | 1위 |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49.93% | 당선 | |
| 3 | 고영국(高榮局) | 1,794 | 5위 |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 ]] | 2.90% | 낙선 | |
| 4 | 김병훈(金炳勳) | 4,930 | 3위 |
| | 7.97% | 낙선 | |
| 5 | 조동준(趙東俊) | 2,607 | 4위 |
| | 4.21%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02,733 | 투표율 61.40% |
| 투표 수 | 63,078 | ||
| 무효표 수 | 1,253 |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구로구 제2선거구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5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이호대(李浩大) | 42,704 | 1위 |
| | 72.55% | 당선 | |
| 2 | 이창권(李昌權) | 16,156 | 2위 |
| | 27.44%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00,191 | 투표율 60.93% |
| 투표 수 | 61,043 | ||
| 무효표 수 | 2,183 |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구로구 제3선거구 신도림동, 구로제1동, 구로제2동, 구로제5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박무영(朴武永) | 25,096 | 2위 |
| | 48.94% | 낙선 | |
| 2 | 서호연(徐豪延) | 26,180 | 1위 |
| | 51.05%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98,521 | 투표율 53.31% |
| 투표 수 | 52,529 | ||
| 무효표 수 | 1,25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