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1:00:15

교회 슬라브어

'''[[슬라브어파|슬라브어파
Slavic Language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 벨라루스어 · 우크라이나어 · 루신어 · 루테니아어† · 고대 동슬라브어
서슬라브어군 폴란드어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소르브어 · 카슈브어 · 실레시아어 · 폴라브어† · 포메라니아어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 마케도니아어 · 불가리아어 · 교회 슬라브어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 · 몬테네그로어 · 보스니아어) · 슬로베니아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교회 슬라브어
Црькъвьнословѣньскъ ѩзыкъ
Church Slavonic
<colcolor=#ffffff><colbgcolor=#65a7da>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키릴 문자, 글라골 문자(과거)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없음(사멸)[1]
(과거 중부유럽, 발칸반도, 동유럽 일대)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
교회 슬라브어
언어
코드
<colcolor=#ffffff><colbgcolor=#75b5e7> ISO 639-1 cu
ISO 639-2 chu
ISO 639-3 chu
글로톨로그 chur1257
Намѹвики · дрѣво знании · ѥже къжьдо сърастеть : ⁓ (키릴 문자)
Ⱀⰰⰿⱆⰲⰹⰽ · ⰴⱃⱑⰲⱁ ⰸⱀⰰⱀⰻⰹ · ⰵⰶⰵ ⰽⱏⰶⱐⰴⱁ ⱄⱏⱃⰰⱄⱅⰵⱅⱐ : ⁓ (글라골 문자)[2]
나무위키, 우리가 함께 키우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특징3. 역사4. 문법과 문체5. 단어6. 기타7. 현대의 사용8. 언어별 명칭9. 외부 링크

1. 개요

교회 슬라브어(Црькъвьнословѣньскъ ѩзыкъ)는 현재 동유럽 등지에서 정교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의 전례 언어로 쓰이는 언어이다.

교회 슬라브어는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 이후에는 일상 언어로서는 소멸했고, 글라골 문자도 명맥이 끊겼다. 현대에는 전례용 언어로 사용되는데, 특히 슬라브정교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에서 그러하다. 교회 슬라브어 표기는 남슬라브어권(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공존), 동슬라브어권(키릴 문자만 사용), 서슬라브어권(라틴 문자만 사용)을 막론하고 모두 키릴 문자로 이루어진다.[3]

2. 특징

파일:0A0B8283-95C1-446E-9CEE-1D24C3D17999.jpg

교회 슬라브어는 소멸되었지만, 정교회권의 슬라브어 사용 국가들에 영향을 많이 끼쳤다.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 등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슬라브어권에선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어휘와 표현이 많이 존재한다. 루마니아는 정교회권이기 때문에 오스만 제국의 독립 이전에는 예배에서 교회 슬라브어와 그리스어를 사용했고, 일상에서 사용하는 루마니아어 또한 키릴 문자로 적었고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단어가 많았다. 다만, 독립 이후에는 그리스어와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력을 많이 줄이기 위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같은 로망스어군 언어에서 차용어를 많이 받아들였고,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을 줄였다.

정교회 권역에서 쓰인 고대 동슬라브어 또한 교회 슬라브어에서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리고 영향과 별개로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에 속하지만 교회 슬라브어를 보수적으로 보존했기 때문에, 러시아어는 우크라이나어보다는 불가리아어 쪽에 철자와 의미가 비슷하거나 같은 단어들이 더 많다.

서슬라브어권에서는 교회 슬라브어가 쓰이진 않지만 일부 어휘나 표현에서 영향을 받은 것들이 있다.

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의 슬라브어 방언을 베이스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불가리아에서는 고대 불가리아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만, 일반적으로 언어학자들이 가리키는 고대 불가리아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한 불가르어[4]다.

3. 역사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후기 단계를 나타내는 교회 슬라브어는 9세기 후반 테살로니키 출신의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슬로바키아의 니트라에 도입한 전례 전통을 계승한다.

불가리아인의 개종 성공은 동슬라브의 개종을 쉽게 하였으며, 키릴 문자는 9세기 불가리아의 프레스라프 문학 학교에서 개발되었고, 키릴 문자와 구교회 슬라브어(구불가리아어라고도 함)로 된 전례는 893년 불가리아에서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와 교회 슬라브어의 경계를 엄격하게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편의상 1100년을 기준으로 11세기까지를 고대 교회 슬라브어, 12세기 이후를 교회 슬라브어라고 부른다. 러시아의 경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인 『오스트로미르 복음서』(1056-1057년)에서 이미 명확한 "러시아화" 현상이 나타난다.

교회 슬라브어는 근대 이전에 주요한(혹은 유일한) 문어였기 때문에, 현대 슬라브어 각 언어는 교회 슬라브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어휘의 절반 이상이 교회 슬라브어 기원이며, 종교적·추상적인 의미를 가진 어휘는 대부분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다. 순수한 러시아어와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어휘의 이중적인 어형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예: 순수 러시아어인 고лова(golova) "머리"와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글라바(glava) "우두머리").


9세기 후반, 테살로니키 출신의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오늘날 슬로바키아에 위치한 대모라비아의 주요 도시이자 종교 및 학문 중심지였던 니트라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로부터 성경과 전례서를 슬라브어로 번역하였다.

864년 불가리아의 그리스도교화 이후, 오흐리드의 클레멘트와 프레스라프의 나움은 제1 불가리아 제국에서 동방 정교회 신앙과 구교회 슬라브어 전례를 확산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불가리아인의 개종은 동슬라브의 개종을 용이하게 했다.[3] 9세기 불가리아의 프레스라프 문학 학교에서 키릴 문자가 개발되었고, 893년 불가리아에서 키릴 문자와 구교회 슬라브어(구불가리아어라고도 함)가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12세기 초, 개별 슬라브어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전례 언어는 지역 방언 사용에 따라 발음, 문법, 어휘 및 철자법이 수정되었다.[5] 이러한 수정된 변종 또는 '판본'은 결국 안정되었고, 그들의 규칙적인 형태는 서기관들이 코이네 그리스어 또는 라틴어로부터 전례 자료의 새로운 번역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다.

수정된 변종(판본)
세르비아 교회 슬라브어
러시아 교회 슬라브어
초기 키릴 문자로 쓰인 우크라이나 교회 슬라브어
크로아티아 각진 글라골 문자 그리고 후에 라틴 문자로 쓰인 크로아티아 교회 슬라브어
체코 교회 슬라브어
라틴 문자로 쓰인 슬로바키아 교회 슬라브어
초기 키릴 문자와 불가리아 글라골 문자로 쓰인 불가리아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 전통의 증거는 초기 키릴 문자와 글라골 문자에 나타난다. 글라골 문자는 현재 사용되지 않지만, 두 문자 모두 최초로 증명된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최초의 교회 슬라브어 인쇄본은 각진 글라골 문자로 쓰인 Missale Romanum Glagolitice(1483년)이며, 그 직후 1491년 크라쿠프에서 키릴 문자로 된 다섯 권의 전례 서적이 인쇄되었다.

4. 문법과 문체

교회 슬라브어의 여러 판본들은 원래의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지역 슬라브 방언에 가깝게 하려는 경향을 공유한다. 굴절은 몇 가지 단순화를 제외하고 고대 패턴을 따른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통적인 텍스트에서는 모든 원래 여섯 개의 동사 시제, 일곱 개의 명사 격, 그리고 세 개의 수가 그대로 유지된다. 하지만 새롭게 작성된 텍스트에서는 저자들이 대부분의 고풍스러운 구성을 피하고 현대 러시아 문법에 더 가까운 변형을 선호하며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더 잘 이해되는 형태를 사용한다.

러시아어 판본에서는 예르의 탈락이 러시아어 패턴에 따라 다소 완전히 반영되지만, 어말 ъ는 계속해서 쓰인다. 유스는 종종 16세기 또는 17세기 러시아어 패턴으로 대체되거나 변경된다. 야트는 19세기 러시아어보다 고대 어원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 적용된다. 크시, 프시, 오메가, 오트, 그리고 이지차 문자는 수치 값의 문자 기반 표기법, 강세 표시 사용, 그리고 약어 또는 티틀라(성스러운 명사)와 함께 유지된다.

성경, 예배 의식 또는 교회 공문서에서 어휘와 문법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소 현대화되었다. 특히 일부 고대 대명사는 성경에서 제거되었다(예: етеръ "어떤 (사람 등)" → 러시아어 판본에서는 нѣкій). 불완료 시제의 많은 경우(모든 경우는 아님)가 완료 시제로 대체되었다.

고전적인 공식의 기타 여러 현대화가 때때로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가 적은 최초의 단어인 요한복음의 서두, (искони бѣаше слово) "태초에 말씀이 있었으니"는 이반 표도로프의 오스트로그 성경(1580/1581)에서는 "искони бѣ слово"로, 1751년의 엘리자베스 성경에서는 въ началѣ бѣ слово로 설정되었는데, 이는 여전히 러시아 정교회에서 사용되고 있다.

교회 슬라브어는 근대 이전에 주요한(혹은 유일한) 문어였기 때문에, 현대 슬라브어 각 언어는 교회 슬라브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어휘의 절반 이상이 교회 슬라브어 기원이며, 종교적·추상적인 의미를 가진 어휘는 대부분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다. 순수한 러시아어와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어휘의 이중적인 어형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예: 순수 러시아어인 голова(golova) "머리"와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глава(glava) "우두머리").

5. 단어

6. 기타

7. 현대의 사용

러시아 정교회는 여전히 거의 전적으로 교회 슬라브어로 예배를 드린다. 그러나 좋은 번역이 부족하여 문제가 되는 곳에서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교구도 존재한다


1917년-1918년 전러시아 교회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교회 당국의 승인을 받으면 개별 교구에서 러시아어 또는 우크라이나어로 예배를 드릴 수 있다.
러시아 내 소수 민족을 위한 교구는 추바시어, 모르도바어파, 마리어, 타타르어(크레솅의 경우), 사하어 등 해당 인구의 언어(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한다.
러시아 정교회의 자치 지역은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마니아어(몰도바), 일본어, 중국어와 같이 현지 주민의 언어로 번역하여 일부 사용한다.
러시아 해외 정교회를 포함한 해외 교구는 종종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포르투갈어 등 현지 언어를 사용한다.

8. 언어별 명칭

교회 슬라브어 Црькъвьнословѣньскъ ѩзыкъ[6]
그리스어 Εκκλησιαστική Σλαβονική
라틴어 Lingua Slavica Ecclesiastica
영어 Church Slavonic language

9. 외부 링크



[1] 고대에 쓰인 언어이고 현대에는 종교 관련으로만 쓴다는 특징은 라틴어, 산스크리트어, 콥트어와 같다.[2]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수정하기 전에 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3] 예를 들어 폴란드의 정교회 신자들은 폴란드어 표기는 라틴 문자로 하면서도 교회 슬라브어 표기는 키릴 문자로 한다.[4] 추바시어와 가까운 언어로 추정된다.[5] 슬라브어파의 분화는 6세기 전후로 시작되었는데, 교회슬라브어가 정립된 시기는 이로부터 불과 300~400년 정도 뒤이기 때문에 분화가 그다지 많이 일어나지 않아 각 슬라브어 간의 의사소통성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슬라브어파의 하위 어군이 상호 의사소통성을 잃고 완전히 분리된 것은 11세기 무렵의 일이다.[6] crĭkŭvĭnoslověnĭskŭ język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