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의 광주/전남지역 지부였던 '광주전남총학생회연합'(光州全南總學生會聯合, 약칭 남총련). 모토는 '자주의 횃불'.1987년 전대협 결성 당시 '광주전남지역대학생대표자협의회(남대협)'으로 창설한 게 시초이며 1992년에 전대협이 한총련으로 발전적 해체하기 전 남총련으로 변경했다. 2000년대 초반 이후 한총련이 쇠퇴하면서 남총련 역시 타 지역 산하 단체와 함께 존재감이 잊혀져가고 있다. 한총련 시절에는 가장 전투적이며 친북 성향이 강한(NL 단결, 주사 등으로 분류) 지역 조직으로 유명했다.
2. 역대 의장
역대 의장 중 전남대학교와 조선대학교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다.- 남대협 시절
- 남총련 건설준비위원회 시절
- 윤영덕 조선대 총학생회장 (1991년)
- 송진환 전남대 총학생회장 (1991~1992년)
- 남총련 시절
- 1기(1992년): 송진환 전남대 총학생회장
- 2기(1993년): 오창규 전남대 총학생회장[1]
- 3기(1994년): 양동훈 조선대 총학생회장
- 4기(1995년): 이몽석 전남대 총학생회장
- 5기(1996년): 최태진 조선대 총학생회장
- 6기(1997년): 정의찬 조선대 총학생회장 - 이종권 치사 사건에 연루, 살인에 가담했음이 드러나 징역 5년을 선고받고 수감생활을 했다.
- 7기(1998년): 정오균 순천대 총학생회장
- 8기(1999년): 장세호 조선대 총학생회장
- 9기(2000년): 변재훈 전남대 총학생회장
- 10기(2001년): 최종은 조선대 총학생회장
- 11기(2002년): 황광민 조선대 총학생회장
- 12기(2003년): 윤영일 전남대 총학생회장
- 13기(2004년): 백형진 조선대 총학생회장
- 14기(2005년): 백용현 조선대 총학생회장
- 15기(2006년): 김대형 조선대 총학생회장
- 16기(2007년): 조현삼 목포해양대 총학생회장
- 17기(2008년): 김현웅 전남대 총학생회장
3. 산하 조직
4. 남총련 찬가
| 거치른 등성이 고난의 산맥넘어 남도의 당찬의지 청년의 눈빛되어 막아서는 바위일랑 힘을 모아 깨부수고 길어두운 밤이라면 지혜모아 헤쳐가자 (후렴)민족해방 선봉대오 십만의 조국해방꾼 남총련의 앞길을 그 누가 막아서랴 아아아 타오르는 투혼의 함성이여 불멸의 투쟁전설이여 빛나거라 남총련 *2 |
5. 사건 사고
6. 관련 자료
- 신천지는 'NL세력'으로 부터 조직적 영향을 받았다 - 사이비 종교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이 남총련 조직 이탈자들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도 있다.
-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사 (1997~2019)를 참고해 보면 소위 말하는 '광주전남연합' 산하 NL 활동가들에 대한 자세한 인식을 얻을 수 있다. 여담이지만 전남대는 NL 학생운동의 총본산으로 '반미구국의 철옹성'으로 불렸던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