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7 22:09:16

공평동(대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9631>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6eb5><colcolor=#fff> 동인동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10%, #FF9631 10%, #FF9631); font-size: 1em;"
]] 동인동1가
[[중구청(대구)|
구청
]] 동인동2가
동인동3가 동인동4가
삼덕동 삼덕동1가 삼덕동2가 삼덕동3가
성내1동 공평동 교동 동문동 문화동 봉산동 사일동 상덕동 완전동
용덕동 태평로1가 북성로1가 포정동 화전동 남일동 덕산동 동성로3가
동성로1가 동성로2가
.
성내2동 계산동1가 계산동2가
남성로 북성로2가 대안동 상서동 서내동 장관동 동일동 북내동
종로1가 종로2가 서문로1가 하서동 서성로2가 수동 향촌동 태평로2가
동산동 서성로1가 수창동 태평로3가 .
성내3동 달성동 도원동 인교동 서문로2가
서야동 시장북로
대신동 대신동
남산1동 남산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대봉1동 대봉동
대봉2동
}}}}}}}}} ||
중구법정동
공평동
公平洞 | Gongpyeong-dong
<colbgcolor=#FF9631><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구
행정표준코드 2711012200
관할 행정동 성내1동
1. 개요2. 역사3. 주요 장소4. 대중교통
4.1. 시내버스
4.1.1. 직행4.1.2. 급행4.1.3. 간선4.1.4. 지선

1.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의 법정동. 관할 행정동은 성내1동이다.

2. 역사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동의 역사
<rowcolor=#fff> 연도 동명
<colcolor=#e97e20> 1896.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 남성리·신전리 각 일부
慶尙北道 大邱郡 東上面 南城里·薪田里
1910. 경상북도 대구부 동상면 남성리·신전리 각 일부
慶尙北道 大邱府 東上面 南城里·薪田里
1911. 경상북도 대구부 대구면 남용강정
慶尙北道 大邱府 大邱面 南龍岡町
1914. 경상북도 대구부 남용강정
慶尙北道 大邱府 南龍岡町
1947. 경상북도 대구부 공평동
慶尙北道 大邱府 公平洞
1949. 경상북도 대구시 공평동
慶尙北道 大邱市 公平洞
1953. 경상북도 대구시 중부출장소 공평동
慶尙北道 大邱市 中部出張所 公平洞
1963. 경상북도 대구시 중구 공평동
慶尙北道 大邱市 中區 公平洞
1981. 대구직할시 중구 공평동
大邱直割市 中區 公平洞
1995.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동
大邱廣域市 中區 公平洞
이 곳에는 원래 대구지방법원이 있었는데, 대구지방법원에서 모든 일을 공평하게 처리하라는 뜻으로 공평동으로 불리게 되었다.

과거 대구부 동상면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남성리, 신전리의 각 일부를 합해 남용강정(南龍岡町)이라 했다가 1947년부터 공평동으로 불려졌다.

3. 주요 장소

4. 대중교통

4.1. 시내버스

4.1.1. 직행

4.1.2. 급행

4.1.3. 간선

4.1.4. 지선



[1] 칠성시장 방향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