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6 00:34:22

공조냉동기계기사

{{{+2 {{{#FFFFFF 공조냉동 관련 자격증}}}}}}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술사

공조냉동기계기사
空調冷凍機械技士
Engineer Air-Conditioning Refrigerating Machinery
관련부처 국토교통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2. 시험의 구성3. 필기
3.1. 에너지관리3.2. 공조냉동 설계3.3. 시운전 및 안전관리3.4. 유지보수공사 관리
4. 실기 - 필답형5. 기타

1. 개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기사 자격증 시험으로 주로 기계공학과전공자들이 주로 취득하는 자격증이다. 화학공학과 전공자들 또한 딱히 쓸모가 없는 화공기사 대신 이 자격증에 응시하는 경우도 있다.

하위 자격증으로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가 있으며, 상위 자격증으로 공조냉동기계기술사가 있다.

공조냉동기계기사는 관련 업종 경력자, 4년제 대학 기준 관련 학과에서 최소 4학년 재학 중(7학기 이상)일 때 응시가 가능하다.

2. 시험의 구성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필답형)로 이루어진다. 2023년까지 정기기사 시험이 4회까지 있었을때는 1,2,3회차 시험이 진행되었다.[1]

2024년부터 정기기사시험이 3회까지 진행되며, 1·2·3회차 시험에 응시가 가능하다.

3. 필기

연도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11 2,512 764 30.4%
2012 2,814 769 27.3%
2013 3,034 812 26.8%
2014 3,002 1,024 34.1%
2015 3,136 1,077 34.3%
2016 3,639 1,484 40.8%
2017 4,137 1,821 44%
2018 4,570 1,694 37.1%
2019 5,456 2,655 48.7%
2020 5,640 2,707 48%
2021 6,965 3,425 49.2%
2022 6,022 2,051 34.1%
2023 8,757 3,223 36.8%

2022년 이전의 필기시험은 각 과목당 20문항, 총 5과목 100문항이 출제되며 과목당 40점을 넘기고 평균 60점을 넘기면 합격한다.

2022년부로 과목이 개편되면서 총 4과목 80문항이 출제되며, 과목 면제가 사라졌다.

3.1. 에너지관리

공기조화, 공조기기, 설비 시운전 등이 나온다.

3.2. 공조냉동 설계

냉동 이론, 냉동 장치, 부하 계산, 열역학, 사이클 등이 나온다.

3.3. 시운전 및 안전관리

회로, 전기기기, 전기계측, 시퀀스 제어, 제어기기 및 회로, 설치 검사, 안전관리 등이 나온다. 전자전기공학을 배우지 않은 사람들에겐 꽤나 골아플 과목이다.

3.4. 유지보수공사 관리

배관, 설계도면 작성 등이 나온다. 공부할 양이 매우 방대하다.

4. 실기 - 필답형

연도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11 1,310 439 33.5%
2012 1,391 350 25.2%
2013 1,457 534 36.7%
2014 1,825 635 34.8%
2015 1,980 520 26.3%
2016 2,270 912 40.2%
2017 2,853 1,119 39.2%
2018 2,855 938 32.9%
2019 4,026 860 21.4%
2020 5,438 1,268 23.3%
2021 5,955 1,813 30.4%
2022 4,288 1,503 35.1%
2023 4,631 1,908 41.2%

실기시험은 필답형으로서, 냉동 및 냉난방설계를 주제로 하여 3시간 동안 진행된다.

출제기준 개정으로 2018년도부터 경력있는 현직자가 아니면 20개년을 봐도 맞출 수 없는 문제(배관도면,견적 등)가 약 20점치가 존재하는데, 이 비율이 높을수록 실기합격률이 20프로 초반 이하로 떨어진다. 만점을 80점으로 잡고 공부를 시작하는 기사이기 때문에 난이도의 악랄함과 더불어 상당히 취득하기 어려운 기사에 속한다.

또한 산업안전, 위험물 등과 같이 응시자 수도 많고 문제길이도 단답형 형식등으로 짧은 (산업)기사는 실기복원 문제의 복원률이 상당히 정확하나, 공조기사 실기는 문제 길이만 한 문제가 2~3페이지에 걸친 문제도 존재하고 심지어 거의다 계산문제이기 때문에 복원률이 낮은 편이다. 실기책에 실린 문제들은 대부분 수험생들의 단편적인 기억으로, 예를 들어 냉동부하 문제에 ~가 주어지고 ~가 주어졌다는 정도의 정보만으로 이미 나와있는 문제를 기출이랍시고 돌려막기한 것이 많다. 세세한 조건 등이 다른데도 이를 잘 반영하지 못한다. 즉, 실기 기출이랍시고 달달 외우다간 원리를 모르면 얄짤없이 떨어진다. 신출, 배관도면 문제가 절묘하게 맞물리는 회차가 실기합격률 한자리~10프로대가 나온 회차인 것이다.

한편 서술형으로 1~2문제정도 필기의 빈출개념[2]을 서술하는 문제가 나오므로, 과년도문제를 풀면서 나오는 단답형 문제들은 정리해서 꼭 외울 것.

5. 기타


2022년 필기 접수자 수 상위 30개 종목별 기사 시험 통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순위 종목 필기 접수자 수 필기 합격률 실기 접수자 수 최종 합격률
1위 산업안전기사 83,738 47.77% 37,976 48.29%
2위 전기기사 78,129 22.25% 37,323 39.53%
3위 정보처리기사 70,694 56.13% 71,955 20.84%
4위 건설안전기사 41,164 48.34% 16,720 70.34%
5위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39,497 44.88% 25,558 42.35%
6위 건축기사 33,437 36.57% 16,842 31.03%
7위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25,964 46.83% 18,123 15.56%
8위 전기공사기사 20,562 47.67% 10,729 65.90%
9위 일반기계기사 19,578 39.37% 9,269 45.09%
10위 빅데이터분석기사 19,020 54.91% 8,551 55.97%
11위 대기환경기사 18,461 37.06% 8,500 30.66%
12위 토목기사 17,159 27.50% 6,636 44.28%
13위 수질환경기사 14,178 30.26% 5,275 50.52%
14위 정보보안기사 12,107 28.50% 5,713 13.56%
15위 에너지관리기사 11,938 35.19% 4,876 26.56%
16위 산업위생관리기사 11,131 47.57% 5,517 57.01%
17위 건축설비기사 10,937 61.15% 7,204 23.03%
18위 화학분석기사 9,652 27.00% 3,111 24.72%
19위 공조냉동기계기사 9,545 34.06% 5,345 35.05%
20위 식품기사 9,384 42.05% 7,167 33.90%
21위 산림기사 7,405 44.67% 3,300 47.31%
22위 가스기사 6,783 19.36% 2,224 30.78%
23위 설비보전기사 6,775 46.03% 3,177 56.07%
24위 조경기사 6,454 26.62% 2,455 42.46%
25위 화공기사 6,423 29.49% 3,292 20.98%
26위 품질경영기사 5,927 38.82% 2,277 39.08%
27위 식물보호기사 5,586 56.96% 3,757 50.03%
28위 화재감식평가기사 5,555 85.44% 6,185 42.62%
29위 실내건축기사 5,078 48.47% 2,309 58.00%
30위 건설재료시험기사 4,857 39.07% 1,370 67.42%
출처: 대한민국 통계청
}}} ||


과거에는 냉동기 선임을 목적으로 취득하기 위한 자격증이었다.

기계설비법시행으로 어느정도 규모가 되는 건축물은 기계설비유지관리자를 선임해야하는데, 그 유지관리자 선임에 해당하는 자격증에 이 자격증이 포함되면서 자격증의 가치가 좀 더 올라갔다.

2022년부터 NCS 기반으로 과목개편이 되기로 하였으나, 실기는 기존 출제 방향대로 출제되며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최소 6개월 전에 큐넷 공지사항에 공지된다.


[1] 그래서 이 자격증을 목표로 하거나 이미 취득한 사람은 동일년도 4회차 시험을 치를 경우 일반기계기사를 고르기도 했다.[2] 극간풍 방지법, 공기조화 방식, 수격현상, 이중입상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