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홍성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colbgcolor=#00a784><colcolor=#fff> 고속버스 | ↔서울호남 | ||
수도권 | 인천공항 | 안성 | 동서울 | |
충청 | 대전복합 | 서대전 | 공주 | |
유성 | 천안 | 온양(아산) | ||
서산 | 태안 | 서천 | ||
호남 | ↔군산 |
- [ 내포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5000px> 당진↔군산 ||
#!wiki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논산(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color=#fff> ↔서울호남 | ↔내포신도시,홍성 | | |
↔부산 |
- [ 논산(시외) ]
- [ 연무 ]
- [ 강경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00px>
↔서대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부산(노포)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
수도권 | ↔서울경부 | ↔동서울 | ↔인천 | ↔성남 | |
| ↔용인 | ||||
충청 | ↔청주 | ↔연무대,논산,내포신도시,홍성 | | | |
| |||||
호남 | ↔광주 | ↔순천,여수 | ↔전주 | ||
영남 | ↔동대구 | | |||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
수도권 | ↔인천공항 | ↔오산,수원,안산 | ↔이천 | ||
강원 | ↔원주 | ↔횡성,홍천,춘천 | ↔호산,태백,고한 | ↔강릉,속초 | |
↔삼척,동해,강릉,속초,간성,거진 | |||||
충청 | ↔충주 | ↔제천 | |||
대구경북 | ↔울진,부구 | ↔안동,영주 | ↔경주(시외),포항 | ↔구미,상주,점촌 | |
↔영천 | |||||
울산경남 | ↔마산 | ↔마산남부 | ↔진주 | ||
↔창원,진해 | ↔언양 | ↔고현,통영 | |||
호남 | ↔광양 | ↔군산,익산 | |||
폐지 | | | |
- [ 부산서부(사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6>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수도권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용인↔성남↔수원충청 ↔당진,서산 ↔청주↔대전복합↔세종호남 ↔광주,나주 ↔여수 시외버스 및 전환고속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수도권 ↔서울남부 호남 ↔전주 ↔남원 ↔장계 ↔목포,진도 ↔순천 ↔완도 대구경북 ↔경주,포항 ↔현풍,고령,거창 ↔창녕,대구서부 경남 ↔ 마산/창원 ↔함안,의령,합천 ↔밀양(직행) ↔밀양(완행) ↔진주 ↔삼천포 ↔함양 ↔통영(직행) ↔남마산,고성,통영 ↔고현,장승포 ↔용원 ↔진해(완행) ↔진교,남해 ↔율하 ↔진영 ↔장유
- [ 동래 ]
- [ 해운대 ]
- [ 김해공항 ]
|
1. 개요
충청남도 홍성군과 부산광역시를 잇는 전환시외 노선. 충남고속에서 단독 운행하고 있다.2. 노선 정보
시외버스 홍성 ↔ 부산 | ||||||
노선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홍성종합터미널) | ↔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 |||
부산행 (하행) | 첫차 | 07:50 | 홍성행 (상행) | 첫차 | 07:30 | |
막차 | 14:30 | 막차 | 15:10 | |||
배차간격 | 일 2회 | |||||
운수사명 | 충남고속 | |||||
노선 | 홍성종합터미널 ↔ 용봉로 ↔ 도청대로 ↔ 내포신도시정류소 ↔ 충남대로 ↔ 예산수덕사IC ↔ 서산영덕고속도로 ↔ 공주JC ↔ 논산천안고속도로 ↔ 서논산IC ↔ 논산고속버스터미널 ↔ 1번 국도 ↔ 연무시외버스정류소 ↔ 논산IC ↔ 호남고속도로지선 ↔ 논산JC ↔ 호남고속도로 ↔ 익산JC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장수JC ↔ 통영대전고속도로 ↔ 진주JC ↔ 남해고속도로 ↔ 진영JC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대감JC ↔ 대동JC ↔ 중앙고속도로지선 ↔ 양산JC ↔ 경부고속도로 ↔ 노포IC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2018년 7월 19일에 개통하였다. 개통 당시에는 한일고속에서 운행하였으나, 2023년 1월 17일 부로 충남고속이 노선을 이관받아 운행 중이다.[1]
3. 특징
- 소양IC 이남 구간은 전주 ↔ 부산 노선의 코스와 같다. 그래서 다른 부산발 충청권 방면 노선과 다르게 남해선 노선으로 분류된다. 그래서인지 부산사상에서 출발해야 승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무슨 일인지 노포동에서 출발하게 되었다.[2]
- 이 노선은 부산에서 부여로 갈 때도 쓸 수 있다.[3] 부여는 충청도에서 논산, 보령, 서천, 태안 원산도, 영목, 안면도와 더불어 남해선으로 분류되는데, 시간을 잘 맞춰서 이 노선을 타고 논산으로 간 다음 부여로 가는 시외버스나 시내버스, 농어촌버스를 타면 부산에서 부여로 갈 수 있다. 단, 이 버스의 시간이 안 맞으면 노포동 기준으로 부산에서 익산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탄 다음 익산역에서 열차를 이용해 논산역에 내리거나 아니면 대전 쪽으로 가는 굴곡 루트를 이용해야 한다.[4]
- 논산의 유일한 영남권 노선이다.
- 한일고속이 이 노선을 운행할 당시에는 고속버스 프리패스 사용이 가능했으나, 운행회사가 충남고속으로 변경되면서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노선 매각 안 했으면 프리패스도 계속 사용이 가능했다.[5] 따라서 프리패스로 논산에서 부산으로 가려면 서울까지 빠꾸하거나 논산역에서 열차를 이용해 전주역에 내려야한다.
- 2024년 3월 4일 부로 2회 감회되어 운행한다.
- 2025년 5월 1일 부로 논산 착발이 홍성/내포신도시 까지 연장되었다. 이로 인해 고속버스 조건을 상실해 전환시외로 전환되었다. 전환 후 논산-부산 구간 운임 소폭 인하 및 중, 고등학생 할인이 실시 되었으며, 홍성-논산 구간승차도 개시되었다.[6]
4. 운임표
(2025년 5월 1일 시행)구분 | 성인 | 중고생 | 아동 |
홍성↔논산 | 11,800원 | 9,400원 | 5,600원 |
홍성↔연무대 | 13,300원 | 10,600원 | 6,700원 |
홍성↔부산 | 41,300원 | 33,000원 | 20,700원 |
내포↔논산 | 10,200원 | 8,200원 | 5,100원 |
내포↔연무대 | 11,800원 | 9,400원 | 5,900원 |
내포↔부산 | 39,700원 | 31,800원 | 19,900원 |
논산↔부산 | 30,300원 | 24,200원 | 15,200원 |
연무대↔부산 | 28,700원 | 23,000원 | 14,400원 |
5. 연계 철도역
[1] 이 노선과 함께 당진 ↔ 부산 노선도 이관받았다.[2] 근본적인 원인은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 박차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많은 시민들이 원하던 사상발 경주, 포항행 노선이 2010년대 후반에 겨우 신설되었으며, 사상발 울산행 노선이 생기지 않고 있는 원인이 이 때문이다. 다만 사상~울산 노선은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된 현재는 어차피 개통될 일이 없다.[3] 해당 노선이 23년 충남고속으로 이관되었을 때 실제로 부여터미널에서 부산으로 갈 때 논산으로 가서 해당 노선을 이용하라고 현수막 등으로 홍보했었다. 부여읍은 논산 시내와 자차 이용시 20분 거리로 상대적으로 가까워서 오가는 교통편이나 지역간 이동이 많다.[4] 서부산에서 남해선 거쳐 부여로 갈 경우 서부산 ↔ 전주(시외) 노선을 이용해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에서 내려 전주역으로 가는 아무 시내버스를 이용한 다음 전주역에서 열차를 이용해 논산역에 내리거나 익산역이나 익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해 익산에서 열차를 이용하면 된다.[5] 충남고속도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의 회원사이지만, 2016년 9월에 대원고속, 경북고속과 같이 새로 가입한 신규 회원사라 이를 위한 혜택 또한 없다.[6] 홍성에서 논산을 대중교통으로 가는 방법은 부여/공주/보령에서 환승하는 경로가 있었으나, 코로나-19이후 보령 환승만 남아있는 상태에서 직통 신규 노선이 개통된 셈이다.[7] 터미널과 역간의 거리가 1.1km이며 도보로 15~2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