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01:12:57

경주역사유적지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문화유산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수원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양동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한국의 서원

가야고분군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221e1f,#fff>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한국의 갯벌
}}}}}}}}}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colcolor=#fff>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 Historic Areas
Zones historiques de Gyeongju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경상북도 경주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976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ⅱ)[1], (ⅲ)[2]

1. 개요2. 목록
2.1. 남산지구(Mt. Namsan Belt)2.2. 월성지구(Wolsong Belt)2.3. 대릉원지구(Tumuli Park Belt)2.4. 황룡사지구(Hwangnyongsa Belt)2.5. 산성지구(Sansong (Fortress) Belt)
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신라의 천년 고도경상북도 경주시의 유적 밀집지구이다. 2000년 11월 29일 호주 케언즈에서 개최된 제24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3]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총 5개의 지구로 나눠져 있는데 불교 미술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남산지구, 신라의 궁궐터인 월성지구, 신라의 고분들이 밀집되어 있는 대릉원지구, 신라 사찰의 정수인 황룡사지구, 수도 방어시설의 핵심인 산성지구로 구분되며 총 52개의 문화유산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 1995년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불국사석굴암, 2010년에 따로 지정된 양동마을[4]은 경주에 있지만 경주역사유적지구에는 포함되지 않는다.[5]

2. 목록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21e1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1e1f,#fff>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남산 일원 |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불곡 마애여래좌상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칠불암 마애불상군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배동 삼릉 | 일성왕릉 | 정강왕릉 | 지마왕릉 | 경애왕릉 | 포석정지 | 서출지 | 나정
계림 | 월성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대릉원 | 오릉
황룡사지 | 분황사 모전석탑
명활성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 순서와 영문 명칭은 유네스코 공식 홈페이지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을 참고했다.

2.1. 남산지구(Mt. Namsan Belt)

파일:external/cfs8.tistory.com/download.blog?fhandle=YmxvZzE5MzI3OUBmczgudGlzdG9yeS5jb206L2F0dGFjaC8xLzEzNC5qcGc=.jpg
<colbgcolor=#4a2d5b>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
경주시 남쪽에 있는 남산과 그 주변 지구이다. 경주 남산에는 신라의 건국설화에 등장하는 경주 나정부터 신라 멸망의 순간을 담고 있는 경주 포석정지 등이 있으며 또한 산을 따라 수많은 불상이 분포하고 있다.

2.2. 월성지구(Wolsong Belt)

파일:external/8a33275aac611a60237f6960a47e21f4c1f5d0afe98979d97d91590c7c26ca94.jpg
<colbgcolor=#4a2d5b> 경주 월성
신라의 왕궁이었던 경주 월성과 그 주변 지역이다. 신라 김씨왕가의 시조인 김알지가 태어난 경주 계림, 동양 최고(最古)의 천문 시설인 경주 첨성대 등이 분포하고 있다. 유적 외에도 인근에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재하고 있다.

2.3. 대릉원지구(Tumuli Park Belt)

파일:external/blog.joins.com/53a61a3ea36b7.jpg
<colbgcolor=#4a2d5b> 경주 대릉원 일원
경주시 중심부에 있는 대릉원과 그 주변 지역이다. 신라의 왕과 귀족같은 고위 계층들의 무덤들이 대규모로 위치하고 있으며 구획 구분에 따라 경주황남리고분군, 경주노동리고분군, 경주노서리고분군으로 나눌 수 있다. 발굴을 통해 신라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금관, 천마도, 유리잔,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라왕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라왕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라왕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황룡사지구(Hwangnyongsa Belt)

파일:attachment/황룡사/hrtemplemovie.jpg
<colbgcolor=#4a2d5b> 황룡사 복원예상도
경주시 동쪽에 있는 경주 황룡사지와 그 주변 지역이다. 경주 황룡사지분황사가 분포하고 있다. 현재는 터만 남았거나 그 규모가 많이 축소되었지만 발굴을 통해 웅장했던 대형 사찰의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약 40,0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2.5. 산성지구(Sansong (Fortress) Belt)

파일:external/blogimg.hani.co.kr/rain_75346_92947_ed.jpg
<colbgcolor=#4a2d5b> 경주 명활성
경주시 동쪽 보문관광단지 인근에 소재하고 있는 경주 명활성 일대다. 왕경 방어 시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3. 여담

4. 관련 문서


[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3] 2000년 11월 27일 ~ 12월 2일[4] 안동시하회마을과 함께 한국의 역사마을이라는 테마로 등재되었다.[5] 경주 안에서도 경주역사유적지구로 포함된 지역들과 불국사, 석굴암, 양동마을은 지리적으로도 좀 떨어져 있다.[6] 본래는 여러 건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이 가능했기 때문에 이런 경우가 생긴 것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는 한 국가당 등재신청서를 1건으로 제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