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7 23:16:36

경북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화학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북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
<colcolor=#fff>
경북대학교 화학과
慶北大學校 化學科
KNU Department of Chemistry
<colbgcolor=#DA2127> 설립 <colbgcolor=#FFFFFF>1951년
학과장 백승민 교수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화학관 207호
<nopad>
링크 경북대학교 화학과 공식 홈페이지


1. 소개2. 연혁3. 전공 및 학문4. 교수진
4.1. 물리화학4.2. 유기화학4.3. 무기화학4.4. 분석화학
5. BK21 사업6. 진로

1. 소개

경북대학교화학과.

1951년 개설된 오랜 역사를 지닌 학과로, 국내외 화학계에서 활약하는 연구자들을 다수 배출해왔다.

2. 연혁

  • 1951년 10월 6일, 화학과 개설 인가
  • 1953년, 대학원 화학과 설치, UNKRA 원조에 의한 실험기기 도입
  • 1956년 10월 1일, 구과학관 준공 및 연구실 이전
  • 1957년 4월 1일, 대학 정비령에 의하여 섬유화학 및 응용화학 전공이 화학과로 통합
  • 1958년 5월, 화학계열세미나 제도 도입
  • 1960년 4월 1일, 화학과를 화학, 섬유화학, 응용화학, 3전공으로 분리하여 신입생 모집(각 전공별 인원 20명)
  • 1961년 4월 1일, 응용화학 전공을 공업화학 전공으로 개칭(정원 10명)
  • 1961년 12월 1일, 화학과 단일학과로 개편
  • 1964년 9월 21일, 신과학관(현재의 제1과학관) 준공
  • 1969년 2월, 대일청구권(PAC) 자금으로 5년 간에 걸쳐 X-ray Analytical Apparatus,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Micro Organic Analyzer 등 70,000$ 상당의 화학 실험실습 기자재 도입
  • 1969년 12월, 화학과 기기실 발족
  • 1976년 6월, 2nd 국제개발협회(IDA) 자금으로 5년 간에 걸쳐 AA Spectrophotometer, IR Spectro-photometer, Thermal Analyzer, Polarograph 등 68종 254점, 24만 3천 달러 상당의 화학 실험실습 기자재 도입
  • 1979년 8월, 물리화학연구소 설립
  • 1981년 3월 1일, 문리과대학에서 자연과학대학 화학과로 분리(졸업정원 80명으로 증원)
  • 1983년 3월 1일, 졸업정원 60명으로 감축
  • 1986년 5월 1일, 화학관 준공
  • 1986년 9월, 물리유기화학 국제 학술 세미나 개최(개교 40주년 기념행사)
  • 1986년 9월, 6th IBRD 자금으로 Flash Photolysis, Electrochemistry System, Gas Chromatograph, UV Spectrophotometer 등 68종, 254점, 24만3천달러 상당의 화학 실험실습 기자재 도입
  • 2004년 3월, 화학관 신관 증축
  • 2010년 3월, 화학관 구관 리모델링 준공
  • 2011년 3월, 청정나노소재연구소 설립
  • 2011년 10월, 화학과 개설 60주년 기념행사 개최

3. 전공 및 학문

크게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의 4개 분야를 공부한다. 화학의 주요 분야를 모두 아우르는 커리큘럼을 갖추고 있다.

한국화학회, 대한약학회, 대한분석화학회 등과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학술 발표와 연구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특히 한국화학회 주관의 전국 학부생 연구발표대회 및 대학원생 학술대회에서 경북대 화학과 학생들이 다수 수상한 전력이 있다.

4. 교수진

4.1. 물리화학

  • 정성화 교수
    • 청정화학, 나노소재화학, 나노물질, 소재화학, 고체화학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 대학원 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자연과 환경, 물리화학실험
    • 대학원 강의과목: 물리화학특론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삼성종합화학 수석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거쳐서 경북대 교수로 부임했으며 2024년 3월 석좌교수에 임명되었다.
    • 2024~2025년 경북대 우수연구교수 총장상, 2023년 경북대 학술상, 행정안정부 과학기술진흥유공상, 2014년 경북대 학술상, 2013년 대한화학회 우수논문상, 2007년 과학의날 국무총리 표창 등 다수의 학술상을 받았다.
  • 이강호 교수
    • 나노화학, 생물리화학 전공
    • 고려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존스혼킵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화학실험1·2, 물리화학1·2·3
    • 대학원 강의과목: 고급물리화학1·2, 물리화학특론1, 화학반응속도론1, 나노화학
    • 2020년 경북대학교 우수연구교수에 선정되었으며, 2017년 경북대학교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 최철호 교수
    • 물리화학, 분자설계화학, 양자화학, 이론화학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화학실험1·2, 양자화학
    • 대학원 강의과목: 화학세미나1·2
    • 2018년 대한화학회에서 입재물리화학상을, 2009년 젊은 물리화학자상을 받았다.
  • 임종민 교수
    • 물리화학, 초고속 레이저 분광학 전공
    • 연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화학실험1·2, 물리화학1·2, 물리화학실험, 공학화학실험2
    • 대학원 강의과목: 물리화학특론2
  • 조대흠 교수
    • 물리화학, 양자화학, 계산화학 전공
    • 성균관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입문, 화학2, 화학연습1, 화학실험1·2, 계산과학과 머신러닝, 물리화학2, 물리화학실험, 고급물리화학1, 양자화학
    • 대학원 강의과목: 물리화학특론4
    • 한림대학교 화학과 조교수를 거쳐서 경북대 교수로 부임하였다.
  • 오주원 교수
    • 물리화학, 양자화학, 나노화학 전공
    •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입문, 화학실험1, 양자화학
    • 미국 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하였다.

4.2. 유기화학

  • 조창우 교수
    • 유기화학, 유기합성화학, 촉매화학 전공
    • 경북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유기화학1·2, 화학실험1, 유기화학실험, 유기반응론, 유기합성
    • 대학원 강의과목: 비대칭화학, 고급유기화학특론1·2
    •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박사후연구원, 삼성정밀화학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등을 지냈다.
  • 황길태 교수
    • 유기합성 및 DNA화학 전공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2, 화학입문, 공학화학실험1·2, 화학실험1·2, 유기화학1·2, 유기화학실험, 유기합성, 유기반응론
    • 대학원 강의과목: 유기합성1·2, 유기구조해석, 고급유기화학특론2, 의약화학
  • 이정규 교수
    • 유기화학, 고분자화학, 나노소재화학 전공
    • 부산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유기화학1·2, 유기화학실험, 고분자화학, 유기합성, 유기반응론
    • 대학원 강의과목: 물리유기화학1, 고급유기화학1

4.3. 무기화학

  • 이홍인 교수
    • 무기화학, 생무기화학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화학입문, 화학실험1·2, 공학화학실험1, 화학연습, 무기화학1·2
    • 고급화학, 고급무기화학2·3, 무기화학특론1, 무기구조론1, 무기합성
  • 정맹준 교수
    • 무기화학, 분석화학 전공
    • 영남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화학입문, 화학실험1·2, 자연과 환경
  • 이효선 교수
    • 분석화학, 나노바이오응용화학, 전기화학 전공
    • 영남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2, 화학입문, 화학실험1, 무기화학2·3, 공업화학실험1, 무기화학실험
    • 대학원 강의과목: 유기금속화학1, 무기화학반응론2, 고급무기화학3
  • 백승민 교수
    • 무기화학, 나노재료화학, 에너지과학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부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2, 화학실험1, 공학화학실험1, 무기화학1, 무기화학실험, 고체 및 재료화학, 화학연구 및 실험
    • 대학원 강의과목: 무기화학반응론1, 고체무기화학1
    • 포항가속기연구소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 2025년 경북대 우수연구교수 총장상을 수상하였다.
  • 윤민영 교수
    • 무기/초분자화학, 결정학, 배위화학 전공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화학입문, 화학연습1·2, 화학실험1·2, 무기화학1·3, 무기화학실험
    • 대학원 강의과목: 무기구조론1·2, 무기화학반응론2
    • 가천대학교 나노화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2025년 경북대 우수연구교수 총장상, 2016년 가천학술상을 수상하였다.

4.4. 분석화학

  • 김성환 교수
    • 분석화학, 질량분석화학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자연과 환경, 화학1·2, 화학연습1, 화학실험1·2, 기기분석1, 화학기기실험, 화학연구 및 실험
    • 대학원 강의과목: 고급분석화학1, 질량분석학, 분리화학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선임연구원을 지냈으며, 2023~2025년 경북대 우수연구교수 총장상, 2008년 교육과학부 장관 표창상을 받았다.
  • 이혜진 교수
    • 분석화학, 나노바이오응용화학, 전기화학 전공
    • 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2, 분석화학1·2, 화학실험1·2, 화학기기실험, 응용과학 진로개발3
    • 대학원 강의과목: 화학소재개론, 표면분석, 전기분석화학, 화학세미나1·2
    • 2023~2025년 경북대 우수연구교수 총장상, 2019년 경북대학교 학술상, 2010년 한국과학창의재단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최상일 교수
    • 분석화학, 나노화학, 전기촉매화학 전공
    • 성균관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화학실험1, 분석화학1, 분석화학실험, 기기분석1·2, 무기결정화학
    • 대학원 강의과목: 분광분석화학, 고급분광분석1·2, 분석화학특론2
    • 2023~2025년 경북대 우수연구교수 총장상, 2023년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진흥 유공상을 받았다.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하였다.
  • 이규의 교수
    • 분석화학, 생체재료, 의료용고분자, 재생의학 전공
    •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화학입문, 화학실험1·2, 공학화학실험1, 분석화학실험, 생화학1·2
    • 대학원 강의과목: 분석화학특론1, 혁신화학소재개론, 고급분광분석1
    • 미국 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하였다.

5. BK21 사업

2000년대 이후 BK21 사업, NRL(국가우수연구실) 과제, 기초연구실(BRL) 등 국가 연구재정 지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며 연구기반을 강화해왔다.

특히 경북대 화학과는 초기 BK21 단계부터 꾸준히 참여하며, 연구 기반과 인재 양성 역량을 인정받아 왔다.

6. 진로

졸업생들은 제약, 재료, 전자, 에너지 분야 등 다양한 분야 회사, 연구원으로 진출하고 있다. 화학이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초학문인 만큼, 폭넓은 방향성을 가지고 진로를 설정할 수 있다.

학부를 졸업하고 기업체나 연구소에 취직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매년 졸업생의 40% 정도는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 연구 인력이 되기 위한 교육 과정을 밟고 우수 연구기관, 국공립연구소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