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慶北大學校 兒童學部 KNU Department of Child Studies | ||
<colbgcolor=#DA2127> 설립 | <colbgcolor=#FFFFFF>1992년 3월 | |
학과장 | 임지영 교수 | |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80 생활과학대학 214호실 | |
<nopad> | ||
링크 |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공식 홈페이지 |
1. 소개
경북대학교의 아동학과학과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전국 아동학과 가운데 유일하게 ‘학과’가 아닌 ‘학부’다. 전국 대학에서 보기 힘든 학부 체제의 아동학과로 그만큼 아동학, 가족학에 관한 다양한 교과목이 개설되고 심층적인 공부를 할 수 있다.
유아교육, 보육, 아동상담 분야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지식을 공부한다. 현대사회의 다양한 아동 문제를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정책 수립, 서비스 전달체계 등에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연혁
- 1992년 3월, 경북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신설
- 1996년 2월, 제1회 졸업생 배출
- 1996년 3월, 아동가족학과로 학과명 변경
- 1999년 3월, 대학원 석사과정 신설
- 2000년 3월,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 2004년 4월, NURI사업 선정 『영유아 교사 양성 사업안』
- 2012년 3월, ‘아동학부’로 학부 체제 개편
3. 전공 및 학문
크게 ‘아동학’ 전공과 ‘아동가족학’ 전공으로 나뉜다.‘아동학’ 전공은 아동의 발달, 보육, 교육에 중점을 두며,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가 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공부한다.
‘아동가족학’ 전공은 아동학 뿐만 아니라 가족학까지 폭넓게 공부한다. 아동과 가족을 중심으로 상담 및 복지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아동 발달 및 교육, 아동가족상담 및 교육, 아동 및 가족복지 분야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리학, 법학, 행정학 등과도 연결되는 요소들이 있다. 아동 및 가족 상담사, 부부복지사 등으로 진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4. 교수진
4.1. 정정희 교수
- 유아교육, 아동보육 전공
- 경북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서던일리노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행복한 삶과 가족, 21세기 창의성 개발, 언어지도
- 대학원 강의과목: 유아교육 사상 및 철학 특론
4.2. 임지영 교수
- 아동(청소년)발달, 아동문제행동 개입 및 중재, 보육, 연구방법 전공
- 경북대학교 가정관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전통문화체험, 결혼과 가족관계, 발달심리(영유아발달), 청소년발달 및 이해, 사회복지조사론
- 대학원 강의과목: 아동가족연구조사방법론1·2
- 2009년 경북대 교수로 부임하기 전에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조교수를 지냈으며, 대구광역시 고옹뇨소민정협의회 위원, 한국보육진흥원 어린이집 평가인증 종합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 1996년 경북대학교 최우등졸업생으로 총장상을, 2005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최우수학생 등을 수여받았다.
4.3. 임민정 교수
- 유아교육, 아동보육, 교사교육, 또래관계, 질적연구방법 전공
-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명저읽기와 토론, 보육교사(인성)론, 아동생활지도, 아동건강교육, 보육실습, 육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교육 논리 및 논술 지도
- 대학원 강의과목: 질적연구방법론1·2, 사회정서발달과 교육연구, 영아연구세미나, 영유아교육 및 보육정책세미나
4.4. 전세송 교수
- 아동가족상담, 가족교육, 가족복지 및 정책, 아동가족학 연구방법 전공
-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고, 다시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부부교육, 가족과 젠더, 가족생활교육, 사회복지실천론, 가족상담 및 치료, 건강가정현장실습
- 대학원 강의과목: 부모교육세미나
4.5. 나수영 교수
- 성인 및 노년기 발달, 가족관계, 노년기 가족 돌봄 개입 및 정책 전공
-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노년학, 정신건강론
5. 진로
아동학 전공은 주로 유치원 교사, 보육교사로 많이 가며, 유치원 교사, 어린이집 교사 뿐만 아니라, 아동상담사, 심리치료사, 놀이치료사 등으로도 많이 취업한다. 아동학 전공에서 교직이수가 가능한데 사범대학 및 교직복수전공을 통해서 국어, 영어 등 다른 교과목 교사자격증 취득도 가능하다.아동가족학 전공은 주로 건강가정사, 발달심리사, 상담전문가, 청소년상담사, 심리치료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취업하고 있다.
6. 여담
-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많은 ‘여초’ 학과다. 다만, 남학생들 선후배, 동기 간 잘 지내며 남학생이라고 해서 학과 적응하지 못하거나 그런건 없다. 모든건 자기 하기 나름이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