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0:14:48

경북대학교/학부/생태환경대학/식물자원학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경북대학교/학부/생태환경대학|경북대학교/학부/생태환경대학]]
<colcolor=#fff>
경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慶北大學校 植物資源學科
KNU Department of Crop Science
<colbgcolor=#DA2127> 설립 <colbgcolor=#FFFFFF>2009년 3월
학과장 김형태 교수
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2559 제6호관 116호 식물자원학과
<nopad>
링크 경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공식 홈페이지

1. 소개2. 전공 및 교과목3. 교수진
3.1. 최용화 교수3.2. 김석만 교수3.3. 김형태 교수3.4. 사규진 교수3.5. 김영남 교수
4. 졸업후 진로

1. 소개

경북대학교식물자원학과.

식물자원학이란, 농학을 대표하는 학문으로 작물학, 원예학을 공부한다. 인류생활과 산업에 필요한 식물자원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학과다. 육종학, 토양학, 식물영양학, 식물병충해방제, 식물생명공학, 천연물소재 개발 등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을 공부한다.

2. 전공 및 교과목

3. 교수진

3.1. 최용화 교수

  • 농약학, 천연물화학, 식물생리학 전공
  • 전북대학교 농화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사이타마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일반화학, 농약화학, 유기화학, 생화학, 환경화학, 일반작물생리학, 잡초방제학, 작물생리학 및 실험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식물생리학특론, 유기농업특론, 천연물화학 특론, 기기분석학특론
  • 동부기술원(동부그룹중앙연구소) 분석팀장, 생명공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3.2. 김석만 교수

  • 작물육종학 전공
  • 경북대학교 농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실험통계학, 작물재배학원론, 식량작물학1, 실험통계 및 R통계분석, 작물육종학Ⅰ 및 실험, 종묘생산학, 식물분자생태학 및 실험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내병성육종론, 종자학특론, 실험설계분석
  • 국립식량과학원,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itute, 국립농업과학원 박사후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3.3. 김형태 교수

  • 식물유전체학, 식물분자계통학 전공
  •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생명과학입문, 자원식물학, 분자생물학1, 기초식물유전체학, 식물 소기관 유전체학, 식물형태학 및 실험,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식물계통분류학특론, 자원식물학 특론, 유전체학특론
  •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박사후연구원,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3.4. 사규진 교수

  • 작물분자육종학 전공
  • 강원대학교 식물자원응용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 학부 강의과목: 식물유전자원학론, 작물 유전학, 종자학 및 실험, 식물기내배양학 및 실험, 식량작물학2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식물조직배양학특론, 식물생명공학특론

3.5. 김영남 교수

  • 작물영양학, 토양생태학 전공
  •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를 졸업하고, 뉴질랜드 링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비료학, 작물영양학개론, 농산물품질관리학
  •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박사후연구원 등을 역임하였다.

4. 졸업후 진로

졸업생들은 종자기사, 식물보호기사, 시설원예기사, 유기농업기사, 생물분류기사(식물) 등의 기사 자격증 및 농산물품질관리사등을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및 산하 시험장,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업행정기관, 국립식물검역소, 국립종자원, 한국농어촌공사, KT&G,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종자 및 종묘회사, 농약회사, 농산물 가공 및 유통업체, 환경관련업체 등으로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