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경북대학교에서 학교폭력 이력이 있는 입시생 22명을 전부 찾아내 불합격 처분하면서 시작된 사건.2. 전개
사건은 경북대학교가 2025년부터 모든 대입 전형에 학교폭력 관련 사항을 반영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27일에 처분 단계에 따라 감점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경북대는 1~3호는 10점, 4~7호는 50점, 8~9호는 150점을 감점했으며, 이에 따라 교과우수자전형과 지역인재전형 등에서 11명이 감점으로 불합격됐다고 설명했다. 논술(AAT) 전형 3명, 학생부종합 영농창업인재전형 1명, 실기·실적(예체능) 및 특기자(체육) 전형에서도 4명이 불합격됐다.
정시 모집에서도 총 3명이 학교폭력 전력으로 탈락했다.
3. 사건 배경
사실 학교폭력 가해자는 2026학년도부터 교사가 되는 게 불가능하다. 이미 관련 법안이 통과되었으며# 교대에서는 학교폭력 여부를 철저히 조사해 가해자일 경우 아예 지원서를 자세히 읽어보지도 않고 세단기에 넣는 교대도 존재한다. 또한 앞으로 학교폭력 가해자는 공무원이나 경찰관, 소방관 등의 공직에 종사할 수 없도록 점점 변화하고 있다.4. 반응
당연하다는 반응에 정의구현이라는 반응들이 많지만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피해자가 외려 가해자로 몰려 징계 처분을 받은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5. 그 외
- 전국 10개 교대 역시 2026학년도 입시전형부터 학교폭력 조치사항을 반영하기로 되어 있다. 서울교대와 부산교대, 경인교대, 진주교대는 처분의 경중에 상관없이 학폭 이력이 있는 수험생의 경우 모든 전형에서 지원 자격을 제한하거나 부적격으로 탈락시킨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이렇게 조치하는 대학이 계속 늘어날 전망이지만 경북대학교가 다른 대학교들보다 이른 조치를 한 것에 더욱 가깝다.
- 2025년 11월 2일 기준 경북대를 포함한 거점국립대 6곳이 2025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37명, 정시 모집에서 8명에게 학폭 기록에 대해 감점했고, 이들은 최종 불합격했다. 부산대는 수시 6명, 정시 2명으로 총 8명이 탈락했다. 강원대는 수시 5명, 전북대는 수시 4명과 정시 1명, 서울대는 정시 2명을 불합격시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