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4:46:57

경기대학교/학부/자유융합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기대학교/학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캠퍼스
수원캠퍼스 서울캠퍼스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강의 사건 사고
역사 상징 대외평가 법인
||<-4><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3876>
학생 정보
||
학교 생활 출신 인물 학생회 운동부
}}}}}}}}} ||
파일:경기대학교 흰색 로고.svg
경기대학교의 단과대학
자유교양대학 인문대학 예술체육대학 사회과학대학
소프트웨어경영대학 융합과학대학 창의공과대학 관광문화대학
자유융합대학

1. 개요2. 자유융합대학3. 폐과된 학과
3.1. 형사사법학전공3.2. 관광스포츠산업융합전공3.3. 동아시아학전공3.4. 도시재생학전공3.5. 디자인비즈융합전공3.6. 커뮤니티안전회복융합전공

1. 개요

자유융합대학(K-WITH융합교육원)에 설치된 모든 전공은 신(편)입학으로는 모집하지 않는다. 입학 후 2학기 이상 등록한 자만 신청할 수 있으며, 대부분 전공은 T/O 제한없이 신청할 수 있지만 전공별 정원 T/O가 한정되어 모집하는 전공도 일부 있기 때문에 해당 전공의 경우에는 최소 학점 기준 이상, 전공 주임교수 면접 등 심사를 거쳐 모집한다. 단, 25학년도부터 자유전공학부로 입학하는 해당 학부생은 복수전공, 융합전공 등 이중전공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

2. 자유융합대학

자유융합대학 홈페이지
자유융합대학 (K-WITH융합교육원)
College of Liberal Arts and Cross-Disciplinary Studies
학부/과 전공
융합전공 범죄학전공[1]
심리상담융합전공[2]
창업융합전공[3]
융합데이터공학전공[4]
미디어융합콘텐츠전공[5]
AI경영융합전공[6]
스마트AI융합전공[7]
스마트바이오신약전공[8]
반도체장비SW전공[9]
문화재관리학전공[10]
경기대학교 자유융합대학(K-WITH융합교육원)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흐름과 유망분야 인재양성 강화를 위해 2021년 3월에 설립되었다. K의 의미는 우리 대학 경기대의 이니셜인 K, 경기도의 K, 더 나아가서 대한민국의 K를 뜻합니다. 이는 우리 대학이 표방하는 경기도를 대표하는 대학을 넘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학으로 성장하고 더 나아가 전 세계 교육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국가 경쟁력에 이바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K 대학으로서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함께 ‘K-WITH’는 지속성장을 의미하는 ‘Keep up with Growth’의 의미를 함축하는 것으로 대학 구성원들이 경기대와 지속성장을 함께 누리기를 바라는 희망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자유융합대학(K-WITH융합교육원)은 우리 경기대학교의 비전인 '글로벌 역량을 갖춘 융복합 인재 양성 대학' 달성 정진에 발맞추어 효율적인 융합교육과정의 개발과 지원, 교수능력 개발과 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연구와 지원에 정성을 다한다.

2.1. 범죄학전공

2.2. 심리상담융합전공

2.3. 창업융합전공

2.4. 융합데이터공학전공

2.5. 미디어융합콘텐츠전공

2.6. AI경영융합전공

2.7. 스마트AI융합전공

2.8. 스마트바이오신약전공

2.9. 반도체장비SW전공

2.10. 문화재관리학전공

3. 폐과된 학과

3.1. 형사사법학전공

3.2. 관광스포츠산업융합전공

3.3. 동아시아학전공

3.4. 도시재생학전공

3.5. 디자인비즈융합전공

3.6. 커뮤니티안전회복융합전공



[1] 참여학과 및 전공 : 범죄학(고유)전공, 경찰행정학전공, 범죄교정심리학전공, 시큐리티매니지먼트학과[2] 참여학과 및 전공 : 심리상담(고유)전공, 범죄교정심학전공, 청소년학전공, 응용통계학전공[3] 참여학과 및 전공 : 창업융합(고유)전공,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경제학부, 지식재산학전공, 산업경영정보공학전공[4] 참여학과 및 전공 : 융합데이터공학(고유)전공, 수학과, 컴퓨터공학전공, 산업경영정보공학전공, 경제학부, 응용통계학전공[5] 참여학과 및 전공 : 미디어융합콘텐츠(고유)전공, 미디어영상학과, 실용음악학과, 애니메이션학과, 연기학과[6] 참여학과 및 전공 : AI경영융합(고유)전공,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지식재산학전공, 인공지능전공[7] 참여학과 및 전공 : 스마트AI융합(고유)전공, 산업경영정보공학전공, 기계시스템공학부[8] 참여학과 및 전공 : 화학과, 바이오융합학부(생명과학전공)[9] 참여학과 및 전공 : 반도체장비SW(고유)전공, 정보통신시스템전공, 기계시스템공학부, 나노・반도체전공[10] 참여학과 및 전공 : 건축학과, 문헌정보학과, 사학과, 미술경영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