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털파리 Bibio tenebrosus | |
| |
학명 | Bibio tenebrosus Coquillett, 1898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강 | 곤충강(Insecta) |
목 | 파리목(Diptera) |
과 | 털파리과(Bibionidae) |
속 | 털파리속(Bibio) |
종 | 검털파리(B. tenebrosus) |
1. 개요
털파리과 털파리속에 속하는 곤충. 몸길이는 11~15mm쯤이며 한국, 일본, 인도 등에 산다.2. 특징
2022년도 여름 즈음부터 많이 나오며, 매해 봄여름만 되면 사람들을 성가시게 한다. 4월-8월쯤에 짝짓기를 하며 날아다니는 검은 벌레 한 쌍이 보이면 거의 이들일 것이다. 무릇 숲, 초지, 습지, 물가에 살지만 요새는 도심에서도 자주 보인다.2022년부터 수도권에 떼로 나온 붉은등우단털파리와는 다른 종으로, 이름대로 등이 붉은 것과 달리 검털파리는 온몸이 검다. 몸이 길고 눈이 작은 게 암이고 거꾸로가 순데, 사흘 사이 짝을 지은 뒤 수컷은 죽고 암컷은 100~350개쯤 알을 낳고 죽는다. 알은 습한 데 낳는다.
어마어마한 번식력 탓에 수도권 여럿에서 짜증과 징그러움을 일으킨다. 낮에 자주 나오는 데다가 사람을 그닥 무서워하지도 않아 길 가다 부딪히거나 몸에 붙는 일도 많다. 다행히 독이 없고 병을 안 옮기며 쏘지도 않고 피도 안 빨아 딱히 해롭진 않지만, 만지면 나쁜 내가 나기도 하고 무엇보다 징그럽게 생겨서 벌레를 싫어한다면 질색팔색하게 된다.
요즘 대량 발생 때문에 관련 글과 민원이 자주 올라오는데, 2024년 충청남도 농업기술원은 이들이 해충이 아님을 알렸다. 밖이나 숲에서 많이 나오긴 하지만 딱히 사람이나 농작물에 해를 주진 않고, 오히려 진드기의 천적인데다 유기물도 분해하니 곧 익충이라고. 암컷은 몸이 무거워 잘 못 나니 꽃등에나 각다귀와 한가지로 개미, 거미류에게 먹히는 동네북과 같다고도 할 수 있다. 다만 요새 비가 잦고 더워지며 많이 나왔을 뿐. 따라서 길가에 많이 보이더라도 너무 징그러워하진 말고, 너무 해를 준다면 죽이기보단 쫓아내길 바란다.
... 라기엔 너무 떼로 나타나 조금 줄여야 되긴 한다. 용인시, 충주시에서 검털파리가 하도 나와 대규모 방제를 하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