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0:35:28

개빈 스톤/선수 경력/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개빈 스톤/선수 경력
개빈 스톤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1. 개요2. 시즌 전3. 정규시즌
3.1. 3~4월
3.1.1. 3월 31일: STL전 () [ND]3.1.2. 4월 7일: CHC전 (원정) [패배]3.1.3. 4월 13일: SD전 () [승리]3.1.4. 4월 20일: NYM전 () [ND]3.1.5. 4월 26일: TOR전 (원정) [승리]
3.2. 5월
3.2.1. 5월 3일: ATL전 () [ND]3.2.2. 5월 8일: MIA전 () [승리]3.2.3. 5월 14일: SF전 (원정) [승리]3.2.4. 5월 21일: AZ전 () [패배]3.2.5. 5월 28일: NYM전 (원정) [승리]
3.3. 6월
3.3.1. 6월 2일: COL전 () [승리]3.3.2. 6월 8일: NYY전 (원정) []
3.4. 7월3.5. 8월3.6. 9월3.7. 정규시즌 성적
4. 총평5. 시즌 후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개빈 스톤의 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

현지시각 2월 22일, 2024 시범경기 개막전에 샌디에이고를 상대로 선발 등판했다. 1회초부터 화끈하게 8득점으로 터진 타선에 힘입어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 - 잰더 보가츠 - 제이크 크로넨워스로 이어지는 상위타선을 삼진 하나 곁들여 삼자범퇴로 깔끔히 막아내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2월 27일 화이트삭스를 상대로 한 시범경기에서 7회초부터 구원등판하여 1⅔이닝 1피안타 1볼넷 1실점 2K를 기록했다.

3월 3일 콜로라도와의 시범경기에 선발등판하여 3이닝 2피안타 1K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3월 10일 애리조나와의 시범경기에 선발등판하여 4이닝 2피안타 5K 무실점으로 좋은 컨디션을 보여주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3월 18일, 메이저리그 서울시리즈 팀 코리아와의 연습경기에서 두 번째 투수로 나와 3⅓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고, 경기 후 데이브 로버츠 감독의 공식 발표에 의해 개막 5선발로 낙점되었다.

그러나 한참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던 중에 3월 25일 에인절스와의 시범경기에서는 4⅓이닝 4실점으로 부진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3. 정규시즌

3.1. 3~4월

3.1.1. 3월 31일: STL전 () [ND]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5 6 7 0 1 3 3 85
5이닝 7피안타 1볼넷 6탈삼진 3실점을 기록했다. 패전 위기였으나 팀이 5:4로 역전승하며 노디시전을 기록했다.

3.1.2. 4월 7일: CHC전 (원정) [패배]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3 5 6 0 3 5 5 77
3이닝 4피안타 3볼넷 5탈삼진 5실점 4자책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제구 난조가 주된 원인이었지만 팀 내 핵심 멤버인 무키 베츠프레디 프리먼이 실책을 저지르며 스톤을 힘들게 한 것도 있었다.

3.1.3. 4월 13일: SD전 ()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⅔ 4 5 0 1 2 2 88
드디어 각성했다. 처음 5이닝을 퍼펙트로 막아내고 5⅔이닝까지 노히트로 막아내다가 연속 3안타를 맞으며 실점을 기록했고 그래도 개인 첫 7회 등판으로 내친김에 퀄리티스타트 플러스에 도전했으나 7회초에도 2사 이후에 연속안타를 맞으며 실점하고 강판되면서 퀄리티스타트 플러스에 실패하였다. 하지만 6⅔이닝 5피안타 1볼넷 2실점 4탈삼진으로 생애 첫 퀄리티스타트 피칭을 완성하며 시즌 첫 승을 챙겼다.

3.1.4. 4월 20일: NYM전 () [ND]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3⅓ 1 4 0 5 2 2 72

3.1.5. 4월 26일: TOR전 (원정)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7 2 2 1 2 1 1 94
첫 5이닝동안 삼진이 하나도 없었고 최종적으로 삼진이 2개밖에 없었다는 것이 흠이었지만 폭발한 팀 타선의 넉넉한 득점지원 속에 드디어 생애 첫 7이닝 1실점 피칭으로 하이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하며 시즌 2승을 챙겼다. 특히나 5회부터는 투구수를 아끼는 효율적인 피칭을 한 것이 하이 퀄리티스타트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3.2. 5월

3.2.1. 5월 3일: ATL전 () [ND]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6 5 5 1 1 1 1 86
시작부터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를 견제사로 잡아놓고 오스틴 라일리에게 솔로홈런을 맞았지만 이후에는 위기도 잘 극복하고 점차 안정된 모습을 보이며 6이닝 1실점 퀄리티스타트 피칭을 완성했다. 승리 요건을 갖추고 내려갔으나 8회초 다니엘 허드슨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에게 동점 솔로홈런을 맞는 바람에 승리가 날아가버렸다.

3.2.2. 5월 8일: MIA전 ()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7 4 6 1 0 1 1 89
4회초 선두타자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에게 동점 솔로홈런을 맞은 것을 제외하면 7회까지 단 1점만 내주는 압도적인 투구로 마이애미 타선을 잠재웠고 팀도 테오스카 에르난데스가 혼자서 경기를 이끌며 시즌 3승을 챙겼다. 특히나 데뷔 처음으로 7이닝 무사사구 투구를 펼치며 제구력 역시 출중했다.

3.2.3. 5월 14일: SF전 (원정)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2 5 0 3 1 1 90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6이닝 2K 1실점으로 호투했고, 팀 타선도 자이언츠의 마운드를 상대로 10점을 뽑아내는 넉넉한 득점 지원 덕분에 시즌 4승을 챙겼다. 오늘 6이닝 투구 덕에 규정이닝 진입에도 성공한 스톤은 최근 6경기에서 36이닝 ERA 2.00으로 아주 훌륭한 모습이다.

3.2.4. 5월 21일: AZ전 () [패배]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6 5 8 1 1 4 4 93

3.2.5. 5월 28일: NYM전 (원정) [승리]

  • 경기 전
이제 더 이상 도망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다. 팀 타선이 빈타에 허덕이고 선발 투수진의 잇따른 부진으로 5년만에 5연패 수렁에 빠지며 팀이 DTD 전조증상을 보이기 시작했는데 이 위기를 타개해서라면 스톤의 어깨가 더더욱 무겁다.

한편 5월 27일에 우천으로 취소되며 더블헤더가 열리게 되었는데 1차전에서 팀이 5:2로 승리를 거두며 5연패에서 탈출하면서 부담을 조금은 덜 수 있게 되었다.
  • 경기 결과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7 7 3 0 0 0 0 87
더블헤더 2차전에 선발등판하여 7이닝 동안 안타 단 3개만 맞는 압도적인 투구로 메츠 타선을 잠재우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올시즌 한경기에서 7이닝 7탈삼진 0볼넷을 기록한 13번째 선발 투수가 된 스톤은 ERA를 3.16까지 낮추고 규정이닝 진입에도 성공했다.

3.3. 6월

3.3.1. 6월 2일: COL전 ()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5 6 4 0 2 0 0 75
콜로라도를 상대로 5이닝 75구 6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시즌 ERA를 2.90으로 낮췄다. 지난 28일 메츠전 7이닝 무실점 투구에 이어 2경기 연속 무실점 투구로 경기를 마친 스톤은 4월 26일 이후 7번의 선발 등판에서 ERA 1.64를 기록하며 이 기간 최소 40이닝 이상을 던진 투수들 가운데 3위에 올라있다. 이날 5이닝 75구만에 교체된 이유는 이날이 4일 휴식 등판이었기에 로버츠 감독이 배려 차원에서 일찍 내렸다.

3.3.2. 6월 8일: NYY전 (원정) []

<rowcolor=#FFF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3.4. 7월

3.5. 8월

3.6. 9월

3.7. 정규시즌 성적

<rowcolor=#FFFFFF> 일자 상대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3/3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ND 5 6 7 0 1 3 3
4/7 시카고 컵스 3 5 6 0 3 5 5
4/13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6⅔ 4 5 0 1 2 2
4/20 뉴욕 메츠 ND 3⅓ 1 4 0 5 2 2
4/26 토론토 블루제이스 7 2 2 1 2 1 1
3~4월 전체 - 5G 25이닝 2승 1패 ERA 4.68 18K WHIP 1.44
5/3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ND 6 5 5 1 1 1 1
5/8 마이애미 말린스 7 4 6 1 0 1 1
5/14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6 2 5 0 3 1 1
5/21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6 5 8 1 1 4 4
5/28 뉴욕 메츠 7 7 3 0 0 0 0
5월 전체 - 5G 32이닝 3승 1패 ERA 1.97 23K WHIP 1.00
6/2 콜로라도 로키스 5 6 4 0 2 0 0
6/8 뉴욕 양키스
6월 전체 - 1G 5이닝 1승 0패 ERA 0.00 6K WHIP 1.20
시즌 전체 - 11G 62이닝 6승 2패 ERA 2.90 47K WHIP 1.19

4. 총평

5. 시즌 후

6.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