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16:47:47

강동형

파일:25두산강동형프로필.webp
강동형
Kang Dong-Hyeong
출생 1999년 12월 7일 ([age(1999-12-07)]세)
대전광역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동인초(구리리틀) - 마산중 - 배명고[1] - 경성대
신체 186cm | 86kg
포지션 외야수[2]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22년 2차 7라운드 (전체 69번, 두산)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22~2025)
MBTI ENFJ
가족 아버지 강인권, 남동생 강태경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두산 베어스
2.2.1. 2022 시즌2.2.2. 군 복무2.2.3. 2024 시즌2.2.4. 20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두산 베어스 소속 외야수. 과거 두산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했고, NC 다이노스 감독이었던 강인권의 아들로도 알려져 있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파일:경성대강동형.jpg
경성대학교 시절 강동형
배명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경성대학교로 진학했고, 2021년에는 U-23 야구월드컵에 국가대표로 발탁되는 등 주가를 높였다. 배명고 재학 당시 곽빈과 함께 팀 창단 후 첫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제패(2017년 제72회 대회)에 기여했다.

주전급으로 뛴 대학교 3,4학년 시절 6홈런을 쳤을만큼 파워가 있는 좌타자이다. 대학교 4학년 시절이었던 2021시즌 대학리그 성적은 14경기 62타석 48타수 17안타(2루타 6개, 3루타 3개, 홈런 3개) 11삼진 13사사구 타율 0.354 출루율 0.484 장타율 0.792 OPS 1.276을 기록했다.

2.2. 두산 베어스

2022년 신인드래프트에서 2차 7라운드 전체 69번으로 두산 베어스의 지명을 받았다.

2.2.1. 2022 시즌

등번호는 108번을 받았다.

프로 첫 시즌에는 2군에서 출전하고 있고, 주로 우익수로 교체 출전하고 있다.

올 시즌 1군 콜업은 없었고, 퓨처스리그 성적은 43경기 출전 72타수 12안타(2루타 3개, 3루타 1개) 26삼진 14볼넷 타율 0.167 출루율 0.286 장타율 0.236 OPS 0.522이다. 대학시절 좋은 타격 능력으로 프로에서도 좋은 타격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프로 첫 시즌 성적은 다소 아쉬운 편이다. 그리고 시즌 종료 후 군에 입대했다.

2.2.2. 군 복무

2.2.3. 2024 시즌

시즌 도중 전역해 퓨처스리그에서 23경기 출전 51타수 8안타(2루타 2개) 17삼진 4볼넷 타율 0.157 출루율 0.259 장타율 0.196 OPS 0.455를 기록했다.

2.2.4. 2025 시즌

퓨처스리그에서 51경기 출전 74타수 24안타(2루타 7개) 1홈런 18삼진 14볼넷 타율 0.324 출루율 0.427 장타율 0.459 OPS 0.986를 기록하며 타격 면에서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고 볼삼비도 준수해졌지만 시즌 종료 후인 10월 13일 방출되었다. 팀이 동년에 진행된 2026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외야수를 대거 지명했을 정도로 외야 뎁스가 좋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방출된 것을 보면 더 이상의 기대치가 없다고 판단한 모양. 다만 퓨처스 성적은 준수했기에 외야 뎁스가 약한 팀의 오퍼가 들어올 가능성은 아직 존재한다.[3]

3. 플레이 스타일

수준급 타격 능력을 갖춘 타자로 대학리그에서 2020~21시즌 홈런이 6개인 것을 보면 장타 능력을 어느 정도 갖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교 시절까지는 마른 체형에 리드오프 스타일의 타자였는데, 대학 진학 이후로 파워 히터가 되기 위해 체격을 키웠다. 현재는 퍼올리는 어퍼스윙 + 당겨치기 위주의 좌타 파워히터 스타일이다. 낮은 공을 퍼올려 비거리를 만들거나 바깥쪽 공에는 밀어쳐 안타를 만드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나 어퍼스윙 특성상 높은 공에 약하고 배트 스피드가 다소 느려 몸쪽 빠른공에 대처하기 어려워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어느 정도 몸을 더 완성시켜야 프로 수준에서 통할 수 있는 타자가 될 수 있어 보이는 유형.

수비와 주루는 평범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단순 주력 자체는 평균 이상이고 외야수 중 주로 우익수로 출장했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강동형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22 두산 1군 기록 없음
2023 군 복무
2024 1군 기록 없음
2025
KBO 통산 1군 기록 없음

5. 여담

  • 강인권의 장남으로, 강태경의 형이다. 다만 강태경은 고교 졸업 후 바로 프로에 입단했기 때문에 형보다 프로 경력은 빨리 시작했다. 동생 강태경은 마산중에서 잠신중, 형 강동형은 마산용마고에서 배명고로 전학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강동형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두산 베어스 등번호 108번
신창희
(2020. 9. 18.~2020)
<colbgcolor=#ed1c24><colcolor=#fff> 강동형
(2022)
박민준
(2023)
두산 베어스 등번호 126번
결번 강동형
(2024)
장우진
(2025~)
두산 베어스 등번호 104번
최종인
(2024~2024. 3. 27.)
강동형
(2025)
결번
}}} ||
[1] 마산용마고에서 전학[2] 주 포지션은 우익수[3] 두산 베어스 관계자 피셜 특정 툴이 특출났다면 25시즌에 1군 콜업이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한다. 1군 외야 상황도 그다지 좋지 않았기에 하나의 툴에서라도 두각을 더 빨리 드러냈다면 1군에서도 볼 수 있었던 셈. 즉 나이도 적지 않고 한 부분에서라도 특출난 것이 아닌 전반적인 툴이 크지 않은 육각형 선수라 두산에서 방출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방출 시점에서 25세라 선수로서는 한창 때의 나이고 병역도 해결된만큼 타 팀 입단 가능성이 아주 없지는 않은 상황이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