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 도농~양정 중간역 946정거장 | ||
| | ||
| 945정거장 ← 2.1 ㎞ | 9호선 (946) 급행 설계 중 | 947정거장 4.7 ㎞ → |
| ← -.- ㎞ | 경의·중앙선 계획 중 | -.- ㎞ → |
| 구 리 ← ㎞ | GTX-E 계획 중 | 덕 소 ㎞ → |
| 주소 | ||
| 경기도 남양주시 일패동 418-16 일대 | ||
| 관리역 등급 | ||
| 미정 | ||
| 운영 기관 | ||
| 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 |
| 강동 하남남양주선 | 미정 | |
| 개업일 | ||
| 중앙선 | 2028년 예정 | |
| 경의·중앙선 | ||
| 강동 하남남양주선 | 2031년 예정 | |
| 9호선 | ||
| GTX-E | 2035년 예정 | |
| 역사 구조 | ||
| 미정 | ||
| 승강장 구조 | ||
| 미정 | ||
| 철도거리표 | ||
| 청량리 방면 ← -.- ㎞ | 추가 예정역 (미개통) | 모량 방면 -.- ㎞ → |
| 942정거장 방면 ← 2.1 ㎞ | 946정거장 (미개통) | 950정거장 방면 4.7 ㎞ → |
1. 개요
강동하남남양주선의 계획에서 왕숙신도시 2지구에 위치할 예정인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강동하남남양주선)(946번)의 환승 역사로 계획되어 있는 역이다. 가칭은 일패역.2. 역 정보
9호선의 경우 급행열차만 운행할 예정이다.[2]3. 역 주변 정보
4. 승강장
4.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도농 | |||||
| 2 | ㅣ | ㅣ | 1 | ||
| 양정 ↓ | |||||
| 1 | | 팔당·양평·용문·지평 방면 |
| 2 | 구리·회기·용산·문산 방면 |
4.2. 수도권 전철 9호선(강동하남남양주선)
| 945정거장 ↑ | |||
| 상 | ㅣ | ㅣ | 하 |
| ↓ 947정거장 | |||
| 상 | | 급행 | 950정거장 방면 |
| 하 | 김포공항 방면 |
5. 기타
- 현재 착공 준비 중인 9호선 강동하남남양주선이 2031년 개통하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첫 9호선 환승역이 되며, 용문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의 마지막 환승역이 된다.[3] 그리고 경의·중앙선은 이 역에서 9호선과 환승함으로써 2, 3, 5호선에 이어 모든 숫자 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지는 노선이 된다.
6.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화 - 공항시장 - 신방화 - 양천향교 - 가양 - 증미 - 등촌 - 염창 - 신목동 - 선유도 - 국회의사당 - 노들 - 흑석 - 구반포 - 신반포 - 사평 - 언주 - 삼성중앙 - 봉은사 - 삼전 - 석촌고분 - 송파나루 - 한성백제 - 둔촌오륜 - | }}} ※ 빨간색 볼드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7c4a3> 경의선 | 도라산 - 임진강 - 운천 - 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수색 - 가좌 - 신촌 - |
| 용산선 | 서강대 - | |
| 경원선 | 서빙고 - 한남 - 응봉 - | |
| 중앙선 | 양원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