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9:21:59

간단요리사


간단요리사
파일:간단요리사 BI(NEW).jpg
<colbgcolor=red><colcolor=#ffffff> 정식 명칭 간단요리사
창업주 정재원
대표이사 정연호
제조원 (주)정식품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1. 개요2. 제품
2.1. 콩국물2.2. 담백한 채소육수2.3. 시원한 채소육수2.4. 구수한 사골육수
3. 마케팅
3.1. 이벤트3.2. 방송 노출3.3. 역대 CF

1. 개요

두유 브랜드인 베지밀로 시작한 정식품에서 나온 식재료 브랜드.
쉽고 간편하게 요리의 기본기를 만들 수 있는 콩국물, 다양한 육수를 출시하고 있다.

2. 제품

간단요리사의 제품들은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리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

2.1. 콩국물

파일:진한콩국물.jpg 파일:진한콩국물 검은콩.jpg
진한 콩국물 진한콩국물 검은콩

콩을 그대로 갈아 만든 제품으로, 진한콩국물, 검은콩을 사용한 진한콩국물 검은콩이 있다. 콩국수[1], 삼계탕, 비지찌개 등에 사용 가능하다. 멸균팩으로 되어있어 보관기간이 긴 편이다.[2]

2.2. 담백한 채소육수

파일:담백한 채소육수.jpg
담백한 채소육수

국산 대파, 양파, 무, 마늘 등 4가지 채소를 우려내어 깔끔하고 담백한 맛을 제공하고 있다. 코인육수처럼 녹이지 않아도 되어서 더욱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만둣국, 미역국, 마녀스프[3], 소고기장국[4], 하버드 스프[5] 등으로 활용 가능하며, 특히 샤브샤브같은 보충용 육수로 더욱 활용도가 좋은 편. 국내산 채소들만 들어가서 그런지 이유식 만들 때에도 많이 사용하는 편.

2.3. 시원한 채소육수

파일:시원한 채소육수.jpg
시원한 채소육수

동치미 맛이 나는 냉육수이다. 제주산 겨울무, 국산 대파, 마늘 등의 채소로 맛을 내어 깔끔한 맛이 특징적. 냉면, 묵사발, 물회, 김치말이국수[6]로 활용이 가능하며, 해장용으로도 좋다. 950ml로 용량이 큰 편인데, 사회가 정한 1인분에 구애받지 않고 양조절이 가능하다. 실온보관이 가능한 제품인데, 먹기 전에 냉동실에 살짝 얼려 먹으면 더욱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면 육수에서는 MSG 맛이 많이 나는데 채소육수라서 그런지 깔끔하고 새콤한 맛이다.

2.4. 구수한 사골육수

파일:구수한 사골육수.jpg
구수한 사골육수

사골을 24시간 고아내어 구수하고 깊은 맛을 지닌 육수로, 찌개나 전골 요리에 활용 가능하다.

3. 마케팅

공식 브랜드페이지[7] 및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제품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브랜드 광고와 다양한 캠페인 활동 통해 소비자와 소통하고 있다.

3.1. 이벤트

간단요리사는 소비자들이 브랜드와 관련된 즐거운 추억을 쌓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다양한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SNS 이벤트 외에도 대회/캠페인을 주로 진행하는 편.


* 2023 간단요리사 어린이 동시 그림 대회
파일:간단요리사 대회.png

2023년 8월 말부터 9월 중순까지 유치원부문/초등학교 저학년부문/초등학교 고학년부문으로 나누어진 간단요리사 어린이 동시 그림대회#를 열었다. 어린이들이 제철 재료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기여하고 창의성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최한 대회다.
'제철 재료 먹고 쑥쑥! 제철 동시 그림 쓱쓱!'이라는 부제에 걸맞게 월별 제철 재료 12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동시와 그림을 그리는 것이 참가 방법이다.
정식품의 50주년 창립기념일인 2023년 10월 24일 결과가 발표되었고 대상인 '간단요리상'으로는 토마토전구(유치부), 대파 달리기(초등 저학년), 봄편지(초등 고학년)#이 선정되었다. 브랜드에서 처음으로 개최한 대회이지만 1,500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참여했다는 놀라운 기록이 남아있다.[8]


* 2024 간단요리사 레시피 콘테스트 <전국 요리 자랑>
파일:간단요리사 전국요리자랑.png

2024년 5월 말부터 7월 초순까지 우리동네 쩝쩝박사 모여라! 간단요리사 전국 요리 자랑이 열렸다. 간단요리사’를 쉽고 맛있게 즐길 수 있는 레시피를 짧은 영상으로 제작해 응모하는 숏폼 레시피 콘테스트다. 요리 및 숏폼 분야 전문가 3인의 심사를 통해 간단요리상(1명), 최우수상(1명), 우수상(2명), 인기상(5명) 등 총 9명이 수상자로 선정 되었다.
대상인 간단요리상은 어릴 적 어머니가 종종 만들어 주셨던 어묵국수를 ‘간단요리사 담백한 채소육수’로 재해석한 ‘양파 어묵국수#’가 선정됐다.


* 2025 천만요리사, 간단요리사
파일:간단요리사 굿즈.jpg 파일:간단요리사 천만요리사.png

2025년 1월부터 200만의 식사를 책임진 간단요리사 담백한 채소육수, 천만요리사, 간단요리사라는 명칭으로 이벤트를 진행했다.

200만의 식사를 책임진 간단요리사 담백한 채소육수는 지금까지의 판매량을 바탕으로 한 기념 이벤트이다. 간단요리사 담백한 채소육수는 2022년 출시 이후 2025년 1월까지 총 70만개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1팩당 3~4인분의 요리가 가능한 점을 고려해 인분 수로 환산하면 약 200만 인분에 달한다. 200만의 식사 캠페인을 기념하여 간단요리사 구매시 한정판 라벨 스티커를 증정하고 있다. 굿즈인 라벨링 스티커는 인스타그램에서 유명한 일러스트레이터 '마치 봄블리#'와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라벨링 스티커는 식재료 이름, 보관일자/소비기한을 적어 반찬통에 붙이는 방식으로 일상 속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9]

천만요리사, 간단요리사는 브랜드 제품 1,000만 개 판매 돌파를 기념하여 100% 당첨 스크래치 쿠폰 이벤트를 진행했다. 이번 이벤트는 정식품 공식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와 쿠팡 등에서 ‘간단요리사’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1만명을 대상으로 한다. 제품 주문 1건 당 스크래치 쿠폰 1매를 증정하며 당첨자는 삼성 비스포크 큐커(1명), 간단요리사 체험팩(300명), 네이버페이 기프티콘(500명) 등 푸짐한 경품을 지급했다.
간단요리사 담백한 채소육수
젼언니 <하버드 수프>
<nopad>
같은 기간 유튜브 '젼언니' 채널에서 담백한 채소육수를 활용한 하버드 수프 레시피를 보여주기도 했다.

3.2. 방송 노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간단요리사를 활용한 레시피를 선보이고 있다. 실제로 편스토랑에서 나온 <콩깨면>, <새송이회국수>는 크리에이티브한 음식으로 온라인상 화제가 되기도 했다.

간단요리사 진한 콩국물
KBS2 편스토랑 류수영편 <콩깨면>
<nopad>

간단요리사 진한 콩국물
MBC 푹쉬면 다행이야 안정환편 <콩국수>
<nopad> [navertv(56433211)]

간단요리사 시원한 채소육수
KBS2 편스토랑 이찬원편 <새송이회국수>
<nopad>

간단요리사 담백한 채소육수
MBC 안싸우면 다행이야 이대호편 <청게해물탕>
<nopad> [navertv(40425056)]

간단요리사 담백한 채소육수
SBS 동상이몽2 조우종/정다은편 <밀푀유나베>
<nopad> [navertv(55714799)]

간단요리사 담백한 채소육수
MBC 푹쉬면 다행이야 정호영 셰프편 <족타 튀김 우동>
<nopad> [navertv(60303644)]

3.3. 역대 CF

간단요리사
2022~2023년 박솔미
<nopad>

간단요리사
2024년 ~ 조우종&정다은 부부
<nopad>

[1] 김대석 셰프TV에서 콩국수, 타락죽을 소개한 적이 있음 유튜브[2] 뚜껑을 열기 전까지는 실온에 보관할 수 있어 구매시 부담이 적은 편이다. 물론 개봉 후에는 냉장보관하라는 안내가 있다.[3] 유튜버 '나니까' 채널 '한달에 10kg씩 쫙쫙 미친 다이어트'라는 영상에서 마녀수프 재료로 소개한 적 있다.유튜브[4] 1분요리 뚝딱이형이 소개한 적이 있다.유튜브[5] 양파, 단호박, 당근, 양배추 등의 재료를 넣고 육수를 부어 만드는 스프이다. 토마토가 빠진 마녀스프 같기도 함. 젼언니 채널과 콜라보하여 만든 영상이 있다.유튜브[6] 유튜버 감자매 브이로그에서 살얼음 쌱~ 얼린 시원한 채소육수로 열무김치말이 국수를 만들어 먹음. 유튜브[7] 제품 활용 레시피를 소개하는 페이지다. 링크[8] 결과 발표날에는 간단요리사 브랜드 페이지가 먹통이 될 정도로 큰 관심을 얻었다는 후문.[9] 유치원 등원 준비물에 아이 이름을 적어주기에도 요긴하게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