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
<nopad> | ||||
포뮬러 2 | → | 2025 시즌 | → | 현재 |
2025 시즌 순위 (5R) 현재 20위 |
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 2025 시즌 | |
| |
<colbgcolor=#6ce53b><colcolor=#000> 소속 팀 | <colbgcolor=#fff,#191919>스테이크 F1 팀 킥 자우버 |
경과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종료 기준) | |
우승 | 0회 |
폴 포지션 | 0회 |
패스티스트 랩 | 0회 |
포디움 | 0회 |
그랜드 슬램[1] | 0회 |
해트트릭[2] | 0회 |
폴 투 윈 | 0회 |
총점 | 0점 |
평균 스타팅 그리드[3] | 17.8위 |
평균 완주 순위[4] | 17.25위 |
1. 개요2. 프리 시즌3. 시즌 상세
3.1. 전반기
4. 시즌 총평3.1.1. 1R: 호주 그랑프리3.1.2. 2R: 중국 그랑프리3.1.3. 3R: 일본 그랑프리3.1.4. 4R: 바레인 그랑프리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3.1.8. 8R: 모나코 그랑프리3.1.9. 9R: 스페인 그랑프리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3.1.12. 12R: 영국 그랑프리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1. 개요
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의 F1 2025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보르툴레투의 F1 데뷔 시즌이자 자우버 소속으로 참가하는 1번째 시즌이다.2. 프리 시즌
지난 시즌 F2에서 챔피언을 달성하고, 이번 시즌 F1으로 올라와 자우버 소속으로 데뷔하게 된다. 데뷔 첫 팀메이트로는 니코 휠켄베르크를 두게 된다.3. 시즌 상세
3.1. 전반기
3.1.1. 1R: 호주 그랑프리
F1 데뷔전부터 자우버를 타고 Q2에 진출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F3-F2 로열 로더의 품격을 보여줌과 동시에 자신을 B급이라고 저평가했던 헬무트 마르코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었다. Q2에서는 15위로 탈락했지만 트랙을 벗어나기 직전의 레이스 카를 카운터를 치며 살려내는 모습도 보여주었다.레이스에서는 후반에 비가 다시 내리는 와중 13번 코너에서 스핀하며 우측 후방 서스펜션이 어딘가에 부딪치지도 않고 부러져버리며 리타이어를 하게되었다.[5]
3.1.2. 2R: 중국 그랑프리
스프린트에서는 P18으로 노 포인트 피니시했다.레이스에서는 첫 랩부터 스핀하여 그래블에 빠지면서 시작부터 최하위권으로 밀려났고, 그나마 팀메이트 니코 휠켄베르크보다 높은 순위인 P14[6]를 기록하였다.
3.1.3. 3R: 일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팀메이트인 니코 휠켄베르크에 1순위 밀린 P17을 기록해 Q1에서 탈락했다. 레이스에서도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오히려 2계단 밀려 P19로 완주하였다.3.1.4. 4R: 바레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딱히 인상적인 랩 타임을 기록하지 못하고 18위로 Q1 탈락을 하였다. 레이스에서도 완주한 드라이버 중 최하위인 18위를 기록하였다.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레이스 카 연료 누출 문제로 인해 FP2에 참여하지 못했다. 다음 날 퀄리파잉에서는 Q1 마지막 트라이에서 2번 코너에서 스핀하여 랩 타임 경신에 실패하고 20위를 하였다.레이스에서는 배틀 과정에서 다소 미숙한 모습들을 보여주었는데, 핏 스트레이트에서 리암 로슨과의 휠투휠 배틀 이후 추월을 내준 뒤 뒤따르는 페르난도 알론소를 보지 못하고 바깥쪽으로 확 들어오는 바람에 사고를 낼 뻔하였다. 다행히 알론소가 잘 피한 덕에 사고 없이 레이스를 이어갔고, 완주자 중 최하위인 18위로 레이스를 마감했다. 레이스 종료 후 알론소는 인터뷰에서 유럽으로 돌아가는 비행기에서 저녁밥을 주지 않을 거라며 농담하기도 하였다.[7]
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
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3.1.8. 8R: 모나코 그랑프리
3.1.9. 9R: 스페인 그랑프리
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
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1.12. 12R: 영국 그랑프리
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
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
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
3.2.1. 15R: 네덜란드 그랑프리
3.2.2. 16R: 이탈리아 그랑프리
3.2.3. 17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3.2.4.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3.2.5. 19R: 미국 그랑프리
3.2.6. 20R: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3.2.7. 21R: 상파울루 그랑프리
3.2.8. 22R: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3.2.9. 23R: 카타르 그랑프리
3.2.10. 24R: 아부다비 그랑프리
4. 시즌 총평
[1]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티스트 랩 달성, 레이스 진행 중 모든 랩에서 선두[2]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트스트 랩 달성[3] 피트레인 스타트 제외[4] 리타이어 경기 제외[5] 서스펜션 파손만 없었다면 피트로 진입을 생각해 볼 수 있던 상황이었다.[6] 리타이어 1명, 실격 3명이 발생하면서 14위가 뒤에서 세 번째 순위가 되었다.[7] 알론소가 보르툴레투의 유망주 시절부터 도움을 준 매니저이기에 농담을 주고받은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