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2:31:38

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

1. 개요2. 포지션3. 장점4. 단점5. 총평

1. 개요

축구선수 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의 플레이 스타일을 서술한 문서.

2. 포지션

유망주 시절에는 침투와 마무리 능력을 앞세운 최전방 공격수로 뛰었으나, 아스날 이적 후 왼쪽 윙어와 최전방 공격수를 겸업하기 시작했고, 21-22 시즌에는 왼쪽 윙어로 완전히 자리잡았다.

3. 장점

여타 테크니션 유형의 브라질 윙어들과는 다르게 빠른 스피드를 살리는 직선적인 드리블을 무기로 삼는다. 볼 터치와 테크닉이 아주 유려하진 않지만, 볼을 발에 붙이는 기본기는 문제가 없다. 특히 잔발이나 간단한 개인기를 통해 상대의 자세를 무너뜨려 틈을 만든 뒤 그 타이밍에 치고 달리면서 가속력을 살리는 드리블이 위력적이다. 또한 비슷한 클래스 선수들에 비해 기술적인 드리블이나 능력은 떨어진다고 평가받지만, 엔드 라인에서 예측 불허한 타이밍에 가속 및 터닝 동작을 시도하거나 넛멕으로 상대를 뚫어내는 등 상당히 도전적이면서도 동물적인 플레이를 통해 변수 창출을 하는 모습을 심심찮게 보인다. 되든 안되든 공격의 다음 단계를 결정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며, 실패해도 위축되지 않고 과감하게 다시 시도하는 저돌성이 돋보인다. 이러한 저돌적인 면모는 아스날에서 활약했던 알렉시스 산체스를 떠올리게 한다.

또 다른 장점은 공격수 출신답게 오프 더 볼 무브먼트가 대단히 좋다. 뒷공간을 파고드는 라인 브레이킹은 물론, 박스 안에서의 움직임, 동료와 연계하는 과정에서 측면과 하프 스페이스에서의 움직임 등 수비수를 곤란하게 할 수 있는 무브먼트를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오른발 킥과 슈팅 능력도 좋은 편이며, 성장하는 과정에서 슈팅 외에도 크로스를 하는 상황이나 세트피스에서도 이러한 킥력을 활용할 수 있을 만큼 성장했다. 오른발 뿐만 아니라 왼발 컷백이나 슈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도 준수한 정확도를 보여줄 정도로 약발을 문제없이 다루는 것 역시 장점.

이외에도 마르티넬리는 활발한 전방 압박과 수비에 가담하는 움직임을 갖추고 있다. 공격하는 상황에서도 마르티넬리는 공을 잡았을 때 동적인 플레이가 많고, 오프 더 볼 상황에서도 끊임없이 뒷공간으로 움직이거나 내려와서 볼을 받아주면서 수비수를 괴롭히는 유형인데, 수비 상황에서도 수비 시 적극적인 압박과 수비가담을 해주면서 풀백의 부담을 줄여줄 정도로 현대축구에 걸맞은 마인드셋과 체력을 갖춘 선수이다. 이러한 성실한 움직임을 보여주는데도 체력적인 이슈나 부상이 거의 없는 철강왕이라는 점도 마르티넬리의 장점 중 하나다.[1]

4. 단점

다만 단점으로 대부분의 플레이들이 본인의 운동 능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달리 말하면 본인의 컨디션이 완전하지 않거나 체력이 떨어지면 서술된 장점들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그로 인해 기복이 심한 편이다. 특히 체력적으로 부침이 왔을 때 눈에 띄게 드리블 패턴이 단조로워지고 경기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며,[2] 기술적인 역량이 특출난 수준은 아니고 시야가 넓지 않아서 드리블이 풀리지 않을 때에 여러 가지 패턴을 통해 경기를 풀어나가는 데에는 어려움을 보인다.

또한 윙어임에도 불구하고 드리블 패턴이 운동능력을 기반으로 한 박스 침투에 국한되는 단조로운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사이드라인 돌파에 있어서도 심한 기복을 보인다.[3] 이렇기에 이 선수가 커리어 초반 윙어와 스트라이커의 경계선에서 애매하게 줄타기를 한 것. 특히 돌파 시에 주변을 보지 않고 땅을 보며 우직하게 돌파를 하는 유형이라 경기력의 낙폭이 정말 심한 선수다.

22-23 시즌 특히 전반기에 연계와 왼쪽 측면에서의 스위칭에 뛰어난 모습을 보인 가브리에우 제주스와 호흡을 맞출 때에는 연계와 간결한 플레이에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보였지만, 제주스가 부상으로 신음하고 23-24 시즌에는 아예 주전 경쟁에서 밀리자 마르티넬리의 퍼포먼스도 크게 떨어졌다. 23-24 시즌에는 좌측 빌드업을 도와주던 자카와 진첸코가 각각 이적, 부상으로 이탈한 후부터는 존재감이 아예 사라졌다.

그리고 공격수임에도 골 결정력이 떨어지고 슈팅 스킬이 떨어진다는 큰 약점이 있다. 슛의 파워 자체는 강해서 한때 아스날의 세트피스 전담 키커를 맡았지만, 문제는 파워만 좋고 정확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소위 말하는 감아차기, 깔아차기 등 고도의 테크닉과 정확도가 요구되는 슈팅들의 성공률은 매우 낮다. 이렇듯 슈팅 스킬이 떨어지다 보니 대부분의 슈팅들은 크게 골대에서 벗어나거나 정직하게 골키퍼 정면으로 가는데, 이로 인해 골 결정력이 심각하게 떨어진다. 윙어에게 압도적인 골 결정력이 요구되는건 아니지만, 마르티넬리는 윙어가 적어도 가져야할 위협적인 슈팅 스킬과 같은 중요한 무기가 없다는 게 문제다. 즉, 역발 윙어로 배치되었을 때의 이점이 슈팅 스킬의 부족함 때문에 상당히 반감된다. 게다가 앞서 말한 단조로운 공격 패턴과 맞물려서, 치달 후 약발 크로스라는, 역발 윙어가 2번째 공격 옵션으로 가져야할 옵션을 마르티넬리는 주 옵션으로 사용하는 이상한 상황으로까지 발전했다.[4]

5. 총평

성실한 압박과 수비가담, 빠른 스피드를 이용한 돌파를 주무기로 삼는 윙어지만, 그 외의 툴이 부족해 가진 장점을 잘 살리지 못하는 선수다. 아직 어리기에 발전 가능성도 있으나 현재까지는 완벽한 팀원들의 조력 없이는 윙어로서의 기량이 빅클럽 주전감으로는 아쉬운 선수이다.


[1] 2019-20 시즌 반월판 수술을 제외하면 부상이 거의 없었다.[2] 상정 외의 체력적인 부담이 심한 국가대항전이 열리는 해에 차출되고 돌아온 후에는 한동안 쓰지 못하는 수준까지 경기력이 저하되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 다른 선수들도 차출 되어 뛰고 온 것은 매한가지지만 유독 마르티넬리는 차출 후 기량저하의 후폭풍이 심한 편. 그래봐야 표본이 아직 2022 카타르 월드컵 한번 뿐이었기 때문에 이는 앞으로 지켜 볼 여지가 있다.[3] 긁히는 날엔 이러한 운동능력으로 상대 풀백을 완전히 찢어버리지만, 좋지 않은 날엔 1:1 대인수비상황, 심지어 마킹 없이 자유로운 상황에서도 좋지 않은 판단력을 보인다.[4] 헤드업을 하지 않는, 단조로운 드리블 패턴 -> 컷인 타이밍을 놓침 -> 결국 엔드라인까지 드리블 -> 약발 크로스. 즉 마르티넬리는 본인 스스로 공격 옵션을 줄여나가고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