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9:06:24

가면라이더 스토리우스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HugeCuriousCuteDirt|토론]]을 통해 진 최종 보스로 서술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https://namu.wiki/thread/HugeCuriousCuteDirt|토론]] - 진 최종 보스로 서술한다'''
----
'''[[https://namu.wiki/thread/NappySulkyChunkyLawyer|토론]] - '그리무아르'로 서술한다'''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파일:Saber_Logo.png
가면라이더 세이버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본편
파일:가면라이더 세이버 로고.png
세이버

크로스 세이버
파일:kamen rider blades logo.png
블레이즈
파일:kamen rider espada logo.png
에스파다
파일:kamen rider buster logo.png
버스터
파일:kamen rider kenzan logo.png
켄잔
파일:kamen rider slash logo.png
슬래시
파일:kamen rider kalibur logo.png
칼리버
파일:kamen rider saikou logo.png
사이코

사이코 섀도우
파일:kamen rider sabela logo.png
사벨라
파일:kamen rider durandal logo.png
듀랜달
{{{#!wiki style="margin:-16px -11px" 파일:kamen rider falchion logo.png
팔시온
파일:솔로몬 로고.png
솔로몬
파일:스토리우스로고.png
스토리우스
}}}
파이널 스테이지
태슬
아웃사이더즈
파일:desast_logo.png
데자스트
← 제로원 라이더 목록리바이스 라이더 목록 →
}}}}}}}}} ||

레이와 라이더 시리즈의 최종 보스
(스포일러 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ffd700"
레이와 1기
<colbgcolor=black> 가면라이더 제로원 <colbgcolor=white,#191919> 호로비
가면라이더 호로비
가면라이더 세이버 <colbgcolor=white,#191919> 스토리우스
가면라이더 스토리우스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기프
&
죠지 카리자키
가면라이더 쥬우가
가면라이더 기츠 스에루
가면라이더 리가드 Ω
가면라이더 갓챠드 글리온
가면라이더 엘드
가면라이더 가브
가면라이더 젯츠
←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 최종 보스 }}}}}}}}}
<colbgcolor=#333333><colcolor=#e32e40> 가면라이더 스토리우스
仮面ライダーストリウス
KAMEN RIDER STORIOUS[1]
<white,#191919> 파일:kamen_rider_storius_by_kamenriderfan09_den0duh-pre.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기본 스펙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333333><colcolor=#e32e40> 장착자 스토리우스
변신기 둠스 드라이버 버클
신장 214.1cm
무게 144.9kg
펀치력 68t
킥력 116.8t
도약력 한 번에 120.8m
주력 100m 0.4초
주요 아이템 원더 라이드 북
주무장 빌가메트
슈트 액터 코모리 타쿠마 }}}}}}}}}

1. 개요2. 그리무아르(그리모어)3. 신체 부위
3.1. 스토리우스 헤드 그리무아르
4. 기타5. 관련 틀

1. 개요

<colcolor=#e32e40><nopad> 파일:스토리우스3.png
物語の結末は... 私が決めます!
이야기의 결말은... 제가 정합니다!

가면라이더 세이버다크 라이더이자 진 최종 보스.

2. 그리무아르(그리모어)

<colbgcolor=#333333><colcolor=#e32e40><bgcolor=white,#191919> 파일:Grimoirestand.png
신장 214.1cm
무게 144.9kg
펀치력 68t
킥력 116.8t
도약력 한 번에 120.8m
주력 100m 0.4초
첫 등장 펼쳐지는, 최후의 페이지.
(가면라이더 세이버 에피소드 44)
아이캐치 설명 문구 [ 펼치기 · 접기 ]
>
When the holy sword and the book intersect Rewrite the world.[2]
- 44화 아이캐치 설명 문구 1.

{{{#!wiki style="margin:1em calc(2em + 25px) 1em 1em"
Open the Grimoire. The end of the story!
Kamen rider Strius!
- 44화 아이캐치 설명 문구 2.}}}
{{{#!wiki style="margin:1em calc(2em + 25px) 1em 1em"
Open the story of the end.
- 45화 아이캐치 설명 문구.}}}
{{{#!wiki style="margin:1em calc(2em + 25px) 1em 1em"
Delete this world, stories and all of I know.[3]
- 46화 아이캐치 설명 문구. }}}
{{{#!wiki style="margin:1em calc(2em + 25px) 1em 1em"
The force will delete all stories you believe.[4]
- 최종화 아이캐치 설명 문구.}}}
둠스 드라이버 버클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을 장전하고 둠스 라이드를 조작하여 변신한 스토리우스의 기본 폼.

변신시 스토리우스의 등 뒤에서 3쌍의 검은 날개가 펼쳐지고 바닥에는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에 그려진 나무 형태의 그림자가 생겨나며 그 가운데에 그리무아르 바이저 형태의 문장이 새겨진 뒤 검은 액체가 뿜어져나온다. 이후 액체 형태의 그림자가 모여들어 슈트를 붉은 오라에 감싸인 상태로 형성하고, 날개가 몸을 감쌌다가 펼쳐짐과 동시에 오라가 걷힌다. 마지막으로 날개가 옵스큐어 망토로 변화하며 변신을 완료한다.

무기로는 괴인태때 썼던 검인 빌가메트[5]를 그대로 사용한다. 42화에서 맨몸으로 칼라드볼그를 사용한 것을 보면 칼라드볼그를 비롯한 솔로몬의 능력 역시 그대로 쓸 수 있을 듯.
  • 변신음
    OPEN THE GRIMOIRE. THE END OF THE STORY!
    KAMEN RIDER STORIOUS![6][7]
  • 특수능력
    - 목차록 : 복안 부분이 목차록을 그대로 사용해 만들어져서, 세상의 모든 것을 파악하고 진리를 꿰뚫어 볼 수 있다.
    - 완전에 가까운 전지전능 : 완전에 한없이 가까운 전지전능의 서의 힘으로 온갖 현상을 일으킨다. 창조와 파괴는 물론이고, 이야기와 성검의 힘을 바탕으로 온갖 초현실적 현상을 일으킨다.
  • 특수기
    - 오픈 더 스토리 오브 디스페어[8] : 극중 미사용. 둠스 라이드를 한 번 눌러 발동한다.
    - 오픈 더 스토리 오브 디 엔드[9] : 둠스 라이드를 두 번 눌러 발동하는 특수기. 부활시킨 현신을 소환하거나 거대한 탑을 생성시켜 원더 월드의 침식을 가속화시킨다.
  • 필살기[10]
    - 더 스토리 오브 디스페어[11] :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을 덮고 둠스 라이드를 한 번 조작하여 발동하는 필살기.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사용해 빌가메트로 강력한 전격을 뿜어냈다. 가면라이더 세이버 얼티밋 바하무트의 옛날의 신수 일책베기와 함께 아스모데우스를 완전히 쓰러뜨렸다.
    - 얼티밋 디스페어[12] : 극중 미사용.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을 덮고 둠스 라이드를 두 번 조작하여 발동하는 필살기.
    - 디 엔드 오브 더 월드[13] :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을 덮고 둠스 라이드를 세 번 조작하여 발동하는 필살기. 한창 진행 중인 세계의 침식을 더욱 가속시킨다.

3. 신체 부위

파일:STORIOUS stand_map.png
  • 01. 스토리우스 헤드 그리무아르 : 가면라이더 스토리우스 그리무아르의 두부.
  • 02. 스토리우스 큐이라스 : 흉부 외장.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에 내포된 원더 라이드 북이나 얼터 라이드 북의 힘을 연결시키는 구축회로 역할을 맡고 있어 장갑이나 무구를 통해 거대한 현상을 일으킨다. 각기 다른 전승의 힘을 복잡하게 조합해 예측불능의 사상을 광범위하게 일으킬 수도 있다.
  • 03. 페노메 간트・누아르 : 손 장갑. 진홍의 장갑「그리무아 스케일」에 축적된 수많은 전승의 힘을 제어하는 역할을 맡아 그것들을 옥염의 폭발이나 공간 단절 등의 현상으로 전개할 수 있다.
  • 04. 그리무아 스케일 : 전신각부에 배치된 진홍의 장갑.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에 내포된 수많은 전승의 힘을 축적할 수 있다. 각기 다른 전승을 깃들이기 위해 고유의 특성은 없지만, 전투에서 버틸 정도의 강도는 갖추고 있다.
  • 05. 페노메 글랜더・누아르 : 발 장갑. 진홍의 장갑 「그리무아 스케일」에 축적된 수많은 전승의 힘을 제어하는 역할을 맡아 기류 조작에 의한 체공이나 초고위험 지역 전개 등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 06. 그리무아르 로브 : 스토리우스 그리무아르의 변신자가 두르는 갑주. 메기도의 강인한 생명력을 양분으로 전지전능과 같은 힘을 준다.
  • 07. 라이도미넌트 암: 팔 부분. 사고에 반응하는 특수한 연성강이 주재료인 외장을 통해 각부의 동작을 강화・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변신자는 강하게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신체능력을 한참 뛰어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 08. 둠스 드라이버 버클 : 가면라이더 스토리우스 변신에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의 힘을 끌어내 전지전능과 같은 힘을 변신자에게 준다.
  • 09. 커튼 도일 : 장갑. 왼다리를 감싸듯 전개된, 어둠의 속성을 가진 외부는 온갖 공격을 칠흑의 어둠에 흡수시키고, 빛의 속성을 가진 내부로 변신자의 힘을 항상 활성화시킨다.
  • 10. 라이도미넌트 레그: 다리 부분. 사고에 반응하는 특수한 연성강이 주재료인 외장을 통해 각부의 동작을 강화・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변신자는 강하게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신체능력을 한참 뛰어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 11. 옵스큐어 망토: 망토. 각기 다른 두 세계의 틈에서 생겨난 불안정한 물질로 짜여 있으며, 그 특성을 이용해 적의 공격을 다른 세계로 흘려보내서 무효화할 수 있다.[14]

3.1. 스토리우스 헤드 그리무아르

파일:STORIOUS face_map.png
  • 01. 데마이즈 오너멘트 : 조작기.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의 힘에 의해 이야기로 분류되는 메기도뿐만 아니라 신수 등 모든 것을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다.
  • 02. 그리무아르 바이저 : 복안. 전지전능의 서의 목차록이 직접 바이저가 되어 이 세계의 진리를 꿰뚫어보고 시각 정보로서 포착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정보를 수시로 열람할 수도 있다.[15]
  • 03. 내러티브 트리 : 스토리우스의 지식의 근원. 수많은 이야기 중 현 상황에 알맞은 이야기를 선택해 규범으로 삼는다. 또한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에 의해 전신의 진홍의 장갑「그리무아 스케일」에도 같은 강화가 행해져 강도가 대폭 상승했다.

4. 기타

  • 가면라이더라고 자칭하지만 성검에 선택받은 존재가 아님과 동시에 변신자인 스토리우스가 괴인이기 때문인지 가면라이더 솔로몬에게도 있는 소드 크라운이 존재하지 않는다. 역대 가면라이더 중 그 본질이 괴인에 가장 가까운 라이더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16] 그 특성 때문인지 세이버의 모든 라이더 중 유일하게 아머형이 아닌 생물형 라이더로 취급된다. 또한 그와 동시에 레이와에서 최초로 등장한 생물형 라이더이기도 하다.
  • 그리무아르는 마도서, 즉 마법에 대한 지식이 담겨있는 책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뒤랑달 못지않게 한글 표기가 통일되지 않아 그리무아르, 그리모어, 그리모와르 등 다양한 표기가 있다.[20]
  • 변신에 사용하는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은 스토리우스가 시작의 5인이 각각 소유하고 있던 책[21]과 수많은 원더 라이드 북 및 얼터 라이드 북[22], 그리고 스토리우스가 만든 세계를 잇는 무녀의 복제품과 자신을 카리브디스에게 집어삼키게 해서 만들었다. 사실상 전지전능의 서를 스토리우스의 입맛에 맞게 복원한 셈이다. 다만 전지전능의 서 그 자체는 아니고, 작중에서는 '전지전능의 서에 필적하는 힘'이라고 언급된다.
  •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은 옴니 포스 원더 라이드 북과 같은 구조이지만 이야기 장르의 메기도의 문양이 덮어씌운 듯 그려진 표지를 시작으로 각 페이지가 얼터 라이드 북처럼 변질되어 있다. 또한 변질되었다는 설정에 걸맞게, 스토리우스의 변신음은 불협화음과 섬뜩한 기성, 알아듣기 힘들게 뭉개지거나 변조된 목소리로 구성되어 있다. 변신 대기음도 기괴한 불협화음으로 구성되어있다.
옴니 포스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
원더 라이드 북 옴니 포스 그리무아르
공통 사항[23] 일부분이 찢어진 상태 찢어져있던 부분이 붉은 부분으로 메꿔진 상태
첫 번째 페이지[24] 원더 월드의 나무와 칼라드볼그 스토리우스의 머리처럼 변한 원더 월드의 나무
두 번째 페이지[25] 솔로몬 옴니 포스 스토리우스 그리무아르[26]
세 번째 페이지[27] 칼라드볼그를 든 솔로몬의 팔 일반 메기도[28]의 모티브가 된 신수, 생물, 이야기 속 등장 생물
네 번째 페이지[29] 원더 월드[30] 멸망해가는 원더 월드[31]
  • 변신 음성의 영문 표기가 STRIUS로 표기되어 있다. 아사히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STORIOUS로 표기된 것을 보면 공식에서도 혼동이 있는 모양.[32] 스토리(Story)는 일본어로 ストーリー로 표기하므로 ストリウス라는 일본어 표기에 따르면 STRIUS에 가깝지만 어원 쪽을 우선해서 반영한다면 STORIUS가 맞는다. 일단 변신자 스토리우스는 STORIOUS로 표기한다.
  • 피규어왕에서 비하인드가 나왔는데, 본래 스토리우스의 라이더화는 당초 계획에 없었으며, 디자인은 솔로몬의 시스템의 계승이라고 한다. 또한 헬멧 디자인은 '책을 얼굴에 덮고 누워서 자는 사람'을 이미지한 것으로, 이것은 '책을 읽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책도 현실도 아닌 자신의 세계만 내다볼 뿐'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33]

5. 관련 틀

파일:Saber_Logo.png
가면라이더 세이버의 분기별 보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eee> 1장 - 세계의 질서를 바로잡는 검사들 <colbgcolor=white,#191919> 카미죠 다이치
(가면라이더 칼리버)
2장 - 파란! 소드 오브 로고스의 배신자 즈오스
(즈오스 프레데터)
3장 - 파멸의 미래와 마스터 로고스의 야망 마스터 로고스
(가면라이더 솔로몬)
특별장 직녀 월드
최종장 - 세계를 구하는 영웅은 문호이자 검호 스토리우스
(가면라이더 스토리우스)
증간호 메뚜기 데드맨
← 제로원 분기별 보스리바이스 분기별 보스 → }}}}}}}}}



[1] 프리미엄 반다이의 둠스 드라이버 버클 판매 페이지와 본편 아이캐치에는 STRIUS라고 표기되어 있다.[2] 성검과 책이 교차할 때 세상을 다시 쓴다.[3] 이 세상, 이야기, 그리고 내가 아는 모든 것을 지워라.[4] 이 힘이 네가 믿는 모든 이야기를 없앨 것이다.[5] 그리무아르 원더 라이드 북이 만들어질 때 그 힘의 영향을 받아 인왕검 크로스 세이버조차 능가하는 힘을 가진 무시무시한 검이 되었다.[6] 그리무아르를 펼쳐라. 이야기의 결말! 가면라이더 스토리우스![7] 변신음 끝에 에볼 드라이버와 같은 광소가 나온다.[8] OPEN THE STORY OF DESPAIR, 절망의 이야기를 펼쳐라.[9] OPEN THE STORY OF THE END, 종말의 이야기를 펼쳐라.[10] 북을 덮으면 공통적으로 그리무아르 리딩! 음성이 나온다.[11] THE STORY OF DESPAIR, 절망의 이야기.[12] ULTIMATE DESPAIR, 궁극의 절망.[13] THE END OF THE WORLD, 세계의 끝(또는 종말). The End는 고유 명사로 종말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4] 46화에서 크로스 세이버가 광강검과 암흑검으로 만든 블랙홀을 망토를 펄럭여서 없앴는데 그게 이 기능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 망토는 솔로몬의 망토와 외형만 같은 게 아니라 설정상으로도 똑같은데, 솔로몬은 정반대로 이 망토의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고 광강검과 암흑검의 콤보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바 있다.[15] 반투명이라 괴인체의 눈이 발광하면 그대로 비춰보이는 특성도 있다. #[16] 세이버 세계관에서 가면라이더란 성검에게 선택받았고 성검과 원더 라이드 북의 힘을 사용해 변신하는 인물을 의미한다. 성검의 선택은 커녕 별다른 연관조차 없는 스토리우스는 엄밀히 따지면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순수 괴인이다. 메기도였던 데자스트조차 자신만의 라이더 변신이 생길 땐 본래 쓰던 그러지 덴트가 성검으로 진화했으며, 그 변신체도 엄연히 소드 크라운을 갖고 있었다.[17] 헬멧을 자세히 보면 책을 1페이지씩 연속해서 좌르륵 펼친 듯한 외형을 하고 있다. 게다가 이미 위에 상술되어있지만,저 바이저 안은 괴인체의 눈이 발광할경우 그 안이 보인다. 즉 가면라이더 스토리우스는 실제론 괴인이 라이더 슈트를 입은 존재나 다름없다.[18] 왼다리의 망토나 가슴팍의 장식이 추가되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19] 하반신의 로브는 괴인체였던 스토리우스 메기도를 그대로 가져왔다.[20] 그 중에서 그리모어가 제일 많이 쓰인다.[21] 3간부의 얼터 라이드 북, 태슬의 책, 옴니 포스(마스터 로고스의 책 중 서던 베이스의 것을 완전히 흡수하였고 타테가미 빙수 전기 라이드 북이 된 노던 베이스 책의 힘도 일부 흡수하였다).[22] 마스터 로고스가 옴니 포스를 생성시킬 때는 단순히 소드 오브 로고스의 각 베이스에 보관되어 있던 수많은 원더, 얼터 라이드 북을 썼지만 스토리우스는 그 옴니 포스에 3간부의 얼터 라이드 북, 태슬의 책, 대량의 원더 월드와 연결된 인간이 흡수된 블랭크 얼터 라이드 북을 사용했다.[23] 모든 페이지가 공유하는 특징[24] 스토리와 소개 음성이 나오는 페이지[25] 원더 라이드 북을 덮고 드라이버의 버튼을 한 번 조작해서 나오는 페이지[26] 스토리우스는 이야기 장르의 메기도인데도 라이더의 그림이 그려진 포즈는 솔로몬처럼 신수의 장르의 라이더들의 그림과 똑같은 구조다.[27] 원더 라이드 북을 덮고 드라이버의 버튼을 두 번 조작해서 나오는 페이지[28] 외전에서 등장하거나 인간에게 기생해서 만들어낸 개체는 포함되지 않는다.[29] 원더 라이드 북을 덮고 드라이버의 버튼을 세 번 조작해서 나오는 페이지[30] 원더 월드의 나무와 거대한 검이 있다.[31] 첫 페이지처럼 페이지 한 가운데에 있는 나무가 스토리우스의 머리 부분처럼 변했고, 거대한 검이 사라졌다.[32] 정작 본편 방송 때는 이쪽도 STRIUS로 표기했다.[33] 여담으로 그리무아르 바이저가 목차록 그 자체이기에, 팬들 사이에서는 이것의 의미가 "전지전능의 서가 이미 모든 미래를 정해 버렸다는 끔찍한 진실을 알아버린 스토리우스의 상태"를 의미한다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