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6 02:05:51

僕が死のうと思ったのは



파일:나카시마 미카 로고 블랙.png

{{{#!folding [ 관련 문서 ]
<colbgcolor=#002266,#010101><colcolor=#373a3c,#ddd> [ruby(僕, ruby=ぼく)]が[ruby(死, ruby=し)]のうと[ruby(思, ruby=おも)]ったのは
내가 죽으려고 생각한 것은
Boku Ga Shinou To Omottanowa
<nopad> 파일:131220.jpg
가수 <colbgcolor=#f5f5f5,#2d2f34>나카시마 미카
음반 僕が死のうと思ったのは
발매일 2013. 09. 12.
장르 J-POP
작사 아키타 히로무
작곡 아키타 히로무
노래방 수록 정보
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 44161
파일:TJ미디어 심볼.svg 28688[1], 28591[2]

1. 개요2. 상세3. 영상4. 가사5. 커버6. 번안곡7. 리메이크

1. 개요

[ruby(僕, ruby=ぼく)]が[ruby(死, ruby=し)]のうと[ruby(思, ruby=おも)]ったのは[3](내가 죽으려고 생각한 것은)은 나카시마 미카의 38번째 싱글이다.

2. 상세

제목도 그렇고 가사 초중반부를 보면 우울증을 그대로 글로 옮긴 듯한 절망적인 분위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죽고 싶었던 것은 그만큼 열심히 살아가려 했기 때문'이라며 희망을 주며 끝난다. 유튜브에 한국어 자막이 첨부된 라이브 영상들이 올라온 게 있는데, 가사 내용과 라이브의 분위기 덕인지 긍정적인 평이 많다. 특히 투어 당시 이관개방증으로 인해 음정과 박자를 맞추려고 발을 구르고 모니터 스피커에 손을 올리며 열창한 영상은 레전드로 꼽힌다.

작사, 작곡자는 amazarashi의 기타이자 보컬인 아키타 히로무이다.[4] 아마자라시의 보컬인 아키타 히로무가 곡을 만든 데다 한국엔 아마자라시의 라이브 영상을 통해 많이 알려졌기 때문인지 아마자라시가 먼저 발매하고, 이를 나카시마 미카가 리메이크 한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나카시마 미카 버전은 격한 감정을 표현한 것에 비해 아마자라시 버전은 담담한 어투로 감정을 표현하여 상당히 다른 느낌을 준다.

한국에서도 인지도와 인기가 매우 높으며, 이 때문인지 태진, 금영 두 곳 다 나카시마 미카 버전과 아마자라시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amazarashi 버전으로 MIKA NAKASHIMA TRIBUTE 앨범에 5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2016년 발매된 amazarashi 미니앨범 "허무병"에 셀프커버로 1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2017년 9월에 내한한 나카시마 미카가 2017 아시아 송 페스티벌에 출연하여 다른 두 곡과 함께 이 곡을 불렀다.

2023년 11월에 발매된 김재중의 일본 커버 앨범 3집 Love Covers III에 5번 트랙으로 들어가있다.

2025년 1월 6일[5]에 방송된 한국 MBN 예능 프로그램인 한일톱텐쇼 나카시마 미카 특집에서 본인이 직접 이 노래를 불렀는데, 일본을 포함해서 TV 방송에서는 처음 부른 것이라며 이 노래야말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 감동과 힘을 전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선곡했다고 직접 소감을 밝혔다.# 나카시마 미카의 팬들은 뜬금없이 한국에서 최상의 목 컨디션으로 이 곡을 불러줘서 당황스러우면서도 기뻤다고. 특히 예전 라이브 공연 당시에는 좋지 못한 건강상태 때문인지 가사 전반부에 해당하는 '절망'의 감성이 더 컸다면, 이번 라이브는 2절의 '희망'과 '응원'이 더 강하게 느껴졌다는 소감이 많이 보인다.

2025년 4월 13일, KBS 1의 한일수교 60주년 우정콘서트에서도 눈의 꽃과 함께 해당 곡을 불렀다.

3. 영상

원곡
THE FIRST TAKE 라이브 영상
amazarashi의 셀프 커버 버전
amazarashi의 acoustic live 버전
2025년 1월 MBN 한일톱텐쇼 라이브 클린버전[6]

4. 가사

내가 죽으려고 생각한 것은
[ruby(僕, ruby=ぼく)]が[ruby(死, ruby=し)]のうと[ruby(思, ruby=おも)]ったのはウミネコが[ruby(桟橋, ruby=さんばし)]で[ruby(鳴, ruby=な)]いたから

5. 커버

애니 주제곡이 아님에도 한국에 크게 알려진 몇 안되는 일본 곡이며, 일본에선 적당히 히트한 곡임에도 한국에선 일본 노래에 흥미 있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아는 필수곡 수준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그래서 스트리머, 우타이테를 비롯해 프로 가수들마저 커버 영상을 올릴 정도다. 서구권에서도 반응이 좋다.

중화권에서도 제법 인기 있는 곡인 건지 중화권의 엔터테이너들이 해당 노래를 曾经我也想过一了百了[7]이란 제목으로 커버하는 영상들이 많이 있다.

5.1. 이창섭

5.2. 김준수

5.3. 김재중

5.4.

5.5. 장신성

5.6. 권진아



5.7. 스트리머 및 우타이테

# 감제이
# 강지
# 꽃감이
# 달마발
# 뢴트게늄
# Raon
# 꽃핀
# 침대점령
# 구리리
# 다즈비
# 도비비
# 오뉴
# 김초월
# 두간
# 해봄
# 지애
# 재넌
# 아이리 칸나
# 유즈하 리코
# 텐코 시부키
# 소라루
# 앵보
# 하루나비

6. 번안곡

GangZi 2nd Single
내가 죽으려고 생각한 것은
파일:내가 죽으려고 생각한 것은(강지).jpg
발매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년 3월 2일
가수 강지
기획사 데이지뮤직
유통사 워너 뮤직 코리아
곡 수 1곡
재생 시간 06:06
음원 듣기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멜론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 파일:벅스 아이콘.png |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


2023년 3월 2일, amazarashi의 허가를 받아 강지의 두 번째 디지털 싱글로 한국어 번안곡 음원이 발매되었다. 2018년 번안 버전을 기반으로 한다.

7. 리메이크


2025년 6월, 리본 프로젝트 콜라보로 김준수의 정식 한국어 버전 리메이크 음원이 발매되었다.
[1] 아마자라시[2] 나카시마 미카[3] 보쿠가 시노-토 오못타노와 라고 읽는다.[4] 2번 트랙인 Today 역시 아키타 히로무의 곡이다.[5] 녹화 자체는 2024년 12월 5일에 이루어졌다.[6] 현재는 라이브 버전과 클린 버전 모두 삭제되었다.[7] "청징워예샹궈이랴오바이랴오"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