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4:06:34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붕괴: 스타레일/적/주간 보스
,
,
,
,
,

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 보스
{{{#!wiki style="margin: 0 -0px -5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의 여운
{{{#!wiki style="margin: -5px -11px;"
[[종말 괴수|{{{#!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종말 괴수.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쿠쿠리아, 허망의 어머니|{{{#!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허망의 어머니.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불사의 열매·팬틸리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팬틸리아.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쇄성의 왕충·스카라카바즈(모조)|{{{#!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스카라카바즈.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
}}}
시뮬레이션 우주
{{{#!wiki style="margin: -5px -11px;"
[[게파드(붕괴: 스타레일)/보스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게파드.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스바로그(붕괴: 스타레일)/보스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스바로그.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카프카(붕괴: 스타레일)/보스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스텔라론 헌터」 카프카.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쿠쿠리아 랜드/보스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쿠쿠리아.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풍요 현록|{{{#!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풍요 현록.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연경(붕괴: 스타레일)/보스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운기 효위(驍衛)·연경.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기억의 영역 밈 「무엇이 죽음으로 향하는가」|{{{#!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기억의 영역 밈 「무엇이 죽음으로 향하는가」.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
}}}
기타
{{{#!wiki style="margin: -5px -11px;"
[[브로냐(붕괴: 스타레일)/보스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브로냐.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아젠티/보스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아젠티.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샘(붕괴: 스타레일)/보스전|{{{#!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스텔라론 헌터」 샘.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모략의 사금|{{{#!wiki style="width: calc(100%/4); max-width: 99.7px;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 center;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스타레일-투명-프로필-「10인의 스톤하트」 모략의 사금.webp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
}}}

}}}}}}
}}}}}}}}} ||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
Harmonious Choir
파일:하모니성가대.jpg
<colbgcolor=#1A1D23,#010101><colcolor=#B19872> 본명
스포일러
선데이
이명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
성별 남성
소속
스포일러
「질서」의 잔당(천외합창단)
언어별 표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

[[미국|]][[틀:국기|]][[틀:국기|]] "Harmonious Choir" The Great Septimus

[[중국|]][[틀:국기|]][[틀:국기|]] 「齐响诗班」神主日

[[일본|]][[틀:국기|]][[틀:국기|]]「ハルモニア聖歌隊」ディエス・ドミニ
성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강성우

[[미국|]][[틀:국기|]][[틀:국기|]]그리핀 푸아투

[[중국|]][[틀:국기|]][[틀:국기|]] 불명

[[일본|]][[틀:국기|]][[틀:국기|]] 오오츠카 타케오

1. 개요2. 인게임 정보3. 공략
3.1. 1페이즈3.2. 2페이즈3.3. 3페이즈
4. 추천 캐릭터5. 관련 업적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붕괴: 스타레일의 주간 보스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인게임 정보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기본 정보, 적이름=「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 파일구분자=「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 소속=은하,
화염=,
번개=,
허수=,
적설명=「하모니 성가대」 만인의 염원 도미니쿠스. 「화합」 시페의 여러 화신 중 하나이며\, 「질서」의 간섭으로 예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소원에 대한 집단의식의 응답으로서\, 그가 지휘하는 송가는 수많은 소원에 따라 세계를 재구축하고 새로운 법칙을 세운다. 그리고 소원을 비는 자들은 모두 그 힘의 원천이 된다,
)]
||<tablebgcolor=#fff,#2d2f34><tablewidth=600><tablebordercolor=#E5E5E5><tablealign=center><-2><bgcolor=#e5e5e5><color=#000>
적 상세 정보
||
## 적 속성 저항 정보 및 적 디버프 저항 정보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저항 정보,
물리=20, 얼음=20, 바람=20, 양자=40,
방어=100)]
스킬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1, 2페이즈 공통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그라치오소, 속성=허수, 특징=단일 공격, 에너지=10,
설명=지정된 단일 아군에게 소량의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한다)]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마에스토소, 속성=허수, 특징=범위 공격, 에너지=10,
설명=모든 아군에게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한다)]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바네지안도, 속성=물리, 특징=방해,
설명=높은 확률로 지정된 단일 아군을 [이몽] 상태에 빠트린다)]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코메 운 소뇨, 속성=물리, 특징=특성,
설명=「『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이 「옛꿈의 메아리」를 4기 소환하며\, 「옛꿈의 메아리」가 받는 피해를 전부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이 받게 된다. 자신과 「옛꿈의 메아리」의 약점이 격파되면 행동 게이지가 추가로 감소한다. 또한\, 자신의 강인성이 1스택 격파될 때마다 아군에게 [빛 가운데 행하면]을 부여한다)]
1페이즈 한정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아첼레란도, 속성=물리, 특징=차지,
설명=차지 상태에 진입한다. 다음 턴에 [볼테지안도]를 발동한다)]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볼테지안도, 속성=물리, 특징=단일 공격,
설명=행동 가능한 모든 「옛꿈의 메아리」가 지정된 단일 아군에게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하도록 한다. 행동 가능한 「옛꿈의 메아리」가 없으면\, 해당 스킬 발동에 실패한다. 스킬 발동 후\, 「옛꿈의 메아리」의 강인성을 회복한다)]
2페이즈 한정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아크레셴도, 속성=물리, 특징=차지,
설명=차지 상태에 진입한다. 다음 턴에 [템페스토소]를 발동한다)]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템페스토소, 속성=허수, 특징=범위 공격, 에너지=15,
설명=모든 아군에게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하고\, 행동 가능한 모든 「옛꿈의 메아리」가 모든 아군에게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하도록 한다. 스킬 발동 후\, 「옛꿈의 메아리」의 강인성을 회복한다)]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알라르간도, 속성=물리, 특징=강화,
설명=자신이 [그대는 참빛 속에서] 상태에 진입하고 실드를 획득한다. 가하는 피해가 증가하고 받는 피해가 감소하며\, 강인성이 감소되지 않는다)]
3페이즈 스킬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태초에 말씀이 있었노라, 속성=물리, 특징=차지,
설명=차지 상태에 진입한다. 7턴 후에 [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를 발동한다)]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 속성=허수, 특징=범위 공격, 에너지=15,
설명=모든 아군에게 대량의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한다. 해당 피해는 목표의 방어력을 무시한다)]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스킬 정보, 스킬명=창조 작업, 속성=물리, 특징=특성,
설명=「『철학의 태아』 선데이」가 모든 속성의 약점을 보유한다. 「『철학의 태아』 선데이」가 [태초에 힘이 있었노라] 상태일 시 아군이 행동할 때마다 즉시 행동하고\, 아군이 가하는 행동 게이지 감소 효과에 면역된다. 자신의 약점이 격파되면 행동 게이지가 추가로 감소하며\, 자신의 강인성이 1스택 격파될 때마다 아군에게 [빛 가운데 행하면]을 부여한다)]
}}}}}}}}}
드랍 아이템
[[붕괴: 스타레일/육성 아이템#공동의 염원의 유음|]]

3. 공략

페나코니 개척 임무의 최종 보스로 이전 막의 중간 보스였던 모략의 사금급으로 흉악한 난이도를 자랑한다.[1] 신주의 날은 본체와 성가대 4기로 이루어진 보스로, 성가대들은 본체와 체력을 공유한다. 때문에 성가대들은 피해를 입으면 본체도 피해를 입는 대신 신주의 날을 처치하기 전까지 처치되지 않으며, 행동을 막으려면 약점을 격파해야 한다.

본체인 신주의 날은 모든 아군에게 강력한 피해와 상태이상을 가하는 패턴을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인 적 유닛과 달리 총 3겹의 약점 게이지를 지니고 있다. 또한 신주의 날의 약점을 한겹씩 격파할 때마다 모든 아군이 받는 피해를 대신 받는 실드를 획득한다. 이러한 약점 격파를 통해 신주의 날의 패턴을 방해하며 획득한 실드로 살인적인 피해량을 버티는것이 기본적인 공략법이다.

신주의 날 패턴 하나하나가 전부 강력하고 위협적인데다 빠른 약점 격파가 중요하기 때문에 강력한 격특 서포터인 완·매가 없다면 상당히 고달프다. 만약 완·매가 없다면 차선책으로 같은 격특 서포터인 화합 개척자를 기용하는 편이 좋다. 특히 화합 개척자의 경우 스토리상 최종전 이전에 화합 운명의 길이 먼저 개방되며, 보스전에서는 파티에 필수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2]

특이사항으로 보스인 신주의 날과 같이 등장하는 성가대 4명은 피통을 공유하기 때문에 광역기의 효율이 급증하며 수렵 딜러라 해도 딜 누수 없이 온전히 피해를 입히는 것이 가능하다.

3.1. 1페이즈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 1페이즈 BGM
[3]
  • 그라치오소
    단일 아군한테 소량의 허수피해를 준다.
  • 마에스토소
    만물은 선율의 일부지.

    잡음은 점차 사라지리.

    잡음은 점차 사라진다.

    모든 아군한테 대량의 허수피해를 준다.
  • 바네지안도
    영원한 안식을 누려라!

    높은 확률로 지정된 단일 아군을 [이몽][4] 상태에 빠뜨린다.
  • 아폴리토
    단일 아군에게 소량의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하고, 소량의 행동 게이지를 감소시킨다.
  • 아첼레란도
    한마음으로 노래하리!

    만민을 우러러보리!

    차지 상태에 진입한다. 다음턴에 볼테지안도를 발동한다.
  • 볼테지안도
파일:신주의 날_볼테지안도.gif}}} ||
합창하라! 소원의 교향곡!
소원의 교향곡![2배속]
(볼테지안도 발동 성공 시)
어찌 모두 침묵하는가?
어찌 아무도 공명하지 않는가?
(볼테지안도 발동 실패 시)
행동 가능한 모든 옛꿈의 메아리가 지정된 단일 아군에게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하도록 한다. 행동 가능한 옛꿈의 메아리가 없으면 스킬 발동에 실패한다. 스킬 발동 후, 옛꿈의 메아리의 강인성을 회복한다.[6]

3.2. 2페이즈

「하모니 성가대」 신주의 날 2페이즈 BGM
[7]
  • 그라치오소
    지정된 단일 아군에게 소량의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한다.
  • 마에스토소
    모든 아군에게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한다.
  • 바네지안도
    높은 확률로 단일 아군을 [이몽]상태에 빠뜨린다.
  • 아크레셸도
    간절한 기도!

    축복을 기다리며.

    차지 상태에 진입한다. 다음턴에 템페스토소를 발동한다.
  • 템페스토소
파일:신주의 날_템페스토소.gif}}} ||
신이시여, 일어나소서!
모든 아군에게 허수 속성의 피해를 가하고, 행동 가능한 모든 [옛꿈의 메아리] 가 모든 아군에게 허수 속성의 피해를 가하도록 한다. 스킬 발동 후, [옛꿈의 메아리]의 강인성을 회복한다.[8]
  • 알라르간도
    지혜로 확실한 보호를.

    진리를 지키면 수호를 받으리.

    자신이 [그대는 참빛 속에서] 상태에 진입하고 실드를 획득한다. 가하는 피해가 증가하고 받는 피해가 감소하며, 강인성이 피해를 받지 않는다.
    • 그대는 참빛 속에서
      가하는 피해가 30% 증가하고,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 강인성이 피해를 받지 않으며, 실드 소진시 해체된다.


2페이즈에서는 약점 잠금과 동시에 실드를 생성하는 패턴이 추가되는데, 내구도가 상당히 낮아 적당한 딜러의 공격 한번에 뚫을 수 있다. 다만 약점 격파가 되지 않을 경우 피해량이 급감하는 순수 격파파티에게는 꽤나 거슬리는 패턴.

3.3. 3페이즈

[include(틀:붕괴: 스타레일/적 기본 정보, 적이름=「철학의 태아」 선데이, 파일구분자=「철학의 태아」 선데이, png=png, 소속=기타,
물리=,
화염=,
번개=,
바람=,
양자=,
얼음=,
허수=,
적설명= 「하모니 성가대」기반으로 「질서」와「화합」의 힘이 뒤엉켜 만들어진 알껍데기. 새로운 신이 이 안에 잠들어 있다. 형이상의 태아는 어린 시절의 옛꿈을 중얼거리며 운명의 길은 긴 밤의 태동으로 뚜렷한 새벽을 부질없이 저항한다.
)]
「철학의 태아」 선데이 BGM
Hope Is the Thing With Feathers
희망은 날개 달린 것
  • 창조 작업
    모든 창조 작업이 끝났노라.

    필연의 날이 도래했도다.


    철학의 태아여.

    모두를 위해 이 땅에 만물을 재구성해라!

    3페이즈 철학의 태아 상태인 선데이는 모든 속성의 약점을 보유한다. 철학의 태아 선데이가 [태초에 힘이 있었노라] 상태일 시 아군이 행동할 때마다 즉시 행동하고, 아군이 가하는 행동 게이지 감소 효과에 면역된다. 자신의 약점이 격파되면 행동 게이지가 추가로 감소하며, 자신의 강인성이 1스텍 격파될 때마다 아군에게 [빛 가운데 행하면]을 부여한다.[9]
  • 태초에 말씀이 있었노라
    진실에 맹세를.(첫째 날)

    역법에 맹세를.(둘째 날)

    언어에 맹세를.(셋째 날)

    가치에 맹세를.(넷째 날)

    규칙에 맹세를.(다섯째 날)

    의미에 맹세를.(여섯째 날)

    인간의 존엄에 맹세를.(일곱째 날)

    차지 상태에 진입한다. 7턴 후에 [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를 발동한다.
  • 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
파일:신주의 날_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gif}}} ||
에나여, 부름을 받고 돌아오소서!
깨어나라, 높은 곳의 심판자여!
모든 아군에게 대량의 허수 속성 피해를 가한다. 해당 피해는 목표의 방어력을 무시한다.

3페이즈에 돌입하면, 선데이는 차지 상태에 진입하여 7턴동안 자체적으로는 아무 행동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군이 행동한 다음 바로 행동하며[10] 턴을 쌓고, 7턴이 지나기 전까지 강인성 보호막을 모두 파괴하지 못했다면 허공에서 강림한 정체불명의 손과[11] 손가락이 맞닿는 모션과 함께 모든 아군에게 방어력을 무시하며[12] 막대한 허수피해를 입히는 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를 시전한다. 이후 한 턴의 휴식 타임이 주어지고 다시 차징 상태로 들어가는 패턴의 반복.

3페이즈는 특별한 공략 없이 강인도만 빠르게 깎아내는데에 집중하면 된다. 패턴에 변수가 없기 때문에 조합만 잘 갖췄다면 단순한 반복 작업에 불과한 페이즈. 단 일곱째 날까지 강인성 보호막을 전부 깨지 못한다면 그 전까지 깬 강인성 보호막을 통해 얻은 실드 혹은 보존 캐릭터의 실드로 해당 피해를 무조건 막아야한다. 보통 4~5겹을 깼다면 아슬아슬하게 즉사는 피할 수 있다.

4. 추천 캐릭터

  •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파멸|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 | 파멸
    • 단항·음월
      1페이즈부터 3페이즈까지 전부 허수 약점이 있는 신주의 날을 상대하기 가장 적합하며 3역린 강화 평타와 궁극기가 광역기라 성가대의 약점을 파괴하기도 상당히 적합하다.
  •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지식|
    파일:지식 운명의 길.png
    ]] | 지식
    • 경원
      언뜻 보면 잡몹 포함 항상 5인 전투를 치러야하는 신주의 날을 상대로는 신군의 대미지가 분산되어 상당히 불리할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신주의 날은 1, 2페이즈에서는 체력 공유 기믹을 가지고 있고, 3페이즈 철학의 태아는 단일 보스 몬스터이기 때문에 신군의 대미지 누수가 아예 발생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저계수인 전투 스킬과 필살기조차 1, 2페이즈에선 각각 500%, 1000%의 단일기나 마찬가지인 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아케론과 함께 신주의 날을 가장 빠르게 잡을 수 있는 캐릭터 중 하나이다.
    • 히메코
  •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수렵|
    파일:수렵 운명의 길.png
    ]] | 수렵
    • 토파즈&복순이
      스토리에서 필수로 데려가야 하는 화합척자, 보존 중 가장 쓰기 좋은 어벤츄린과의 시너지 때문에 추공 파티도 쓰기 좋으나, 광역기가 없어서 1-2페이즈 약점 공략이 꽤 느리다는 것이 흠이다. 하지만 약점 공략이 끝나고 나면 화합척자와의 궁합 때문에 상당한 데미지를 빠르게 때려넣을 수 있고, 3페이즈에서는 어떤 파티보다도 빠르게 강인성을 격파할 수 있다.
    • Dr. 레이시오
      추공 파티의 핵심 중 하나. 하지만 토파즈만 데리고 갈 경우 잡몹 약점 격파가 매우 늦어지기 때문에 로빈과 어벤츄린은 필수이다. 없을 경우 경원 혹은 아케론으로 상대하는 것을 권장한다.
  •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공허|
    파일:공허 운명의 길.png
    ]] | 공허
    • 아케론
      음월과 마찬가지로 전 페이즈에 번개 약점이 있고 주력기가 전부 광역기라 상대하기 적합하다.
  •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화합|
    파일:화합 운명의 길.png
    ]] | 화합
    • 완·매
      신주의 날 메인 기믹인 강인성 보호막을 파훼하기 위해선 격파가 가장 중요한데 완매의 버프가 이 점을 충족시켜주며, 궁극기로 강인성 회복까지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안정적으로 공략 할 수 있게 된다.
    • 화합 개척자
      완매와 비슷하게 격특 관련 서포터라 격파가 중심이 되는 신주의 날 공략에 가장 적합하다. 마침 스토리 전투에서는 파티에 필수적으로 데려가야 한다.
    • 로빈
      추공파티의 핵심중 하나이며 토파즈와 레이시오를 들고갈 경우 자주 사용된다.
  •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보존|
    파일:보존 운명의 길.png
    ]] | 보존
    • 어벤츄린
      평타, 추공, 필살기 모두 공격기이며, 보스의 약점 중 하나인 허수속성이기 때문에 강인도를 상당히 잘 까는 편이다. 보스가 1-2 페이즈에서 전체공격을 자주 쓰다보니 추공도 자주 터지고 실드로 아군 보호도 잘 되는 것도 장점.[13]
  •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풍요|
    파일:풍요 운명의 길.png
    ]] | 풍요
    • 나찰
      약점 속성 중 하나인 허수 속성에 궁극기인 망자의 숙원이 광역기여서 풍요 캐릭터 중에서는 갤러거와 함께 강인도를 공략하기 적합하며, 생명의 윤회를 통해 강인성 파훼로 얻은 방어막이 모두 터지더라도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다.
    • 갤러거
      화염 약점을 저격하며 광역 궁극기와 높은 강인도 격파력을 지닌 강화 평타의 존재로 모든 페이즈에서 고루 활약 가능하다.

5. 관련 업적

||<table width=600><tablebordercolor=#B19872><tablebgcolor=#fff,#2d2f34><bgcolor=#000><color=#B19872><-2> 관련 업적 ||
<rowcolor=#B19872> 업적 이름 설명
신이 없는 근무일 「하모니 성가대」신주의 날이 「볼테지안도」 또는「템페스토소」를 발동하기 전에 모든 옛꿈의 메아리 격파하기
그리고 월요일이 되었다... 「철학의 태아」선데이의 스킬「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가 가하는 피해 완벽하게 막기

정공법은 1~2페이즈 - 볼테지안도나 템페스토소 시전 전에 옛꿈의 메아리를 격파하여 패턴을 끊기. 3페이즈 - 첫 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를 끊고 두번째 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를 전까지 쌓아놓은 강인도 보호막으로 파훼하는 것을 전제로 설계하였다.
==# 대사 #==
무례하군.
(3페이즈 중 피격 시)
감히....모독하다니....
(3페이즈 중 약점 격파 상태에서 피격 시)

6. 여담

  • 로빈이 주인공인 별무리 기행 PV: 만약 한 쌍의 날개가 있다면에서 어린 로빈과 선데이가 그린 그림으로 등장한다. 개척 임무에서도 어린 남매가 화합의 성가대에 대해 상상하면서 도미니쿠스라는 가상의 존재를 상상해낸 것임이 드러나는데 선데이가 질서의 길을 걷게 된 동기 중 하나가 로빈을 향한 헌신임을 생각하면 결국 남매의 추억이 서린 존재인 셈이다.
  • 다른 지역 스토리 최종보스처럼 지원 스킬이 있는데, 은하열차의 형상이 나타나 보스에 그대로 박아버린다. 나부에 이어 허수 속성이 배정됐으며, 주간 보스때는 스토리 보스때의 개척자와 시계 소년이 등장하지 않는다. 스토리 연출적으로 상당히 호평받는 한편, 열차를 박아버리는 연출로 인해 밈적으로도 인기도 많은 편. 스토리때는 사용시마다 한명씩 대사가 나오는데 게임을 충분히 한 유저들은 딜이 너무 강한 나머지 대사를 몇개 듣기도 전에 보스가 죽는 사태가 나온다.
  • 허망의 어머니와 더불어 보컬곡을 사용하는 주간보스이다. 스토리에서의 연출도 감동적으로 나와서 들불 급의 호평을 받고 있다.
  • 상반신만 드러낸 기계에 탑승한 인간 형태의 적이라는 점, 신에 근접한[14] 최종 보스라는 점과 실드를 전부 제거해야 대미지를 넣을 수 있다는 점은 전작의 칠엽 적조의 비밀주와 상당히 유사하다.[15]
  • 이름, 금색과 검은색 조합, 인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 극장, 수많은 사람들의 감정 및 염원과 관련이 깊다는 점 등 전반적으로 붕괴 3의 지배의 율자와 유사한 점이 많다.
  • 도미니쿠스(Dominicus)는 라틴어로 '지배자, 신'을 의미하는 단어로 에이언즈의 화신으로서 현현하는 성가대를 의미하지만, 동시에 이 단어에서 파생되어 주일, 즉 도미닉(Dominic) 즉 일요일(Sunday)와도 연결된다. 또한 지배를 의미하는 Dominant 또한 같은 어원을 지닌 만큼, 질서 운명의 길을 따르던 선데이의 성향과도 일치하는 복합적인 이름이 된다.
  • 성가대라는 이름답게 1-2페이즈의 패턴명이 모두 음악 용어로 되어 있다.
    • 볼테지안도(Volteggiando/Voltigierend): 피아노 연주에서 손을 교차하여 연주하는 것
    • 그라치오소(Grazioso): 우아하고 아름답게
    • 마에스토소(Maestos): 장엄하게
    • 바네지안도(Vaneggiando): 꿈꾸듯이[16]
    • 아첼레란도(Accelerando): 점점 빠르게
    • 템페스토소(Tempestoso): 격렬하게

7. 둘러보기

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color=#fff,#ddd><colbgcolor=#010101,#010101> 스토리
콘텐츠
시스템
아이템
미디어믹스
기타
}}}}}}}}} ||


[1] 하지만 모략의 사금 급으로 파티 조합을 제한하거나 하지는 않고, 악명 높은 주사위-갬블-주사위-갬블 무한반복 급으로 까다로운 패턴도 없는 편이다. 대신 주간보스 답게 체급은 모략의 사금보다 높으며 특유의 높은 피해량과 상태이상, 행동게이지 감소 난사로 인해 파티가 전복되는 일은 더 자주 발생한다.[2] 또한 스토리 전투에서는 육성이 완료된 체험 버전의 화합 개척자도 제공되므로 운명의 길을 변경하지 않았거나 화합 운명의 길 육성이 충분히 되지 않았다면 이쪽을 사용할 수 있다.[3] 비공식 음원[4] 행동할 수 없으며 턴 시작시 소량의 체력을 회복한다. 피격 시 상태가 해제되며 더 큰 피해를 입는다.[2배속] [6] 이때 완·매로 약점격파 연장 상태 디버프를 걸어놨다면 즉시 해제하고 약점 격파 연장 피해를 받는다.[7] 비공식 음원[8] 이때 옛꿈의 메아리가 약점 격파 상태여도 공격한다.[9] 모든 보스와 적을 통틀어 유일한 전 속성 약점에 9겹이나 되는 강인성 보호막을 지니고 있다.[10] 정확히는 행동 게이지가 바로 다음에 배정되는거라 브로냐, 스파클 등으로 행동 게이지를 올려주거나 캐릭터와 별도의 행동을 가진 신군, 복순이와 같은 소환물의 행동으로 아군이 연속 행동을 가져갈수 있다.[11] 질서의 에이언즈 에나의 손도, 화합의 에이언즈 시페의 손도 아니며 새로이 창조되어가는 신의 손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태초에 행동이 있었노라 패턴의 대사를 보았을시 새롭게 창조된 에나일 가능성이 적절하다.[12] 받는피해 감소는 무시하지 않는다.[13] 전투 진입시부터 실드를 펼쳐주고, 추공이 터진 뒤에도 아군에게 바로 실드를 깔아줘서 스킬 포인트를 아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집중 공격을 당한 아군에게는 실드가 2배로 깔리기 때문에 위급상황을 넘기기에도 좋다.[14] 신주의 날은 제대로 된 신이 아닌 시페의 화신중 하나이자 질서에 영향을 받은 모습이며 칠엽 적조의 비밀주는 정식으로 일곱 신 내지는 집정관으로 등극한 존재가 아닌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가짜 집정관이다.[15] 대사들도 정기의 신과 꽤나 유사한 말투이다. 신이라는 단어를 거듭 언급한다는 면에서도 그렇고 칠엽 적조의 비밀주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가 감히 신성을 모독했다는 의미의 대사도 둘 다 있다.[16] 이름답게 이 패턴으로 아군을 이몽 상태에 빠뜨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