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18:06:49

Карандaши 고려인 책 나눔 동아리 카란다쉬

<colbgcolor=#da4938><colcolor=#fff> Карандaши
카란다쉬
파일:KARANDASHI 로고.jpg
회원조직 비전
주요 SDGs 파일:SDG 4번.png 파일:SDG 17번.png
설립 2015년
규모 고려대학교 노어노문과 과동아리
주요활동지역 서울권역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부서3. 역사4. 주요활동5. 리크루팅 관련 정보6. 기타

1. 개요

카란다쉬(Карандaши)는 국내외 고려인 동포의 언어, 문화 교육에 이바지하고자 기획된 고려대학교 노어노문과 과동아리이자 고려대학교 러시아-CIS 연구소 산하 프로젝트 팀이다. 카란다쉬란 ‘색연필’이라는 뜻으로, 다양한 색이 있는 색연필처럼 고려인 아이들이 현재 살고 있는 국가에 동화되지 않고 한국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개성을 가진 민족으로 자라길 바란다는 의미이다.[1]

카란디쉬의 주요 활동으로는 <고려인 동화책 나눔 프로젝트>와 <고려인 인터뷰> 등이 있다. 카란다쉬가 다루는 주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는 SDG 4번(양질의 교육),17번(목표 달성을 위한 파트너십)이 있다.[2]

2. 부서

카란다쉬의 세부 부서는 원고부, 번역부, 삽화부, 홍보부 그리고 봉사기획부가 있다. 2025년 2월 카란다쉬 10기 기준, 각각의 부서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3]
  • 원고부: 웹툰 원고 및 공지 작성
  • 번역부: 웹툰/공지/자료 등 러시아어로 번역
  • 삽화부: 웹툰 제작 및 삽화 작업
  • 홍보부: 인스타관리팀(카드뉴스 제작)/영상제작팀(홍보영상 및 브이로그 제작)
  • 봉사기획부: 봉사 및 언어교류 프로그램 기획/진행

3. 역사

카란다쉬는 고려인 동포들에게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전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고려대학교 노어노문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2015년에 창립되었다. 고려인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한국 문화와 언어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키고, 고려인 지역사회와 국내 학생사회 간의 교류를 증진시키는 것을 창립 이념으로 삼았다.[4]

2015년 카란다쉬 창립 후 초기에는 팀은 러시아어와 한국어가 병기된 한국 전래동화 6편을 한 권의 책으로 엮어 3천권을 제작하고, 이를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려인 동포들에게 기부하는 활동을 진행했다.[5]7기까지 한국의 전래동화, 러시아 전래동화를 러시아어-한국어로 번역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8기 이후 러시아 문학 관련 인스타툰, 웹툰 제작 그리고 고려인 청소년 및 아동들 대상 대면 봉사활동을 진행하는 등 고려인 교류와 관련한 다방면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6]

4. 주요활동

카란다쉬의 가장 대표적인 활동인 <고려인 동화책 나눔 프로젝트>는 한국어-러시아어 병기 동화책을 제작하는 프로젝트로, 19, 20세기 한민족의 불우한 역사로 인해 러시아를 비롯한 구 소련 지역을 삶의 터전으로 잡은 고려인들의 문화, 교육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7] 카란다쉬의 <고려인 인터뷰>는 다양한 고려인을 만나뵙고 고려인의 정체성에 관해 깊이있는 조사하는 것이다. 고려대학교의 고려인, 한국의 고려인, 러시아의 고려인, 안산시 고려인 문화센터에 관한 4번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8]

카란다쉬의 인스타툰 제작 활동은 한국과 러시아의 설화 혹은 전래동화의 내용을 축약해 서로의 언어로 번역하고 카란다쉬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을 통해 발간하는 활동이다. 2024년 동안 총 6편의 인스타툰이 게시되었다. [9] 그외 카란다쉬는 고려인과 러시아권 문화와 관련한 여러 카드뉴스 또한 게시하고 있다.[10] 2024년 9기 카란다쉬에서는 <고려인 알아보기>, <고려인 독립운동가 알아보기>를 주제로 한 카드뉴스가 게시되었다.

5. 리크루팅 관련 정보

카란다쉬의 리크루팅 주기는 매학기 2월, 8월이다.

카란다쉬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고가 올라온다.

카란다쉬의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다.
재학생, 휴학생, 세종캠퍼스 학생을 포함한 고려대학교 학생

사회공헌단 소속의 봉사동아리로, 활동 시 봉사시간을 인정받을 수 있다.[11]

6. 기타



[1] 출처: #[2] 출처: #[3] 출처: #[4] 출처: #[5] 출처: #[6] 출처: #[7] 출처: #[8] 출처: #[9] 출처: #[10] 출처: #[11] 출처: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