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22:06:22

장쩌민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영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마오쩌둥 화궈펑 덩샤오핑
제4대 제5대 제6대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영도인은 공식적인 직책이 아니라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재임한 최고 실권자를 의미한다. }}}}}}}}}}}}}}}
장쩌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당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1대(제1-5차) 임시(제5차) 2대(제6차)
천두슈 취추바이 샹중파
임시(제6차) 3대(제6차) 4대(제6차)
왕밍 보구 장원텐
5대(제6-10차) 6대(10-11차) 7대(제11-12차)
마오쩌둥 화궈펑 후야오방
8대(13차) 9대(제13-15차) 10대(16-17차)
자오쯔양 장쩌민 후진타오
11대(제18-20차)
시진핑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마오쩌둥 류사오치 리셴녠 양상쿤
제5대 제6대 제7대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권한대행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 군사위원회 주석
(1945년-1954년)
초대
마오쩌둥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주석
(1954년-1975년)
초대 제2대
마오쩌둥 류사오치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1983년-)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마오쩌둥 화궈펑 덩샤오핑
제4대 제5대 제6대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000000,#EFEFE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열순
1위
장쩌민
(최고영도인)
2위 3위 4위
리펑
(전인대 상무위원장)
주룽지
(국무원 총리)
리루이환
(정협 전국위원회 주석)
5위 6위 7위
후진타오
(부주석)
웨이젠싱
(기율위 서기)
리란칭
(상무부총리)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상무위원 (제14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상무위원 (제16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000000,#EFEFE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열순
1위
장쩌민
(최고영도인)
2위 3위 4위
리펑
(국무원 총리)
차오스
(전인대 상무위원장)
리루이환
(정협 전국위원회 주석)
5위 6위 7위
주룽지
(상무부총리)
류화칭
(중앙군사위 부주석)
후진타오
(중앙서기처 제1서기)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상무위원 (제13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상무위원 (제15기) →
}}}}}}}}}}}} ||

파일:중국 국장.svg
상하이시 영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시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상하이시 인민정부 시장
초대
천이
상하이시 인민위원회 시장
초대 제2대 제3대
천이 커칭스 차오훠추
상하이 인민공사 임시위원회 주임
초대
장춘차오
상하이시 혁명위원회 주임
초대 제2대 제3대
장춘차오 쑤전화 펑충
상하이시 인민정부 시장
초대 제2대 제3대
펑충 왕다오한 장쩌민
제4대 제5대 제6대
주룽지 황쥐 쉬쾅디
제7대 제8대 제9대
천량위 한정 양슝
제10대 제10대
잉융 궁정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라오수스 천이 커칭스
제4대 제5대 제6대
천피셴 장춘차오 쑤전화
제7대 제8대 제9대
펑충 천궈둥 루이싱원
제10대 제11대 제12대
장쩌민 주룽지 우팡궈
제13대 제14대 대리
황쥐 천량위 한정
제15대 제16대 제17대
시진핑 위정성 한정
제18대 제19대
리창 천지닝 }}}}}}}}}}}}}}}

중화인민공화국 제5대 주석
장쩌민
[ruby(江,ruby=Jiāng)][ruby(泽,ruby=Zé)][ruby(民,ruby=mín)](江澤民, 강택민)|Jiang Zemin
파일:장쩌민.png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출생 1926년 8월 17일
중화민국 장쑤성 양저우시
사망 2022년 11월 30일 (향년 96세)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재임기간 제3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1989년 6월 24일 ~ 2002년 11월 15일
제4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1989년 11월 9일 ~ 2004년 9월 19일
제5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1993년 3월 27일 ~ 2003년 3월 15일
서명
파일:장쩌민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부모 아버지 장스쥔(江世俊), 양부 장상칭(江上青)[1]
어머니 우웨칭(吴月卿), 양모 왕저란(王者籣)
형제자매 동생 장쩌쥔, 장쩌콴
배우자 왕예핑
자녀 아들 장몐헝, 장몐캉
학력 양저우중학(江苏省扬州中学) (졸업)
중앙대학[2] (수료)
상하이교통대학 (전기기계학과 / 학사)
종교무종교 (무신론)[3]
신장 172cm[4]
소속 정당
}}}}}}}}}

1. 개요2. 생애3. 기타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장쩌민 열병식 초상화.jpg
'''2019년 국경절 열병식에 등장한 초상화 '''
중화인민공화국의 제5대 주석, 독재자.[5]

1세대 마오쩌둥, 2세대 덩샤오핑 등에 이은 중국의 3세대 독재자로 분류된다.

퇴임 이후 후진타오 시대까지 중국정치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으나 시진핑 독재 체제가 된 2018년 이후로는 전직 국가원수 예우만 받고 있다. 그러나 장쩌민, 후진타오 주석 시절과 2010년대 중후반 이후의 중국의 스탠스나 상황이 워낙 달라진데다, 후임이 된 시진핑이 주석 임기제를 깨고 종신 집권제를 꾀하는 등 극단적인 행보를 보이면서, 후임인 후진타오와 함께 다시금 재평가되고 있다.

2022년 11월 30일 백혈병 투병 도중에 향년 9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쩌민/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기타

  • 장쩌민 시대에 파룬궁 탄압을 시작했다. 의외로 장쩌민은 초기에는 파룬궁에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심지어 표창장까지 수여했지만, 점차 파룬궁 수련자의 수가 공산당 당원 수를 넘어서게 되자 무자비하고 무지성적인 파룬궁 탄압을 지시하여 많은 사람들을 학살했다. # #
  • 중국에서 마약사범에 대한 처벌이 심해진 것도 장쩌민 시대부터이다. 정확히는 장쩌민 2기 때인 1999년부터로, 그 이전까지는 마약사범을 최대 25년 유기징역 + 가택연금 20년으로 정하고 감옥에서 약물 중독 치료를 하는 데 그쳤지만 1999년부터 마약사범을 대거 사형시키기 시작하였다. 명확한 이유는 불명이다.
  • 장쩌민 주석이 주석으로 재임하는 기간 동안 총살형이 상당히 잦았다는 주장이 있으나, 실제로는 덩샤오핑 시절이 훨씬 많았다. 덩샤오핑은 홍위병의 난동이 만연했던 문혁으로 실추된 공권력의 엄정함을 인민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해서 범죄자에 대한 공개처형을 대거 단행했다. 이것을 엄타라고 한다.
  • 중국공산당 총서기의 권력 공고화를 분석되었는데 장쩌민 주석의 권력 공고화 방법이 과거 진시황을 연상시킨다는 평가가 있다. 첫째는 중국 정치에서 최고 지도자들이 행사하는 권력과, 권력 공고화를 위한 전략인 정풍운동(整風運動). 둘째는 장쩌민의 권력 공고화. 중국에서 최고 지도자는 군 통수권, 이념적 권위, 지지 세력을 획득해야 권력을행사할 수 있다는 것. 정풍운동은 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장쩌민은 개혁기 총서기가 어떻게 권력을 공고화 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전형을 들었다. ‘지지 세력의충원 → 정풍운동과 반부패운동의 전개 → 새로운 지도이념의 확정’이 바로 그것이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개혁기 중국의 엘리트 정치에서 ‘권력 승계의 제도화’와 함께‘권력 공고화의 제도화’도 진전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6]
  • 비공식 중국 최고의 갑부다. 2019년 일가의 추정 자산은 한화 약 1천조 원이다. # # 사저에는 하녀 등이 30여 명 고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유능한 정치인이다. 1997년 국가의 경제 관리의 대부분을 총리가 된 주룽지에게 넘기었으며 아시아 금융 위기를 통하여 직무에 남아있었다. 이때 국가 채무를 사형수들의 재산을 몰수시켜서 채우거나 했고, 수직적인 권력 아래에 중국은 해마다 8 퍼센트 국내총생산 성장의 평균을 유지하여 주요 세계 경제에서 1인당 경제성장의 최고 속도를 달성하였다. # #
  • 1990년 미국 ABC 방송과의 인터뷰 중 천안문 항쟁 당시 탱크맨의 생사에 대한 질문을 받자, 곤란해하면서도 살아있다고 영어로[7] 대답을 한 적 있는데, 실제로 현재까지 생존해 있는걸로 확인되었다.
  • 바지의 밑위를 길게 해서 바지가 배에 덮게 입는 소위 배바지 스타일을 유지하고 있다. 구글에서 'Jiang Zemin' 이미지를 검색하면 연관 검색어로 'Pants'가 뜰 정도로 유명하다. 직위상 기성복을 사는 것이 아니라 맞춰 입을 가능성이 높은데, 아마 밑위를 길게 주문하는 듯하다. 가끔 나이가 좀 있는 사람 중 배를 감싸는 게 좋다고 이런 걸 선호하는 사람들이 좀 있다.
  • 2017년엔 자신이 장쩌민의 조카라며 한국인에게 10억대의 사기를 친 조선족 남성이 구속되었다.
  • 중국 2차 세계대전사 연구회 회원이자 작가, 평론가인 뤼자핑(呂加平)이 2000년대 초반 그의 부친과 그에게 친일-소련 스파이라는 주장을 하다가 출처 체포되어 2011년 국가전복죄(颠覆国家政权罪)에 걸려 10년의 중형을 받았다가, 상고심에서 5년으로 감형되었다. 뤼자핑은 전문적인 학자는 아니어서 그의 주장이 별 근거가 없다는 반박도 있다. 뤼자핑은 풀려나와 고생을 하다가 2021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 김대중 대통령과 회담에서 김 대통령을 '따거'라고 불렀다고 한다. 김대중(1924년생)과의 나이차는 2살 차이이다. 평양을 방문해서 김일성과도 회담한 적이 있었는데, 중국어에 능했던 김일성과도 통역없이 이야기했다고 한다.
  • 중국어를 비롯해 4개 국어를 하는데, 영어, 러시아어, 루마니아어를 한다고 한다. 영어는 앞서 언급한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 때 밝혔듯 중학교 시절 공부했고[8], 러시아어와 루마니아어는 각각 해외 파견 중 익혔으니, 어학에 관심을 가졌다.[9]
  • 중국 최고지도자들이 공식 석상에서 양복을 입기 시작한 것이 장쩌민 때 부터이다. 마오쩌둥과 화궈펑, 덩샤오핑은 모두 인민복을 입었지만, 장쩌민 이후의 중국 최고지도자들은 평소에는 양복을 입고 천안문 성루에서 열리는 대형 행사 시에만 인민복을 입고 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장쩌민 투명.svg장쩌민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e1c25> 생애 생애(장쩌민 시대)
가족 아버지 장스쥔
사건사고 홍콩 반환,(1997), 마카오 반환,(1999),
기타 상하이방 · 반분열국가법 · 파룬궁
}}}}}}}}} ||



[1] 장스쥔의 동생이다. 딸만 셋 있고 아들이 없어서 장쩌민을 입양했다.[2]난징대학의 전신. 수료 후 상하이교통대학으로 편입했다.[3] 사망 후 화장되어 장강 하구 바다에 뿌려졌으며, 이에 대하여 신화통신은 “동지는 철저한 유물론자로서 화장 후 장강과 바다에 뿌려달라는 유언을 남겼다”라고 전했다.#[4] 젊었을 적에는 174cm였으나 노화로 인해 172cm로 줄었다.[5] 그가 일당독재 국가였던 중국 정치에서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라는 점은 확실하나 전제독재자인지는 논란이 있다. 한때 중국의 공식적인 최고지도자로써 삼권을 장악한 인물이기는 했으나, 당 내 유의미한 견제세력이 있었기 때문에 전체주의 성향 지도자일지는 몰라도 학술적인 의미의 독재자로 보기에는 여러모로 부족한 점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넓은 의미에서로 보자면 독재자에 가까운 것이 맞으며, 후임 후진타오에 비해서도 당내 영향력이 컸다고 평가된다.[6] 관련 논문 : 중국 최고 지도자의 권력 공고화: 장쩌민의 사례.[7] 그대로 옮겨보자면, "...but I think he was never killed." 라고 대답했다. 영어에서 never는 매우 강한 부정의 의미로 쓰인다는 점과 장쩌민이 영어에 매우 능통한 사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의도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다.[8] 물론 유창한 회화가 가능해진 것은 아마도 대학 시절부터로 보인다. 중화민국 시절 상하이교통대학은 영어로 강의했기 때문이다.[9] 공식적인 당 기관지나 소식에 따르면 스페인어와 일어, 프랑스어와 독일어도 유창히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비교적 마이너한 언어인 우르두어도 배웠다고.[10] 처음에는 쑨원이 제안하였으나 계획 구상으로 끝났다.[11] 싼샤댐은 건설 과정에서 비리가 많았고 반대의견이 많았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강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