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06:28:12

이작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e8e8e8,#2d2f34> 중구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 · 매도랑 · 사렴도 · 소무의도 · 소운염도 · 수수떼기 · 실미도 · 영종용유도(영종도 · 용유도) · 운염도 · 잠진도 · 장고도 · 조름섬 · 팔미도 · 해녀도
동구 물치도
남동구 저어새섬
서구 세어도 · 소다물도 · 소세어도 · 아라빛섬 · 켬섬 · 호도
강화군 강화도 · 괴리섬 · 교동도 · 기장섬 · 남황산도 · 납도 · 대송도 · 돌섬 · 동검도 · 동그랑섬 · 말도 · 미법도 · 볼음도 · 부념도 · 분지도 · 상여바위섬 · 서검도 · 석도 · 석모도 · 섬돌모루도 · 소송도 · 수섬 · 아차도 · 용란도 · 우도 · 은염도 · 응봉도 · 주문도 · 함박도[주] · 황산도
옹진군 가도 · 각흘도 · 갑죽도 · 거도 · 고석도 · 곰바위섬 · 관도 · 구지도 · 굴업도 · 금도 · 길마염 · 날가지도 · 남서도 · 납섬 · 낭각흘도 · 닭섬 · 당도 · 대가덕도 · 대갑죽도 · 대령도 · 대말도 · 대연평도 · 대이작도 · 대청도 · 대초지도 · 덕적도 · 도량도 · 동글섬 · 동만도 · 동백도 · 동초지도 · 먹염 · 멍애섬 · 모도 · 모이도 · 목덕도 · 목섬 · 문갑도 · 뭉퉁도 · 백령도 · 백아도 · 벌섬 · 벌안섬 · 복창지도 · 부도 · 사승봉도 · 사염 · 상고도 · 상공경도 · 상광대도 · 상벌섬 · 상석섬 · 서각흘도 · 서만도 · 석초섬 · 선갑도 · 선미도 · 선재도 · 소가덕도 · 소가도 · 소갑죽도 · 소낭각흘도 · 소령도 · 소야도 · 소어평도 · 소연평도 · 소이작도 · 소자암도 · 소지도 · 소청도 · 소초지도 · 소통각흘도 · 승봉도 · 시도 · 시도먹염 · 신도 · 신도 · 신도먹염 · 암서도 · 어평도 · 영흥도 · 오도 · 와염 · 외향도 · 울도 · 자암도 · 자월도 · 장구도 · 장봉도 · 주도 · 중고도 · 중광대도 · 중석섬 · 중울도 · 중통각흘도 · 지도 · 창서도 · 책도 · 측도 · 토끼섬 · 통각흘도 · 피도 · 하고도 · 하공경도 · 하광대도 · 하벌섬 · 하산도 · 하석섬 · 할미염 · 할미지 · 항도 · 황서도
[주]: 정전협정에 의해 북한의 영역으로 규정됐으나, 국토등기에는 남한 영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파일:Isacisland.png

1. 개요2. 상세
2.1. 대이작도2.2. 소이작도
3. 교통

1. 개요

伊作島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위치한 섬. 2개의 유인도(대이작도, 소이작도)로 구성되어 있다.

2. 상세

인천 본토로부터 44㎞ 떨어져 있어 인쳔연안여객터미널 혹은 대부도 방아머리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들어간다. 대이작도와 소이작도 사이의 거리는 약 200m정도의 짧은 거리라 다리를 놓는다는 얘기가 많았지만 진행되지는 못했다. 동쪽으로 가면 가까운 거리에 승봉도가 있어서 보통 세 섬이 세트로 엮인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속하였고, 고구려신라한강 유역을 번갈아 점령함에 따라 소속이 바뀌었다. 삼국시대에 이작도는 해적들의 근거지로 악명이 높았다고 하는데 섬의 이름도 해적이 은거했던 섬의 이적도에서 이작도로 변경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1] 조선시대에는 남양부에 속하였고, 1914년 경기도 부천군 영흥면에 소속되었다가 1983년 옹진군 자월면으로 승격되면서 새로운 법정리(이작리)로 독립하였다.

전체적으로 낮은 구릉성 지형이며, 갯바위가 많아 어디에서나 낚시가 가능하다. 섬 전역에 소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고, 선착장 후사면과 남부 해안가의 일부 지역에는 상수리나무 숲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민 대부분이 어업에 종사하며, 흑염소와 토종닭 등 가축 사육과 밭농사도 활발하다.

2.1. 대이작도

오형제 바위와 데크 길이 유명하다. 섬마을 선생님 영화의 촬영지인 계남 분교, 아들 낳게 해준다는 약수터, 구름다리가 있는 부아산 등도 볼만하다.

2.2. 소이작도

손가락 바위가 유명하다. 조선시대 땐 물길에 밝은 이곳 주민들 일부가 이순신 휘하의 해군으로 복무하기도 했다고 한다.
1박 2일 시즌 1에서 은지원이 낙오 된곳 중 하나이다.

3. 교통

인천 연안부두에서 코리아피스호, 옹진훼미리호, 대부고속페리호[2], 안산 대부도 방아머리에서 대부아일랜드호[3]가 운행한다. 모두 1번, 왕복 2번 정박한다. 대부고속페리호와 대부아일랜드호는 차도선으로, 자동차를 가지고 승선할 수 있다.

섬의 면적이 좁기에 버스는 운행하지 않는다.
[1] 소이적도에는 해적 전설의 유래를 딴 관광콘텐츠를 만들려고 한 흔적이 있다.[2] 연안부두⇔자월도, 승봉도 경유 후 이작도[3] 대부도⇔승봉도 경유 후 이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