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06:22:46

문갑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e8e8e8,#2d2f34> 중구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 · 매도랑 · 사렴도 · 소무의도 · 소운염도 · 수수떼기 · 실미도 · 영종용유도(영종도 · 용유도) · 운염도 · 잠진도 · 장고도 · 조름섬 · 팔미도 · 해녀도
동구 물치도
남동구 저어새섬
서구 세어도 · 소다물도 · 소세어도 · 아라빛섬 · 켬섬 · 호도
강화군 강화도 · 괴리섬 · 교동도 · 기장섬 · 남황산도 · 납도 · 대송도 · 돌섬 · 동검도 · 동그랑섬 · 말도 · 미법도 · 볼음도 · 부념도 · 분지도 · 상여바위섬 · 서검도 · 석도 · 석모도 · 섬돌모루도 · 소송도 · 수섬 · 아차도 · 용란도 · 우도 · 은염도 · 응봉도 · 주문도 · 함박도[주] · 황산도
옹진군 가도 · 각흘도 · 갑죽도 · 거도 · 고석도 · 곰바위섬 · 관도 · 구지도 · 굴업도 · 금도 · 길마염 · 날가지도 · 남서도 · 납섬 · 낭각흘도 · 닭섬 · 당도 · 대가덕도 · 대갑죽도 · 대령도 · 대말도 · 대연평도 · 대이작도 · 대청도 · 대초지도 · 덕적도 · 도량도 · 동글섬 · 동만도 · 동백도 · 동초지도 · 먹염 · 멍애섬 · 모도 · 모이도 · 목덕도 · 목섬 · 문갑도 · 뭉퉁도 · 백령도 · 백아도 · 벌섬 · 벌안섬 · 복창지도 · 부도 · 사승봉도 · 사염 · 상고도 · 상공경도 · 상광대도 · 상벌섬 · 상석섬 · 서각흘도 · 서만도 · 석초섬 · 선갑도 · 선미도 · 선재도 · 소가덕도 · 소가도 · 소갑죽도 · 소낭각흘도 · 소령도 · 소야도 · 소어평도 · 소연평도 · 소이작도 · 소자암도 · 소지도 · 소청도 · 소초지도 · 소통각흘도 · 승봉도 · 시도 · 시도먹염 · 신도 · 신도 · 신도먹염 · 암서도 · 어평도 · 영흥도 · 오도 · 와염 · 외향도 · 울도 · 자암도 · 자월도 · 장구도 · 장봉도 · 주도 · 중고도 · 중광대도 · 중석섬 · 중울도 · 중통각흘도 · 지도 · 창서도 · 책도 · 측도 · 토끼섬 · 통각흘도 · 피도 · 하고도 · 하공경도 · 하광대도 · 하벌섬 · 하산도 · 하석섬 · 할미염 · 할미지 · 항도 · 황서도
[주]: 정전협정에 의해 북한의 영역으로 규정됐으나, 국토등기에는 남한 영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파일:문갑도.png
문갑도의 전경.
문갑도
文甲島
Mungapdo
국가 대한민국
위치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면적 3.49km2
인구 111명

1. 개요2. 유래3. 문갑도 둘러보기
3.1. 두 개의 해수욕장
4. 화려했던 과거
4.1. 문갑도의 비극
5. 기타

1. 개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위치해있는 섬으로, 면적 3.49km2, 해안선길이 11km, 최고점 276m이다. 덕적도 남서쪽 3km 해상에 있으며 인천에서 54.6km 떨어져 있다.

2. 유래

명칭의 유래를 보면 한자상의 표기는 다르지만 섬의 생김새가 선비의 책상 문갑(文匣)과 같다 하여 문갑도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조선시대에는 독갑도(禿甲島)라고도 불렀는데, 섬의 형태가 '장수가 투구를 쓴 모양'이라는 뜻을 가진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시대 말에 간행된 '조선지지자료'에는 인천부 덕적면 문갑리로 표기되어 있으며, 1914년 부천군에 편입되었고, 1973년 7월 1일 옹진군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 3월 1일 인천시로 통합되었다.

3. 문갑도 둘러보기

여객선을 타고 문갑도에 들어가면 동쪽으로 모래해변이 길게 이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다지 높지 않은 산봉우리가 몇 개 있고 좌우로 길게 이어진 모래해변 뒤로 마을이 있다. 선착장은 왼쪽 끝, 섬의 남쪽에 마을과 제법 떨어진 지점에 있다.

방파제의 길이가 상당하다. 두 개의 방파제가 있는데 바깥쪽에 위치한 동쪽 방파제가 선착장이고 그 반대쪽은 안방파제이다.

파일:문갑도 마을전경.png
문갑도 마을 전경.

마을 외곽을 따라 위쪽으로 올라가면 해발 276m의 화유산이 있다. 화유산의 정상 깃대봉에 처녀바위가 북쪽에 서있다.[1]

3.1. 두 개의 해수욕장

파일:문갑해수욕장.png
문갑 해수욕장.

길이 700m, 너비 50m의 문갑 해수욕장과 한월리 해수욕장이 있다.

4. 화려했던 과거

1960년대에는 섬 근해에서 새우민어, 조기가 많이 잡히는 풍요로운 섬이었다. 예전에는 경기도 부천군 소속으로 부천에서 2번째 잘 나가는 동네였는데, 어선이 많아서 부자동네였다고 한다. 그물을 바다에 내리면 고기가 그물이 찢어질 정도로 많이 잡혔다. 이 소문이 전국으로 퍼져서 각지에서 문갑도로 사람들이 몰려왔다.

문갑도가 번성할 수 있었던 것은 문갑도와 선갑도 사이의 무인도인 각흘도 주변에서 새우가 많이 잡혔기 때문이다.

문갑도와 소야도, 이작도 사이의 바다를 반도골이라 하는데 여기서 민어가 많이 잡혔다고 한다.

4.1. 문갑도의 비극

문갑도의 위치상 늘 날씨가 좋다가도 겨울에는 내내 계절풍이 불어오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한 달에 4-5일 정도 심한 바람이 불어왔다. 풍랑과 태풍이 몰아쳐 오면 생명줄인 배는 한순간에 파괴되어 목숨까지 잃어버린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들이 바다에서 배를 잃고 사업은 망했다.

휴전선과 가깝기 때문에 어민들이 종종 본의 아니게 강제로 납북이 되면서 돌아오면 간첩이라고 '주홍글씨'가 씌워진다.

문갑도의 비극은 1972년 군경이 들어와 간첩을 잡는다고 섬 일대를 샅샅이 수색했다. 그래서 문갑도의 납북 어민들은 항상 수색 대상이었다.[2]

5. 기타

물이 풍부한 섬으로, 문갑도를 '물갑도'라고 불리울 정도로 높은 산에서 계곡을 따라 흐르는 물이 마르지 않았다.

유일하게 굴업도로 가는 선박을 탈 수 있는 섬이며 섬 주변에 낚시터가 있어서 강태공들이 찾아오기도 한다.

인구는 약 50명 정도가 사는 것으로 알려졌다.[3]

, 보리, 고구마 등 농산물과 놀래미, 우럭, 꽃게 등의 수산물도 생산한다.
[1]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나간 아비를 멀리서 바라보는 모습이라는 전설이 있다.[2] 당시 이러한 의심을 받은 집안들은 산산히 부서지고 고향 문갑도를 떠나 인천으로 이사를 갔다.[3] 2016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