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01:17:24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2024-25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2023-24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svg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파일:VfB 뤼베크 로고.svg
파일:SV 발트호프 만하임 로고.svg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파일:TSV 1860 뮌헨 로고.svg
파일:FC 빅토리아 쾰른 1904 로고.svg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
파일:SpVgg 운터하힝 로고.svg
파일:SSV 울름 1846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font-size: 0.8em"
파일:FC 잉골슈타트 04 로고.svg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SC 페를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파일:할레셔 FC 로고.svg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레기오날리가 참가 구단
· · · ·
}}}}}}}}} ||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FC Erzgebirge Aue
<colbgcolor=#674892><colcolor=#F8C900> 정식 명칭 Fußball Club Erzgebirge Aue e.V.
별칭 Veilchen (제비꽃), Schachter (광부)
창단 1946년 3월 4일 ([age(1946-03-04)]주년)
소속 리그 3. 리가 (3. Liga)
연고지 작센에르츠게비르크스 군 아우에바트슐레마 (Aue-Bad Schlema)
홈구장 에르츠게비르크스슈타디온 (Erzgebirgsstadion)
(16,485명 수용)
라이벌 FSV 츠비카우 - 베스트작센 더비
켐니처 FC
회장 파일:독일 국기.svg 롤란트 프뢰츠너 (Roland Frötschner)
이사장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디트만 (Nico Dittmann)
단장 파일:독일 국기.svg 마티아스 하이드리히 (Matthias Heidrich)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 파벨 도체프 (Pavel Dotchev)
주장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틴 메넬 (Martin Männel)
부주장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빈 슈테파니아크 (Marvin Stefaniak)
역대 한국인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수 (2020~2021)[1]
공식 웹사이트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3. 리가
(3부)

(1회)
2002-03

DDR 오버리가 (1부)
(3회)
1955-56, 1956-57, 1958-59
FDGB-포칼
(1회)
1954-55
클럽기록
최다 출장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틴 메넬 (Martin Männel) - 510경기 (1988- )
최다 득점 파일:독일 국기.svg 빌리 트뢰거 (Willy Tröger) - 119골 (1951-1962)
2023-24 시즌 골송
1. 개요2. 역사
2.1. 동독 시절2.2. 통일 이후2.3. 요약
3. 최근 시즌
3.1. 2019-20 시즌3.2. 2020-21 시즌3.3. 2021-22 시즌3.4. 2022-23 시즌3.5. 2023-24 시즌
4. 스쿼드5. 응원가
5.1. Steigerlied5.2. Zwei gekreuzte Hämmer
6. 여담7. 과거 주요 선수

[clearfix]

1. 개요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는 독일 작센 주 아우에의 축구 클럽으로, 현재 3. 리가 소속이다.

2. 역사

2.1. 동독 시절

파일:Logo_SC_Wismut_Karl-Marx-Stadt.gif 파일:800px-Wismut_Aue_logo.svg.png
SC 비스무트 카를 마르크스 슈타트 시절 로고 BSG 비스무트 아우에 슈타트 시절 로고

1946년 SG 아우에라는 이름으로 창단되고 여러 이름들을 거쳐 첸트라 비스무트 아우에라는 이름으로 바꿨다. 그런데 인근 도시였던 카를 마르크스 슈타트[2]에 축구팀이 없어서 카를 마르크스 슈타트를 연고로 하는 팀의 자격으로 DDR 오버리가에 참가한뒤, SC 비스무트 카를 마르크스 슈타트로 팀이름을 변경했다. 이후 전성기를 맞이하는데, 1955년엔 FDGB-포칼우승을 1956년, 1957년, 1959년에 리그에서 우승했다.

그러던 1963년 카를 마르크스 슈타트를 연고지로 하는 카를 마르크스 슈타트 FCDDR 오버리가로 승격하며 카를마르크스슈타트를 연고로한 팀이 2팀이 되자 연고지가 다시 아우에로 강제이전당하고 BSG 비스무트 아우에라는 이름으로 리그에 참가하게 된다. 이후로 우승은 하지 못했지만 꾸준히 상위권을 달렸다. 그러나 1990년 강등되었고 하필 이때 독일통일이 이루어지며 아우에는 4부리그였던 오버리가에 합류하게 된다.

2.2. 통일 이후

4부리그에서 뛰다가 1994년 3부리그에 레기오날리가 북부 지구가 새로 생기며 3부리그로 올라간 아우에는 2003년 2. 분데스리가로 승격했으나 2008년 다시 3부리그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2008년 3. 리가가 새로 생기면서 지역 리그로의 강등은 피했다. 2009-10시즌 3. 리가에서 2위를 기록하며 2.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2014-15시즌 17위로 강등되었다. 하지만 다행히 2015-16시즌 바로 2위로 승격에 성공했다.

2.3. 요약

3. 최근 시즌

3.1. 2019-20 시즌

2019-20시즌 초반부터 기세가 좋다 12라운드가 지난현재 5승 4무 3패로 4위에 올라있다.

2020년 06월 05일 현재 리그가 끝나가는 시점에 지속적으로 무, 패를 달성해 9위까지 내려갔다.

약간의 반등을 맞이했지만, 결국 7위로 시즌을 마감하고 만다.

3.2. 2020-21 시즌

12승 8무 14패라는 평범한 성적으로 잔류하였다. 순위는 12위.

3.3. 2021-22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2021-22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2022-23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2022-23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2023-24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2023-24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2023-24 시즌 스쿼드
파일:8472.png
파일:336320.png
파일:550002.png
파일:264042.pn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1 2 4 5 7
마르틴 메넬
Martin Männel

파일:독일 국기.svg | GK
1988.03.16 ([age(1988-03-16)])
2008~2025
팀 단호프
Tim Danhof

파일:독일 국기.svg | DF
1996.05.05 ([age(1996-05-05)])
2022~2024
니코 부칸치치
Niko Vukancic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2.02.16 ([age(2002-02-16)])
2023~2025
코르비니안 부어거
Korbinian Burger

파일:독일 국기.svg | DF
1995.04.27 ([age(1995-04-27)])
2022~2024
션 자이츠
Sean Seitz

파일:독일 국기.svg | FW
2003.03.30 ([age(2003-03-30)])
2023~2025
파일:553241.pn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파일:318345.png
파일:504868.png
파일:642807.png
8 9 10 11 12
요슈아 슈비르텐
Joshua Schwirten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2.01.07 ([age(1993-07-14)])
2022~
슈테펜 모이어
Steffen Meuer

파일:독일 국기.svg | FW
1999.12.06 ([age(1999-12-06)])
2023~2024
미르네스 페피치
Mirnes Pepic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 MF
1995.12.19 ([age(1995-12-19)])
2023~2025
오마르 시야리치
Omar Sijaric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1.11.02 ([age(2001-11-02)])
2021~2024
프랑코 셰들리히
Franco Schädlich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4.04.16 ([age(2004-04-16)])
2015~2022
파일:415620.png
파일:267382.png
파일:323692.png
파일:642767.png
파일:642756.png
13 14 15 16 17
에리크 마예차크
Erik Majetschak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0.03.01 ([age(2000-03-01)])
2019~2023
보리스 타쉬
Boris Tashchy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1993.07.26 ([age(1993-07-26)])
2022~
오마르 시야리치
Omar Sijaric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1.11.02 ([age(2001-11-02)])
2021~2024
마르코 쉬코라
Marco Schikora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4.09.20 ([age(1994-09-20)])
2022~2024
파울필립 베송
Paul-Philipp Besong

파일:독일 국기.svg | FW
2000.10.06 ([age(2000-10-06)])
2022~2023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파일:379134.png
파일:535412.png
파일:296393.png
파일:297131.png
18 21 22 23 24
안토니 바릴라
Anthony Barylla

파일:독일 국기.svg | DF
1997.06.01 ([age(1997-06-01)])
2021~2024
슈테펜 은칸사
Steffen Nkansah

파일:독일 국기.svg | DF
1996.04.07 ([age(1996-04-07)])
2022~
필리프 클레빈
Philipp Klewin

파일:독일 국기.svg | GK
1993.09.30 ([age(1993-09-30)])
2020~2023
안토니 바릴라
Anthony Barylla

파일:독일 국기.svg | DF
1997.06.01 ([age(1997-06-01)])
2021~2024
슈테펜 은칸사
Steffen Nkansah

파일:독일 국기.svg | DF
1996.04.07 ([age(1996-04-07)])
2022~
파일:427388.png
파일:363516.pn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파일:504407.png
25 26 27 28 29
막시밀리안 틸
Maximilian Thiel

파일:독일 국기.svg | FW
1993.02.03 ([age(1993-02-03)])
2022~23
니코 고르첼
Nico Gorzel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8.07.29 ([age(1996-07-29)])
2022~
엘리아스 후트
Elias Huth

파일:독일 국기.svg | FW
1997.02.10 ([age(1997-02-10)])
2022~
막시밀리안 틸
Sam Schreck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9.01.29 ([age(1999-01-29)])
2022~
마르빈 슈테파니아크
Marvin Stefaniak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5.02.03 ([age(1995-02-03)])
2022~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파일:263395.pn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파일:465521.pn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30 34 36 40 -
마르빈 슈테파니아크
Marvin Stefaniak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5.02.03 ([age(1995-02-03)])
2022~
람지 페르야니
Ramzi Ferjani

파일:튀니지 국기.svg | DF
2001.04.11 ([age(2001-04-11)])
2021~2024
구단 정보
감독: 파벨 도체프 / 수석코치: 외르그 에메리히 / 홈 구장: 에르츠게비르크스슈타디온
출처: 트랜스퍼마켓, 키커, 아우에 공식 사이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5월 26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

5. 응원가

5.1. Steigerlied

Steigerlied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Steigerlied
가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0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0px"
'''Glück auf, Glück auf ! Der Steiger kommt,'''
}}}}}} ||

5.2. Zwei gekreuzte Hämmer

Zwei gekreuzte Hämmer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Zwei gekreuzte Hämmer
가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0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0px"
'''Zwei gekreuzte Hämmer, und ein großes W'''
}}}}}} ||

6. 여담

  • 팬들이 극성맞기로 유명한 동독 팀들에 비해 아우에 팬들은 비교적 온건한 편이다.
  • 샬케와 함께 독일의 대표적인 석탄 광부 팀이다. 당장 구단의 이름에도 에르츠 산맥 (Erzgebirge)이 들어가며, 새로 입단하는 선수들은 다들 광부 체험을 하고 선수들이 입장하는 터널 역시 광산 모양이다. [3]

7. 과거 주요 선수


[1] 정확하게는 한국계 독일인이다.[2] 현재의 켐니츠.[3] 이는 샬케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