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amity Mo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아이콘 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tablebgcolor=#FFF,#262626><tablewidth=100%> 생물 관련 [[Calamity Mod/NPC| [[Calamity Mod/몬스터| [[Calamity Mod/보스| [[Calamity Mod/이벤트| 아이템 관련 [[Calamity Mod/아이템| 아이템 ]][[Calamity Mod/아이템/무기| [[Calamity Mod/아이템/방어구| [[Calamity Mod/아이템/치장품| [[Calamity Mod/아이템/블록| [[Calamity Mod/아이템/가구| [[Calamity Mod/아이템/장신구| [[Calamity Mod/아이템/장비| [[Calamity Mod/아이템/소모품| [[Calamity Mod/아이템/도구| [[Calamity Mod/아이템/재료| [[Calamity Mod/아이템/변경된 기존 아이템| 기타 [[Calamity Mod/시스템| [[Calamity Mod/모드로 인한 변동사항| [[Calamity Mod/버프 및 디버프| [[Calamity Mod/지형| [[Calamity Mod/설정| [[Calamity Mod/애드온|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텍스트 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tablebgcolor=#FFF,#2D2F34><colbgcolor=#3D2A2A,#2D2B2C"><colcolor=#FFF,#EFEFEF><tablewidth=100%> 생물 관련 | <colbgcolor=#FFF,#262626><colcolor=#212529,#E0E0E0>NPC · 몬스터 · 보스 · 이벤트 |
아이템 관련 | 아이템 (무기 (근접 · 원거리 · 마법 · 소환 · 로그) · 방어구 · 치장품 · 블록 · 가구 · 장신구 (전투) · 장비 · 소모품 · 도구 · 재료) | |||
기타 | 시스템 · 지형 · 설정 · 애드온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표기 설명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3px; padding: 1px; background: rgb(0 0 0 / 0.7); font-size: 1em" | }}}}}}}}}}}} |
아이템 - 무기 |
[[Calamity Mod/아이템/무기/근접| [[Calamity Mod/아이템/무기/원거리| [[Calamity Mod/아이템/무기/마법| [[Calamity Mod/아이템/무기/소환| [[Calamity Mod/아이템/무기/로그| [[Calamity Mod/아이템/무기#기타 무기| |
1. 개요
Calamity Mod의 근접 무기에 대해 정리한 문서.2. 분류
바닐라를 포함한 모든 검, 단검, 창류 근접 무기들은 근접(Melee), 근접 무속도 (Melee No Speed), 순수 근접(True Melee), 순수 근접 무속도(True Melee No Speed)로 총 4가지로 분류된다.근접과 근접 무속도의 차이점은 근접 무속도가 근접 스윙 속도 스탯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동일하다. 대부분의 부메랑, 철퇴, 요요 및 몇 가지 근접 무기들은 근접 무속도 유형에 포함된다.
2.1. 순수 근접(True Melee)
Calamity Mod는 순수 근접(True Melee, 트루 밀리)이라는 새로운 공격 및 무기 유형을 도입한다. 이 유형은 투사체를 생성하지 않거나, 직접적인 타격이 필요한 근접 무기들 및 도구들을 포함한다.[1]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순수 근접 무기 목록 #====
||<rowbgcolor=#234><table bordercolor=#234><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치명타 확률 || 자동 공격 || 희귀도 ||
| 타자 (Basher) | 50 | 40 (극도로 느림) | 7 (강함) | 4% | o | |
| 번트 시에나 (Burnt Sienna) | 32 | 20 (보통) | 5.5 (보통) | 4% | o | |
| 눈물방울 클리버 (Teardrop Cleaver) | 38 | 24 (느림) | 5.5 (보통) | 4% | o | |
| 부패한 칼날 (Tainted Blade) | 60 | 26 (느림) | 5 (보통) | 4% | o | |
| 사하라 슬라이서 (Sahara Slicer) | 23 | 18 (보통) | 6 (보통) | 4% | o | |
| 균사체 발톱 (Mycelial Claws) | 28 | 7 (매우 빠름) | 3.75 (약함) | 4% | o | |
| 야테베오의 꽃 (Yateveo Bloom) | 30 | 22 (보통) | 5 (보통) | 4% | x | |
| 가우스 단검 (Gauss Dagger) | 25 | 24 (느림) | 7 (강함) | 4% | o | |
| 소시지 메이커 (Sausage Maker) | 36 | 20 (보통) | 6.25 (강함) | 4% | o | |
| 옛 군주의 클레이모어 (Old Lord Claymore) | 60 | 34 (매우 느림) | 7 (강함) | 4% | o | |
| 대학살 (Carnage) | 130 | 20 (보통) | 5.25 (보통) | 4% | o | |
| 악마 분쇄기 (Evil Crusher) | 120 | 37 (매우 느림) | 6 (보통) | 4% | o | |
| 여진 (Aftershock) | 65 | 28 (느림) | 9 (매우 강함) | 4% | o | |
| 눈사태 (Avalanche) | 100 | 35 (매우 느림) | 7.25 (매우 강함) | 4% | o | |
| 장엄한 수호 (Majestic Guard) | 70 | 21 (보통) | 7.5 (매우 강함) | 4% | o | |
| 잠수정 분쇄기 (Submarine Shocker) | 90 | 10 (빠름) | 7.5 (매우 강함) | 4% | o | |
| 유황창 (Brimlance) | 50 | 19 (보통) | 7.5 (매우 강함) | 4% | o | |
| 유압 볼트 크래셔 (Hydraulic Volt Crasher) | 75 | 16 (보통) | 12 (상식을 벗어남) | 4% | x | |
| 야생가시 클레이모어 (Feralthorn Claymore) | 109 | 13 (빠름) | 7.25 (매우 강함) | 4% | o | |
| 헬카이트 (Hellkite) | 180 | 30 (느림) | 8 (매우 강함) | 4% | o | |
| 녹조 (Greentide) | 87 | 31 (매우 느림) | 7 (강함) | 4% | o | |
| 거인의 팔 (Titan Arm) | 69 | 12 (빠름) | 80 (상식을 벗어남) | 100% | o | |
| 갯가재 발톱 (Mantis Claws) | 144 | 8 (매우 빠름) | 7 (강함) | 4% | o | |
| 스텔라 스트라이커 (Stellar Striker) | 450 | 25 (느림) | 7.75 (매우 강함) | 4% | o | |
| 황금부리 (Gilded Proboscis) | 315 | 19 (보통) | 8.75 (매우 강함) | 4% | o | |
| 신성 가속기 (Holy Collider) | 270 | 21 (보통) | 7.75 (매우 강함) | 4% | o | |
| 뮤틸레이터 (The Mutilator) | 483 | 17 (보통) | 8 (매우 강함) | 4% | o | |
| 사자왕 (Lion Heart) | 960 | 14 (빠름) | 5.5 (보통) | 4% | o | |
| 최후의 비탄 (The Last Mourning) | 559 | 19 (보통) | 8.5 (매우 강함) | 4% | o | |
| 인광성 건틀릿 (Phosphorescent Gauntlet) | 2705 | 39 (극도로 느림) | 9 (매우 강함) | 4% | o | |
| 무라사마 (Murasama) | 2222 | 25 (느림) | 6.5 (강함) | 65% | x | |
| 집행자 (The Enforcer) | 890 | 17 (보통) | 9 (매우 강함) | 4% | o | |
| 용의 격노 (Dragon Rage) | 1075 | 25 (느림) | 7.5 (매우 강함) | 4% | o | |
| 대지 (Earth) | 179 | 15 (보통) | 9.5 (극도로 강함) | 4% | o | |
3. 목록
===# 검 #===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 타자 (Basher) | 50 | 40 (매우 느림) | 7 (강함) | 4% | <colcolor=green> o | | |
| 번트 시에나 (Burnt Sienna) | 32 | 20 (매우 빠름) | 5.5 (보통) | 4% | o | | |
| 상록수 벌목기 (Feller of Evergreens) | 18 | 24 (빠름) | 5 (보통) | 4% | o | | |
| 바닷빛 검 (Seashine Sword) | 25 | 19 (매우 빠름) | 4 (약함) | 4% | o | | |
| 눈물방울 클리버 (Teardrop Cleaver) | 38 | 24 (빠름) | 5.5 (보통) | 4% | o | | |
| 부패한 칼날 (Tainted Blade) | 70 | 26 (느림) | 5 (보통) | 4% | o | | |
| 완전한 어둠 (Perfect Dark) | 29 | 24 (빠름) | 4.25 (보통) | 4% | o | | |
| 정맥 분쇄기 (Vein Burster) | 47 | 41 (매우 느림) | 4.25 (보통) | 4% | o | | |
|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Broken Biome Blade) | 38 | 30 (보통) | 5 (보통) | 4% | o | | |
|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순수한 선명함) (Broken Biome Blade) (Pure Clarity) | 38 | 30 (보통) | 5 (보통) | 4% | o | | |
|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혹한의 아우름) (Broken Biome Blade) (Glacial Embrace) | 40 | 30 (보통) | 5 (보통) | 4% | o | | |
|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메마른 장엄) (Broken Biome Blade) (Arid Grandeur) | 35 | 30 (보통) | 5 (보통) | 4% | o | | |
|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부패의 쏘임) (Broken Biome Blade) (Decay's Retort) | 50 | 30 (보통) | 5 (보통) | 4% | o | | |
|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수풀쟁이의 손길) (Broken Biome Blade) (Grovetender's Touch) | 65 | 30 (보통) | 5 (보통) | 4% | o | | |
| 바람의 칼날 (Wind Blade) | 41 | 20 (매우 빠름) | 5 (보통) | 4% | o | | |
| 가우스 단검 (Gauss Dagger) | 25 | 24 (빠름) | 7 (강함) | 4% | o | | |
| 점액질 검 (Gelitic Blade) | 38 | 29 (보통) | 5.25 (보통) | 4% | o | | |
| 대학살 (Carnage) | o | 130 | 20 (보통) | 5.25 (보통) | 4% | o | |
| 악마 분쇄기 (Evil Smasher) | o | 120 | 37 (매우 느림) | 6 (보통) | 4% | o | |
| 어둠의 지배자 (The Dark Master) | x | 50 | 26 (느림) | 7 (강함) | 4% | o | |
| 부식성 칼날 (Caustic Edge) | x | 100 | 27 (느림) | 6 (보통) | 4% | o | |
| 록스칼리버 (Roxcalibur) | x | 180 | 40 (극도로 느림) | 13 (상식을 벗어남) | 12% | o | |
| 부영양화 언월도 (Eutrophic Scimitar) | x | 110 | 39 (극도로 느림) | 2 (매우 약함) | 4% | o | |
| 천상의 클레이모어 (Celestial Claymore) | x | 59 | 24 (느림) | 5.25 (보통) | 4% | o | |
| 스톰 세이버 (Storm Saber) | x | 66 | 22 (보통) | 6 (보통) | 4% | o | |
| 여진 (Aftershock) | o | 65 | 28 (느림) | 9 (매우 강함) | 4% | o | |
| 버림받은 세이버 (Forsaken Saber) | x | 80 | 15 (보통) | 6 (보통) | 4% | o | |
| 장엄한 수호 (Majestic Guard) | o | 70 | 21 (보통) | 7.5 (매우 강함) | 4% | o | |
| 금지된 맹검 (Forbidden Oathblade) | x | 110 | 55 (굼벵이) | 6.5 (강함) | 4% | o | |
| 눈사태 (Avalanche) | o | 100 | 35 (매우 느림) | 7.25 (매우 강함) | 4% | o | |
| 어둠빛 대검 (Darklight Greatsword) | x | 75 | 30 (매우 느림) | 6 (보통) | 4% | o | |
| 화염서리 칼날 (Flarefrost Blade) | x | 125 | 29 (느림) | 6.25 (강함) | 4% | o | |
| 유황검 (Brimstone Sword) | o | 70 | 28 (느림) | 7.5 (매우 강함) | 4% | o | |
| 대재앙의 클레이모어 (Catastrophe Claymore) | x | 85 | 23 (느림) | 6.25 (강함) | 4% | o | |
| 유황 채찍 (Brimlash) | x | 70 | 29 (느림) | 6 (보통) | 4% | o | |
| 야생가시 클레이모어 (Feralthorn Claymore) | o | 109 | 13 (빠름) | 7.25 (매우 강함) | 4% | o | |
| 헬카이트 (Hellkite) | o | 180 | 30 (매우 느림) | 8 (매우 강함) | 4% | o | |
| 심연의 검 (Abyss Blade) | x | 140 | 65 (굼벵이) | 7.5 (매우 강함) | 4% | o | |
| 만조 (Floodtide) | x | 91 | 20 (보통) | 6 (보통) | 4% | o | |
| 바스러진 클리버 (Blighted Cleaver) | x | 92 | 28 (느림) | 8 (매우 강함) | 4% | o | |
| 혜성 쇄도 (Comet Quasher) | o | 160 | 22 (보통) | 7.75 (매우 강함) | 4% | o | |
| 무질서의 칼날 (Anarchy Blade) | o | 150 | 18 (보통) | 7.5 (매우 강함) | 4% | o | |
| 녹조 (Greentide) | o | 86 | 31 (매우 느림) | 7 (강함) | 4% | o | |
| 아스트랄 낫 (Astral Scythe) | x | 120 | 19 (보통) | 6 (보통) | 4% | o | |
| 거인의 팔 (Titan Arm) | o | 69 | 12 (빠름) | 80 (상식을 벗어남) | 100% | o | |
| 이지스 블레이드 (Aegis Blade) | o | 152 | 16 (보통) | 4.25 (보통) | 4% | o | |
| 절대 영도 (Absolute Zero) | x | 75 | 20 (보통) | 4 (약함) | 4% | o | |
| 지옥불 플랑베르주 (Hellfire Flamberge) | x | 90 | 20 (보통) | 7.75 (매우 강함) | 4% | o | |
| 영혼 수확기 (Soul Harvester) | x | 85 | 21 (보통) | 7.5 (매우 강함) | 4% | o | |
| 독종 (Virulence) | x | 100 | 14 (빠름) | 5.5 (보통) | 4% | o | |
| 고귀한 맹검 (Exalted Oathblade) | x | 150 | 23 (느림) | 7.5 (매우 강함) | 4% | o | |
| 얼티머스 클리버 (Ultimus Cleaver) | x | 130 | 19 (보통) | 8 (매우 강함) | 4% | o | |
| 염분성 남작 (Briny Baron) | o | 182 | 20 (보통) | 4 (약함) | 4% | o | |
| 엔트로픽 클레이모어 (Entropic Claymore) | x | 90 | 25 (느림) | 5.25 (보통) | 4% | o | |
| 스톰 룰러 (Storm Ruler) | x | 80 | 24 (느림) | 6.25 (강함) | 4% | o | |
| 악의의 수확자 (Baleful Harvester) | o | 105 | 22 (보통) | 8 (매우 강함) | 4% | o | |
| 아스트랄 블레이드 (Astral Blade) | o | 142 | 8 (매우 빠름) | 6 (보통) | 29% | o | |
| 그랜드 가디언 (Grand Guardian) | o | 150 | 22 (보통) | 8.5 (매우 강함) | 4% | o | |
<colbgcolor=#eef,#677> | <colbgcolor=#eef,#677> 심판의 대검 (Greatsword of Judgement) | x | 40 | 17 (매우 빠름) | 7 (강함) | 4% | o | |
| 스텔라 스트라이커 (Stellar Striker) | o | 480 | 24 (빠름) | 7.75 (매우 강함) | 4% | o | |
| 역병 파수꾼 (Plague Keeper) | x | 68 | 19 (매우 빠름) | 6 (보통) | 4% | o | |
| 유린 (Devastation) | x | 132 | 23 (빠름) | 4.25 (보통) | 4% | o | |
| 솔스티스 클레이모어 (Solstice Claymore) | x | 300 | 15 (매우 빠름) | 6.5 (강함) | 4% | o | |
| 소드플로전 (Swordsplosion) | x | 60 | 29 (보통) | 7 (강함) | 4% | o | |
| 신성 가속기 (Holy Collider) | o | 270 | 21 (빠름) | 7.75 (매우 강함) | 4% | o | |
| 갤럭투스 블레이드 (Galactus Blade) | x | 84 | 16 (매우 빠름) | 6 (보통) | 4% | o | |
| 영혼사냥 낫 (Lifehunt Scythe) | x | 156 | 17 (매우 빠름) | 7.5 (매우 강함) | 4% | o | |
| 더럽혀진 대검 (Defiled Greatsword) | x | 119 | 28 (느림) | 9 (극도로 강함) | 4% | o | |
| 테라토미어 (Terratomere) | x | 145 | 20 (매우 빠름) | 7 (강함) | 4% | o | |
| 뮤틸레이터 (The Mutilator) | o | 483 | 17 (매우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 거울의 칼날 (Mirror Blade) | x | 180 | 11 (매우 빠름) | 7 (매우 강함) | 4% | o | |
| 공포의 칼날 (Terror Blade) | x | 500 | 17 (매우 빠름) | 8.5 (매우 강함) | 4% | o | |
| 사자왕 (Lion Heart) | o | 960 | 14 (매우 빠름) | 5.5 (보통) | 4% | o | |
| 공허의 칼날 (Void Edge) | x | 174 | 24 (느림) | 7 (강함) | 4% | o | |
| 최후의 비탄 (The Last Mourning) | o | 550 | 19 (빠름) | 8.5 (매우 강함) | 4% | o | |
| 넵튠의 하사품 (Neptune's Bounty) | x | 444 | 65 (굼벵이) | 9 (매우 강함) | 4% | o | |
| 고귀했던 존재 (Excelsus) | x | 281 | 14 (매우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 집행자 (The Enforcer) | x | 890 | 16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정수 약탈꾼 (Essence Flayer) | x | 180 | 18 (매우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 악마의 유린 (Devil's Devastation) | x | 166 | 19 (매우 빠름) | 6.75 (강함) | 4% | o | |
| 질서인도자 (Orderbringer) | x | 138 | 17 (매우 빠름) | 7 (강함) | 4% | o | |
| 선명한 파괴자 (Prismatic Breaker) | x | 699 | 13 (매우 빠름) | 7 (강함) | 12% | o | |
| 아타락시아 (Ataraxia) | x | 675 | 10 (매우 빠름) | 2.5 (매우 약함) | 4% | o | |
| 엑소블레이드 (Exoblade) | x | 915 | 49 (굼벵이) | 9 (매우 강함) | 4% | o | |
| 게일의 대검 (Gael's Greatsword) | x | 690 | 11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붉은 태양 (Red Sun) | x | 350 | 10 (매우 빠름) | 4 (약함) | 4% | o | |
| 대지 (Earth) | o | 170 | 15 (매우 빠름) | 9.5 (극도로 강함) | 4% | o | |
| 가혹한 파괴 (Draconic Destruction) | x | 200 | 34 (매우 느림) | 7.25 (매우 강함) | 4% | o | |
| 무지갯빛 엑스칼리버 (Iridescent Excalibur) | o | 3,000 | 15 (보통) | 8 (매우 강함) | 4% | o | |
3.1. 하드모드 이전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타자, 영=Basher, 희소=Blue,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50, 시=40, 넉=7,
조합=,
링1=황산 비늘, 링1모드=,
글2=(12) +,
링2=산성목, 링2모드=,
글3=(30) @,
링9=모루)]
크툴루의 눈 이후 제작 가능한 순수 근접 무기. 배트처럼 생겼으나 검으로 분류된다.글2=(12) +,
링2=산성목, 링2모드=,
글3=(30) @,
링9=모루)]
적 타격 시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번트 시에나, 영=Burnt Sienna, 희소=Green, 자동=, 예시=공격,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32, 시=20, 넉=5.5,
드롭=,
링1=툼 크롤러, 링1문서=몬스터,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4% /,
글6=6.67%, 글6색=,
글7=), 글7트림=,)]
무기를 휘두르면 노랗게 빛나는 입자를 방출하고, 이 무기로 적을 죽이면 그 자리에서 노란색 오브들이 포물선을 그리며 위로 3개 나오며 이에 접촉 시 각각 체력을 3 회복한다. 오브가 적을 죽여야만 나오는 것도 그렇고, 체력 회복량도 매우 미미해서 보스전 때 쓸 만한 무기는 아니다.글5=(4% /,
글6=6.67%, 글6색=,
글7=), 글7트림=,)]
여담으로 번트 시에나란 명칭은 짙은 적갈색을 띄는 색상을 가리키며, 색상 코드는 #623034이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미친 광신도 혹은 아스트럼 데우스 이후 그랜드 가디언의 재료로 들어가고, 개발자 무기인 대지 제작 트리에 포함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바닷빛 검, 영=Seashine Sword, 희소=Green, 자동=, 추가=바닷빛 빔,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25, 시=19, 넉=4, 발=12,
조합=,
링1=진주 조각, 링1모드=, 링1h=24,
글2=(3) +,
링2=바다 프리즘, 링2모드=, 링2h=24,
글3=(7) +,
링3=진청석,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블록,
글4=(10),
글9=@, 글9개행=,글2=(3) +,
링2=바다 프리즘, 링2모드=, 링2h=24,
글3=(7) +,
링3=진청석,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블록,
글4=(10),
링9=모루)]
사막의 무법자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공격 시 푸른 검 모양의 바닷빛 빔을 발사하고, 빔은 적이나 블록과 충돌 시 소멸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눈물방울 클리버, 영=Teardrop Cleaver, 희소=Green,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38, 시=24, 넉=5.5,
드롭=,
링1=크툴루의 눈,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2=(10%))]
크툴루의 눈이 드롭하는 순수 근접 무기로, 피격당한 적은 1초간 무기 전용 디버프인 글2=(10%))]
공격력보다는 무기가 유발하는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부패한 칼날, 영=Tainted Blade, 희소=Green,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70, 시=26, 넉=5,
조합=,
링1=산성목, 링1모드=,
글2=(10) +,
링2=사망초, 링2문서=아이템/재료,
글3=(2),
글4=+,
링4=[그림자 비늘/조직 샘플],
글5=(8)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바닐라 오염 지대 보스 이후 제작 가능한 순수 근접 무기.글2=(10) +,
링2=사망초, 링2문서=아이템/재료,
글3=(2),
글4=+,
링4=[그림자 비늘/조직 샘플],
글5=(8)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검에 피격당한 적은 4초간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하드모드에서 부식성 칼날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완전한 어둠, 영=Perfect Dark, 희소=Orange, 자동=, 추가=어둠의 공,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29, 시=24, 넉=4.25,
드롭=,
한=완전한 어둠, 영=Perfect Dark, 희소=Orange, 자동=, 추가=어둠의 공,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29, 시=24, 넉=4.25,
드롭=,
링1=하이브 마인드,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조합2=,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링21=썩은 덩어리,
글22=(5) +,
링22=데모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3=(5) +,
링23=썩은 물질, 링23모드=, 링23h=18, 링23개행=,
글24=(15) @,
링29=제단, 링29문서=오브젝트, 링29h=16)]
글22=(5) +,
링22=데모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3=(5) +,
링23=썩은 물질, 링23모드=, 링23h=18, 링23개행=,
글24=(15) @,
링29=제단, 링29문서=오브젝트, 링29h=16)]
칼라미티의 오염 지대 보스들이 드롭하는 무기로, 제작도 가능하다. 둘의 공격 방식 자체는 같은데, 무기를 휘두르면 중력의 영향을 받는 공을 투척한다. 이 공은 타일에 닿으면 그 자리에 붙어 있다 4초 뒤 폭발해 범위 내 적에게 피해를 입히며, 적에게 닿으면 지연 시간 없이 바로 터진다.
두 검의 차이점이라면, 공격력과 사용 시간이 서로 달라 완전한 어둠은 가벼운 느낌을, 정맥 분쇄기는 묵직한 느낌을 준다. 또, 완전한 어둠은
두 검 모두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영=Broken Biome Blade,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8, 시=30, 투사체 속도=12, 넉=5,
조합=,
링1=아무 나무 검, 링1확장자=gif,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돌 블록,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50) +,
링3=흙 블록, 링3문서=아이템/블록,
글4=(50) +,
링4=창공석 주괴, 링4모드=, 링4개행=,
글5=(5) +,
링5=지옥석 주괴, 링5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6=(5) @,
링9=모루)]
글2=+,
링2=돌 블록,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50) +,
링3=흙 블록, 링3문서=아이템/블록,
글4=(50) +,
링4=창공석 주괴, 링4모드=, 링4개행=,
글5=(5) +,
링5=지옥석 주괴, 링5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6=(5) @,
링9=모루)]
아직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창공석 해금 이후 제작 가능한 검으로, 획득 직후 상태에서는 아무런 효과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플레이어가 평지에서 움직이지 않는 채로 2초간 우클릭을 누르면, 검을 바닥에 내리꽂아 주변 바이옴과 검을 조율(Attune)해, 무기에 바이옴에 따른 특수 효과를 부여한다. 이 조율은 바이옴 블레이드 계열 무기들만의 독자적인 시스템이다.조율에는 총 5가지의 형태가 존재하며, 이 중에서 2가지를 골라 무기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조율은 우클릭으로 서로 변경할 수 있다. 조율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순수한 선명함), 영=Broken Biome Blade(Pure Clarity), 희소=Orange, 자동=, 추가=순수의 투영,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8, 시=30, 넉=5,
기타=,
무기를 사용하면 검을 휘둘러 관통 능력이 없는, 검처럼 생긴 중거리 투사체를 발사한다. 투사체는 적에게 1.5초간
갑옷 분쇄 디버프를 입힌다. 일반적인 검기를 날리는 검처럼 효과가 비교적 단순하고 직관적인 편.
순수한 선명함의 툴팁은 올리브색(#ABB488)으로 표기된다.
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순수한 선명함), 영=Broken Biome Blade(Pure Clarity), 희소=Orange, 자동=, 추가=순수의 투영,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8, 시=30, 넉=5,
기타=,
링1=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글5=를 숲이나 지하에서 조율,
글7트림=)]
순수한 선명함은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를 전염되지 않은 일반적인 지상이나 지하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로, 다른 조율에서 언급하지 않은 모든 지형이 여기에 포함된다.글5=를 숲이나 지하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를 사용하면 검을 휘둘러 관통 능력이 없는, 검처럼 생긴 중거리 투사체를 발사한다. 투사체는 적에게 1.5초간
순수한 선명함의 툴팁은 올리브색(#ABB488)으로 표기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혹한의 아우름), 영=Broken Biome Blade(Glacial Embrace),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0, 시=30, 넉=5, 기타=, 링1=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혹한의 아우름은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를 설원 및 설원 지하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설원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를 사용하면 검을 아래, 위로 한 번씩 휘두르고 앞으로 내던져 세 차례 공격한다. 앞으로 내던져진 검은 115%의 피해를 입히며, 내던져진 검에 맞은 적은 혹한의 아우름의 툴팁은 창백한 푸른색(#A5EBEB)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메마른 장엄), 영=Broken Biome Blade(Arid Grandeur),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5, 시=30, 넉=5, 기타=, 링1=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메마른 장엄은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를 사막이나 지하세계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사막이나 지하세계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를 사용하면 플레이어가 검을 앞으로 들고, 검 주변에 4개의 칼날이 나타나 검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이 때 적을 타격한다면 검의 크기, 공격력이 증가하고 공격 빈도도 잦아진다. 검의 공격력은 기본 수치인 35에서 최대 60까지 증가하며, 적을 타격하지 않는다면 검의 크기, 공격력이 점점 줄어들어 원 상태로 돌아온다. 공격 빈도도 마찬가지. 이 조율은 공격 기능 외에도 이동용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공중에서 검은 스카이콩콩처럼 작용해, 떨어지며 블록에 부딪히면 다시 튀어오른다. 적을 내려찍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튀어오르는데, 이 때에는 적의 이동 속도를 약간 훔쳐와 다시 그대로 내려찍는 데 조금의 도움이 되게 해 준다. 메마른 장엄의 툴팁은 오렌지색(#EE9C49)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부패의 쏘임), 영=Broken Biome Blade(Decay's Retort),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50, 시=30, 넉=5, 기타=, 링1=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부패의 쏘임은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를 오염 및 진홍지대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사악한 지형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를 사용하면 플레이어가 커서 방향으로 검을 겨누어 빠르게 돌진한다. 돌진 공격으로 적을 타격하면, 플레이어는 2의 체력을 회복하며 반대 방향으로 튕겨져 나온다. 플레이어가 돌진해 블록과 부딪히면 다시 땅에 닿을 때까지 돌진할 수 없지만, 적을 상대로는 땅에 닿지 않아도 계속 돌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옆의 메마른 장엄과 유사하게, 적을 위에서 계속 찍으며 다닐 수 있다. 부패의 쏘임의 툴팁은 짙은 분홍색(#D34093)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수풀쟁이의 손길), 영=Broken Biome Blade(Grovetender's Touch), 희소=Orange, 자동=, 추가=뒤엉킨 성장,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5, 시=30, 넉=5, 기타=, 링1=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수풀쟁이의 손길은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를 정글과 월드 양 끝단의 바다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로, 모드 지형인 유황 바다도 여기 포함된다.글5=를 정글이나 바다\, 유황 바다에서 조율, 글7트림=)] 이 조율은 무기를 검보다 채찍에 가까운 형태로 만든다. 무기를 사용하면 플레이어는 그 끝에 검 본체가 달린 덩굴 채찍을 휘두르며, 채찍줄은 적에게 무기 공격력 60%의 피해를 입힌다. 그러나 적이 채찍 끝에 달린 검에 피격당하면 그 공격은 반드시 치명타로 발동되며, 무기 공격력 또한 120%로 상승한다. 즉, 240%의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셈이다. 옆의 메마른 장엄, 부패의 쏘임과는 다른 방식으로, 무기를 이동용 도구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휘두른 무기 끝이 블록에 닿으면 플레이어는 그 방향으로 끌려가, 갈고리와 유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적과의 전투 시에 급히 도망가거나 빠르게 적에게 붙을 때 유용하다. 수풀쟁이의 손길의 툴팁은 라임색(#A2C855}으로 표기된다. |
무기의 모드가 다양하며 각각의 장단이 있어, 쓰는 맛이 있는 편이다. 검인데도 이동 관련 기믹이 많은 것도 한 가지 특징이다. 그러나 실성능은 조금 떨어지는 편.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추가로, 검의 이름 때문인지,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는 부서진(Broken) 접두사를 가질 수 없다.
하드모드 기계보스를 전부 격파한 이후 바이옴 블레이드로 강화할 수 있고, 야론 이후 무기인 우주의 방주 제작 트리에 포함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바람의 칼날, 영=Wind Blade, 희소=Orange, 자동=, 추가=회오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1, 시=20, 넉=5,
조합=,
링1=태양판 블록, 링1문서=아이템/블록,
글2=(3) +,
링2=창공석 주괴, 링2모드=,
글3=(9) @,
링9=하늘 방앗간, 링9h=24)]
창공석 해금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3) +,
링2=창공석 주괴, 링2모드=,
글3=(9) @,
링9=하늘 방앗간, 링9h=24)]
검을 휘두를 때마다 푸른빛의 입자들과 함께, 주변의 일반 적들을 끌어들이는 회오리를 발사한다. 회오리의 피해량은 무기 공격력의 50%이며 적을 최대 1번 관통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거나 2번째 적과 닿으면 소멸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하드모드에서 스톰 룰러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가우스 단검, 영=Gauss Dagger, 희소=Orange, 희소2=Dark Orange,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25, 시=24, 넉=7,
조합=,
링1=수상한 도금판, 링1모드=, 링1h=18,
글2=(7)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5) +,
링3=창공석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링3개행=,
글4=(4) +,
링4=운석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4) @,
링5=모루, 링5문서=아이템/가구/작업,
글6=(, 글6개행=,
링6=설계도면 (침몰한 바다), 링6모드=, 링6문서=아이템, 링6한줄로=, 링6트림=,
글7=획득 이후))]
창공석 해금 이후 제작할 수 있는 드레이돈 근접 무기.글2=(7)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5) +,
링3=창공석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링3개행=,
글4=(4) +,
링4=운석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4) @,
링5=모루, 링5문서=아이템/가구/작업,
글6=(, 글6개행=,
링6=설계도면 (침몰한 바다), 링6모드=, 링6문서=아이템, 링6한줄로=, 링6트림=,
글7=획득 이후))]
적을 무기로 세 번 타격했을 경우 좁은 범위에 3초간 지속되는 에너지 파장을 형성한다.
드레이돈 무기인 만큼 사용 전 충전이 필요하며, 최대 충전량 50을 지니고 1회 사용 시 충전량을 0.05 소모한다. 총 1000회 사용할 수 있는 것.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점액질 검, 영=Gelitic Blade,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젤 파동,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38, 시=29, 넉=5.25,
조합=,
링1=정제된 젤, 링1모드=, 링1h=24,
글2=(18) @,
링9=정적 정제소,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슬라임 갓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18) @,
링9=정적 정제소,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검을 휘두르면 젤 파동을 날린다. 파동은 적을 1회 관통할 수 있으며, 적 관통 후 속도가 느려진다. 넉백이 어느 정도 있는데다 파동의 타격 전후 속도 차이가 꽤나 커서, 한 파동이 같은 적을 두 번 타격할 수도 있다.
검과 파동 모두 타격한 적에게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3.2. 하드모드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대학살, 영=Carnage,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130, 시=21, 넉=5.25,
드롭=,
링1=월 오브 플레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2=(10%))]
월오플이 드롭하는 순수 근접 무기.글2=(10%))]
검으로 적을 죽이면 해당 적이 폭발하며 6~8개의 핏방울을 주변에 흩뿌린다. 핏방울은 무기 공격력의 30%의 피해량을 지니며, 적 타격 시 입힌 피해량의 7.5%만큼 플레이어를 치유해 준다.
이전에는 별도의 쿨타임 없이 플레이어를 치유해 줬으나, 패치로 인해 흡혈 쿨타임을 따르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무기 성능도 나빠졌다. 그나마 위안이 되는 건 무기 자체 공격력이 꽤나 크다는 점이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악마 분쇄기, 영=Evil Smasher,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120, 시=37, 넉=6,
채집=,
링1=제단, 링1문서=오브젝트, 링1h=16, 링1한줄로=,
글2=12개를 부술 경우 확정적으로 획득)]
하드모드 진입 직후 획득할 수 있는 순수 근접 무기로, 망치처럼 생겼으나 검으로 분류된다.글2=12개를 부술 경우 확정적으로 획득)]
획득 방법이 특이한데, 월드 곳곳의 제단을 부숴야 얻을 수 있다.
이 무기로 적을 죽일 시, 무기의 공격력, 공격 속도, 넉백이 10% 증가한다. 이 효과는 최대 10번까지 중첩되는데, 피격 시 중첩이 하나씩 까이고, 다른 아이템을 사용하면 모든 중첩이 사라진다.
보더랜드 2의 동명의 무기에서 모티브를 따 왔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한=부식성 칼날, 영=Caustic Edge,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부식성 빔,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00, 시=27, 넉=6,
조합=,
링1=부식성 칼날,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사망초,
글3=(4) +,
글5=( , 글5개행=,
링5=저주받은 불꽃의 플라스크, 링5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5h=20, 링5트림=,
글6=/,
링6=이코르의 플라스크, 링6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6h=20,
글7= ) (5) +, 글7트림=,
링7=독의 플라스크, 링7문서=아이템/소모품, 링7h=20, 링7개행=,
글8=(5)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하드모드 진입 후 제작 가능한 부패한 칼날의 강화판.글2=+,
링2=사망초,
글3=(4) +,
글5=( , 글5개행=,
링5=저주받은 불꽃의 플라스크, 링5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5h=20, 링5트림=,
글6=/,
링6=이코르의 플라스크, 링6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6h=20,
글7= ) (5) +, 글7트림=,
링7=독의 플라스크, 링7문서=아이템/소모품, 링7h=20, 링7개행=,
글8=(5)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검을 휘두를 때마다 적을 2번 관통하거나 블록에 2번 튕길 수 있는 부식성 빔을 빠르게 발사한다. 빔은 적을 관통하거나 블록에 튕길 때마다 속도가 50%씩 줄어들며, 무기 공격력의 75%의 피해를 입힌다. 검날이나 빔에 피격당한 적은
투사체 속도가 빠른데다 대미지도 강하고 디버프까지 쏠쏠하게 챙겨 줘, 예로부터 하드모드 초반에 아주 유용했다. 하드모드에 진입하자마자 기계 보스들을 때려잡는 데 좋으며, 기계 보스를 하나도 잡지 않고도 제작 가능하다는 접근성 덕에 여러모로 뛰어난 무기. 그 때문에 너프도 꾸준히 받아왔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플랜테라 이후 바스러진 클리버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어둠의 지배자, 영=The Dark Master,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어둠의 지배자 분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50, 시=26, 넉=7,
조합=,
링1=빔 소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빛의 파멸,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밤의 영혼,
글4=(20) +,
링4=혼돈의 정수, 링4모드=, 링4개행=,
글5=(3) +,
링5=루비,
글6=@,
링9=모루)]
하드모드에서 제작 가능한 빔 소드와 빛의 파멸의 강화판.글2=+,
링2=빛의 파멸,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밤의 영혼,
글4=(20) +,
링4=혼돈의 정수, 링4모드=, 링4개행=,
글5=(3) +,
링5=루비,
글6=@,
링9=모루)]
체력이 75%이상일 경우, 휘두를 때마다 초승달 모양의 붉은 검기를 쏜다. 특이하게도 검기의 피해량은 플레이어의 추가 최대 체력 1당 0.1%씩 증가한다.[2]
또, 검을 들고 우클릭을 하면 주위에 그림자 분신 3체가 플레이어 주위에 삼각 대형으로 소환되는데, 이 분신들은 플레이어와 동시에 검기를 발사한다. 분신들의 데미지는 플레이어의 40%이며, 플레이어의 현재 체력에 관계없이 검기를 쏠 수 있다. 분신이 쥔 검 자체는 적에게 아무런 피해도 주지 못한다. 분신들은 다른 무기나 아이템을 들면 검은 연기로 흩어지며 사라진다.
분신들은 플레이어가 착용한 갑옷과 장신구를 똑같이 착용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모티브는 젤다의 전설 시리즈에 등장하는 마스터 소드.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한=록스칼리버, 영=Roxcalibur,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설치 모습,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돌 파편,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80, 시=40, 넉=13, 치=12,
채집=,
링1=지하, 링1문서=지형, 링1문자만=,
조합2=,링21=자수정,
글22=(2) +,
링22=혼돈의 정수, 링22모드=,
글23=(5) +,
링23=밤의 영혼,
글24=(10) +,
링24=지옥석 주괴, 링24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24개행=,
글25=(25) +,
링25=흑요석, 링25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6=(10) +,
링26=돌 블록, 링26문서=아이템/블록,
글27=(100) @,
링29=모루)]
하드모드에서 조합을 통해 얻는 검이지만, 그 이전에도 지하에서 월드당 1개씩만 생성되는 유물 오브젝트를 부숴 획득할 수 있다. 단, 월 오브 플레시를 격파하기 전에는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유물은 지하, 대동굴, 지하세계, 정글 지하에서만 생성될 수 있으며, 사막 지하, 설원 지하, 심연 등 기타 지형에서는 생성되지 않는다. 또, 유물은 월드 왼쪽에 생성되려는 경향이 있다.글22=(2) +,
링22=혼돈의 정수, 링22모드=,
글23=(5) +,
링23=밤의 영혼,
글24=(10) +,
링24=지옥석 주괴, 링24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24개행=,
글25=(25) +,
링25=흑요석, 링25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6=(10) +,
링26=돌 블록, 링26문서=아이템/블록,
글27=(100) @,
링29=모루)]
무기를 사용하면 검을 높이 치켜들어 공격을 준비하고, 이후 공격방식이 마우스 커서의 위치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커서가 플레이어 위에 위치해 있을 경우, 검을 앞으로 휘두르며 돌 파편 여러 개를 발사해 피해를 입힌다. 피해량은 충전시간에 따라 최대 250%까지 늘어난다.
커서가 플레이어 아래에 위치할 경우, 검을 강하게 내려찍는다. 이 공격으로 적을 타격하면 플레이어는 그 반동으로 튀어오르며, 충전시간에 따라 최대 350%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무기 충전이 최대치일 때, 돌 부딪히는 소리를 재생해 이를 알린다.
앞서 말했듯이 하드모드 진입 이전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획득 자체는 그와 상관없이 언제든지 가능하며, 무기를 쉬머링해 하드모드 이전에도 혼돈의 정수와 밤의 영혼을 얻을 수 있다. 이 점을 이용해, 하드모드에 진입하지 않고 슈칼까지 모든 보스를 잡는 방법이 존재한다!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 엑스칼리버에서 모티브를 따 왔다. 다만 아서왕의 전설 원본과는 다르게 검을 뽑지 못해, 꼽혀있던 돌까지 뿌리채로 가져와버린 모양...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부영양화 언월도, 영=Eutrophic Scimitar,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시미터 스파크,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10, 시=40, 넉=2,
드롭=,
링1=장님 낚시꾼,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25%))]
장님 낚시꾼이 드롭하는 무기.글2=(25%))]
사용 시 두 발의 스파크를 발사한다. 스파크는 1초간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천상의 클레이모어, 영=Celestial Claymore,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개행=, 추가=붉은 별, 추가설명=, 추가2=푸른 별, 추가2설명=, 추가3=노란 별, 추가3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59, 시=24, 넉=5.25,
드롭=,
링1=오염된 미믹,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
링2=진홍색 미믹, 링2문서=몬스터, 링2h=24,
글3=/,
링3=신성한 미믹, 링3문서=몬스터, 링3h=24, 링3개행=,
글4=/,
링4=정글 미믹, 링4문서=몬스터, 링4h=24,
글5=(14.29% /,
글6=25%, 글6색=,
글7=), 글7트림=,)]
기존에 드롭하는 미믹의 고유 무기나 악세서리와는 별도로 드롭되며, 휘두를 때마다 커서 주변 무작위 장소에 알록달록한 별 2개를 생성한다. 별은 몇 초 뒤 폭발해 각종 디버프를 입힌다. 붉은 별은 글2=/,
링2=진홍색 미믹, 링2문서=몬스터, 링2h=24,
글3=/,
링3=신성한 미믹, 링3문서=몬스터, 링3h=24, 링3개행=,
글4=/,
링4=정글 미믹, 링4문서=몬스터, 링4h=24,
글5=(14.29% /,
글6=25%, 글6색=,
글7=), 글7트림=,)]
범위 공격에 특화된 검으로, 파괴자 최초 격파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다만 공격 범위가 플레이어에 가깝다는 점은 유의가 필요하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여진, 영=Aftershock,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여진의 바위,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65, 시=28, 넉=9,
드롭=,
링1=대지 정령,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25%))]
적을 타격하면 하늘에서 마우스 커서가 있는 방향으로 바위를 떨어트린다. 이 바위는 지형에 튕겨다니며 적을 최대 2번 관통한다. 검 본체의 공격은 적에게 글2=(25%))]
바위가 적을 여러 번 관통하므로 파괴자 같은 다관절 적에게 유용하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스톰 세이버, 영=Storm Saber,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폭풍의 빔,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6, 시=22, 넉=6,
드롭=,
링1=구름 정령,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20%))]
구름 정령 드롭 근접 무기.글2=(20%))]
휘두를 때마다 느린 유도성 폭풍 빔을 두 개 발사한다. 하나는 검으로부터 나오고, 나머지 하나는 하늘에서 커서 방향으로 떨어진다. 검에서 발사된 투사체는 무기 공격력의 80%, 하늘에서 떨어지는 투사체는 60%의 피해를 입힌다.
투사체의 훌륭한 유도 기능 덕분에 하드 초반부에 정신없이 날아다니는 보스들을 잡기에 적합한 무기다. 무기를 드롭하는 구름 정령의 스폰 조건이 까다롭지만, 무기 파밍만 해두면 첫 기계 보스까지 무난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미친 광신도나 아스트럼 데우스 이후 스톰 룰러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눈사태, 영=Avalanche,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얼음 폭탄,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100, 시=35, 넉=7.25,
드롭=,
링1=크라이오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크라이오젠이 드롭하는 순수 근접 무기로, 도끼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검으로 분류된다.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대상을 타격하면 그 대상을 중심으로 한 정사각형 형태로 4개의 얼음 폭탄을 남긴다. 얼음 폭탄은 지형을 관통하며 3초 후 혹은 접촉시 폭발하여 얼음 파편을 흩뿌린다. 얼음 폭탄은 50%의 넉백을 가지며, 얼음 파편은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가한다.
지렁이 담당일진으로 악명이 높다. 무기로 타격한 마디 하나하나마다 얼음 폭탄이 생성되어 그 폭탄들이 또다시 범위 내의 모든 마디에게 피해를 주니, 딜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 하드 극초반에 획득 가능한 이 무기로 하드모드 극후반 보스인 아스트럼 데우스까지 때려잡을 수 있을 정도의 강력한 성능을 보여, 칼라미티 모드의 망가진 밸런스를 상징하는 무기중에 하나다. 이에 대한 페널티로, 획득 이후 만날 수 있는 첫 지렁이 보스인 파괴자는 얼음 폭탄으로부터 50%만의 피해를 입히지만, 이에도 불구하고 파괴자 상대로 가장 추천받는 근접 무기.
지렁이 외에도, 잡몹을 많이 소환하는 플랜테라 전투 전반에서도 쓸 만하다. 1페이즈에서는 한 자리에 오래 머물게 할 수 있는 특성상 폭발과 파편의 높은 깡딜을 고스란히 박아넣을 수 있고, 2페이즈에서는 대량의 촉수를 타격하는 것에서 나오는 수많은 폭탄으로 촉수 그 자체와 함께 플랜테라 본체에게도 높은 피해를 가한다. 일반적인 근접 무기의 경우 더 안정적인 선택지가 많겠지만, 트루 밀리 플레이를 하는 경우 플랜테라 상대로 이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는 무기는 찾아보기 힘들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로그 무기 켈빈 카탈리스트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유황검, 영=Brimstone Sword,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70, 시=28, 넉=7.5,
조합=,
링1=부정한 코어, 링1모드=, 링1h=24,
글2=(6) @,
링9=하드모드 모루)]
기계보스 1마리 격파 후 제작 가능한 무기로, 두 가지 공격 방식을 지닌다.글2=(6) @,
링9=하드모드 모루)]
좌클릭으로 적 타격 시, 적의 발밑에 유황 간헐천이 잠시 생성되어 피해를 입힌다.
우클릭 시 이코르 창과 비슷한 방식으로 검을 던진다. 던져진 칼은 중력의 영향을 받기 전에 먼 거리를 이동하며 적을 최대 4회 관통하고, 명중 시 작은 폭발을 일으켜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검 본체의 공격은 5초간, 그 외 모든 공격은 3초간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버림받은 세이버, 영=Forsaken Saber,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모래 칼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0, 시=15, 넉=6,
조합=,
링1=금지된 파편, 링1h=24,
글2=(2) +,
링2=[아다만타이트/티타늄]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글4=@, 글4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기계보스 2마리 격파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2) +,
링2=[아다만타이트/티타늄]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글4=@, 글4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를 때마다 모래 칼날을 2개 방출한다. 칼날들은 플레이어 근처에 약 1초 동안 제자리에서 체공하다가 커서가 위치한 방향으로 날아간다. 칼날은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며, 적이나 타일을 관통하지 못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개발자 무기인 붉은 태양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장엄한 수호, 영=Majestic Guard,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70, 시=21, 넉=7.5,
조합=,
글1=[,
링1=아다만타이트 검,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링1트림=,
글2=/,
링2=티타늄 검,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 글3트림=,
링3=힘의 영혼,
글4=(15),
글5=@, 글5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파괴자 격파 후 제작 가능한 순수 근접 무기.링1=아다만타이트 검,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링1트림=,
글2=/,
링2=티타늄 검,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 글3트림=,
링3=힘의 영혼,
글4=(15),
글5=@, 글5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별다른 투사체는 나가지 않지만, 범위가 매우 넓고 넉백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 피격된 적은 방어력이 1 감소하며, 이 효과는 중첩이 가능하다. 적이나 보스의 방어력이 0에 다다르면, 이후 타격은 플레이어의 체력을 3 회복시켜준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미친 광신도나 아스트럼 데우스 이후 그랜드 가디언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어둠빛 대검, 영=Darklight Greatsword,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어둠빛 칼날, 추가h=60,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75, 시=30, 넉=6,
조합=,
링1=빛의 영혼,
글2=+,
링2=밤의 영혼,
글3=+,
링3=냉동석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12) @,
링9=하드모드 모루)]
기계보스 2마리 격파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
링2=밤의 영혼,
글3=+,
링3=냉동석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12) @,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르면 푸른빛 혹은 보랏빛 칼날을 발사하며, 점점 가속하며 앞으로 날아간다. 칼날은 지형과 충돌하면 급감속한 뒤 사라진다.
소환된 칼날들은 죽음의 낫의 투사체와 비슷하게 작동하며, 적을 최대 2회 관통한다. 대검 본체나 칼날 투사체가 적을 타격하면 검격 하나를 추가로 생성하며, 대검의 검격은 무기 공격력의 80%, 칼날의 검격은 33%의 피해를 입힌다.
푸른 칼날은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화염서리 칼날, 영=Flarefrost Blade,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5, 시=29, 넉=6.25,
조합=,
링1=빛의 영혼,
글2=(3) +,
링2=지옥석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8) +,
링3=냉동석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8) @,
링9=하드모드 모루)]
기계보스 2마리 격파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3) +,
링2=지옥석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8) +,
링3=냉동석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8) @,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를 때마다 유도성이 있는 작은 나선형 투사체를 발사한다. 투사체는 무기 공격력의 40% 피해를 입히며, 피격된 적은
투사체의 유도 능력이 그리 강하지 않고 속도가 느린데다 유지 시간도 짧아, 적을 빗맞추기 쉽상이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엑소급 무기인 엑소블레이드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금지된 맹검, 영=Forbidden Oathblade,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금지된 낫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10, 시=55, 넉=6.5,
조합=,
링1=칼날문장 맹검,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옛 군주의 클레이모어,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공포의 영혼, 링3개행=,
글4=(5) @,
링9=하드모드 모루)]
스켈레트론 프라임 격파 이후 만들 수 있는 무기.글2=+,
링2=옛 군주의 클레이모어,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공포의 영혼, 링3개행=,
글4=(5) @,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를 때마다 자줏빛 낫날 1개를 방출한다. 낫날은 적을 최대 2회 관통하며, 블록과 충돌 시 분산되어 사라진다.
검이 치명타를 발동시키면, 무기 공격력 200%의 추가 피해를 입히는 보라색 폭발을 일으킨다.
검이나 낫날에 피격당한 적은
하위 무기들은 해당 티어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금지된 맹검은 그 정도까지의 성능을 보여 주지 못한다. 대체제가 많은 탓도 있긴 하고.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질병전이체 골리앗 이후 고귀한 맹검의 재료로 사용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대재앙의 클레이모어, 영=Catastrophe Claymore,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5, 시=22, 넉=6.25,
조합=,
링1=시야의 영혼,
글2=(3) +,
링2=힘의 영혼,
글3=(3) +,
링3=공포의 영혼,
글4=(3) +,
링4=밤의 영혼,
글5=(5) + [,
링5=저주받은 불꽃, 링5트림=,
글6=/,
링6=이코르,
글7=] (5) +, 글7트림=,
링7=신성한 주괴, 링7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8=(10) +,
링8=수정 파편,
글9=(7) @,
링9=하드모드 모루)]
기계보스 전원 격파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3) +,
링2=힘의 영혼,
글3=(3) +,
링3=공포의 영혼,
글4=(3) +,
링4=밤의 영혼,
글5=(5) + [,
링5=저주받은 불꽃, 링5트림=,
글6=/,
링6=이코르,
글7=] (5) +, 글7트림=,
링7=신성한 주괴, 링7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8=(10) +,
링8=수정 파편,
글9=(7) @,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르면 분홍색, 푸른색, 노란색을 가진 탄을 무작위로 3개 발사한다. 분홍색 탄은
검 본체는 탄들이 입히는 디버프를 확률적으로 적에게 유발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문로드 이후 유린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바이옴 블레이드, 영=Biome Blade,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0, 시=20, 넉=7.5,
조합=,
링1=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별마름 그을음, 링2모드=,
글3=(10) +,
링3=요정의 가루,
글4=(2) +,
링4=시야의 영혼,
글5=+,
링5=힘의 영혼,
글6=+,
링6=공포의 영혼,
글7=@,
링9=하드모드 모루)]
글2=+,
링2=별마름 그을음, 링2모드=,
글3=(10) +,
링3=요정의 가루,
글4=(2) +,
링4=시야의 영혼,
글5=+,
링5=힘의 영혼,
글6=+,
링6=공포의 영혼,
글7=@,
링9=하드모드 모루)]
아직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검을 수리하면 조율능력이 향상될 것 같습니다
기계보스 전원 격파 이후 제작할 수 있는,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의 직계 상위 무기. 원래 갖고 있던 5종의 조율에 3종이 추가돼 총 8종의 조율을 갖는다. 새로 추가된 3종은 각각 신성지대, 아스트랄 지대, 침몰한 바다와 심연에 대응되는 조율이며, 조율별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검을 수리하면 조율능력이 향상될 것 같습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옴 블레이드(순수한 선명함), 영=Biome Blade(Pure Clarity),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기타=,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처럼 투사체를 발사한다. 투사체는 적에게 1.5초간
갑옷 박살 디버프를 입힌다.
새로 추가된 효과로, 검날에 피격당한 적에게는 인장 모양의 표식이 새겨지며, 검의 투사체들은 표식이 새겨진 적에게 유도된다. 표식은 새겨진 지 20초가 지나거나 검으로 다른 대상을 타격한다면 사라진다.
발사체가 유도된다는 점은 좋으나 다른 조율에 비해 피해가 약하고, 유도 기능을 발동시키기 위한 선행조건으로 짧은 거리에서 적을 타격해 표식을 남겨야 한다는 게 단점이다.
한=바이옴 블레이드(순수한 선명함), 영=Biome Blade(Pure Clarity),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추가=순수의 투영, 추가설명=,
추가2=순수의 인장,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0, 시=20, 넉=7.5,추가2=순수의 인장, 추가2설명=,
기타=,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글5=를 숲이나 지하에서 조율,
글7트림=)]
순수한 선명함은 바이옴 블레이드를 전염되지 않은 일반적인 지상이나 지하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로, 다른 조율에서 언급하지 않은 모든 지형이 여기에 포함된다.글5=를 숲이나 지하에서 조율,
글7트림=)]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처럼 투사체를 발사한다. 투사체는 적에게 1.5초간
새로 추가된 효과로, 검날에 피격당한 적에게는 인장 모양의 표식이 새겨지며, 검의 투사체들은 표식이 새겨진 적에게 유도된다. 표식은 새겨진 지 20초가 지나거나 검으로 다른 대상을 타격한다면 사라진다.
발사체가 유도된다는 점은 좋으나 다른 조율에 비해 피해가 약하고, 유도 기능을 발동시키기 위한 선행조건으로 짧은 거리에서 적을 타격해 표식을 남겨야 한다는 게 단점이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옴 블레이드(혹한의 아우름), 영=Biome Blade(Glacial Embrace),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추가=빙하의 안개, 추가설명=, 추가w=120,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50, 시=20, 넉=7.5,기타=,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혹한의 아우름은 바이옴 블레이드를 설원 및 설원 지하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설원에서 조율, 글7트림=)] 공격 방식은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와 같다. 그러나 안개는 무기 타격의 9%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히며 이는 타격 별 공격력과 곱연산으로 적용된다.[3]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옴 블레이드(메마른 장엄), 영=Biome Blade(Arid Grandeur),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추가h=110, 추가=메마른 분쇄자,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2, 시=20, 넉=7.5,기타=,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메마른 장엄은 바이옴 블레이드를 사막이나 지하세계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사막이나 지하세계에서 조율, 글7트림=)]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의 공격 효과를 계승하며, 무기를 충전해 공격하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다. 적을 지속적으로 타격하면 공격력이 기본 122에서 160까지 오르며, 공격력이 절반 이상 올랐을 때(즉, 공격력 141 이상일 때) 공격을 멈추면 위의 반투명한 검 4자루를 앞으로 발사한다. 이 공격은 무기 기본 공격력의 450%만큼의 피해를 입힌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옴 블레이드(부패의 쏘임), 영=Biome Blade(Decay's Retort),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55, 시=20, 넉=7.5, 기타=,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부패의 쏘임은 바이옴 블레이드를 오염 및 진홍지대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사악한 지형에서 조율, 글7트림=)]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의 공격 효과를 그대로 계승하며, 강화된 돌진 기능을 추가해 준다. 플레이어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고 3번의 돌진을 성공적으로 수행한다면, 다음 돌진은 무기 공격력 300%의 피해를 주도록 강화된다. 강화된 돌진이 준비되면 효과음이 재생되어 이를 알리며, 돌진으로 적을 타격한다면 플레이어는 1초간 무적을 부여받는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옴 블레이드(수풀쟁이의 손길), 영=Biome Blade(Grovetender's Touch),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추가=뒤엉킨 성장,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0, 시=20, 넉=7.5,기타=,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수풀쟁이의 손길은 바이옴 블레이드를 정글이나 바다, 유황 바다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무기 형태다.글5=를 정글이나 바다\, 유황 바다에서 조율, 글7트림=)]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의 공격 효과를 그대로 계승하며, 무기 기능으로 발생한 치명타에 자잘한 효과가 붙는다. 무기 끝에 맞아 치명타를 입은 적에게서 세 줄기의 덩굴이 뻗어나와 주변 적에게도 피해를 입히며, 뻗어나온 덩굴은 무기 기본 공격력의 30%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갖는다. 이는 적 타격으로 인한 무기 공격력 증가 효과를 받지 않는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옴 블레이드(천국의 권능), 영=Biome Blade(Heaven's Might),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추가=천국의 권능 사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0, 시=20, 넉=7.5,기타=,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천국의 권능은 바이옴 블레이드를 신성지대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신성지대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가 검을 원형으로 빙빙 돌리기 시작하며, 돌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회전 속도와 검의 크기, 공격력이 증가한다. 회전하는 검은 무기 공격력의 40%에서 최대 240%까지 늘어나는 공격력을 지닌다. 검은 회전을 시작한 지 5초 후 최대 공격력을 갖는다. 회전 후 2.5초가 지나면 커서 방향으로 검을 던져버릴 수 있으며, 검은 사슬에 묶인 채로 던져진 후 빠르게 플레이어에게 돌아온다. 검은 회전 시간에 비례해 무기 공격력의 280~340%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히며, 플레이어에게 돌아온 후 다시 회전이 가능해진다. 검이 던져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효과음이 재생되어 이를 알려준다. 검의 기본 피해량은 약하지만 회전 시 넉백이 상당해, 플레이어에게 끈질기게 달려드는 적들을 쳐낼 때 유용한 조율. 천국의 권능의 툴팁은 분홍색(#DC8FFF)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옴 블레이드(남아있는 혐오), 영=Biome Blade(Extent Abhorrence),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추가=혐오스러운 모노리스, 추가설명=, 추가h=100,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25, 시=20, 넉=7.5,기타=,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남아있는 혐오는 바이옴 블레이드를 아스트랄 전염지대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아스트랄 전염지대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가 검을 커서 방향으로 들어 공격을 충전하기 시작한다. 25% 이상 충전되었을 때 커서를 놓으면 플레이어는 그 방향으로 돌진해 경로 상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히며, 적을 타격하면 1/3초간의 무적 프레임을 얻는다. 돌진 공격은 충전 시간에 비례해 최대 무기 공격력 350%의 피해를 입힌다. 공격을 절반 이상 충전한 뒤 돌진해 지면과 충돌하면 해당 지점에서 거대한 모노리스가 1~5개 솟아올라[4] 무기 기본 공격력 125%의 피해를 입힌다. 모노리스 자체에도 피격 판정이 있어, 이후 닿는 적들에게 최초 피해량의 25%(무기 기본 공격력의 31.25%)에 해당하는 피해를 지속적으로 입힌다. 남아있는 혐오의 툴팁은 짙은 보라색(#5B49C4)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옴 블레이드(익사자의 몸짓), 영=Biome Blade(Gesture for the Drowned),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추가=물방울,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00, 시=20, 넉=7.5,추가2h=60, 추가2=파도,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추가3=물결, 추가3설명=, 추가3h=60, 기타=,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익사자의 몸짓은 바이옴 블레이드를 침몰한 바다, 심연에서 조율해 얻을 수 있는 형태다.글5=를 침몰한 바다나 심연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가 검을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휩쓸어 중력에 영향을 받는 물방울을 흩뿌린다. 물방울이 지형에 닿으면 파도로 변해 지면을 따라 양 옆 방향으로 진행한다. 파도는 지형 간에 벌어진 틈이나 벽에 다다르면 다시 물방울로 변해 주변에 튀긴다. 무기를 수중에서 사용하거나 앞서 소환된 파도가 물과 만나면, 더 크고 빠른 물결로 변해 50%의 추가 피해를 입히며 적들을 쓸어버린다. 수중에서 사용하기 좋은 조율. 익사자의 몸짓의 툴팁은 남색(#3D67D1)으로 표기된다. |
하드모드에 들어 진입 가능한 새로운 지형에 맞춰[5] 3개의 조율이 추가돼,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보다 더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기능을 선보인다. 그래도 주력 무기로 사용하기엔 여전히 비슷한 티어대의 무기들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편.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아스트럼 데우스 이후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로 한 번 더 강화할 수 있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유황 채찍, 영=Brimlash,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유황 칼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70, 시=29, 넉=6,
조합=,
링1=부정한 코어, 링1모드=,
글2=(4) +,
링2=재앙의 잿더미, 링2모드=,
글3=(15) @,
링9=하드모드 모루)]
짭칼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로, 이름에는 채찍이 들어가지만 생긴 것도 그렇고 검으로 분류된다.글2=(4) +,
링2=재앙의 잿더미, 링2모드=,
글3=(15) @,
링9=하드모드 모루)]
무기 사용 시, 적을 무한히 관통 가능한 유황 칼날을 방출한다. 칼날은 오브젝트를 타격하거나 사거리 끝에 다다르면 3개의 유도성 불꽃으로 분열한다.
순수 근접 공격은 5초간, 칼날은 3초간
여담으로, 이 아이템은 과거 존재했던 상위 무기 유황채찍 버스터의 스프라이트를 그대로 가져왔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야생가시 클레이모어, 영=Feralthorn Claymore,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가시덩굴, 추가h=65,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109, 시=13, 넉=7.25,
조합=,
링1=다년생 주괴, 링1모드=,
글2=(12) @,
링9=하드모드 모루)]
플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순수 근접 무기.글2=(12) @,
링9=하드모드 모루)]
적을 공격하면
가시덩굴은 적을 1회 관통 가능하고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며, 아무런 디버프도 유발하지 않는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헬카이트, 영=Hellkite,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180, 시=30, 넉=8,
조합=,
링1=볼케이노,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다년생 주괴, 링2모드=,
글3=(8) @,
링9=하드모드 모루,
조합2=,글2=+,
링2=다년생 주괴, 링2모드=,
글3=(8) @,
링9=하드모드 모루,
링21=티타늄 검, 링2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1h=24,
글22=+,
링22=악몽 연료, 링22모드=, 링22h=24,
글23=(12) @,
링23=전우주의 모루, 링23모드=, 링23문서=아이템/가구,
글24=(, 글24개행=,
링24=Get fixed boi, 링24문서=세계/시드, 링24문자만=, 링24트림=,
글25=시드에서))]
풀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바닐라 검 볼케이노의 상위 무기. 동티어대 검들에 비해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공격 시 적에게 10초간 글22=+,
링22=악몽 연료, 링22모드=, 링22h=24,
글23=(12) @,
링23=전우주의 모루, 링23모드=, 링23문서=아이템/가구,
글24=(, 글24개행=,
링24=Get fixed boi, 링24문서=세계/시드, 링24문자만=, 링24트림=,
글25=시드에서))]
검의 월등한 크기 덕에 넓어진 공격 범위, 강한 공격력과 부가 효과로 인해, 순수 근접 무기로서 나쁘지 않은 성능을 지닌다.
Get fixed boi 시드에서는 위와 같이 재료가 바뀐다. 즉, 디오갓 이후로 티어가 바뀌어버린다.
아래는 해당 시드에서 검에 적용되는 자세한 변동사항.
• 공격력이 1669로 상승한다. |
• 넉백이 12로 증가한다. |
• 사용시간이 30에서 12로 빨라진다. |
• 무기 자체 사이즈가 150%로 커진다. |
• 적 타격 시 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의 소리가 난다. |
• 툴팁이 "My Beloved <3"으로 바뀐다. |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프로비던스 이후 테라토미어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녹조, 영=Greentide,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이빨,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87, 시=31, 넉=7,
드롭=,
링1=레비아탄과 아나히타,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레비아탄이 드롭하는 순수 근접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적을 타격할 때마다 화면의 위와 아래에서 각각 5개씩, 총 10개의 이빨이 소환되어 적에게 돌진해 무기 공격력의 50%의 피해를 입히고 1.5초간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만조, 영=Floodtide,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상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1, 시=20, 넉=6,
조합=,
링1=상어 지느러미,
글2=(2) +,
링2=바다 잔해, 링2모드=,
글3=(12) +,
링3=심연의 세포, 링3모드=, 링3개행=,
글4=(10) @,
링9=하드모드 모루,
낚시2=,글2=(2) +,
링2=바다 잔해, 링2모드=,
글3=(12) +,
링3=심연의 세포, 링3모드=, 링3개행=,
글4=(10) @,
링9=하드모드 모루,
글21=아무 데서나 (,
링22=레비아탄과 아나히타, 링22모드=, 링22문서=보스, 링22문자만=, 링22트림=,
글23=격파 이후),
글24=(, 글24개행=,
링24=아가미, 링24문서=버프 및 디버프, 링24한줄로=, 링24트림=,
글25=버프를 받은 상태에서))]
레비아탄 이후 직접적인 제작이나 낚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무기.링22=레비아탄과 아나히타, 링22모드=, 링22문서=보스, 링22문자만=, 링22트림=,
글23=격파 이후),
글24=(, 글24개행=,
링24=아가미, 링24문서=버프 및 디버프, 링24한줄로=, 링24트림=,
글25=버프를 받은 상태에서))]
휘두를 때마다 상어 두 마리를 발사하고, 상어는 적과 충돌하면 피해를 입힌다.
여담으로, 무기가 발사하는 상어는 진짜 상어보다는 청새치를 닮았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프로비던스 이후 테라토미어의 재료로 사용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아스트랄 낫, 영=Astral Scythe,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낫 돌풍,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20, 시=19, 넉=6,
드롭=,
링1=맨티스,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14.29%),
글3=(, 글3개행=,
링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3모드=, 링3문서=보스, 링3문자만=, 링3트림=,
글4=격파 이후),
보물2=,글2=(14.29%),
글3=(, 글3개행=,
링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3모드=, 링3문서=보스, 링3문자만=, 링3트림=,
글4=격파 이후),
링21=아스트랄 크레이트,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10%),
글23=(, 글23개행=,
링2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23모드=, 링23문서=보스, 링23문자만=, 링23트림=,
글24=격파 이후))]
아우레우스 이후 획득 가능한 무기로, 이름에도 낫이 들어가고 생김새도 완연한 낫이지만 검으로 분류된다.글22=(10%),
글23=(, 글23개행=,
링2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23모드=, 링23문서=보스, 링23문자만=, 링23트림=,
글24=격파 이후))]
휘두를 때마다 무기 드롭 몬스터인 맨티스가 쏘던 그 돌풍을 날린다. 돌풍은 적을 최대 7회 관통할 수 있으며 적에게 8번째 부딪치거나 지형에 부딪치면 폭발한다.
낫과 돌풍은 각각 5초, 4초간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거인의 팔, 영=Titan Arm,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69, 시=12, 넉=80, 치=100,
드롭=,
링1=아틀라스,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14.29%),
글3=(, 글3개행=,
링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3모드=, 링3문서=보스, 링3문자만=, 링3트림=,
글4=격파 이후),
보물2=,글2=(14.29%),
글3=(, 글3개행=,
링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3모드=, 링3문서=보스, 링3문자만=, 링3트림=,
글4=격파 이후),
링21=아스트랄 크레이트,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10%),
글23=(, 글23개행=,
링2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23모드=, 링23문서=보스, 링23문자만=, 링23트림=,
글24=격파 이후))]
아우레우스 이후 아틀라스가 드롭하는 순수 근접 무기로, 공격에 쓰던 팔 한쪽을 그대로 떼 온 듯한 특이한 검. 바닐라의 귀싸대기 손보다도 높은 80의 넉백과, 다른 어떤 무기들보다도 높은 100%의 기본 치명타율을 가졌다. 그 외에는 일반적인 검과 비슷하다.글22=(10%),
글23=(, 글23개행=,
링2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23모드=, 링23문서=보스, 링23문자만=, 링23트림=,
글24=격파 이후))]
펌킨/프로스트 문 등의 이벤트와 같은 물량전에서, 플레이어를 귀찮게 하는 일반 적들을 쳐낼 때 유용한 무기.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한=바스러진 클리버, 영=Blighted Cleaver,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2, 시=28, 넉=8,
조합=,
링1=부식성 칼날,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부서진 영웅의 검, 링2h=24,
글3=+,
링3=맹독의 플라스크, 링3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4=녹조류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15)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플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부식성 칼날의 강화판.글2=+,
링2=부서진 영웅의 검, 링2h=24,
글3=+,
링3=맹독의 플라스크, 링3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4=녹조류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15)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휘두를 때마다 유도성 검기를 발사한다. 검기는 적을 최대 3번 관통하며, 검과 검기 모두 적에게
검으로 적을 직접 타격 시 플레이어에게 3초간 근접 공격력을 20% 상승시키는
여담으로, 무기 디자인은 포켓몬 액스라이즈를 참고했다고 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프로비던스 이후 더럽혀진 대검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혜성 쇄도, 영=Comet Quasher,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운석,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160, 시=22, 넉=7.75,
조합=,
링1=심령체, 링1h=24,
글2=(5) +,
링2=운석 주괴,
글3=(25) @,
링9=하드모드 모루)]
플랜테라 이후 제작할 수 있는 순수 근접 무기.글2=(5) +,
링2=운석 주괴,
글3=(25) @,
링9=하드모드 모루)]
적 타격 시, 피격당한 적을 향해 운석 2발이 떨어지며, 운석은 적과 충돌해 폭발하며 광역 피해를 입힌다. 각각의 운석들은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무기 자체 피해량도 높고 운석을 떨어뜨려 입히는 추가 피해도 만만찮게 큰 반면, 무기가 굉장히 작아 유효 사거리가 짧다. 골렘전에서 몸체를 부술 때 쓰기 좋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문로드 이후 스텔라 스트라이커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무질서의 칼날, 영=Anarchy Blad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150, 시=18, 넉=7.5,
조합=,
링1=브레이커 블레이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혼돈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부정한 코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9=하드모드 모루)]
기계보스 1마리 이후 제작 가능한, 브레이커 블레이드의 강화판.글2=+,
링2=혼돈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부정한 코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9=하드모드 모루)]
적을 타격하면 붉은색의 입자가 남아, 적에게 5초간
특이사항으로, 플레이어의 잃은 체력 10%만큼이 무기 기본 공격력에 더해지며, 체력이 50% 이하일 땐 20% 확률로 일반 적들을 즉사시킨다.
여담으로, 무기 최초 출시 당시에는 플래시게임 'Epic Battle Fantasy' 유니버스의 악마의 일출(Devil's Sunrise)이라는 무기에서 모티브를 따 왔기에, 원본과 비슷한 생김새였다.[6] 그러나 여러 차례 패치를 겪으며 스프라이트가 현재처럼 바뀌었다. 칼날을 자세히 보면 야림의 심볼도 보인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게임 극후반부에 엑소블레이드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이지스 블레이드, 영=Aegis Blad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152, 시=16, 넉=4.25, 마=4, 예시=공격,
드롭=,
링1=골렘,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2=(10%))]
골렘이 드롭하는 순수 근접 무기로, 두 가지 공격 방식을 가진다.글2=(10%))]
좌클릭으로 적을 적중시키면 피격당한 적에게 노란색 폭발이 일어나 최대 2회의 추가 피해를 입힌다.
우클릭으로 검을 휘두르면 화염구를 발사한다. 화염구는 무기 공격력의 85%의 공격력을 지니며, 벽이나 적에게 부딪히면 폭발해 2~3개의 파편으로 갈라진다. 파편은 화염구 공격력의 75%(무기 공격력의 약 13%)를 지니며, 지형에 튕긴다. 파편은 적과 충돌하면 파편 공격력의 75%(무기 공격력의 약 10%)의 피해를 입히는 추가 폭발을 일으킨다.
순수 근접 공격력 증가 효과는 좌클릭 공격에만 적용되며, 우클릭으로 휘두른 검 본체는 공격 판정이 없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절대 영도, 영=Absolute Zero,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어둠의 얼음 수정,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75, 시=20, 넉=4,
구입=,
링1=대마법사, 링1모드=, 링1문서=NPC, 링1h=24,
글2=(80,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 글3트림=,
글8=(, 글8개행=,
링8=프로스트 문, 링8문서=이벤트,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의 모든 미니보스 격파 이후), 글9트림=,)]
프로스트 문 미니보스를 모두 잡으면 대마법사가 판매하기 시작한다.글2=(80,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 글3트림=,
글8=(, 글8개행=,
링8=프로스트 문, 링8문서=이벤트,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의 모든 미니보스 격파 이후), 글9트림=,)]
휘두를 때마다 얼음 수정을 발사한다. 수정은 적이나 지형과 부딪히면 폭발해 주변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수정이 아닌 순수 근접 공격으로 적을 타격하면 커다란 서리 폭발을 일으킨다.
검은 적에게
여담으로, 무기 투사체는 대마법사가 적에게 발사하는 것과 시각적으로 완전히 동일하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지옥불 플랑베르주, 영=Hellfire Flamberg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개행=, 추가=큰 화염구,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작은 화염구,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20, 넉=7.75,
조합=,
링1=화산암 주괴, 링1모드=, 링1h=24,
글2=(15) @,
링9=하드모드 모루)]
골렘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15) @,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를 때마다 2개의 작은, 1개의 큰 화염구들을 날린다. 화염구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천천히 감속하다 사라지며, 적과 타일을 관통할 수 없다. 큰 화염구는 무기 공격력의 75%, 작은 화염구는 50%의 공격력을 갖는다. 검과 화염구 둘 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영혼 수확기, 영=Soul Harvester,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영혼의 낫,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85, 시=21, 넉=7.5,
조합=,
링1=죽음의 낫,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질병 세포 보관함, 링2모드=, 링2h=24,
글3=(10) +,
링3=저주받은 불꽃, 링3개행=,
글4=(20) @,
링9=하드모드 모루)]
골렘 이후 제작 가능한, 죽음의 낫의 강화판.글2=+,
링2=질병 세포 보관함, 링2모드=, 링2h=24,
글3=(10) +,
링3=저주받은 불꽃, 링3개행=,
글4=(20) @,
링9=하드모드 모루)]
낫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검으로 분류된다.
재료로 쓰인 죽음의 낫과 비슷하게, 짧은 거리를 회전하면서 나아가다가 멈춰서 체공하는 빛나는 영혼의 낫을 날리며, 지형과 여러 적을 관통할 수 있다. 피격당한 적에게
체력이 15% 이하인 적이 낫 본체에 피격당하면 추가 피해를 입히는 먼지 폭발을 일으킨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독종, 영=Virulenc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유독성 파동, 추가설명=, 추가확장자=gif,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00, 시=15, 넉=5.5,
드롭=,
링1=질병전이체 골리앗, 링1모드=, 링1문서=보스,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골리앗 드롭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검을 휘두르면 커서를 향해 무기 공격력 85%의 피해를 입히는 역병 파동을 발사한다. 파동은 지형, 적을 관통할 수 있고 적에게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문로드 이후 역병 파수꾼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고귀한 맹검, 영=Exalted Oathblad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금지된 낫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50, 시=23, 넉=7.5,
조합=,
링1=금지된 맹검,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부서진 영웅의 검, 링2h=24,
글3=+,
링3=감염된 갑옷 도금판,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8) +,
링4=재앙의 잿더미, 링4모드=, 링4h=18,
글5=(8),
글9=@, 글9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골리앗 이후 제작 가능한, 금지된 맹검의 강화판. 대미지가 조금 강력해졌다는 것 외에는 차이가 없다.글2=+,
링2=부서진 영웅의 검, 링2h=24,
글3=+,
링3=감염된 갑옷 도금판,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8) +,
링4=재앙의 잿더미, 링4모드=, 링4h=18,
글5=(8),
글9=@, 글9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를 때마다 낫날 3개를 발사한다. 낫날은 적을 최대 2번 관통할 수 있고,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근접 공격이 치명타로 발동하면 적에게 200%의 피해를 입히는 폭발을 일으킨다.
무기에 피격당한 적은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디오갓 이후 악마의 유린 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얼티머스 클리버, 영=Ultimus Cleaver,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130, 시=19, 넉=8,
드롭=,
링1=궤멸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궤멸자 드롭 순수 근접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사용 시 5갈래의 유도성 스파크를 발사한다. 스파크는 무기 공격력 10%의 공격력을 가지며 적을 1회 관통할 수 있고,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검으로 적을 직접 타격할 경우 폭발을 일으키며 적에게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염분성 남작, 영=Briny Baron,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염분성 물방울, 추가확장자=gif, 추가h=40, 추가설명=, 추가2=면도날 태풍 칼날, 추가2설명=, 추가3개행=, 추가3=염분성 태풍, 추가3확장자=gif, 추가3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82, 시=20, 넉=4, 예시=공격,
드롭=,
링1=피시론 공작,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2=(10%))]
피시론 드롭 근접 무기로, 두 가지 공격 방식을 갖는다.글2=(10%))]
• 좌클릭으로 적 타격 시, 적에게 물방울이 계속 튀기며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힌다. 또, 근접 공격은 피시론 공작의 샤크네이도와 흡사한 염분성 태풍을 발생시키며, 태풍은 그 안의 적에게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힌다. 태풍은 무기 공격력 50%의 공격력을 가지며, 최대 1개의 태풍만 존재할 수 있다. 근접 공격과 태풍은 |
• 우클릭 사용 시에는 칼을 휘두르지 않는 대신, 면도날 태풍의 것과 비슷한, 강한 유도성을 지닌 태풍 칼날을 날린다. 태풍 칼날은 무기의 30%의 공격력을 지니며 적을 관통하고, 타일과 충돌할 수 있다. |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아스트랄 블레이드, 영=Astral Blade, 하드=, 희소=Cyan,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85, 시=8, 넉=4, 치=29,
조합=,
링1=아스트랄 주괴, 링1모드=,
글2=(8)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데우스 이후 제작 가능한 순수 근접 무기.글2=(8)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순수 근접 무기인만큼 별다른 투사체는 나가지 않는다. 다른 몇몇 아스트랄 테마 무기들처럼 기본 치명타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 피격된 적은
특이사항으로, 체력 50% 이상의 적을 공격하면 무기 자체의 공격력, 넉백, 치명타율이 125% 더 오르며, 해당 적 위치에 꽃 모양 아스트랄 폭발을 일으킨다. 폭발은 단순 시각적 효과로, 추가 피해는 없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영=True Biome Blade, 하드=, 희소=Cyan, 자동=,
추가=조율, 추가설명=조율된 모습,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00, 시=17, 넉=8,조합=,
링1=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
링3=아스트랄 주괴, 링3모드=,
글4=(3) +,
링4=생명 합금괴, 링4모드=, 링4h=24,
글5=(3)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
링3=아스트랄 주괴, 링3모드=,
글4=(3) +,
링4=생명 합금괴, 링4모드=, 링4h=24,
글5=(3)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아직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검이 강화되어 이전보다 다양하게 조율할 수 있습니다
이제 준비된 조율의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데우스 이후 제작 가능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강화판.검이 강화되어 이전보다 다양하게 조율할 수 있습니다
이제 준비된 조율의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율의 수가 4개로 확 줄었는데 이는 이전에 있던 8개의 조율이 서로 합쳐졌기 때문이다.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각 조율은 그의 재료가 된 조율들을 적절히 섞은 효과를 가지며, 각 조율이 조건으로 하는 지형 또한 재료가 된 것들의 합집합이다.
또, 칼을 땅에 박아 조율하던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바이옴 블레이드와 달리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는 조율 시 검을 하늘을 향해 치켜들며, 평지에 있어야만 한다는 조건이 사라져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조율이 가능하다.
바이옴 블레이드와 비교되는 마지막 한 가지 특징으로,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는 2가지의 조율을 모두 적용하였을 경우 미사용중인 두 번째 슬롯의 조율은 일종의 패시브로 변경되어, 사용 중인 조율에 추가적인 버프를 부여한다.
각 조율의 특성 및 효과는 아래과 같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도검장인의 긍지), 영=True Biome Blade(Swordsmith's Pride), 하드=, 희소=Cyan, 자동=,
기타=,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가 검을 원형으로 빙빙 돌리기 시작하며, 돌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회전 속도와 검의 크기, 공격력이 증가한다. 회전하는 검은 무기 공격력의 30%에서 최대 190%까지 늘어나는 공격력을 지닌다. 검은 회전을 시작한 지 5초 후 완충되어 최대 공격력을 갖는다.
회전을 50% 이상 충전하면 무작위 방향으로 검 모양 투사체를 발사하기 시작하며, 75% 이상에서는 검을 한 바퀴 돌릴 때마다 주변 적을 향해 투사체를 하나 더 발사한다. 투사체들은 무기 기본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며,
갑옷 박살 디버프를 입힌다.
50% 이상 충전 시 커서 방향으로 검을 던져버릴 수 있으며, 검은 사슬에 묶인 채로 던져진 후 빠르게 플레이어에게 돌아온다. 검은 회전 시간에 비례해 무기 공격력의 215~330%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힌다. 검이 던져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효과음이 재생되어 이를 알려준다.
투척된 검에 피격당한 적에게는 인장 모양의 표식이 새겨지며, 검의 모든 투사체들은 표식이 새겨진 적에게 유도된다. 표식은 새겨진 지 16.67초가 지나거나 검으로 다른 대상을 타격한다면 사라진다.
도검장인의 긍지가 두 번째 조율 슬롯에 있으면, 무기 사용 시 검 투사체가 가끔 발사되며, 투사체는 200의 피해를 입히고
갑옷 박살 디버프를 입힌다.
천국의 권능의 공격 방식에 순수한 선명함의 투사체 발사 능력을 얹어 놓은 조율. 잡몹전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 준다.
도검장인의 긍지의 툴팁은 핫핑크(#DC69C5)로 표기된다.
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도검장인의 긍지), 영=True Biome Blade(Swordsmith's Pride), 하드=, 희소=Cyan, 자동=,
추가=도검장인의 투영,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순수의 인장, 추가2설명=,
추가3=천국의 권능 사슬, 추가3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40, 시=17, 넉=8,추가2개행=, 추가2=순수의 인장, 추가2설명=,
추가3=천국의 권능 사슬, 추가3설명=,
기타=,
링1=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글5=를 숲\, 지하 및 신성지대에서 조율,
글7트림=)]
도검장인의 긍지는 순수한 선명함과 천국의 권능을 합쳐 놓은 조율이다. 글5=를 숲\, 지하 및 신성지대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가 검을 원형으로 빙빙 돌리기 시작하며, 돌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회전 속도와 검의 크기, 공격력이 증가한다. 회전하는 검은 무기 공격력의 30%에서 최대 190%까지 늘어나는 공격력을 지닌다. 검은 회전을 시작한 지 5초 후 완충되어 최대 공격력을 갖는다.
회전을 50% 이상 충전하면 무작위 방향으로 검 모양 투사체를 발사하기 시작하며, 75% 이상에서는 검을 한 바퀴 돌릴 때마다 주변 적을 향해 투사체를 하나 더 발사한다. 투사체들은 무기 기본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며,
50% 이상 충전 시 커서 방향으로 검을 던져버릴 수 있으며, 검은 사슬에 묶인 채로 던져진 후 빠르게 플레이어에게 돌아온다. 검은 회전 시간에 비례해 무기 공격력의 215~330%에 해당하는 피해를 입힌다. 검이 던져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효과음이 재생되어 이를 알려준다.
투척된 검에 피격당한 적에게는 인장 모양의 표식이 새겨지며, 검의 모든 투사체들은 표식이 새겨진 적에게 유도된다. 표식은 새겨진 지 16.67초가 지나거나 검으로 다른 대상을 타격한다면 사라진다.
도검장인의 긍지가 두 번째 조율 슬롯에 있으면, 무기 사용 시 검 투사체가 가끔 발사되며, 투사체는 200의 피해를 입히고
천국의 권능의 공격 방식에 순수한 선명함의 투사체 발사 능력을 얹어 놓은 조율. 잡몹전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 준다.
도검장인의 긍지의 툴팁은 핫핑크(#DC69C5)로 표기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핏빛 격노), 영=True Biome Blade(Sanghine Fury), 하드=, 희소=Cyan, 자동=, 추가=핏빛 칼날바퀴, 추가설명=, 추가h=150,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00, 시=18, 넉=8,기타=, 링1=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핏빛 격노는 메마른 장엄과 부패의 쏘임을 합쳐 놓은 조율이다.글5=를 사막\, 지하세계\, 사악한 지형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가 검을 앞으로 들어 공격을 준비하고, 검날 주위로 4자루의 검이 공전한다. 이 상태에서 적을 타격하면, 공격이 충전되며 무기의 공격력, 크기가 커지고, 타격 빈도도 잦아진다. 마우스를 누르면 무기를 휘두르지 않고 커서 방향으로 들고 있으며, 4개의 회전하는 칼날이 무기 주변을 떠다닌다. 적을 한 번 타격할수록 6번까지 대미지가 증가하며 크기도 커진다. 검의 공격력은 기본 200에서 최대 380까지 상승한다. 무기 공격이 80% 이상 충전되었을 때 공격을 멈추면, 커서 방향으로 4자루의 커다란 검을 풍차처럼 돌아가는 상태로 발사한다. 이 공격은 무기를 어느만큼 충전했느냐와 무관하게, 무기 기본 공격력의 250%의 피해를 입힌다. 또, 검들을 발사한 이후 바로 그 방향으로 무기를 사용하면 플레이어가 검 투사체를 향해 돌진한다. 이 돌진도 무기 공격력 250%의 피해를 입히며 무조건 치명타로 적중하고, 플레이어의 체력을 타격마다 4씩 회복시켜 준다. 하위 조율 메마른 장엄처럼, 조율을 스카이콩콩처럼 활용해 이동 수단으로 쓸 수 있다. 핏빗 격노가 두 번째 조율 슬롯에 있으면, 무기의 모든 공격이 확률적으로 플레이어의 체력을 7 회복시켜 준다. 이는 흡혈 시스템의 쿨타임을 무시한다. 이 효과는 오른쪽의 속박된 자들의 비애와 같이, 조율별로 상이한 확률을 따른다. 핏빛 격노의 툴팁은 빨간색(#D83716)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속박된 자들의 비애), 영=True Biome Blade(Lamentations of the Chained), 하드=, 희소=Cyan, 자동=, 추가=철퇴의 비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00, 시=18, 넉=8,추가2=마법의 고기걸이, 추가2설명=, 추가3개행=, 추가3=유령의 사슬, 추가3설명=, 기타=, 링1=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속박된 자들의 비애는 혹한의 아우름과 수풀쟁이의 손길을 합쳐 놓은 조율이다.글5=를 설원\, 정글\, 바다 및 유황 바다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가 커서 방향으로 검을 들어 주변 적들을 마구 후려치는 사슬에 달린 칼날을 소환한다. 사슬은 적에게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지만, 사슬 끝의 칼날로 적을 타격하면 반드시 치명타가 발동한다. 그리고 해당 적에게서 유령 사슬이 그 주변 최대 3마리의 적에게 뻗어나가 무기 기본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속박된 자들의 비애가 두 번째 조율 슬롯에 있으면, 플레이어 뒤에 유령 사슬에 묶인 갈고리가 소환된다. 무기의 공격이 적중하면 갈고리가 확률적으로 그 적을 휘감으며, 500의 추가 피해를 입힌다. 갈고리에 맞은 적은 수풀쟁이의 손길은 기본 공격 방식으로, 혹한의 아우름은 패시브 효과로 바뀐 듯한 조율. 속박된 자들의 비애의 툴팁은 민트색(#71EFB1)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추가=변덕스러운 파열,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h=80, 한=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변덕스러운 파도), 영=True Biome Blade(Mercurial Tides), 하드=, 희소=Cyan, 자동=, 추가=, 추가설명=,추가2개행=, 추가2=변덕스러운 모노리스, 추가2h=100,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550, 시=18, 넉=8, 기타=, 링1=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h=24, 변덕스러운 파도는 남아있는 혐오와 익사자의 몸짓을 합쳐 놓은 조율이다.글5=를 아스트랄 전염지대\, 침몰한 바다\, 심연에서 조율, 글7트림=)]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가 검을 앞으로 들어 공격을 충전하기 시작한다. 공격은 4.16초 후 완충되며, 25% 이상 충전되면 커서 방향으로 돌진할 수 있다. 돌진은 그 충전 시간에 따라 속도가 빨라지며, 최대 무기 공격력 350%의 피해를 입힌다. 돌진으로 적을 타격하면 플레이어는 1/3초의 무적 프레임을 부여받는다. 돌진으로 지면을 가격하면 그 지점 좌우로 모노리스가 파도처럼 솟아오르며, 모노리스는 공격 충전 정도에 따라 그 개수가 늘어난다. 공격을 25% 충전할 때마다 특수 음향이 재생되고 무기가 깜빡이며, 플레이어 주위로 푸른 충격파를 발산한다. 모노리스는 무기 기본 공격력의 110%의 피해를 입히며, 이후 접촉한 적에게는 최초 피해량의 15%만을 입힌다. 변덕스러운 파도가 두 번째 조율 슬롯에 있으면, 무기 사용 중 2초마다 200의 피해를 입히는 충격파를 발산한다. 익사자의 몸짓의 흔적이 희미해, 남아있는 혐오만을 강화한 듯한 조율. 무기 스프라이트도 모노리스를 닮아있다. 변덕스러운 파도의 툴팁은 보라색(#846DE9)으로 표기된다. |
핏빛 분노와 속박된 자들의 비애의 패시브 발동 확률은 각 조율별로 아래와 같다.
• 도검장인의 긍지의 회전 검격은 24%, 던져진 검은 100%, 검 투사체는 5%의 확률로 패시브 효과를 발동시킨다. |
• 핏빛 분노의 검날은 10%, 투사체는 40%, 돌진은 100%의 확률로 패시브 효과를 발동시킨다. |
• 속박된 자들의 비애의 채찍은 5%, 채찍 끝과 치명타로 소환된 유령 사슬은 10%의 확률로 패시브 효과를 발동시킨다. |
• 변덕스러운 파도의 돌진과 모노리스의 첫 타격은 100%, 무기에서 발산하는 파동은 50%의 확률로 패시브 효과를 발동시킨다. |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디오갓 이후 갤럭시아의 재료로 사용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엔트로픽 클레이모어, 영=Entropic Claymore, 하드=, 희소=Red, 자동=, 추가=엔트로픽 플라즈마 구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0, 시=25, 넉=5.25,
조합=,
링1=멜드 구조물, 링1모드=, 링1h=24,
글2=(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광신도 이후 제작 가능한 근접 무기.글2=(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휘두를 때마다 적에게 유도되는, 무작위 크기의 플라즈마 구체 4~5개를 방출한다. 구체는 적과 지형을 통과할 수 없으며, 큰 구체는 무기 공격력의 80%, 중간 크기는 65%, 작은 구체는 50%의 공격력을 갖는다. 염분성 남작의 발사체보다 대미지도 약간 더 세고 그 수도 많아, 대 문로드 무장으로 가장 추천받는 무기.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게임 극후반에 엑소블레이드의 재료로 사용된다. 이전에는 엑소블레이드가 아닌 테라토미어의 재료로 들어갔었으며, 이름도 제록 대검이었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스톰 룰러, 영=Storm Ruler, 하드=, 희소=Red, 자동=, 추가=스톰 룰러 빔,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80, 시=24, 넉=6.25, 예시=공격,
조합=,
링1=스톰 세이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바람의 칼날,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소용돌이의 파편, 링3개행=,
글4=(6)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글2=+,
링2=바람의 칼날,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소용돌이의 파편, 링3개행=,
글4=(6)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폭풍만이 거목을 쓰러뜨릴 수 있다
광신도 혹은 데우스 이후 제작 가능한, 바람의 칼날의 강화판.휘두를 때마다 폭풍 빔을 날리는데, 이 발사체가 적이나 지형에 부딪히면 몇 초 뒤 기다란 토네이도를 생성한다. 토네이도는 10초간 유지되며, 범위 내 모든 적을 초당 4번 타격한다. 재료로 쓰인 바람의 칼날의 회오리 투사체처럼, 토네이도는 적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다. 다만 검이 발사하는 투사체는 적에게 유도되지 않는다. 하위 무기 스톰 세이버와 비교되는 점.
무기명과 툴팁은 다크 소울 3의 동명의 무기에서 따 왔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악의의 수확자, 영=Baleful Harvester, 하드=, 희소=Red, 자동=, 추가개행=, 추가=호박 해골,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불타는 잭오랜턴,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추가3=화염의 오브, 추가3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105, 시=22, 넉=8,
조합=,
링1=기수의 검,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소성단의 파편,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12),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광신도 혹은 데우스 이후 제작 가능한, 바닐라 검 기수의 검의 강화판.글2=+,
링2=소성단의 파편,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12),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적 타격시 화면 너머에서 유도성이 있고 지형 관통이 되는 주황색의 불타는 두개골 또는 불타는 호박이 소환된다. 투사체들은 무기 공격력의 150%, 넉백의 50%를 지닌다. 호박 두개골은 적과 닿으면 2개의 빠른 유도성 화염 오브로 분해되며, 방향과 속도가 제각기 다르다. 오브의 공격력은 무기의 50%다.
검 본체와 호박 해골은
과거에는 검의 모습이었지만, 패치로 스프라이트가 낫 형태로 바뀌었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폴터가스트 이후에 최후의 탄식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그랜드 가디언, 영=Grand Guardian, 하드=, 희소=Red,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150, 시=21, 넉=8.5,
조합=,
링1=장엄한 수호,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성운의 파편,
글3=(6) +,
링3=번트 시에나,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링3개행=,
글4=@,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광신도 혹은 데우스 이후 제작 가능한, 장엄한 수호의 강화판.글2=+,
링2=성운의 파편,
글3=(6) +,
링3=번트 시에나,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링3개행=,
글4=@,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장엄한 수호가 가지고 있던 것들과 더불어 몇몇 추가 효과를 지니고 있다.
• 적을 직접 타격 시 대상의 방어력을 1 감소시킨다. |
• 방어력이 0 이하인 적을 공격하면 플레이어의 체력이 6 회복된다. |
• 적을 직접 타격 시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는 광역 폭발을 일으킨다. 이 폭발은 인페로느 포크와 유사하다. |
• 최대 체력 절반 이하의 적을 타격하면, 무기의 75%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유도성 무지개 볼트가 방출된다. |
• 무기에 의해 죽은 적은 그 자리에 플레이어의 체력을 8 회복시켜 주는 유도성 구체를 남긴다. |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개발자 무기인 대지의 재료로 쓰인다.
3.3. 달의 군주 이후
|
한=심판의 대검, 영=Greatsword of Judgement, 포문=,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0, 시=18, 넉=7, 예시=공격,
조합=,
링1=루미나이트 주괴, 링1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7)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글2=(7)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기억에서 사라진 땅에서 온 창백하게 바랜 검.
검날에 귀를 기울이면 희미하지만 편안한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
'어디에 있건 간에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저는 언제나 당신 곁에 있겠습니다, 나의 주군이시여.'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무기.검날에 귀를 기울이면 희미하지만 편안한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
'어디에 있건 간에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저는 언제나 당신 곁에 있겠습니다, 나의 주군이시여.'
휘두를 때마다 흰색의 작은 유도성 구체를 발사한다. 이 구체는 0.25초마다 좌우로 더 작은 흰색 구체를 소환하며, 적이나 지형에 닿거나 발사 후 1초가 지나면 사라지고 그 자리에서 유도성 관통 발사체가 0.2초마다 하나씩, 다음 10초간 우수수 쏟아져 내린다.
마지막으로 발사한 구체가 소멸한 지 10초가 지나지 않았다면, 다음으로 발사하는 구체는 유도성 발사체가 쏟아지는 위치만을 바꾼다. 즉, 쏟아지는 발사체 무리는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이름은 다크 소울 3에 나오는 동명의 무기에게서, 유도성 투사체의 공격 방식은 같은 게임의 보스로드릭에게서 따 왔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디오갓 이후 질서인도자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스텔라 스트라이커, 영=Stellar Striker, 포문=, 희소=Purple, 자동=, 추가=루나 플레어,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450, 시=25, 넉=7.75,
조합=,
링1=혜성 쇄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루미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혜성 쇄도의 강화판.글2=+,
링2=루미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당장 휘두를 땐 특별한 건 없어보이나, 적을 검으로 직접 타격 시 대상을 향해 루나 플레어와 비슷한 투사체 2개가 하늘에서 낙하한다. 투사체는 검에 맞은 적이나 그 밑의 블록과 충돌 시 폭발해 무기 공격력 100%의 추가 피해를 입힌다.
해당 시점의 다른 무기들보다 강한 dps를 가져, 순수 근접 무기 특유의 짧은 사거리만 극복할 수 있다면 상당히 오래 쓸 수 있다. 당장 재료들도 문 로드를 한 번만 잡아도 바로 만들 수 있는 수준. 특히, 투사체가 다른 보스들보다 적고 느린 드래곤폴리 상대로 절륜한 성능을 보여준다. 아드레날린 한 번만 켜고 폴리와 맞딜하면 보스가 죽거나 빈사 상태가 돼, 이후 다른 무기의 검기 몇 번 만으로 죽어버리기 십상이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역병 파수꾼, 영=Plague Keeper, 포문=, 희소=Purple, 자동=, 추가=유독성 파동,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벌,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68, 시=20, 넉=6,
조합=,
링1=양봉가,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독종,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루미나이트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4=(5),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독종과 양봉가의 강화판.글2=+,
링2=독종,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루미나이트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4=(5),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검을 휘두르면 앞쪽으로 적과 블록을 무한히 관통하는 역병 파동을 짧게 분사하고, 파동은 그 경로에 검의 공격력의 1/3의 공격력을 가진 25마리의 벌을 소환해 적에게 보낸다. 순수 근접 공격은 추가로 벌 3마리를 소환한다.
순수 근접 공격과 검이 발사한 파동은
무기 특성상 많은 수의 벌로 인한 극심한 렉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유린, 영=Devastation, 포문=, 희소=Purple, 자동=, 확장자=webp,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32, 시=24, 넉=4.25,
조합=,
링1=대재앙의 클레이모어,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루미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
링3=아스트랄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10) +,
링4=운석 주괴,
글5=(10),
글6=@, 글6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대재앙의 클레이모어의 강화판.글2=+,
링2=루미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
링3=아스트랄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10) +,
링4=운석 주괴,
글5=(10),
글6=@, 글6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검을 휘두를 때마다 보라, 빨강, 파랑 3가지 색 중 하나의 광선을 하나 발사하고,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곳을 향해 은하 광선 여러 발을 입사한다.
빔 발사체는 총 3가지의 색상이 있으며, 보라색은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디오갓 이후 악마의 유린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솔스티스 클레이모어, 영=Solstice Claymore, 포문=, 희소=Purple, 자동=,
추가=솔스티스 빔,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00, 시=15, 넉=6.5,조합=,
링1=빔 소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은하의 특이점,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아스트랄 주괴, 링3모드=,
글4=(20)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문로드 이후 제작 가능한, 빔 소드의 강화판.글2=+,
링2=은하의 특이점,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아스트랄 주괴, 링3모드=,
글4=(20)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검 모양 발사체를 발사하며, 이 발사체는 시간에 따라 색상과 입히는 디버프가 달라진다.
게임 시간 상으로 낮일 때는 적에게
투사체 색상은 게임 내 시간이 아니라 실제 시간을 따라가는데, 3월 21일부터 6월 20일까지는 초록색(#00FA00), 6월 21일부터 9월 22일까지는 올리브색(#AFAF00), 9월 23일부터 12월 20일까지는 주황색(#FA9632), 12월 21일부터 파란색(#6496FA)을 띤다.
단일대상 딜량이 좋아 프로비던스 전에서 무난히 쓸 만 하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디오갓 이후 선명한 파괴자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소드플로전, 영=Swordsplosion, 포문=, 희소=Purple, 자동=,
추가=소드플로전 검,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48, 시=29, 넉=7,드롭=,
링1=어리석은 용,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2=(10%))]
원소의 방주의 챌린저 무기. 원본의 것과 비슷한 검기 수십개를 하늘에서 떨어트린다.글2=(10%))]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신성 가속기, 영=Holy Collider,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추가=신성 가속기 불꽃,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270, 시=21, 넉=7.75,
드롭=,
링1=프로비던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프로비던스가 드롭하는 순수 근접 무기. 적 타격 시 그 지점에서 8개의 불꽃이 원형으로 퍼져나온다. 불꽃은 적에게 유도되며 무기 공격력 30%의 피해를 입힌다. 불꽃은 수평 방향 이동 속도가 수직 방향보다 빠르며, 타일은 관통하지만 적은 관통하지 않는다.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순수 근접 무기임에도 무기 자체의 크기가 워낙 커서, 사거리가 짧지 않다. 게다가 타격한 대상 하나하나마다 불꽃이 퍼져나오기 때문에, 인페르넘 디오갓 상대로 이만한 특효약이 없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갤럭투스 블레이드, 영=Galactus Blade,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추가=갤럭티카 혜성,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4, 시=16, 넉=6,조합=,
링1=빛의 조각,
글2=+,
링2=어둠의 조각,
글3=+,
링3=별의 진노,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4개행=,
글5=(5) +,
링5=은하의 특이점, 링5모드=, 링5h=24,
글6=(5) +,
링6=신의 정동, 링6모드=, 링6개행=,
글7=(10)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별의 진노의 강화판으로, 휘두를 때마다 지형 관통은 되지만 적 관통은 되지 않고, 스플래시 대미지가 존재하는 무지개색 별똥별을 떨어뜨린다. 피격 대상은 글2=+,
링2=어둠의 조각,
글3=+,
링3=별의 진노,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4개행=,
글5=(5) +,
링5=은하의 특이점, 링5모드=, 링5h=24,
글6=(5) +,
링6=신의 정동, 링6모드=, 링6개행=,
글7=(10)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본래 신의 정동 대신 심령체가 들어가 달의 군주 처치 직후에도 제작 가능했지만 패치 후 프로비던스 이후로 바뀌었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개발자 무기인 대지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테라토미어, 영=Terratomere,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추가=테라토미어 폭발,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h=80,
추가2=검기, 추가2설명=, 추가2h=80,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45, 시=20, 넉=7, 예시=공격,추가2=검기, 추가2설명=, 추가2h=80,
조합=,
링1=테라 블레이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만조,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헬카이트,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유리블룸 주괴, 링4모드=, 링4개행=,
글5=(7)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바닐라에서 온갖 검과 재료를 들여 만드는 테라 블레이드의 상위 무기인 만큼, 그보다 더 복잡한 제작법을 가졌다.글2=+,
링2=만조,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헬카이트,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유리블룸 주괴, 링4모드=, 링4개행=,
글5=(7)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무기 공격력 50%의 폭발을 일으키는 빠른 속도의 유도성 에너지 볼트 4줄기와, 짧은 거리를 날아가는 검기를 발사한다. 순수 근접 공격과 에너지 볼트는 적 타격 시 무기 공격력 40%의 피해를 입히는 3회의 검격을 일으킨다. 순수 근접 공격은 0.5초간
다른 검들과 비교되는 점으로,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사용할 수 없어, 신의(Godly)를 최고 접두사로 삼는다. 치명타 확률 100%를 달성한 상태라면, 무자비한(Ruthless) 접두사 또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
극후반부에 엑소급 무기인 엑소블레이드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영혼사냥 낫, 영=Lifehunt Scythe,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추가=생명의 낫,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56, 시=17, 넉=7.5,조합=,
링1=유리블룸 주괴, 링1모드=,
글2=(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낫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검으로 분류된다.글2=(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매우 짧은 거리를 나아가는 낫을 발사한다. 투사체는 적을 최대 2번 관통하며, 3번째 적을 타격하거나 발사 후 4초가 지나면 소멸한다. 순수 근접 공격은 체력을 5씩 회복시킨다.
다크 소울 시리즈의 동명의 무기로부터 이름을 따 왔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더럽혀진 대검, 영=Defiled Greatsword,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19, 시=28, 넉=9, 예시=공격,
조합=,
링1=바스러진 클리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
링3=유리블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15)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바스러진 클리버의 업그레이드 버전. 휘두를 때마다 진정한 밤의 칼날과 유사한 아래 세 가지 투사체를 발사한다.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
링3=유리블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15)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이름 | 효과 | |
공통 효과 | ||
| 블레이징 팬텀 블레이드 (Blazing Phantom Blade) | 약간의 유도력이 있다. |
| 하이퍼 블레이드 (Hyper Blade) | 유도력이 매우 강하고 피격된 적에게 |
| 선라이트 블레이드 (Sunlight Blade) | 유도력은 없으며 피격된 적에게 |
모든 발사체는 지형을 관통하고 적을 최대 5회 타격할 수 있으며, 관통 능력은 공격 속도에 따라 투사체마다 차이가 약간씩 있다. 유도성 발사체의 경우 지형으로 막힌 곳에 있는 적에겐 유도력이 없으며, 유도 대상이 없으면 죽음의 낫처럼 속도가 점점 느려지다가 정지한다.
검 자체로 적을 타격하면 50%의 확률로 근접 공격력 20% 상승시키는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뮤틸레이터, 영=The Mutilator,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83, 시=17, 넉=8,
조합=,
링1=혈석 코어, 링1모드=, 링1h=20,
글2=(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별다른 투사체는 소환하지 않지만, 체력이 20% 미만인 적들을 타격하면 체력을 20씩 회복하는 하트가 나온다. 동 티어의 무기에 비해 상당히 높은 공격력을 가지고 있는데, 일반 기준으로 신들의 포식자 2페이즈를 말뚝딜로 깰 수 있을 정도였지만 패치되어 불가능해졌다. 그래도 잡몹 노가다할 때는 부가효과 덕에 체력 관리를 용이하게 해 주는 편.글2=(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거울의 칼날, 영=Mirror Blade, 희소=Turquoise, 자동=, 포문=,
추가=미러 블래스트,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80, 시=11, 넉=7, 마=4,드롭=,
링1=끝없는 공허,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공격 시 투사체 하나를 빠른 속도로 날린다. 또한, 기본 대미지는 낮지만 이 칼로 적을 직접 타격할 경우 그 적의 대미지를 칼의 대미지에 더한다. 이를테면 신들의 포식자를 이 칼로 때리면 DoG의 돌진 대미지인 500이 칼에 더해져 기본 공격력이 236 + 500 = 736이 된다. 최대 상승폭은 750.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부가 옵션은 괜찮지만 적을 한 번이라도 직접 타격해야 한다는 조건과, 마나를 쓴다는 무시할 수 없는 단점 때문에 자주 쓰이지는 않는 무기. 주력으로 쓰기엔 애매하지만 보조 무장 정도로 운용하면 방사선 슬라임이나 신들의 포식자처럼 높은 접촉 대미지를 가진 적에게는 쓸 만하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공포의 칼날, 영=Terror Blade,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추가=테러 빔,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500, 시=17, 넉=8.5, 예시=공격,드롭=,
링1=폴터가스트,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휘두를 시 폴터가스트가 투사하는 붉은색의 유령 탄막을 투척한다. 이 발사체는 최대 6회까지 적을 관통하거나 지형에 튕길 수 있으며, 7번째로 접촉 시 그 자리에서 폭발한다. 또한, 지형에 튕길 때마다 넓은 범위에 걸쳐 다단히트를 가하는 폭발을 일으킨다.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잘 맟출 수 있다면 특유의 관통성능과 높은 기본딜이 합쳐져 신들의 포식자에게 엄청난 딜을 넣을 수 있어 있으며 다관절 보스인 타나토스에게도 높은 기본딜과 관통 때문에 용의 격노나 드래곤 파우 정도를 제외한 오릭급 티어 무기를 뛰어넘을 정도였으나 결국 2.0.2.1 버전에서 너프를 먹고 정상화되었다.
공격력이 500으로 줄고, 관통력이 3체 관통이 되어버려 이전보다 확실히 약해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디오갓에게 들어가는 데미지는 워리어 무기 중에서 상위권 수준으로 디오갓 첫 공략무기로 추천되는 무장이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사자왕, 영=Lion Heart,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추가=에너지 껍질,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960, 시=14, 넉=5.5,구입=,
링1=사이보그, 링1문서=NPC, 링1h=24,
글2=(1,
링2=백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75,
링3=금화, 링3문서=아이템/블록, 링3사진만=,
글4=), 글4트림=,
글8=(, 글8개행=,
링8=폴터가스트, 링8모드=,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폴터가스트 이후 구입 가능한 순수 근접 무기로, 사용 시 적에게 푸른 폭발을 일으키며, 폭발은 무기 공격력 100%의 피해를 입히고 글2=(1,
링2=백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75,
링3=금화, 링3문서=아이템/블록, 링3사진만=,
글4=), 글4트림=,
글8=(, 글8개행=,
링8=폴터가스트, 링8모드=,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사거리가 짧은 순수 근접 무기인 만큼, 동티어대 다른 무기들에 비해 성능이 뒤처진다. 그러나, 인페르넘이라면 얘기가 다르다. 디오갓 전투에서는 플레이어와 보스가 서로 죽어라 박기만 할텐데, 이 때 공격하면서 일어나는 스파크가 마디 하나하나다마 전부 들어가며, 스파크의 유지시간이 그렇게 짧지 않아 직접 타격하지 않은 마디에도 대미지가 들어간다. 우클릭의 에너지 껍질로 인한 피해량 감소도 디오갓의 무지막지한 대미지를 견뎌 내는 데 큰 도움을 줘, 위의 신성 가속기보다 조금 더 나은 선택지.
모티브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동명의 무기.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공허의 칼날, 영=Void Edge,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추가=환영의 영혼들, 추가설명=, 추가확장자=webp,
유형=근접 무기, 공=174, 시=24, 넉=7, 예시=공격,드롭=,
링1=원시 고룡,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2=(100%) (언제나),
링2=유령 고룡, 링2모드=, 링2문서=몬스터, 링2구분자=/머리, 링2h=20, 링2개행=,
글3=(33.33%) (,
링8=폴터가스트, 링8모드=,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글2=(100%) (언제나),
링2=유령 고룡, 링2모드=, 링2문서=몬스터, 링2구분자=/머리, 링2h=20, 링2개행=,
글3=(33.33%) (,
링8=폴터가스트, 링8모드=,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오래 전에 죽어버린 심연 거주자들의 창백한 영혼들을 투사합니다
심연에서 불화의 지팡이를 사용 시 시기 상관없이 나타나거나 폴터가스트 처치 이후 자연 스폰되기 시작하는 성체 유령 고룡이나 폴터가스트 처치 이후 심연의 3/4층에서 낮은 확률로 나타나는 어린 유령 고룡을 처치 시 드롭한다.휘두를 때마다 적에게 유도되고
이전 버전에서는 지형 관통을 못하는 대신, 해당 시점 기준 유도 대상에 몰려드는 투사체가 우수하여 대 신들의 포식자 주 무장으로 사용되었지만 패치로 지형관통이 가능해지고 dps가 감소하도록 조정되었다. 현 시점에서는 공포의 칼날이나 죽음의 승천에게 밀려 후순위로 내려가게 되었다. [8]
테라토미어의 강화판이자, 엑소블레이드의 열화판 같은 느낌.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최후의 비탄, 영=The Last Mourning,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50, 시=19, 넉=8.5,
조합=,
링1=악의의 수확자,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파멸의 영혼,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사신 이빨,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밤의 영혼, 링4개행=,
글5=(30)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적을 타격 시 해골 및 호박 발사체가 오프스크린 영역의 전방향에서 생성되어 적을 향해 유도된다. 해골 발사체는 적에게 명중 시 2개의 화염구로 분해된다. 세 발사체 모두 적에게 글2=+,
링2=파멸의 영혼,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사신 이빨,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밤의 영혼, 링4개행=,
글5=(30)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고귀했던 존재, 영=Excelsus,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81, 시=14, 넉=8, 예시=공격,
드롭=,
링1=신들의 포식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휘두를 때마다 적을 2회 관통하는 2~3개의 검기를 발사하며, 검으로 적을 직접 타격 시 그 자리에 레이저 여러 개가 빗발친다. 대개 야론을 잡을 때 많이들 사용하는 무기 중 하나.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마법 무기이자 개발자 무기인 신격화의 재료로 쓰인다. 무기명은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에 나오는 거대 로봇 보스 메탈기어 엑셀서스의 레퍼런스라고 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집행자, 영=The Enforcer,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890, 시=16, 넉=9,
조합=,
링1=코스밀라이트 주괴, 링1모드=,
글2=(12) @,
링2=전우주의 모루,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휘두르면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블레이드 에센스(Blade Essence)라는 이름의 발사체를 방출한다. 적을 타격하면 플레이어 주위에 보라색의 불꽃이 생성되어 근처의 적에게 추가타를 가한다.글2=(12) @,
링2=전우주의 모루,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정수 약탈꾼, 영=Essence Flayer,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80, 시=18, 넉=8,
조합=,
링1=코스밀라이트 주괴, 링1모드=,
글2=(12) @,
링2=전우주의 모루,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휘두르면 중간 정도의 사거리를 가졌으며 약한 유도성을 가진 낫 모양의 검기를 투사한다. 이 검기는 지형을 관통할 수 있고, 적과 접촉 시 다단히트 피해를 입힌다. 이 무기를 가지고 적 처치 시 체력을 8 회복시키는 치유 불꽃을 생성한다.글2=(12) @,
링2=전우주의 모루,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악마의 유린, 영=Devil's Devastation,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66, 시=19, 넉=6.75,
조합=,
링1=유린,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고귀한 맹검,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글4=(8) +,
링4=악몽 연료, 링4모드=, 링4h=24, 링4개행=,
글5=(2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휘두를 때마다 보라색 반원 모양의 낫 발사체 3개를 퍼지는 꼴로 방출하고,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곳에 동일한 갈퀴 여러 개가 융단 폭격이 된다. 또한 적에게 여러 디버프를 가한다.글2=+,
링2=고귀한 맹검,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글4=(8) +,
링4=악몽 연료, 링4모드=, 링4h=24, 링4개행=,
글5=(2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질서인도자, 영=Orderbringer,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38, 시=17, 넉=7,
조합=,
링1=심판의 대검,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
링3=흡열성 에너지,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
링3=흡열성 에너지,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기억에서 사라진 땅에서 온 창백하게 바랜 검.
검날에 귀를 기울이면 희미하지만 편안한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
'어디에 있건 간에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저는 언제나 당신 곁에 있겠습니다, 나의 주군이시어.'
심판의 대검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공격 방식은 심판의 대검과 거의 동일하다. 휘두를 때마다 유도성 무지개 검을 발사한다. 1/10초마다 2개의 무지개 구슬이 검의 양쪽에서 발사되어 적에게 맞거나 1초 뒤에 사라진다. 2초 뒤에 발사체가 적에게 맞거나 사라지면 20초동안 1/10초마다 수십 발의 유도성 무지개 관통 발사체가 25초 동안 우수수 쏟아져 나온다. 궤적 투사체 때문에 더미에다 대고 공격하면 딜이 거의 안 나오는데 반해 돌진형 보스인 야론을 공격할 때에는 딜량이 좋아서 대개 야론전에서 추천받는다.검날에 귀를 기울이면 희미하지만 편안한 속삭임을 들을 수 있다.
'어디에 있건 간에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닙니다. 저는 언제나 당신 곁에 있겠습니다, 나의 주군이시어.'
포팅 이전의 이름인 블라의 대검(Greatsword of Blah)이라는 이름은 테라리아 초창기에 인기 있었던 모드인 아발론 모드의 제작자인 Blahblahbal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엔드게임 무기 중 하나인 무지갯빛 엑스칼리버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선명한 파괴자, 영=Prismatic Breaker,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근접/원거리 무기, 공=699, 시=13, 넉=7, 치=12,
조합=,
링1=솔스티스 클레이모어,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전우주의 무지개,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마법, 링2h=24,
글3=+,
링3=생명 합금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3) +,
링4=코스밀라이트 주괴, 링4모드=,
글5=(8) +,
링5=흡열성 에너지, 링5모드=, 링5h=24, 링5개행=,
글6=(2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Calamity의 무기 내에서도 손꼽을 정도로 특이한 공격방식을 지니는 무기인데, 무려 근접과 원거리의 스텟 상승 효과를 동시에 지니는 무기라는 점이다. 즉 워리어가 사용해도 되고 레인저가 사용해도 된다는 말. 2가지 공격방식이 존재하는데, 우선 좌클릭 공격은 검을 들고 있으면서 기를 모으다가 1.67초정도 충전 뒤 라스트 프리즘 또는 충전형 우주 대포와 비슷한 무한관통 레이저가 나간다. 블록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도 라스트 프리즘과 비슷하다. 우클릭 공격은 검을 휘두르면서 적을 최대 2마리까지 관통하는 검기를 발사한다.글2=+,
링2=전우주의 무지개,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마법, 링2h=24,
글3=+,
링3=생명 합금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3) +,
링4=코스밀라이트 주괴, 링4모드=,
글5=(8) +,
링5=흡열성 에너지, 링5모드=, 링5h=24, 링5개행=,
글6=(2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검으로 타격 시 아래의 디버프를 5초간, 이외의 방식으로 타격 시 2.5초간 가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아타락시아, 영=Ataraxia,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75, 시=10, 넉=2.5, 예시=공격,
조합=,
링1=부서진 영웅의 검, 링1h=24,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
링3=악몽 연료,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4=고대인의 영혼의 정수, 링4모드=, 링4h=24,
글5=(2) +,
링5=오릭 주괴, 링5모드=, 링5개행=,
글6=(5)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사용 시 소형 로켓 2개와 대형 로켓 1개를 발사한다. 대형 로켓은 적이나 지형에 부딪칠 경우 폭발하며, 소형 로켓은 다단 히트 공격을 가하는 가시 여러 개로 갈라진다. 칼날 부분으로 적에게 공격을 가했을 경우 유도성 발사체 5개가 적 주변에 소환되어 꽃 모양을 그리면서 날아간다.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
링3=악몽 연료,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4=고대인의 영혼의 정수, 링4모드=, 링4h=24,
글5=(2) +,
링5=오릭 주괴, 링5모드=, 링5개행=,
글6=(5)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패치 이후 빔 한발을 추가로 발사하고, 투사체 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사정거리도 훨씬 길어졌으며 빔은 명중시 폭발한다. 투사체 자체 대미지는 줄어 가능하면 쌍둥이를 상대할 때 사용하면 좋다.
공격 성공 시 검 자체는
||<rowbgcolor=gray><table bordercolor=gray><tablebgcolor=#fff,#1c1d1f><-2> 이름 ||<width=100px> 대미지 || 효과 ||
| 메인 로켓 (Main Rocket) | 100% | 적중 시 그림자불꽃 구름으로 폭파하여 두 배의 피해를 준다. |
| 사이드 로켓 (Side Rocket) | 75% | 명중 시 모든 방향으로 6개의 니들 로켓으로 폭발한다. |
| 꽃 로켓 (Flower Rocket) | 10% | 5개의 로켓이 떼를 지어 꽃처럼 표적 주위를 날아다닌다. |
| 니들 로켓 (Needle Rocket) | 3.75% | 짧은 거리를 이동하고 0.83초 후에 소멸되기 전에 멈춘다. 접촉하는 모든 대상을 매우 빠르게 공격한다. |
한 때는 딜링도 불타는 창공에게 밀리고, 편의성도 우주의 방주나 제니스에게 밀려서 애매한 무기 취급을 받았지만 불타는 창공의 너프 이후 엑소 메카 전에서 딜링용 무기로 이 쪽의 선택지도 고려해볼 만 하게 되었다. 다만 편의성을 추구한다면 제니스가 나은 편. 가능하면 제니스나 불타는 창공은 쌍둥이를 공격하는 데 쓰고, 아타락시아는 덩치가 커서 때리기 쉬운 아레스를 때려박기에 알맞다. 문제는 아레스 때려박기 용도로는 해당 분야의 탑급인 드래곤 파우가 있어서 검 온리 컨셉플이 아니면 역시 애매한 건 마찬가지.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게일의 대검, 영=Gael's Greatsword,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90, 시=11, 넉=9, 예시=공격,
드롭=,
링1=칼라미타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h=24,
글5=(,
글6=100%, 글6색=#B3F, 글6트림=,
글7=), 글7트림=,)]
글5=(,
글6=100%, 글6색=#B3F, 글6트림=,
글7=), 글7트림=,)]
"자아, 내게 내놔라. 너의 어두운 영혼을."
모티브는 다크 소울 3 DLC2의 최종 보스인 노예기사 게일을 처치하고 제작할 수 있는 게일의 대검이다.좌클릭으로 휘두르면 다음과 같은 공격주기를 따른다.
* 첫번째 공격엔 아무 효과 없는 트루밀리로 공격한다.
- 두번째 공격엔 빠르게 날아가고 유도되는 해골을 2개 발사한다.
- 세번째 공격엔 느리고 유도는 안되지만 적을 3번 관통하는 거대한 해골을 1개 발사한다.
플레이어의 체력이 50% 미만이면, 트루밀리 공격에 폭발 이펙트가 추가되고 간헐적으로 9개의 번개가 1~3개 그룹으로 나뉘어 플레이어 주위로 내리친다.
리벤전스 이상의 모드에서는 분노 게이지가 매우 빠른 속도로 차오르고 [분노 모드] 버튼을 눌러 20개의 유도되는 해골을 원 모양으로 방출하고 분노 게이지를 0으로 줄인다.(사용 모습) 해골의 대미지는 차오른 분노 게이지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이 능력의 쿨타임은 10초이다.
원래는 야론 이후 스크라일러에게서 낮은 확률로 획득 가능했으나 1.5패치 이후 말리스 모드의 대마녀 칼라미타스를 처치해야 드롭되게끔 변경되어서 획득 난이도가 극도로 높아졌다. 2.0.1 패치에서 말리스 삭제로 인해 데스 모드 드롭으로 난이도가 낮아지긴 했지만 어려운 건 매한가지.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붉은 태양, 영=Red Sun, 포문=, 희소=Hot Pink, 희소2=linear-gradient(225deg\,#CC5650\,#ED458D),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50, 시=10, 넉=4,
조합=,
링1=아래턱 칼날,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버림받은 세이버,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햇빛의 코어,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섀도우스펙 주괴, 링4모드=, 링4h=18,
글5=(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글2=+,
링2=버림받은 세이버,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햇빛의 코어,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섀도우스펙 주괴, 링4모드=, 링4h=18,
글5=(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낙원에 드리워진
개발자 아이템. 휘두를 때마다 회면을 가득 메울 정도로 많은 양의 태양 불꽃이 하늘에서 떨어진다. 이 불꽃은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적에게 명중 시 여러 개의 유도성 지형 관통 파편으로 나뉘면서 폭발한다.근접 공격과 불꽃은 10초간, 파편은 2초간
무기명과 툴팁은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에서 주인공의 적대 세력으로 나오는 선다우너의 테마곡 'Red Sun'의 가사 한 구절인 'Red Sun over Paradise'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대지, 영=Earth, 포문=, 희소=Hot Pink, 희소2=linear-gradient(225deg\,#FF6392\,#FFE45E\,#7FC8F8),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70, 시=15, 넉=9.5, 예시=공격,
조합=,
링1=그랜드 가디언,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36,
글2=+,
링2=갤럭투스 블레이드,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개발자 아이템. 위력과 유틸성 양면으로 트루밀리 최강의 무기 중 하나라 부르기에 손색이 없다. 무기가 적에게 적중 시 일정 확률로 적의 방어력을 1 깎고 플레이어의 체력을 1~68 회복한다. 이때 하늘에서 적에게 글2=+,
링2=갤럭투스 블레이드,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이 무지막지한 피흡 덕분에 다른 개발자 스펙 직업군은 고전하는 성체 유령 고룡을 워리어는 넉백무시 탈것, 장신구를 끼고 무려 맞딜로 잡을 수 있다. 게다가 보스 러시 전에서도 엑소 메카나 슈칼이나 프로비던스같은 특수 케이스를 제외하면 대다수의 보스들을 그냥 맞붙어서 잡아버린다. 하지만 2.0.4.1 이후 날먹이 심해도 너무 심했는지 회복에 내부적인 쿨타임을 가지게 되어 맞딜로 잡거나 하는 만용은 부리지 말자.
이름 | 효과 | |
| 적색 운석 (Red Meteor) | 충돌 시 폭발하고 |
| 녹색 운석 (Green Meteor) | 적중 시 플레이어를 회복시키는 구체를 남긴다. 가한 피해의 7.5%가 회복된다. |
| 청색 운석 (Blue Meteor) | 적중 시 |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용의 파괴, 영=Draconic Destruction, 포문=, 희소=Hot Pink, 희소2=linear-gradient(225deg\,#FF4500\,#8B0000),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00, 시=34, 넉=7.25, 예시=공격,
조합=,
링1=햇빛의 코어, 링1모드=, 링1h=24,
글2=(3) +,
링2=겨울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4=태양의 파편,
글5=(10),
글9=@, 글9개행=,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개발자 아이템. 휘두르면 검과 똑같이 생긴 검기를 날리며 적에게 닿거나 지형에 닿으면 8개의 작은 검기로 나뉘어 지형과 적을 관통하면서 원형으로 퍼진다. 어느 정도 퍼진 뒤엔 상하로 왔다 갔다 하면서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면서 공격한다. 글2=(3) +,
링2=겨울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4=태양의 파편,
글5=(10),
글9=@, 글9개행=,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무지갯빛 엑스칼리버, 영=Iridescent Excalibur, 포문=, 희소=Hot Pink, 희소2=Rainb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000, 시=20, 넉=8,
조합=,
링1=질서인도자,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36,
글2=+,
링2=진정한 엑스칼리버,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기적의 물질, 링3모드=, 링3h=24,
글4=(3) +,
링4=소멸의 잿더미, 링4모드=,
글5=(1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심판의 대검의 최종형태로, 휘두르면 아래에 설명된 검기들 중 하나의 검기를 발사한다.글2=+,
링2=진정한 엑스칼리버,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기적의 물질, 링3모드=, 링3h=24,
글4=(3) +,
링4=소멸의 잿더미, 링4모드=,
글5=(1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 아무 효과 없는 붉은색 검기
- 플레이어에게 되돌아가는 주황색 검기
- 일정 거리를 날아간 후 3개의 붉은색 검기로 분열하는 노란색 검기
- 플레이어를 향해 유도되는 라임색 검기
- 적을 향해 유도되는 초록색 검기
- 가속하고 지형을 무시하는 청록색 검기
- 적이나 타일에 닿으면 3개의 청록색 검기로 분열하는 시안색 검기
- 맞춘 적을 감속시키는 옅은 하늘색 검기
- 적과 타일을 여러 번 튕기는 파란색 검기
- 부정한 수호자들의 탄막과 유사하게 날아가는 보라색 검기
- 처음엔 느리게 날아가지만 점점 가속하는 자홍색 검기
- 자홍색 검기를 소환하는 진한 분홍색 검기
무기로 직접 때릴 시 10~19의 체력을 회복한다. 우클릭 시 두 배의 대미지를 입히는 순수 근접 공격도 가능하다. 적중 시 적들에게 엑소급 무기들의 디버프인
검기가 많이 제멋대로라서 조금 맞추기 힘들때가 존재하기도 하지만 유도, 지형 관통, 튕기기, 슬로우, 분열 등등 좋은 효과를 가진것도 많고 무엇보다 보는 맛이 쏠쏠하다. 위력 또한 모든 워리어 개발자 무기를 통틀어 트루 밀리 무기인 대지를 제외하면 가장 강력하다. 물론 Tainted 인챈트를 붙이고 트루 밀리로 휘둘러도 높은 흡혈량과 엄청난 대미지가 맞물려 보스들을 딜찍누해버리는 성능을 보여주긴 하나 애초부터 그러라고 만든 대지가 있어 굳이 그렇게 쓸 필요는 없다.
2.0.4.1 이후 티어가 엑소 티어로 강등당했다.[9] 검기 데미지가 반 정도로 줄었으며 속도도 느려졌다. 거기에 트루멜리 공격 시 회복이 내부적인 쿨타임을 지니게 되어 맞딜로 잡거나 하는 건 불가능해졌다. 또한 우클릭 공격 시 기존 엑스칼리버처럼 이펙트가 추가되었다.
포팅 이전의 이름인 원소의 엑스칼리버(Elemental Excalibur)의 모티브는 아발론 모드에 등장하는 동명의 검류인 Elemental Excalibur. 재료에 아발론 모드 제작자 이름이 모티브인 블라의 대검이 들어가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아발론 모드가 출시될 당시에는 테라리아가 한창 초창기였던 시절이라(시기상 하드모드가 막 등장한 때) 사실상 준 최종 장비 수준이었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 단검 #===
플레이어가 조준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찔러 공격하는 근접 무기 분류.
바닐라에서는 잡템 취급을 받던 것과는 달리 칼라미티 모드에서는 여러 개의 단검이 추가된다. 툴팁에도 다시는 단검을 무시하지 말라는 식의 뉘앙스로 쓰여 있다. 바닐라에서는 금/백금 단검, 잘 쳐줘도 역시 초반급 무기인 글라디우스가 끝이었던 걸 감안하면 격세지감.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 사하라 슬라이서 (Sahara Slicer) | 23 | 18 (매우 빠름) | 6 (보통) | 4% | <colcolor=green> o | |
| 잠수정 분쇄기 (Submarine Shocker) | 90 | 10 (매우 빠름) | 7 (강함) | 4% | o | |
| 루크레시아 (Lucrecia) | 90 | 30 (느림) | 8.25 (매우 강함) | 4% | o | |
<colbgcolor=#eef,#677> | <colbgcolor=#eef,#677> 원소의 단검 (Elemental Shiv) | 138 | 13 (매우 빠름) | 8.5 (매우 강함) | 4% | o | |
| 갈릴레오 글라디우스 (Galileo Gladius) | 92 | 12 (매우 빠름) | 10 (매우 강함) | 4% | o | |
| 전우주적 단검 (Cosmic Shiv) | 270 | 40 (매우 느림) | 9 (매우 강함) | 4% | o | |
3.4. 하드모드 이전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사하라 슬라이서, 영=Sahara Slicers, 희소=Green, 자동=, 예시=공격,
추가=단검, 추가설명=,
추가2=볼트, 추가2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23, 시=18, 넉=6,
드롭=,
링1=사막의 무법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사막의 무법자 드롭 순수 근접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사용 시 양손에 2개의 단검을 들어, 앞을 번갈아가며 빠르게 찌른다. 적을 한 번 찌를 때마다 사용자 뒤에 2개의 볼트가 생성된다. 볼트는 최대 10개까지 생성될 수 있으며, 우클릭 시 남아있는 볼트를 하나 빠르게 발사한다.
일반적인 바닐라 단검처럼 짧은 사거리를 가지고 있으나, 그들과는 다르게 자동공격이 가능하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3.5. 하드모드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잠수정 분쇄기, 영=Submarine Shocker,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90, 시=10, 넉=7,
드롭=,
링1=바다의 무법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바다의 무법자가 드롭하는 순수 근접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사용 시 커서 방향으로 단검을 매우 빠른 속도로 찌르며, 적을 타격할 때마다 전기 스파크를 방출한다. 스파크는 1초간 유지되며 사라지기 전까지 적에게 최대 5번의 피해를 입힌다. 또한, 스파크는 중력에 영향을 받지만 블록은 통과할 수 없으며, 무기 공격력 70%의 피해를 입힌다.
얼핏 보기엔 일반적인 단검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사기 무기 중 하나. 스파크와 단검 자체 모두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는데, 이 점과 빠른 공속의 시너지로 인해 같은 티어 무기들로는 상상할 수조차 없는 폭딜이 가능하다. 아드레날린/분노를 켜고 보스에게 들이박아 맞딜을 하면 수 초 이내에 대부분의 보스가 갈려나갈 정도.
단점이라면 단검답게 사거리가 무진장 짧다. 트루 밀리 무기중에서도 손가락에 꼽도록 사거리가 짧아 거의 맞딜 용도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 접촉 대미지가 높은 보스의 경우 이걸로 딜을 넣으려다간 본인이 죽을 확률이 높다. 대신 컨트롤이 된다면 아주 쉽게 보스들을 잡을 수 있는, 트루 밀리의 특징을 극단적으로 살린 아이템이라 할 수 있겠다.
순수 근접 플레이중이라면 하드모드 초반에 크라이오젠을 잡아 눈사태를 얻어 바다의 무법자를 처치하고 이 무기를 얻도록 하자. 정신없이 날아다니는 기계 보스와 짭칼도 아드를 채우고 들이박으면 녹일 수 있어 플레이가 편해진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루크레시아, 영=Lucrecia,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DNA,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30, 넉=8.25,조합=,
링1=재앙의 코어, 링1모드=, 링1h=24,
글2=+,
링2=생명 합금괴,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빛의 영혼,
글4=(5) +,
링4=밤의 영혼, 링4개행=,
글5=(5) @,
링9=하드모드 모루)]
골렘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
링2=생명 합금괴,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빛의 영혼,
글4=(5) +,
링4=밤의 영혼, 링4개행=,
글5=(5) @,
링9=하드모드 모루)]
사용 시 커서 방향으로 DNA를 발사한다. DNA는 지형을 통과하며 적 또한 무한히 관통한다. 일반적인 검 정도의 크기를 지니고 있으나 공격 방식은 단검의 그것이다. 아이템 자체도 단검으로 분류되고 있다.
과거에는 적 공격 시 사용자에게 6의 무적 프레임도 제공해 줘, 돌진 패턴이 많은 이후 보스들[10] 상대로 쓰기 좋았다. 그러나 패치를 거듭해가며 무적 프레임이 6에서 3으로 감소, 그러다가 완전히 삭제되는 바람에 사용할 만한 메리트가 없어졌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3.6. 달의 군주 이후
|
한=원소의 단검, 영=Elemental Shiv, 포문=, 희소=Purple, 자동=,
추가=원소의 단검 칼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38, 시=13, 넉=8.5,
조합=,
링1=별빛,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은하의 특이점,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루미나이트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4=(5) +,
링4=생명 합금괴, 링4모드=, 링4h=24, 링4개행=,
글5=(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문로드 직후 제작할 수 있는 원소 무기.글2=+,
링2=은하의 특이점,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루미나이트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4=(5) +,
링4=생명 합금괴, 링4모드=, 링4h=24, 링4개행=,
글5=(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적은 관통하지 못하지만 블록은 통과하는 유도성 투사체를 좌우 한 쪽으로 발사한다. 투사체는 적중 시 화면 바깥 영역 양쪽에서 3개의 원소 칼날이 날아와 대상에게 추가적인 피해를 입힌다. 칼날은 무기 투사체와 마찬가지로 블록은 통과하지만 적은 관통하지 못한다. 무기의 투사체는 1초간, 원소 칼날은 0.5초간
투사체가 적에게 유도되고 단일 대상 dps도 뛰어나, 프로비던스 상대로 사용하기 매우 좋다. 특히 인페르넘 프로비던스라면 다른 무기들이 변변찮은 성능을 보이거나 사용하기 까다로운 게 대다수라 더욱 빛을 발하는 무기.
현재는 삭제된 무기 테라 단검의 상위 아이템이기도 했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디오갓 이후 전우주적 단검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갈릴레오 글라디우스, 영=Galileo Gladius,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추가개행=, 추가=갈릴레오 행성, 추가설명=,
추가2=초승달 칼날,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92, 시=12, 넉=10,
조합=,
링1=글라디우스,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루메닐, 링2모드=, 링2h=24,
글3=(8) +,
링3=파멸의 영혼,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익소듐 뭉치, 링4모드=, 링4개행=,
글5=(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폴터가스트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
링2=루메닐, 링2모드=, 링2h=24,
글3=(8) +,
링3=파멸의 영혼,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익소듐 뭉치, 링4모드=, 링4개행=,
글5=(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블록을 통과하며 무기 공격력 33%의 피해를 입히는 유도성 초승달 칼날을 발사한다. 순수 근접 공격 시 파란색 대형 행성이 적에게 낙하한다. 행성은 적 혹은 블록과 충돌하면 폭발한다. 무기 본체, 행성, 초승달 칼날은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전우주적 단검, 영=Cosmic Shiv,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추가개행=, 추가=전우주의 별, 추가설명=,
추가2=전우주의 검날,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270, 시=40, 넉=9,
조합=,
링1=원소의 단검,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원소의 단검의 강화판이자 최강의 단검.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사용 시 적에게 유도되는 전우주의 별을 발사한다. 무기 본체나 별으로 적을 3번 타격할 경우, 이후 4초간 그 대상에게 4~9개의 전우주의 검날이 무작위 방향으로 날아와 추가 피해를 입힌다. 검날은 적을 최대 4번까지 관통하며, 전우주의 별이나 무기 본체로 적을 직접 타격할 경우 커다란 별 모양의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무기 본체, 별, 검날은
원소의 단검이 프로비던스 상대로 좋았듯이, 이 무기도 야론 상대로 무난히 사용하기 좋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 요요 #===
사용 시 커서 위치에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르며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근접 무기 분류.
칼라미티 모드에서는 요요 장갑과 요요 가방으로 소환된 두 번째 요요가 50%만의 피해를 입힌다는 점을 알아두자.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사거리 || 체공
시간 || 자동
공격 || 등급 ||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사거리 || 체공
시간 || 자동
공격 || 등급 ||
| 연기나는 혜성 (Riptide) | 21 | 24 (빠름) | 1.5 (극도로 약함) | 4% | 20타일 | 21초 | <colcolor=green> o | |
| 립타이드 (Riptide) | 16 | 25 (빠름) | 1 (극도로 약함) | 4% | 18타일 | 24초 | o | |
| 대동맥 (Aorta) | 31 | 22 (빠름) | 4.25 (보통) | 4% | 20.625타일 | 24초 | o | |
| 에어 스피너 (Air Spinner) | 29 | 22 (빠름) | 4 (약함) | 4% | 20.625타일 | 30초 | o | |
| 신의 한 수 (The God's Gambit) | 26 | 21 (빠름) | 3.5 (약함) | 4% | 25타일 | ∞ | o | |
| 인요 (Yin-Yo) | 44 | 25 (빠름) | 3.5 (약함) | 4% | 25타일 | ∞ | o | |
| 희미한 스파크 (Shimmerspark) | 41 | 25 (빠름) | 3.5 (약함) | 4% | 28타일 | ∞ | o | |
| 황산성 약탈자 (Sulphurous Grabber) | 40 | 25 (빠름) | 3.5 (약함) | 4% | 25타일 | ∞ | x | |
| 망각 (Oblivion) | 55 | 22 (빠름) | 4 (약함) | 4% | 25타일 | ∞ | o | |
| 수렁 (Quagmire) | 52 | 22 (빠름) | 3.5 (약함) | 4% | 30타일 | ∞ | o | |
| 단층선 (Fault Line) | 75 | 22 (빠름) | 4 (약함) | 4% | 30타일 | ∞ | o | |
| 광역 유행병 (Pandemic) | 100 | 22 (빠름) | 2.5 (매우 약함) | 4% | 30타일 | ∞ | o | |
| 전자레인지 (The Microwave) | 111 | 22 (빠름) | 3 (매우 약함) | 4% | 32타일 | ∞ | o | |
<colbgcolor=#eef,#677> | <colbgcolor=#eef,#677> 타오르는 계시 (Burning Revelation) | 120 | 20 (매우 빠름) | 7.5 (매우 강함) | 4% | 35타일 | ∞ | o | |
| 래서레이터 (Lacerator) | 130 | 20 (매우 빠름) | 7 (강함) | 4% | 35타일 | ∞ | o | |
| 말소자 (The Obliterator) | 222 | 20 (매우 빠름) | 7.5 (매우 강함) | 4% | 45타일 | ∞ | o | |
| 오라클 (The Oracle) | 205 | 20 (매우 빠름) | 4 (약함) | 4% | 50타일 | ∞ | o | |
| 아자토스 (Azathoth) | 90 | 20 (매우 빠름) | 6 (보통) | 4% | 55타일 | ∞ | o | |
3.7. 하드모드 이전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연기나는 혜성, 영=Smoking Comet, 희소=Green, 자동=,
추가개행=,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연기나는 혜성, 추가설명=요요 머리,
추가2=별똥별,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21, 시=25, 넉=1.5, 거리=20, 체공=21,
조합=,
링1=다이아몬드,
글2=(5) +,
링2=자수정,
글3=(5) +,
링3=분홍 젤,
글4=(10) +,
링4=별똥별, 링4개행=,
글5=(15) @,
링9=모루)]
게임 초반 제작 가능한, 요요판 별의 격노.글2=(5) +,
링2=자수정,
글3=(5) +,
링3=분홍 젤,
글4=(10) +,
링4=별똥별, 링4개행=,
글5=(15) @,
링9=모루)]
요요 전개 시 하늘에서 별똥별을 떨어뜨리며, 별똥별은 적을 최대 2회 관통하고 블록을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요요들보다 눈에 띌 정도로 큰 히트박스를 가지고 있는 것도 한 가지 특징.
스티븐 유니버스의 스모키 쿼츠와 그녀가 사용하는 요요가 모티브.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립타이드, 영=Riptide, 구분자=(아이템), 희소=Green, 자동=,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립타이드, 추가설명=요요 머리,
유형=근접 무기, 공=12, 시=25, 넉=1, 거리=18, 체공=18,
조합=,
링1=진주 조각, 링1모드=, 링1h=18,
글2=(3) +,
링2=바다 프리즘, 링2모드=, 링2h=18,
글3=(7) +,
링3개행=, 링3=진청석, 링3모드=, 링3h=18,
글9=(10) @,
링9=모루)]
사막의 무법자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3) +,
링2=바다 프리즘, 링2모드=, 링2h=18,
글3=(7) +,
링3개행=, 링3=진청석, 링3모드=, 링3h=18,
글9=(10) @,
링9=모루)]
요요 전개 시 시계 방향으로 푸른색 물줄기를 나선형으로 발사하며, 물줄기는 적을 최대 1회 관통한다.
원래는 'Whirlpool(소용돌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토륨 모드에 동명의 무기가 존재하는 탓에 립타이드라는 이름으로 출시됐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대동맥, 영=Aorta, 희소=Orange, 자동=,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대동맥, 추가설명=요요 머리,
유형=근접 무기, 공=31, 시=22, 넉=4.25, 거리=20.625, 체공=24,
드롭=,
링1=퍼포레이터즈,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조합2=,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링21=척추뼈,
글22=(3) +,
링22=크림테인 주괴, 링2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3=(3) +,
링23=혈액 샘플, 링23모드=, 링23h=18, 링23개행=,
글24=(6) @,
링29=제단, 링29문서=오브젝트, 링29h=16)]
퍼포레이터가 드롭하는 무기로, 재료를 모아 제작할 수도 있다.글22=(3) +,
링22=크림테인 주괴, 링2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3=(3) +,
링23=혈액 샘플, 링23모드=, 링23h=18, 링23개행=,
글24=(6) @,
링29=제단, 링29문서=오브젝트, 링29h=16)]
요요 전개 시 반경 16타일 내의 적에게 핏덩어리를 발사한다. 핏덩어리는 적 방향으로 짧은 거리 직진하다 곧이어 유도되는데, 유도성을 띄기 전에는 피해를 입히지 못한다. 핏덩어리는 블록 및 적을 관통할 수 없으며, 무기 공격력 25%의 피해를 입힌다. 요요와 핏덩어리는 적에게
특이하게 오염지대 대체 무기가 없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에어 스피너, 영=Air Spinner, 희소=Orange, 자동=,
추가개행=, 추가=에어 스피너,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요요 머리,
추가2=금빛 창공깃털,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29, 시=22, 넉=4, 거리=20.625, 체공=30,
조합=,
링1=창공석 주괴, 링1모드=,
글2=(6) +,
링2=태양판 블록,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3) @,
링9=하늘 방앗간, 링9h=24)]
모드 오염지대 보스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6) +,
링2=태양판 블록,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3) @,
링9=하늘 방앗간, 링9h=24)]
요요 전개 시, 반경 20타일 이내의 적에게 깃털을 날려 공격한다. 깃털은 적이나 블록을 관통할 수 없고, 무기 공격력 25%의 피해를 입힌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신의 한 수, 영=The God's Gambit,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신의 한 수,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요요 머리,
유형=근접 무기, 공=26, 시=21, 넉=3.5, 거리=25, 체공=∞,
조합=,
링1=정제된 젤, 링1모드=, 링1h=24,
글2=(30) +,
링2=말라붙은 젤, 링2모드=,
글9=(30) @,
링9=정적 정제소,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슬라임 갓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로, 하드모드 이전 무한대로 활공이 가능한 유일한 요요.글2=(30) +,
링2=말라붙은 젤, 링2모드=,
글9=(30) @,
링9=정적 정제소,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요요 전개 시 반경 20타일 이내의 적에게 슬라임 물줄기를 발사한다. 물줄기에 닿은 적은
여담으로, 이전에는 요요라는 걸 분명히 알아볼 수 있는 모습이었으나,[11] 어째서인지 요요임을 알아보기 힘든 모습으로 리스프라이트됐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3.8. 하드모드[12]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인요, 영=Yin-Yo,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머리, 추가설명=요요 머리, 추가개행=,
추가2=빛의 조각, 추가2모드=Terraria, 추가2설명=,
추가3=어둠의 조각, 추가3모드=Terraria, 추가3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44, 시=25, 넉=3.5, 거리=25, 체공=∞,추가2=빛의 조각, 추가2모드=Terraria, 추가2설명=,
추가3=어둠의 조각, 추가3모드=Terraria, 추가3설명=,
조합=,
링1=빛의 조각,
글2=+,
링2=어둠의 조각,
글3=@,
링9=모루)]
하드모드에서 제작 가능한 무기.글2=+,
링2=어둠의 조각,
글3=@,
링9=모루)]
요요 전개 시 근처 적 방향으로 음의 조각을, 반대 방향으로 양의 조각을 투사한다. 조각들은 발사됐던 지점으로 다시 되돌아온다. 또, 지형을 관통할 수 있고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당장 같은 재료를 2배로 소모하고 추가적으로 다른 재료를 더 요구하는 다오 오브 파우와 비교하기엔 미안할 정도로 가성비가 좋은 편.
이름은 음양의 일본어 발음 Yin-Yang과 요요의 합성어로, 무기 스프라이트도 음양의 태극 문양 모습이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희미한 스파크, 영=Shimmerspark,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추가2=신성한 별,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41, 시=25, 넉=3.5, 거리=28, 체공=∞,
조합=,
링1=냉동석 주괴, 링1모드=, 링1h=18,
글2=(6) @,
링9=하드모드 모루)]
기계보스 2마리 격파 후 제작할 수 있는 무기.글2=(6) @,
링9=하드모드 모루)]
요요 전개 시 반경 20타일 아내의 적에게 자주색 별을 발사한다. 별은 지형과 적을 관통할 수 없으며,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황산성 약탈자, 영=Sulphurous Grabber, 하드=, 희소=Pink,
유형=근접 무기, 공=40, 시=25, 넉=3.5, 거리=25, 체공=∞, 예시=공격,
추가개행=,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추가2=보라색 황산 방울, 추가2설명=,
추가3=녹색 황산 방울, 추가3설명=,
드롭=,
링1=황산성 스케이터, 링1모드=, 링1문서=이벤트,
글2=(5%),
보물2=,글2=(5%),
링21=열수 크레이트,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10%),
글23=(티어 2, 글23개행=,
링23=산성비, 링23모드=, 링23문서=이벤트, 링23문자만=,
글24=이벤트 격파 이후))]
2단계 산성비 이벤트의 황산성 스케이터가 드롭하는 무기. 열수 크레이트에서도 일정 확률로 나올 수 있다.글22=(10%),
글23=(티어 2, 글23개행=,
링23=산성비, 링23모드=, 링23문서=이벤트, 링23문자만=,
글24=이벤트 격파 이후))]
요요 전개 시 녹색 또는 보라색의 방울을 삼각 대형으로 발사한다. 방울들은 적을 관통할 수 없으며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요요가 녹색 방울에 닿을 경우 녹색으로 빛나며 방울을 더 많이 발사한다. 요요 본체는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망각, 영=Oblivion,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추가2=유황 레이저,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55, 시=22, 넉=4, 거리=25, 체공=∞,
드롭=,
링1=칼라미타스 클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짭칼 드롭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요요 전개 시 반경 20블록 이내의 적에게 유황 레이저를 속사한다. 레이저는 적과 블록을 관통할 수 없으며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요요와 레이저는 적에게
여담으로 이 요요는 과거 크툴루의 눈을 모티브로 한 '칼라미타스의 눈'이라는 이름이었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수렁, 영=Quagmire,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포자 가스,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52, 시=22, 넉=3.5, 거리=30, 체공=∞,
조합=,
링1=다년생 주괴, 링1모드=,
글2=(6) @,
링9=하드모드 모루)]
플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6) @,
링9=하드모드 모루)]
요요 전개 시 무작위 방향으로 포자 가스를 지속적으로 방출한다. 가스는 적과 블록을 무한히 관통하며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르루입힌다. 요요 본체는 적에게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단층선, 영=Fault Lin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75, 시=22, 넉=4, 거리=30, 체공=∞,
조합=,
링1=화산암 주괴, 링1모드=, 링1h=24,
글2=(6) @,
링9=하드모드 모루)]
골렘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6) @,
링9=하드모드 모루)]
요요로 적 타격 시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는 작은 폭발을 일으킨다. 요요 본체와 폭발은
단층선은 서로 다른 단층 간에 보이는 기다란 틈을 의미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광역 유행병, 영=Pandemic,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00, 시=22, 넉=2.5, 거리=30, 체공=∞,
드롭=,
링1=질병전이체 골리앗,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골리앗 드롭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요요 전개 시 반경 20블록 이내의 적을 향해 질병추적자를 발사한다. 질병추적자는 대동맥의 핏덩어리 투사체와 비슷하게 이동하며, 역시 유도성을 띄기 이전에는 적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질병추적자는 적과 블록을 관통할 수 없으며 무기 공격력 75%의 피해를 입힌다. 요요와 질병추적자는 각각 4초, 3초간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전자레인지, 영=The Microwave, 하드=, 희소=Cyan,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11, 시=22, 넉=3, 거리=32, 체공=∞,
드롭=,
링1=아스트럼 데우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데우스 드롭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요요 전개 시 반경 약 6블록의 아우라를 소환해 범위 내 적에게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힌다. 아우라는 무기 공격력 35%의 피해를 입히며
해당 요요를 드롭하는 데우스가 우주 테마의 보스인만큼, 우주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를 모티브로 제작된 무기. 영문명인 Microwave 또한 전자기파를 의미하지만, 동음이의어인 전자레인지로 번역되었다.
아에 따라 요요는 체공 중일 때 전자레인지 작동음을 재생하며, 적을 처치할 때마다 작동 정지음을 출력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3.9. 달의 군주 이후
|
한=타오르는 계시, 영=Burning Revelation,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0, 시=20, 넉=7.5, 거리=35, 체공=∞,
드롭=,
링1=프로비던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프로비던스 드롭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적 타격 시 무기 공격력 75%의 피해를 입히는 거대한 폭발을 일으키며, 4초간
다른 요요보다 머리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라서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야론 이후 오라클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래서레이터, 영=Lacerator,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30, 시=20, 넉=7, 거리=35, 체공=무제한,
조합=,
링1=혈석 코어, 링1모드=, 링1h=20,
글2=(4)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프로비던스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4)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요요로 적 타격 시 체력 재생 +1의 효과를 얻는다. 적에게 피격당하거나 60초가 지나면 체력 재생이 초기화된다. 추가 투사체나 아우라를 생성하지 않는 유일한 칼라미티 요요.
다른 요요보다 요요 머리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라서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여담이지만 툴팁을 보면 누군가는 이 요요가 디오갓을 잘 잡는 요요라고 생각한다는 설명이 있는데, 실상 이걸로 디오갓 잡으려면 골병걸리기 십상이다. 그러나 Get fixed boi 시드에서 소환하는 디오갓이라면 얘기가 다른데, 무려 4000%의 공격력, 즉 40배에 달하는 무지막지한 피해를 입힌다. 물론 디오갓 자체가 빨라서 잡긴 힘들지만, 틱당 만 단위의 데미지가 들어가는 기묘한 현상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이 툴팁은 이전 개발자인 Terry N. Muse가 활동하던 시절에 "레서레이터는 디오갓에게 유효한 무기다" 라고 주장해서 넣어둔 것이다. 툴팁이 2017년에 추가됐으므로 무려 6년이나 지나고 나서야 정말로 유효하게 된 셈.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말소자, 영=The Obliterator,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22, 시=20, 넉=7.5, 거리=45, 체공=무제한,
드롭=,
링1=신들의 포식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디오갓 드롭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요요 전개 시 반경 20블록 이내의 적을 향해 성운 레이저를 속사한다. 레이저는 적 및 타일을 관통할 수 없으며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요요와 레이저는
다른 요요보다 요요 머리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라서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야론 이후 오라클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오라클, 영=The Oracle,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05, 시=20, 넉=4, 거리=50, 체공=무제한, 예시=공격,
추가개행=,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추가2=오라클 구체, 추가2설명=,
조합=,
링1=타오르는 계시,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말소자,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0,
글3=+,
링3=오릭 주괴, 링3모드=,
글4=(5),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야론 이후 제작 가능한 요요.글2=+,
링2=말소자,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0,
글3=+,
링3=오릭 주괴, 링3모드=,
글4=(5),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유일한 지형관통 요요. 적을 타격하면 요요 주변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붉은색 번개를 방출한다. 해당 번개는 적을 타격하지 않을 경우 서서히 크기가 줄어들면서 사라잔다. 적을 6번 타격할 때마다 오릭 구체가 삼각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추가적으로 기본 대미지의 2배 대미지를 입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아자토스, 영=Azathoth, 포문=, 희소=Hot Pink, 자동=,
추가개행=, 추가=요요 머리, 추가설명=,
추가2=코즈믹 구체,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20, 넉=6, 거리=55, 체공=무제한, 예시=공격,
조합=,
링1=테라리안,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눈 깜짝할 새에 우주를 파괴해버린다
개발자 무기.휘두르는 도중엔 자주색 구체 여러 개가 방출된다. 각각의 구체에서는 히트스캔 레이저가 6개까지 나와 주변의 적을 공격한다. 적을 공격할 때마다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레이저의 공격력은 무기 데미지의 50%이다.
다른 요요보다 요요 머리의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편이라서 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무기의 이름은 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신인 아자토스를 그대로 차용해 왔으며, 무기 투사체와 이펙트는 또 다른 테라리아 모드인 Avalon Mod의 무기 Berserker Nightmare를 참고해 만들어졌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 창 #===
커서 방향으로 무기를 내질러 공격하는 근접 무기 분류. 공격 방식은 단검과 비슷하지만, 속도가 더 느리고 사거리는 더 길다.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 야테베오의 꽃 (Yateveo Bloom) | 30 | 22 (빠름) | 5 (보통) | 4% | <colcolor=green> o | | |
| 적조 창 (Redtide Spear) | x | 28 | 25 (빠름) | 5 (보통) | 4% | o | |
| 아미디아스의 삼지창 (Amidias' Trident) | x | 12 | 17 (매우 빠름) | 4.5 (보통) | 4% | o | |
| 소시지 메이커 (Sausage Maker) | o | 36 | 20 (매우 빠름) | 6.25 (강함) | 4% | o | |
| 금빛깃털 창 (Goldplume Spear) | x | 27 | 23 (빠름) | 5.75 (보통) | 4% | o | |
| 토기 파이크 (Earthen Pike) | x | 50 | 25 (빠름) | 7 (강함) | 4% | o | |
| 별밤 장창 (Starnight Lance) | x | 95 | 23 (빠름) | 6 (보통) | 4% | o | |
| 유황창 (Brimlance) | o | 50 | 19 (매우 빠름) | 7.5 (매우 강함) | 4% | o | |
| 말썽쟁이 꽃창 (Hellion Flower Spear) | x | 135 | 20 (매우 빠름) | 7.5 (매우 강함) | 4% | o | |
| 보태닉 피어서 (botanic Piercer) | x | 88 | 17 (매우 빠름) | 8.5 (매우 강함) | 4% | o | |
| 경질 장창 (Vulcanite Lance) | o | 90 | 22 (빠름) | 6.75 (강함) | 4% | o | |
| 감염된 파이크 (Diseased Pike) | o | 65 | 20 (매우 빠름) | 8.5 (매우 강함) | 4% | o | |
| 아연도금 창 (Galvanizing Glaive) | x | 100 | 21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어둠의 조류 (Tenebreus Tides) | x | 120 | 14 (매우 빠름) | 4.5 (보통) | 4% | o | |
| 아스트랄 파이크 (Astral Pike) | o | 90 | 13 (매우 빠름) | 8.5 (매우 강함) | 29% | o | |
<colbgcolor=#eef,#677> | <colbgcolor=#eef,#677> 원소의 장창 (Elemental Lance) | x | 160 | 30 (보통) | 9.5 (극도로 강함) | 4% | o | |
| 황금부리 (Gilded Proboscis) | o | 315 | 19 (매우 빠름) | 8.75 (매우 강함) | 4% | o | |
| 밴시의 갈고리 (Banshee Hook) | x | 238 | 21 (빠름) | 8.5 (매우 강함) | 4% | o | |
| 나디르 (Nadir) | x | 365 | 18 (매우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3.10. 하드모드 이전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적조 창, 영=Redtide Spear, 희소=Green, 자동=,
추가=적조 창, 추가설명=투사체,
유형=근접 무기, 공=25, 시=25, 넉=5,
조합=,
링1=바다 잔해, 링1모드=,
글2=(4) @,
링9=모루)]
사막의 무법자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4) @,
링9=모루)]
적에게 천천히 접근하는 침을 쏘아 피격당한 적은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아미디아스의 삼지창, 영=Amidias' Trident, 희소=Green, 자동=,
추가=투사체,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아미디아스의 소용돌이,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 시=17, 넉=4.5,
구입=,
링1=바다의 왕, 링1모드=, 링1문서=NPC, 링1h=24,
글2=(2,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 글3트림=,)]
청록색 소용돌이를 발사하는 창을 사용한다. 투사체가 벽 통과에 유도성을 띄기에 꽤 쓸만한 편이다. 조가비 부메랑과 복어 철퇴 사이의 징검다리로 쓰기 좋다. 벽 통과가 되기에 탐험시에 여기저기 쑤셔서 광원으로 쓰기도 어느 정도 좋은 편.글2=(2,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 글3트림=,)]
광신도 이후 어둠의 조류의 재료로 사용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소시지 메이커, 영=Sausage Maker, 희소=Orange, 자동=,
추가=투사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36, 시=20, 넉=6.25,
드롭=,
링1=퍼포레이터즈,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조합2=,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링21=척추뼈,
글22=(4) +,
링22=크림테인 주괴, 링2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3=(5) +,
링23=혈액 샘플, 링23모드=, 링23h=18, 링23개행=,
글24=(8) @,
링29=제단, 링29문서=오브젝트, 링29h=16)]
명중 시 유도성 혈액을 발사한다. 기존의 다크 랜스와 성능이 비슷하다.글22=(4) +,
링22=크림테인 주괴, 링2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3=(5) +,
링23=혈액 샘플, 링23모드=, 링23h=18, 링23개행=,
글24=(8) @,
링29=제단, 링29문서=오브젝트, 링29h=16)]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금빛깃털 창, 영=Goldplume Spear, 희소=Orange, 자동=,
추가=금빛깃털 창, 추가설명=투사체,
추가2=금빛 창공깃털,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27, 시=23, 넉=5.75,
조합=,
링1=태양판 블록, 링1문서=아이템/블록,
글2=(4) +,
링2=창공석 주괴, 링2모드=,
글3=(10) @,
링9=하늘 방앗간, 링9h=24)]
사용 시 중력의 영향을 받는 3개의 깃털을 발사한다. 투사체의 대미지는 기존 무기 대미지의 50%이다.글2=(4) +,
링2=창공석 주괴, 링2모드=,
글3=(10) @,
링9=하늘 방앗간, 링9h=24)]
3.11. 하드모드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토기 파이크, 영=Earthen Pike,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0, 시=25, 넉=7,
드롭=,
링1=대지 정령,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25%))]
휘두르면 4개의 중력의 영향을 받는 화석 파편을 발사한다. 창 자체는 4초, 화석 파편은 1초동안 글2=(25%))]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별밤 장창, 영=Starnight Lance,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5, 시=23, 넉=6,
조합=,
링1=냉동석 주괴, 링1모드=, 링1h=18,
글2=(12) @,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를 때마다 글2=(12)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유황창, 영=Brimlance,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50, 시=19, 넉=7.5,
드롭=,
링1=브림스톤 엘레멘탈,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명중 시 대상에게 유황 폭발을 일으킨다. 유황 폭발은 유황 불꽃을 남긴다. 폭발은 한번에 3개 까지만 존재할 수 있다.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해당 시점 트루 밀리 무기중 성능이 상당히 뛰어나다. 창이라 사거리도 길고 원하는 방향으로 찌를 수 있어 맞추기도 쉬운 편인데, 대미지도 잘 뽑혀 큰 도움이 되는 무기. 이 분야의 최강자인 아발란체만큼은 아니지만, 폭발과 함께 수많은 파편을 흩뿌리는 특성상 지렁이류 보스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말썽쟁이 꽃창, 영=Hellion Flower Spear,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35, 시=20, 넉=7.5,
조합=,
링1=다년생 주괴, 링1모드=,
글2=(12) @,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를 때마다 적을 최대 2회 관통하고 지형을 관통하는 발사체를 날린다. 적에게 글2=(12)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보태닉 피어서, 영=Botanic Piercer,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8, 시=17, 넉=8.5,
조합=,
링1=녹조류 파르티잔,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다크 랜스,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궁니르,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살아있는 파편, 링4모드=, 링4개행=,
글5=(7) @,
링9=하드모드 모루)]
휘두를 때마다 적을 관통하는 발사체를 날린다. 달의 군주 이후 원소의 장창의 재료로 쓰인다.글2=+,
링2=다크 랜스,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궁니르,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살아있는 파편, 링4모드=, 링4개행=,
글5=(7)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경질 장창, 영=Vulcanite Lanc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투사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22, 넉=6.75,
조합=,
링1=화산암 주괴, 링1모드=, 링1h=24,
글2=(10) @,
링9=하드모드 모루)]
사용 시 적을 타격할 때마다 사방에서 유도성 투사체가 날아오고 글2=(10)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감염된 파이크, 영=Diseased Pik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65, 시=20, 넉=8.5,
드롭=,
링1=질병전이체 골리앗,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적을 타격할 때마다 유도성 발사체 하나가 소환되고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아연도금 창, 영=Galvanizing Glaive, 하드=, 희소=Yellow, 희소2=Dark 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00, 시=21, 넉=9,
조합=,
링1=수상한 도금판, 링1모드=, 링1h=18,
글2=(18)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12) +,
링3=생명 합금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4=감염된 갑옷 도금판, 링4모드=, 링4h=18,
글5=(5),
글6=@, 글6개행=,
링6=하드모드 모루, 링6문서=아이템/가구/작업,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정글),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글2=(18)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12) +,
링3=생명 합금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4=감염된 갑옷 도금판, 링4모드=, 링4h=18,
글5=(5),
글6=@, 글6개행=,
링6=하드모드 모루, 링6문서=아이템/가구/작업,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정글),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뭔가를 빠르고 깔끔하게 둘로 나눌 때 쓰는 도구라네.
확실하고 효율적인 무기임에 틀림없지.'
사용 시 무시무시한 언월도처럼 휘두르며 5개의 투사체를 발사한다. 또한 적을 직접 타격 시 1/12 확률로 적에게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는 전기장을 생성한다. 또한 특이한 점으로 적의 방어력이 높을수록 대미지가 증가한다.확실하고 효율적인 무기임에 틀림없지.'
최대 충전량은 135.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어둠의 조류, 영=Tenebreus Tides, 하드=, 희소=Cyan, 자동=,
추가=발사체, 추가설명=투사체,
추가2개행=, 추가2=어둠의 물의 창, 추가2설명=,
추가3=어둠의 물의 칼날, 추가3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20, 시=14, 넉=4.5, 발=12,추가2개행=, 추가2=어둠의 물의 창, 추가2설명=,
추가3=어둠의 물의 칼날, 추가3설명=,
조합=,
링1=아미디아스의 삼지창,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아틀란티스,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마법, 링2h=24,
글3=+,
링3=인플럭스 웨이버,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링3개행=,
글4=+,
링4=식물 덩어리,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블록,
글5=(25) +,
링5=루메닐, 링5모드=, 링5h=24, 링5개행=,
글6=(50)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기존 창의 대미지의 70%의 대미지를 입히는 투사체를 발사한다. 4체 관통기능이 있으며 명중 시 주위에 3개의 추가 투사체가 나타나며 인플럭스 웨이버의 투사체처럼 추가 공격을 하고 사라진다.글2=+,
링2=아틀란티스,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마법, 링2h=24,
글3=+,
링3=인플럭스 웨이버,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링3개행=,
글4=+,
링4=식물 덩어리,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블록,
글5=(25) +,
링5=루메닐, 링5모드=, 링5h=24, 링5개행=,
글6=(50)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아스트랄 파이크, 영=Astral Pike, 하드=, 희소=Cya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90, 시=13, 넉=8.5, 치=29,
조합=,
링1=아스트랄 주괴, 링1모드=,
글2=(8)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치명타 타격 시 대각선 방향에서 무기 대미지의 40%에 해당하는 3개의 벽을 관통하고 유도성이 있는 별 모양 투사체가 적을 타격하고 글2=(8)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3.12. 달의 군주 이후
|
한=원소의 장창, 영=Elemental Lance, 포문=,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60, 시=30, 넉=9.5,
조합=,
링1=보태닉 피어서,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북극점,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은하의 특이점,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4개행=,
글5=(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공격 시 청록색 투사체를 발사한다. 청록색 투사체가 파란색, 파란색이 분홍색, 분홍색이 주황색으로 분열되어 최대 162개의 투사체들로 분열된다. 버그 등을 제외한 순수 매커니즘으로는 거의 모든 무기들 중에서도 가장 렉이 심한 무기. 모든 투사체는 벽을 통과하며 창 자체는 글2=+,
링2=북극점,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은하의 특이점,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4개행=,
글5=(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이름 | 지속 시간 (초) | 효과 | |
| 원소의 장창 (Elemental Lance) | 1.5 | 플레이어 전방에 휘둘러 청록색 빔 1개를 발사한다. |
| 청록색 빔 (Cyan Beam) | 3 | 매초 3개의 파란색 빔을 발사하여 총 9개의 파란색 빔을 발사한다. 적을 무한 관통한다. |
| 파란색 빔 (Blue Beam) | 2 | 초당 3개의 분홍색 빔을 발사하여 총 6개의 분홍색 빔을 발사한다. 적을 1회 관통한다. |
| 분홍색 빔 (Pink Beam) | 1.33 | 1초 후 3개의 주황색 빔을 발사한다. 적을 관통하지 못한다. |
| 주황색 빔 (Orange Beam) | 0.83 | 적을 관통하지 못한다. |
신들의 포식자 격파 이후 나디르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황금부리, 영=Gilded Proboscis, 포문=, 희소=Purpl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15, 시=19, 넉=8.75,
드롭=,
링1=어리석은 용,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명중할 때마다 플레이어의 체력을 1씩 회복시킨다. 괜찮은 대미지와 창 특유의 긴 사거리, 그리고 회복 효과덕에 트루 밀리 플레이를 할 때 유용한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밴시의 갈고리, 영=Banshee Hook,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38, 시=21, 넉=8.5, 예시=공격,
드롭=,
링1=폴터가스트,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기존의 무시무시한 월도처럼 각도를 살짝 틀어지도록 하면서 공격하며, 휘두를 때마다 창의 끝과 똑같이 생긴 갈고리 모양 검기 5개를 날린다. 검기는 지형 관통이 되고 무한관통도 달려있다. 검 자체는 적에게 폭발을 일으킨다.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의외로 공격 속도가 빨라 지속적으로 맞출 수 있다면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보라색 패턴의 디오갓한테 사용해서 폭딜을 넣을 수도 있어서[13] 대 디오갓 무장으로 쓰기에도 좋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나디르, 영=Nadir,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365, 시=18, 넉=8,
조합=,
링1=원소의 장창,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뒤틀린 황천,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오릭 주괴, 링3모드=,
글4=(5) +,
링4=암흑태양 파편, 링4모드=, 링4h=24,
글5=(8)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사용할 때마다 지형을 관통하고 적에게 유도되는 공허의 정수를 발사한다. 공허의 정수는 적과 접촉 시 서서히 느려지다가 대미지를 여러 번 입히고 사라진다. 공허의 정수가 적과 접촉하거나 적 가까이에 있으면 근처의 타겟에게 유도되는 촉수가 추가로 뻗어져 나간다. 포팅 이후 어째서인지 재료가 코스밀라이트 주괴에서 오릭 주괴로 바뀌었다.글2=+,
링2=뒤틀린 황천,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오릭 주괴, 링3모드=,
글4=(5) +,
링4=암흑태양 파편, 링4모드=, 링4h=24,
글5=(8)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창과 공허의 정수, 촉수는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한다.
===# 철퇴 #===
요요와 유사하면서도 다르게, 커서 방향으로 무기를 내던져 피해를 입히는 근접 무기 분류.
철퇴는 투척식 철퇴와 발사식 철퇴의 두 종으로 나뉜다. 자세한 내용은 바닐라 철퇴 분류 참조.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 야테베오의 꽃 (Yateveo Bloom) | 30 | 22 (빠름) | 5 (보통) | 4% | x | |
| 성게 메이스 (Urchin Mace) | 23 | 19 (매우 빠름) | 4 (약함) | 4% | <colcolor=green> o | |
| 성게 철퇴 (Urchin Flail) | 20 | 25 (빠름) | 6 (보통) | 4% | o | |
| 복어의 철퇴 (Ball O' Fugu) | 40 | 20 (매우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 조개 분쇄기 (Clam Crusher) | 150 | 50 (극도로 느림) | 10 (극도로 강함) | 4% | o | |
| 회전초 (Tumbleweed) | 125 | 20 (매우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 성운 채찍 (Nebulash) | 60 | 18 (매우 빠름) | 2 (매우 약함) | 4% | o | |
<colbgcolor=#eef,#677> | <colbgcolor=#eef,#677> 렘의 복수 (Rem's Revenge) | 375 | 15 (매우 빠름) | 10 (극도로 강함) | 4% | o | |
| 모닝스타 (Mourningstar) | 127 | 10 (매우 빠름) | 2.5 (매우 약함) | 4% | o | |
| 펄스 드래곤 (Pulse Dragon) | 300 | 20 (매우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 초승달 (Cresent Moon) | 380 | 18 (매우 빠름) | 4 (약함) | 4% | o | |
| 전우주의 방출기 (Cosmic Discharge) | 400 | 15 (매우 빠름) | 0.5 (극도로 약함) | 4% | o | |
| 드래곤 파우 (Dragon Pow) | 660 | 20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타나토스의 척추 (Spine of Thanatos) | 128 | 24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3.13. 하드모드 이전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야테베오의 꽃, 영=Yateveo Bloom, 희소=Green,
추가개행=, 추가=장미 철퇴, 추가설명=,
추가2=야테베오의 창, 추가2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30, 시=22, 넉=5,
조합=,
링1=정글 장미, 링1문서=아이템/치장품,
글2=+,
링2=덩굴,
글3=(2) +,
링3=독침,
글4=(4) +,
링4=정글 포자,
글5=(12) +,
링5=진한 마호가니, 링5문서=아이템/블록,
글6=(15) @,
링9=모루)]
게임 시작 직후 제작할 수 있는 무기로, 공격 방식이 두 가지다.글2=+,
링2=덩굴,
글3=(2) +,
링3=독침,
글4=(4) +,
링4=정글 포자,
글5=(12) +,
링5=진한 마호가니, 링5문서=아이템/블록,
글6=(15) @,
링9=모루)]
좌클릭 시, 중력에 영향을 받는 철퇴를 발사해 피해를 입히고 3초간
우클릭 시, 짧은 길이의 꽃 창을 찔러 무기 공격력 2/3의 피해를 입힌다. 우클릭 사용 시에는 자동 공격이 활성화되며, 이 창만이 순수 근접 부스트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적을 무한히 관통하며 관통할 때마다 피해량이 감소하지도 않아, 사막의 무법자 상대로 빛을 발한다.
여담으로, 야테베오는 미국의 작가 James W. Buel의 책 'Sea and Land'에서 묘사된 식인식물이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성게 메이스, 영=Urchin Mace, 희소=Green, 자동=,
추가=소용돌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23, 시=19, 넉=4,
조합=,
링1=바다 잔해, 링1모드=,
글2=(3) @,
링9=모루)]
사막의 무법자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3) @,
링9=모루)]
사용 시 메이스를 휘두르기 시작하며, 사용자 주변에 소용돌이를 생성한다. 1.83초 후 클릭을 떼면 소용돌이를 커서 방향으로 발사해 무기 공격력 200%의 피해를 입힌다. 소용돌이는 적과 블록을 무한히 관통하며, 짧은 거리를 이동하다가 사라지며 넓은 범위에 빛나는 물 입자를 방출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성게 철퇴, 영=Urchin Flail, 희소=Green, 자동=,
추가=성게 공, 추가설명=,
추가2=성게 가시, 추가2설명=, 추가2구분자=(투사체),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0, 시=25, 넉=6,
구입=,
링1=바다의 왕, 링1모드=, 링1문서=NPC, 링1h=24,
글2=(2,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 글3트림=,)]
바다의 왕이 판매하는 무기.글2=(2,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 글3트림=,)]
사용 시 성게 공을 커서 방향으로 투척하며, 적에게 명중 시 성게 가시를 적에게 발사한다. 성게는 블록이나 적과 충돌하면 플레이어에게 돠돌아온다. 가시는 적에게 붙어 짧은 시간 유지되며, 붙은 적이 죽으면 그대로 사라진다. 성게와 가시는 적에게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야론 이후 드래곤 파우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복어의 철퇴, 영=Ball O' Fugu, 희소=Orange, 자동=,
추가=복어, 추가설명=, 추가2=성게 가시, 추가2구분자=(발사체),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0, 시=20, 넉=8, 예시=공격,보물=,
링1=심연, 링1모드=, 링1문서=지형, 링1문자만=,
글2=의, 글2트림=,
링2=고대의 보물 상자,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링2한줄로=,
글3=(100%),
글4=(, 글4개행=,
링4=스켈레트론, 링4문서=보스, 링4문자만=, 링4트림=,
글5=격파 시 잠금 해제),
보물2=,글2=의, 글2트림=,
링2=고대의 보물 상자,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링2한줄로=,
글3=(100%),
글4=(, 글4개행=,
링4=스켈레트론, 링4문서=보스, 링4문자만=, 링4트림=,
글5=격파 시 잠금 해제),
링21=황산 크레이트,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
링22=열수 크레이트, 링22모드=, 링22문서=아이템/소모품, 링22h=24,
글26=(10%),
글27=(, 글27개행=,
링27=슬라임 갓, 링27모드=, 링27문서=보스, 링27문자만=, 링27트림=,
글28=/,
링28=월 오브 플레시, 링28문서=보스, 링28문자만=,
글29=격파 이후))]
스켈레트론 이후 심연에서 획득할 수 있는 무기.글22=/,
링22=열수 크레이트, 링22모드=, 링22문서=아이템/소모품, 링22h=24,
글26=(10%),
글27=(, 글27개행=,
링27=슬라임 갓, 링27모드=, 링27문서=보스, 링27문자만=, 링27트림=,
글28=/,
링28=월 오브 플레시, 링28문서=보스, 링28문자만=,
글29=격파 이후))]
사용 시 커서 방향으로 복어 공을 발사하며, 복어는 바닐라의 플레어론처럼, 그 부근으로 유도성 가시를 발사한다. 복어는 3초, 가시는 2초 동안
복어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클릭을 계속 누르고 있다고 해서 공중에 전개된 채로 유지되지 않는다.
이전에는 다른 직업의 심연 무기처럼[14] 월오플 상대로 훌륭한 성능을 보이는 무기였다. 벌류탄과 대등한, 혹은 그를 상회하는 위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무기가 입히는 디버프가
슬라임 갓의 경우에는 보스에게 박히는 딜이 예전만큼 강력하지는 않지만 다른 무기를 쓰느니 유도 기능이 달린 이 무기가 낫기에, 아직 채용 가치가 남아있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야론 이후 드래곤 파우의 재료로 쓰인다.
3.14. 하드모드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조개 분쇄기, 영=Clam Crusher,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조개 분쇄기,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 추가h=40,
유형=근접 무기, 공=150, 시=50, 넉=10,드롭=,
링1=대합 조개,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25%) (하드모드에서),
보물2=,글2=(25%) (하드모드에서),
링21=프리즘 크레이트,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7%),
글23=(하드모드에서, 글23개행=,
링23=대합 조개, 링23모드=, 링23문서=몬스터, 링23문자만=,
글25=격파 이후))]
대합 조개가 하드모드에서 드롭하는 무기.글22=(7%),
글23=(하드모드에서, 글23개행=,
링23=대합 조개, 링23모드=, 링23문서=몬스터, 링23문자만=,
글25=격파 이후))]
사용 시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적에게
만약 아무 보스가 설어있다면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회전초, 영=Tumbleweed,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회전초,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5, 시=20, 넉=8,
조합=,
링1=선퓨리,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거대한 비늘, 링2모드=, 링2h=24,
글3=+,
링3=힘의 영혼, 링3개행=,
글4=(5) @,
링9=하드모드 모루)]
플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바닐라 철퇴 선퓨리의 강화판.글2=+,
링2=거대한 비늘, 링2모드=, 링2h=24,
글3=+,
링3=힘의 영혼, 링3개행=,
글4=(5) @,
링9=하드모드 모루)]
사용 시 일반적인 철퇴처럼 작동하나, 클릭을 유지해 무기를 계속 끌고 다니는 게 불가능하다. 무기로 적을 타격하면 사용자와 연결된 줄기가 끊어지고 머리 부분인 회전초가 앞으로 나아간다. 이 회전초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적을 최대 8회 관통할 수 있다. 회전초는 9번째 적이나 블록과 충돌하면 파괴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야론 이후 드래곤 파우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성운 채찍, 영=Nebulash,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개행=, 추가=성운 채찍,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60, 시=18, 넉=2,
드롭=,
링1=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아우레우스가 드롭하는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사용 시 바닐라의 태양 폭발과 비슷하게 지형을 무시하는 채찍을 휘둘러 공격하며, 적 타격 시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는 노란 폭발을 일으킨다. 채찍은 적에게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3.15. 달의 군주 이후
|
한=렘의 복수, 영=Rem's Revenge, 포문=, 희소=Purple, 자동=,
추가=렘의 복수,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375, 시=15, 넉=10,
조합=,
링1=블루 문,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루미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
링3=루메닐,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10)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바닐라 철퇴 블루 문의 강화판.글2=+,
링2=루미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
링3=루메닐,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10)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블록을 통과하는 가시공을 투척한다. 가시공은 적을 최대 3번 관통하고, 4번째 적과 충돌하거나 최대 사거리에 도달했다면 사용자에게 다시 돌아온다. 철퇴가 적에게 명중 시, 적의 방어력을 20 깎는 무기 전용 디버프인
무기 전용 디버프의 성능은 좋으나, 자체 능력치는 애매하다. 사실상 메인 무기 사용 중간중간 섞어 쓰라고 만든 디버프용 무기.
모티브는 리제로의 렘이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모닝스타, 영=Mourningstar,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추가=태양 폭발,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모닝스타, 추가2구분자=(투사체),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7, 시=10, 넉=2.5,
조합=,
링1=태양 폭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혼돈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6) +,
링3=햇빛의 코어, 링3모드=, 링3h=24,
글4=(6) +,
링4=신의 정동, 링4모드=, 링4개행=,
글5=(6)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프로비던스 이후 제작 가능한, 바닐라 철퇴 태양 폭발의 강화판.글2=+,
링2=혼돈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6) +,
링3=햇빛의 코어, 링3모드=, 링3h=24,
글4=(6) +,
링4=신의 정동, 링4모드=, 링4개행=,
글5=(6)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태양 폭발과 비슷하게, 창처럼 생긴 철퇴 2개를 커서 방향으로 발사해 넓은 범위를 휩쓴다. 철퇴는 적을 무한히 관통하고 블록을 무시하며, 적을 타격하면 작은 폭발을 일으킨다. 철퇴와 폭발 모두 적에게
여담으로, 무기의 영문명은 철퇴의 일종인 '모닝스타(Morning Star)'와 '애도하는','고통스러워하는' 등의 뜻을 지닌 영단어 'Mourning'을 활용한 언어유희.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야론 이후 드래곤 파우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펄스 드래곤, 영=Pulse Dragon, 포문=, 희소=Turquoise, 희소2=Dark Orange, 자동=, 예시=공격,
추가=펄스 드래곤, 추가확장자=gif,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전기성 구체,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300, 시=20, 넉=8,
조합=,
링1=기이한 전기회로, 링1모드=, 링1h=18,
글2=(12) +,
링2=수상한 도금판, 링2모드=, 링2h=18,
글3=(18) +,
링3=유리블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8)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4),
글6=@, 글6개행=,
링6=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6문서=아이템/가구/작업, 링6h=24,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지하세계),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글2=(12) +,
링2=수상한 도금판, 링2모드=, 링2h=18,
글3=(18) +,
링3=유리블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8)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4),
글6=@, 글6개행=,
링6=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6문서=아이템/가구/작업, 링6h=24,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지하세계),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이 무기는 옛 용들을 본떠 만들라고 야림이 특별히 부탁하더군.
어찌 그리도 진부할까.'
프로비던스 이후 제작 가능한 드레이돈 근접 무기.어찌 그리도 진부할까.'
사용 시 2개의 빛나는 전기 용 머리를 채찍처럼 곡선으로 휘두른다. 두 머리는 각각 지나간 궤적에 최대 8개의 전기장을 생성한다. 용 머리들은 서로 충돌하거나 블록에 부딪히면 사용자에게 되돌아온다.
무기는 1회 사용 시 0.32의 충전을 소모하며, 최대 190의 충전량을 가진다. 따라서 무기가 완충된 상태라면 593회까지 휘두를 수 있다.
아스트럼 데우스는 용 머리가 생성한 전기장으로부터 60%만의 피해를 입는다. 무기 이전 티어의 보스라 큰 의미는 없지만...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초승달, 영=Crescent Moon,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추가=초승달 칼날,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초승달 철퇴,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380, 시=18, 넉=4,
조합=,
링1=루메닐, 링1모드=, 링1h=24,
글2=(8) +,
링2=파멸의 영혼,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익소듐 뭉치,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16)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글2=(8) +,
링2=파멸의 영혼,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익소듐 뭉치,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16)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람들이 달을 원하니, 그들에게 달을 가져다 주자.'
폴터가스트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사용 시, 태양 폭발과 비슷한 공격방식으로 사거리는 짧지만 지형을 무시하는 철퇴를 휘두르며, 철퇴가 지나간 자리에 무기 공격력의 40%의 피해를 입히는 초승달 칼날을 여러 개 남긴다. 칼날은 강한 유도성을 지니고 0.77초간 유지되며, 적을 무한히 관통한다. 철퇴와 칼날은
범위 내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메커니즘에다가 소환하는 투사체의 양도 상당해, 다관절 보스인 디오갓 상대로 나쁘지 않은 성능을 보인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전우주의 방출기, 영=Cosmic Discharge,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추가=전우주의 얼음 폭발,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전우주의 방출기, 추가2구분자=(투사체),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00, 시=15, 넉=0.5, 예시=공격,
드롭=,
링1=신들의 포식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2=(10%))]
디오갓이 드롭하는, 전설 아이템이었던 무기.글2=(10%))]
사용 시 버닐라의 태양 폭발과 비슷하게 지형 관통의 길고 뾰족한 채찍을 휘둘러 접촉한 적에게 피해를 입힘과 더불어 추가 피해를 가하는 폭발을 일으킨다. 피격당한 적은
해당 시점 무기치곤 비교적 빈약한 공격 방식이지만, 위의 압도적인 공격력 덕분에 마침 신들의 포식자 처치 이후 대폭 강화된 펌킨 문이나 프로스트 문에서 다수의 적을 상대할 때 사용하기 매우 좋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마법 무기 신격화의 제작에 사용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폭=92.5%, 입수침범=,
한=드래곤 파우, 영=Dragon Pow, 포문=, 희소=Violet, 자동=, 예시=공격,
추가=드래곤 파우,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꽃잎,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660, 시=20, 넉=9,
조합=,
링1=플라워 파우,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다오 오브 파우,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플레어론,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모닝스타,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4h=24,
글5=+,
링5=성게 철퇴, 링5모드=, 링5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5h=24,
글6=+,
링6=회전초, 링6모드=, 링6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6h=24,
글7=+,
링7=복어의 철퇴, 링7모드=, 링7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7h=24,
글8=+,
링8=야론의 영혼 파편, 링8모드=, 링8h=24,
글9=(4) +,
링9=오릭 주괴,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재료,
글21=(5) @,
링29=전우주의 모루, 링29모드=, 링29문서=아이템/가구)]
야론 이후 제작 가능한, 철퇴 버전 제니스. 게임을 진행하면서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철퇴를 하나로 합쳐 만든다.글2=+,
링2=다오 오브 파우,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플레어론,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모닝스타,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4h=24,
글5=+,
링5=성게 철퇴, 링5모드=, 링5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5h=24,
글6=+,
링6=회전초, 링6모드=, 링6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6h=24,
글7=+,
링7=복어의 철퇴, 링7모드=, 링7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7h=24,
글8=+,
링8=야론의 영혼 파편, 링8모드=, 링8h=24,
글9=(4) +,
링9=오릭 주괴,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재료,
글21=(5) @,
링29=전우주의 모루, 링29모드=, 링29문서=아이템/가구)]
사용 시 커서 방향으로 용 머리를 발사하고,[15] 머리로부터 추가로 빨강, 주황, 노랑의 불똥이 여럿 방출된다. 불똥들은 색에 따라 다른 디버프를 유발하고 무기 공격력 1/8의 피해를 입힌다. 주황색 불똥은
용 머리로 일정 거리 바깥의 적을 타격하면 피해를 입히고 앞선 두 디버프 모두를 3초간 유발한다. 무기 피해와 디버프 외에도 추가로 그 대상을 중심으로 12개의 꽃잎이 X자로 쏟아지는데, 각 꽃잎은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고 블록을 통과하며, 무기 공격력 1/8의 피해를 입힌다. 이 외에도 12발의 푸른 투사체가 대상 근처 일정 범위를 위에서 아래로 휩쓸고 지나가며, 이 투사체들 또한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고 무기 공격력 1/6의 피해를 입힌다.
단일 대상 dps로는 극후반 워리어 무기중 최상급이지만, 추가 투사체를 소환하려면 적과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해야 해서 상황과 조건을 타는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슈칼 상대로는 활용하기 까다로운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엑소메카전, 특히 XF-09 아레스 상대로는 이야기가 다르다. 아레스 자체가 플레이어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에 따로 거리 조절을 할 필요 없이 회피와 타격에만 집중할 수 있으며, 보스의 몸뚱아리가 워낙 크기 때문에 무기로 직접 타격하지 않은 부위에도 투사체들이 내리꽂히며 피해를 입히게 된다. 더군다나 이 투사체들 모두가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기 때문에 수만의 dps를 지속적으로 뽑아낼 수 있다. 아레스 담당일진인 셈.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타나토스의 척추, 영=Spine of Thanatos, 포문=, 희소=Violet,
추가개행=, 추가=타나토스의 척추,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28, 시=24, 넉=8, 자동=, 예시=공격,
드롭=,
링1=XM-05 타나토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일반), 링1h=24,
글2=(100%))]
글2=(100%))]
엑소 메카 중 타나토스를 마지막으로 잡았을 때 드롭하는 무기로, 1.5 패치 드레이돈 업데이트에서 새로 추가되었다.
사용 시 3가닥의 기다란 기계 척추를 커서 방향으로 발사한다. 척추는 커서를 향해 직선으로 한 가닥 뻗어나가고 나머지 둘은 이를 중심으로 좌우로 하나씩 넓은 범위를 휩쓸고 지나간다. 3가닥의 척추가 맞닿으면 그 지점에서 0.75초간 유지되는 폭발이 일어나 무기 공격력 200%의 피해를 입히고 12줄기의 무지개 광선을 부채꼴 형태로 쏜다. 무지개 광선은 각각 무기 공격력 75%의 피해를 입히며 가까운 적에게 유도되는데, 이 때 벽 너머의 적까지 감지할 수 있다. 폭발과 광선은 적에게
타나토스의 척추는 용의 격노만큼의 단일 대상 dps를 더 안정적으로 보여주며, 같은 티어의 엑소블레이드보다도 뛰어난 위력을 보여준다. 다만 이후 만날 보스인 슈칼이 철퇴 자체와 궁합이 좋지 않다는 게 흠이라면 흠.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 부메랑 #===
사용 시 투척하고 잠시 뒤 사용자에게 되돌아오는 무기 분류. 모드에서 추가된 대부분의 부메랑은 로그 무기로, 근접 무기로서의 부메랑은 밑의 단 두 가지가 끝이다.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2d2f34><-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 추적 스코처 (Seeing Scorcher) | 232 | 16 (매우 빠름) | 8.5 (매우 강함) | 4% | o | |
| 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 (Triactis' True Paladinian Mage-Hammer of Might) | 2,000 | 9 (매우 빠름) | 50 (상식을 벗어남) | 4% | o | |
3.16. 달의 군주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추적 스코처, 영=Seeking Scorcher,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32, 시=16, 넉=8.5,
조합=,
링1=빙의된 손도끼,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신의 정동, 링2모드=, 링2h=20,
글3=(5) +,
링3=부정한 정수, 링3모드=, 링3h=24,
글4=(8)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프로비던스 이후 제작 가능한, 바닐라 무기 빙의된 손도끼의 강화판.글2=+,
링2=신의 정동, 링2모드=, 링2h=20,
글3=(5) +,
링3=부정한 정수, 링3모드=, 링3h=24,
글4=(8)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유도성 신성한 손도끼를 던진다. 손도끼는 블럭과 적을 관통할 수 있으며, 최대 4마리의 적을 타격한 뒤 플레이어에게 돌아온다. 손도끼는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 영=Triactis' True Paladinian Mage-Hammer of Might, 포문=, 희소=Hot Pink, 희소2=#E3E2B4,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2\,000, 시=9, 넉=50, 발=100, 예시=공격,
조합=,
링1=은하 분쇄기,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힘의 영혼,
글3=(30) +,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개발자 무기이자 압도적인 승리의 망치 계열 무기의 최종 강화판으로, 모드 내에서 가장 긴 영문명[16]을 가지고 있다. 한글 이름도 긴 건 마찬가지.글2=+,
링2=힘의 영혼,
글3=(30) +,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사용 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블록과 적을 무한히 관통할 수 있는 망치를 빠르게 투척한다. 망치는 적을 타격할 때마다 밝은 파런색과 초록색 입자를 내뿜는 폭발을 일으킨다. 폭발은 무기 공격력 25%의 피해를 입히고 무적 프레임을 무시한다. 투척한 망치는 잠시 후 플레이어에게 돌아온다.
엄청난 크기의 투사체 덕분에 타격이 들어가는 판정이 넓어서 슈칼전에서 브림스톤 심장이나 슈프림 소울 시커를 굉장히 빠른 속도로 철거해버리는 위력을 자랑한다. 타나토스나 아레스 또한 순식간에 갈아버린다.
여담으로 이 무기는 고유 희귀도를 가지고 있다. 희귀도는 그레인 브라운(#E3E2B4)이지만 일관성을 위해 핫핑크로 분류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 기타 #===
위에 있는 그 어떤 분류에도 속하지 않는 근접 무기들.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시간 || 넉백 || 치명
타율 || 자동
공격 || 등급 ||
| 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 (Wulfrum Screwdriver) | 12 | 24 (빠름) | 3.75 (약함) | 4% | <colcolor=green> o | |
| 무시무시한 단검 (Monstrous Knives) | 9 | 20 (매우 빠름) | 3 (매우 약함) | 4% | o | |
| 균사체 발톱 (Mycelial Claws) | 28 | 7 (미친 듯이 빠름) | 3.75 (약함) | 4% | o | |
| 심해의 파쇄자 (Depth Crusher) | 48 | 65 (굼벵이) | 7.25 (매우 강함) | 4% | o | |
| 칼날문장 맹검 (Bladecrest Oathsword) | 17 | 21 (빠름) | 4 (약함) | 4% | o | |
| 옛 군주의 클레이모어 (Old Lord Claymore) | 60 | 34 (느림) | 7 (강함) | 4% | o | |
| 파편화된 방주 (Fractured Ark) | 35 | 22 (빠름) | 6.25 (강함) | 4% | o | |
| 본브레이커 (Bone Breaker) | 45 | 20 (매우 빠름) | 7 (강함) | 4% | o | |
| 압도적인 승리의 망치 (Pwnagehammer) | 210 | 50 (극도로 느림) | 10 (극도로 강함) | 14% | o | |
| 갯가재 발톱 (Mantis Claws) | 144 | 8 (미친 듯이 빠름) | 7 (강함) | 4% | o | |
| 티폰의 탐욕 (Typhon's Greed) | 62 | 30 (보통) | 5 (보통) | 4% | o | |
| 심연의 검 (Abyss Blade) | 140 | 65 (굼벵이) | 7.5 (매우 강함) | 4% | o | |
| 고대의 방주 (Ark of the Ancients) | 194 | 25 (빠름) | 6.5 (강함) | 4% | o | |
| 스티기안의 방패 (Stygian Shield) | 180 | 40 (매우 느림) | 6 (보통) | 4% | x | |
| 몰락한 팔라딘의 망치 (Fallen Paladin's Hammer) | 368 | 57 (굼벵이) | 20 (상식을 벗어남) | 4% | o | |
| 옴니블레이드 (Omniblade) | 100 | 9 (매우 빠름) | 6 (보통) | 49% | o | |
| 스텔라 컨템프트 (Stellar Contempt) | 650 | 45 (매우 느림) | 28 (상식을 벗어남) | 4% | o | |
| 원소의 방주 (Ark of the Elements) | 507 | 20 (매우 빠름) | 8.5 (매우 강함) | 14% | o | |
<colbgcolor=#eef,#677> | <colbgcolor=#eef,#677> 악마의 일출 (Devil's Sunrise) | 420 | 25 (빠름) | 4 (약함) | 14% | o | |
| 인광성 건틀릿 (Phosphorescent Gauntlet) | 2,705 | 39 (매우 느림) | 9 (매우 강함) | 14% | o | |
| 죽음의 승천 (Death's Ascension) | 1,200 | 24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넵튠의 하사품 (Neptune's Bounty) | 444 | 65 (굼벵이) | 9 (매우 강함) | 4% | o | |
| 퍼져나가는 임페일러 (Insidious Impaler) | 198 | 20 (매우 빠름) | 8 (매우 강함) | 4% | o | |
| 무라사마 (Murasama) | 2,222 | 25 (빠름) | 6.5 (강함) | 65% | o | |
| 흐름결 (Stream Gouge) | 500 | 19 (매우 빠름) | 9.75 (극도로 강함) | 4% | o | |
| 은하 분쇄기 (Galaxy Smasher) | 1,300 | 40 (매우 느림) | 14 (상식을 벗어남) | 4% | o | |
| 페이즈슬레이어 (Phaseslayer) | 980 | 24 (빠름) | 7 (강함) | 4% | o | |
| 전우주의 무법자 (Scourge of the Cosmos) | 478 | 16 (매우 빠름) | 5 (보통) | 4% | o | |
| 최고천의 단검 (Empyrean Knives) | 230 | 15 (매우 빠름) | 3 (매우 약함) | 4% | o | |
| 갤럭시아 (Galaxia) | 800 | 18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갤럭시아 (봉황자리의 긍지) (Galaxia) (Pheonix's Pride) | 1\,200 | 18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갤럭시아 (양자리의 분노) (Galaxia) (Aries' Wrath) | 1\,325 | 18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갤럭시아 (작은곰자리의 시선) (Galaxia) (Polaris' Gaze) | 1\,800 | 18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갤럭시아 (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 (Galaxia) (Andromeda's Stride) | 2\,800 | 18 (매우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불타는 창공 (Burning Sky) | 147 | 8 (미친 듯이 빠름) | 2.5 (매우 약함) | 4% | o | |
| 용의 격노 (Dragon Rage) | 1,075 | 25 (빠름) | 7.5 (매우 강함) | 4% | o | |
| 우주의 방주 (Ark of the Cosmos) | 1,700 | 15 (매우 빠름) | 9.5 (극도로 강함) | 19% | o | |
| 엑소블레이드 (Exoblade) | 915 | 49 (극도로 느림) | 9 (매우 강함) | 4% | o | |
| 잔혹 (Violence) | 435 | 25 (빠름) | 9 (매우 강함) | 4% | o | |
| 명검 (Illustrious Knives) | 400 | 10 (매우 빠름) | 3 (매우 약함) | 4% | o | |
3.17. 하드모드 이전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울프럼 스크루드라이버, 영=Wulfrum Screwdriver, 희소=Blue, 자동=, 예시=공격,
추가=울프럼 나사,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2, 시=24, 넉=3.75,조합=,
링1=울프럼 금속 조각, 링1모드=,
글2=(12) +,
링2=에너지 코어, 링2모드=,
글3=@,
링9=모루)]
울프럼 테마의 근접 무기.글2=(12) +,
링2=에너지 코어, 링2모드=,
글3=@,
링9=모루)]
사용 시 커서 방향으로 스크루드라이버를 빠르게 찌른다. 적을 때리면 드라이버를 더 빨리 찌른다. 매 공격이 명중할 때마다 20% 확률로 울프럼 나사를 생성하며, 나사는 오직 하나만 소환할 수 있다. 소환된 나사는 플레이어 근처에서 떠 다니며, 이 상태에선 아무런 효과도 갖지 않는다.
나사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우클릭을 누르면 나사를 발사할 수 있다. 나사는 중력의 영향을 받고 적을 관통할 수 없으며 무기 공격력 150%의 피해를 준다. 드라이버로 나사를 치면 표시된 경로를 따라 나사가 발사되어 무기 공격력의 150~650%의 피해를 입힌다. 경로는 37.5타일 반경 내에 있는 근처의 적에게 부분적으로 조준된다. 나사로 적을 죽이면 50% 확률로 나사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무시무시한 단검, 영=Monstrous Knives, 희소=Green, 자동=,
추가=무시무시한 칼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9, 시=20, 넉=3,조합=,
링1=투척용 칼, 링1문서=아이템/무기/원거리,
글2=(200) +,
링2=생명 수정, 링2문서=아이템/소모품,
글3=+,
링3=소형 치유 포션, 링3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3개행=,
글4=(5) @,
링9=모루)]
극초반부터 제작할 수 있는 무기로, 뱀파이어 나이프와 유사하다.글2=(200) +,
링2=생명 수정, 링2문서=아이템/소모품,
글3=+,
링3=소형 치유 포션, 링3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3개행=,
글4=(5) @,
링9=모루)]
사용시 입힌 피해량의 5%~10%만큼을 33.33% 확률로 회복시켜 주는 단검을 4~6개 투척한다. 투척한 단검은 점점 투명해지면서 0.5초마다 대미지와 넉백을 10%씩 잃으며, 완전히 투명해지면 붉은 먼지로 흩어진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디오갓 이후 최고천의 단검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균사체 발톱, 영=Mycelial Claws, 희소=Green,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28, 시=7, 넉=3.75,
드롭=,
링1=크래뷸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크래뷸론 드롭 순수 근접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바닐라의 악취의 바그나우와 비슷하게, 매우 빠른 공격 속도와 극도로 짧은 사거리를 가졌다. 사용자가 적을 타격하면 6초간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심해의 파쇄자, 영=Depth Crusher, 희소=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8, 시=65, 넉=7.25,
드롭=,
링1=곰치,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0,
글5=(10% /,
글6=16.67%, 글6색=,
글7=), 글7트림=,)]
바다나 심연에서 발견되는 곰치가 드롭하는 무기.글5=(10% /,
글6=16.67%, 글6색=,
글7=), 글7트림=,)]
사용 시, 무기와 같은 생김새의 투사체를 부메랑처럼 던진다. 던져진 무기는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오지는 않으며, 중력의 영향을 받고, 적이나 블록 위를 3번 통통 튀어다니다 빠르게 아래로 떨어진다. 무기가 블록과 충돌할 때마다 물의 투사체가 방출되며, 무기가 깨질 때에는 3개의 투사체가 방출된다. 투사체는 무기 공격력 30%의 피해를 입히며 , 3.33~4.33초간 유지되고, 적은 관통할 수 없으나 블록은 관통할 수 있다. 무기 자체는 적을 무한히 관통 가능하나, 3번 타격 이후에는 20%만의 피해를 입힌다. 물 투사체는 적에게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레비아탄 이후 심연의 검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칼날문장 맹검, 영=Bladecrest Oathsword, 희소=Orange, 자동=,
추가=핏빛 낫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7, 시=21, 넉=4,드롭=,
링1=악마, 링1문서=몬스터, 링1h=18,
글2=/ ,
링2=부두 악마, 링2문서=몬스터, 링2h=24,
글3개행=,
글5=(4% /,
글6=6.67%, 글6색=,
글7=), 글7트림=,
보물2=,글2=/ ,
링2=부두 악마, 링2문서=몬스터, 링2h=24,
글3개행=,
글5=(4% /,
글6=6.67%, 글6색=,
글7=), 글7트림=,
글21=유황 개사층의,
링22=잿빛 상자, 링22모드=, 링22문서=가구, 링22h=18,
글23=(100%))]
지하세계에서 악마와 부두 악마가 드롭하는 근접 무기.링22=잿빛 상자, 링22모드=, 링22문서=가구, 링22h=18,
글23=(100%))]
휘두르면 무기 전용 사용 모션이 출력됨과 함께 붉은 낫 모양 투사체를 여러 개 발사하며, 투사체는 적 타격 시 3초간
프리하드 최강의 날먹 무기. 지하세계 탐사 초기에 운 좋게 손에 넣거나, 아니면 작정하고 유황 개사층까지 가서 무기를 획득한다면, 킹 슬라임부터 슬라임 갓까지의 모든 프리하드 보스를 쉽게 잡을 수 있는 무기이다. 유도성 낫이 은근히 많이 나오고 약간의 발광성도 갖고 있기 때문에 사막, 정글 지하 탐사 등에서도 유용하다. 낫이 블록을 관통해서 화면 밖의 적도 공격하기에 몇번 휘둘러주면 잡몹처리가 쉽게 가능하다. 리워크 이후 여러모로 사기적인 성능을 보여, 딜이 반토막나는 너프를 받았음에도 여전히 프리하드 내내 뇌 빼고 쓰기 좋은 무기.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스켈레트론 프라임 이후, 아래의 본 서펀트가 드롭하는 옛 군주의 클레이모어와 함께 금지된 맹검의 재료로 들어간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옛 군주의 클레이모어, 영=Old Lord Claymore, 희소=Orange, 자동=,
추가=붉은 별,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재료, 공=60, 시=34, 넉=7,드롭=,
링1=해골 고룡, 링1문서=몬스터,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8.33% /,
글6=14.29%, 글6색=,
글7=), 글7트림=,)]
지하세계의 해골 고룡에게서 얻을 수 있는 순수 근접 무기.글5=(8.33% /,
글6=14.29%, 글6색=,
글7=), 글7트림=,)]
공격 방식이 두 가지로, 좌클릭 시 무기를 앞으로 휘둘러 공격하며, 이 때에는 고유의 공격 모션이 출력된다.
우클릭 시, 플레이어가 무기를 위로 들어 공격을 충전하며, 1초간 충전 후 좌클릭을 누르면 커서 방향으로 회전하며 돌진해 그 경로에 붉은 별들을 남긴다. 별들은 적에게 유도되어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며, 돌진으로 적을 타격한다면 플레이어는 12의 무적 프레임을 부여받는다.
이 무기는 하드모드 이전이라고는 믿기 힘들 만큼 훌륭한 이동기를 제공해 주며, 지하세계에 진입하자마자 획득할 수 있다. 우클릭의 빠른 돌진은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이전 회전의 관성을 무시하고 다시 돌진할 수 있어, 공중에서 연속으로 돌진해 수직 및 수평 거리를 무제한으로 이동할 수 있다. 풍선이나 날개와 함께 사용한다면, 하드모드 초반까지도 이동 도구로서 유용한 모습을 보여 준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위의 칼날문장 맹검에서 서술했듯 하드모드 무기인 금지된 맹검의 재료로 들어간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파편화된 방주, 영=Fractured Ark, 희소=Light Red, 자동=,
추가=고대의 빔,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5, 시=22, 넉=6.25,조합=,
글1=[,
링1=마법의 검,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링1트림=,
글2=/,
링2=테라그림,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 글3트림=,
링3=정제된 젤,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구리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4개행=,
글5=(10) @,
링9=모루)]
슬라임 갓 이후 제작 가능한,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와 함께 우주의 방주 계열 무기의 가장 하위 아이템.링1=마법의 검,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링1트림=,
글2=/,
링2=테라그림,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 글3트림=,
링3=정제된 젤,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구리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4개행=,
글5=(10) @,
링9=모루)]
두 가지의 공격 방식을 가지며, 좌클릭 시 전용 공격 모션이 출력되어 검을 아래로 한 번, 위로 한 번 휘둘러 공격한다.
파편화된 방주는 'Parry(회피)'라는, 방주 계열 무기만의 독특한 공격을 수행한다. 우클릭 사용 시 무기를 앞으로 내밀어 공격하며, 이 공격을 적에게 적중시키면 0.58초 동안 무적 프레임을 제공받는다. 공격이 투사체에게 적중하면, 이후 1초간 다른 모든 적 투사체들의 피해량을 최대 50 감소시킨다. 두 경우 모두 특수 음향 효과 재생과 함께 'Parry!'라는 문구가 나타나 공격이 성공적이었음을 알려준다. 공격의 성패 여부와 무관하게, Parry 공격은 5.66초의 쿨타임을 가지며, 플레이어 머리 위의 무지개색 바로 이를 알 수 있다.
또한 Parry는 독자적인 충전 시스템을 지니고 있는데, 무기는 최대 10의 충전을 담아 둘 수 있으며 이 충전량은 인벤토리 창의 무기에 무지개색 바로 표시된다. 무기를 휘두르면 충전량을 1 소모하고, Parry 공격을 적 대상으로든 투사체 대상으로든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10의 충전을 즉시 부여받는다. 충전이 1이라도 남아 있으면 검의 크기가 커지고 무기 대미지의 80%의 투사체를 날린다.[17]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플랜테라 이후 고대의 방주의 재료로 쓰인다.
3.18. 하드모드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한=본브레이커, 영=Bonebreaker, 하드=, 희소=Pink, 자동=,
추가=본브레이커, 추가구분자=(투사체),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본브레이커 파편,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45, 시=20, 넉=7,추가2개행=, 추가2=본브레이커 파편, 추가2설명=,
조합=,
링1=뼈 재블린, 링1문서=아이템/무기/원거리, 링1h=24,
글2=(150) +,
링2=부식된 화석, 링2모드=,
글3=(15),
글9=@, 글9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바다의 무법자 이후 제작 가능한, 뼈 재블린의 강화판.글2=(150) +,
링2=부식된 화석, 링2모드=,
글3=(15),
글9=@, 글9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사용 시 적에게 꽂히며 잠시 후 여러 파편으로 폭발하는 투사체를 투적한다. 총 6개의 재블린을 한 적에게 꽂을 수 있으며, 최대 초당 120의 대미지를 주며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디오갓 이후, 전우주의 무법자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한=압도적인 승리의 망치, 영=Pwnagehammer, 하드=, 희소=Light Purple, 자동=,
추가=환영의 망치,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10, 시=50, 넉=10, 치=4,조합=,
링1=완승의 망치, 링1문서=아이템/도구, 링1h=24,
글2=+,
링2=시야의 영혼,
글3=(3) +,
링3=힘의 영혼,
글4=(3) +,
링4=공포의 영혼, 링4개행=,
글5=(3) +,
링5=신성한 주괴, 링5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6=(7) @,
링9=하드모드 모루)]
기계 3형제 격파 이후 제작 가능한, 완승의 망치의 강화판.글2=+,
링2=시야의 영혼,
글3=(3) +,
링3=힘의 영혼,
글4=(3) +,
링4=공포의 영혼, 링4개행=,
글5=(3) +,
링5=신성한 주괴, 링5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6=(7) @,
링9=하드모드 모루)]
재료에는 도구가 들어가지만, 도구로서의 기능은 상실했다.
사용 시 타일을 통과할 수 없는 느린 망치를 하나 던진다. 망치는 커서 방향으로 진행해 나가다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며, 적 타격 시 무기 공격력 50%의 광역 피해를 입히는 폭발을 일으킨다.
공격을 할 수록 타격음의 음고가 높아지며, 4번째 타격마다 환영의 망치를 소환한다. 소환된 망치는 0.92초 후 적에게 빠르게 유도되며, 무기 공격력 200%의 피해를 입히고, 무기 공격력 100%의 추가 광역 피해를 입히는 커다란 폭발을 일으킨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골렘 이후 몰락한 팔라딘의 망치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갯가재 발톱, 영=Mantis Claws,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144, 시=8, 넉=7,
드롭=,
링1=갯가재,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0,
글2=(20%) (,
링8=플랜테라,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플랜테라 이후 갯가재가 드롭하는 무기.글2=(20%) (,
링8=플랜테라,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악취의 바그나우와 균사체 발톱처럼 매우 빠른 공격 속도와 극도로 짧은 사거리를 가진 무기로, 적 타격 시
접촉 피해만 감수하면 시기를 뛰어넘는 막대한 대미지를 입힐 수 있어 아나히타와 레비아탄전에서 빛을 발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티폰의 탐욕, 영=Typhon's Greed, 하드=, 희소=Lime, 자동=,
추가=물의 정령, 추가확장자=webp,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62, 시=30, 넉=5, 예시=공격,조합=,
링1=공허석,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블록,
글2=(30) +,
링2=심연의 세포, 링2모드=,
글3=(30),
글9=@, 글9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레비아탄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글2=(30) +,
링2=심연의 세포, 링2모드=,
글3=(30),
글9=@, 글9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기존의 천룡의 격노와 유사한 방식을 가진 무기로, 사용 시 무기를 360도 회전시키면서 화면 밖으로부터 지형을 관통하는 물의 정령을 소환한다. 정령은 소환 직후에는 플레이어에게 향하나, 1.5초가 지나면 적에게 강하게 유도되며 적과 접촉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폭발한다.
여담으로, 무기 이름의 티폰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수의 이름이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심연의 검, 영=Abyss Blade,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40, 시=65, 넉=7.5,
조합=,
링1=심해의 파쇄자,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도구, 링1h=24,
글2=+,
링2=공허석,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20) +,
링3=심연의 세포, 링3모드=, 링3개행=,
글4=(20) @,
링9=하드모드 모루)]
레비아탄 이후 제작 가능한, 심해의 파쇄자의 강화판. 글2=+,
링2=공허석,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20) +,
링3=심연의 세포, 링3모드=, 링3개행=,
글4=(20) @,
링9=하드모드 모루)]
사용 시 무기를 그대로 냅다 집어던지며, 던진 무기는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적을 무한히 관통한다. 무기가 블록과 부딪히면 빠르게 근처의 적을 향해 날아가 200%의 피해를 입히며, 무기 공격력 30%의 피해량을 가진 푸른 유도성 투사체 6줄기를 방출한다. 무기와 투사체 모두 적에게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폴터가스트 이후 넵튠의 하사품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고대의 방주, 영=Ark of the Ancients,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고대의 별,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진정한 고대의 빔,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94, 시=25, 넉=6.5,추가2개행=, 추가2=진정한 고대의 빔, 추가2설명=,
조합=,
링1=파편화된 방주,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스타퓨리,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부서진 영웅의 검, 링3h=24, 링3개행=,
글4=(3) @,
링9=하드모드 모루)]
플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파편화된 방주의 직계 상위 무기.글2=+,
링2=스타퓨리,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부서진 영웅의 검, 링3h=24, 링3개행=,
글4=(3) @,
링9=하드모드 모루)]
전용 공격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며, 좌클릭 시 검을 아래로 한 번, 위로 한 번씩 벤다. 위로 벨 때, 무기 공격력 60%의 피해를 입히는 3개의 유도성 별을 부채꼴 형태로 발사한다.
하위 무기 파편화된 방주와 마찬가지로, 'Parry'라는 특수 공격이 가능하다.
우클릭 시 무기를 앞으로 내밀어 공격하며, 이 공격을 적에게 적중시키면 0.58초 동안 무적 프레임을 제공받는다. 공격이 투사체에게 적중하면, 이후 1초간 다른 모든 적 투사체들의 피해량을 최대 80 감소시킨다. 두 경우 모두 특수 음향 효과 재생과 함께 'Parry!'라는 문구가 나타나 공격이 성공적이었음을 알려준다. 공격의 성패 여부와 무관하게, Parry 공격은 5.66초의 쿨타임을 가지며, 플레이어 머리 위의 무지개색 바로 이를 알 수 있다.
또한 Parry는 독자적인 충전 시스템을 지니고 있는데, 무기는 최대 10의 충전을 담아 둘 수 있으며 이 충전량은 인벤토리 창의 무기에 무지개색 바로 표시된다. 무기를 휘두르면 충전량을 1 소모하고, Parry 공격을 적 대상으로든 투사체 대상으로든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10의 충전을 즉시 부여받는다. 충전이 1이라도 남아 있으면 검의 크기가 커지고 공격력이 25% 증가하며, 현재 무기 대미지의 100%의 투사체를 날린다.
추가적으로, 고대의 방주부터 그 이후의 방주 계열 무기들은 충전이 남아있을 때 이동 키 UP(기본키 w)+우클릭을 누르면 잔존 충전을 전부 소진해 특수 공격을 가한다. 고대의 방주는 단검으로 찌르는 모션과 함께 커서 방향으로 약 45블록가량의 관통형 레이저를 발사한다. 레이저는 1번만 타격하며, 공격력은 남아있는 잔존 충전량에 따라 달라진다. 대미지 공식은 (1.25 x 잔존 충전량 x 0.5)로, 남아있는 충전이 많을수록 피해량이 더욱 커진다. 일례로 완충된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할 경우 대미지는 무기 기본 공격력의 6.25배(1.25 x 10 x 0.5)가 되며, 1칸만 남은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하게 되면 무기 기본 공격력의 0.625배(1.25 x 1 x 0.5)의 대미지만 준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문로드 이후 원소의 방주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한=스티기안의 방패, 영=Stygian Shield, 하드=, 희소=Yellow, 예시=공격,
추가개행=, 추가=무기 홀드아웃, 추가설명=,
추가2=혼돈의 방패,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방=16 (들고 있을 때), 공=180, 시=40, 넉=6, 발=10,추가2=혼돈의 방패, 추가2설명=,
조합=,
링1=화려한 방패,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장신구/전투, 링1h=24,
글2=+,
링2=화산암 주괴, 링2모드=, 링2h=24,
글3=(6) +,
링3=지옥석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3개행=,
글4=(6) +,
링4=살아있는 파편, 링4모드=,
글5=(6) @,
링9=하드모드 모루)]
골렘 이후 제작 가능한 근접 무기로, 특이하게도 재료에 장신구가 들어간다.글2=+,
링2=화산암 주괴, 링2모드=, 링2h=24,
글3=(6) +,
링3=지옥석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3개행=,
글4=(6) +,
링4=살아있는 파편, 링4모드=,
글5=(6) @,
링9=하드모드 모루)]
이 무기를 들고 있을 경우 16의 방어력과 넉백 면역 효과를 제공받는 대신, 다른 모든 갑옷, 장신구의 돌진 능력이 비활성화된다. 다른 아이템으로 바꿔 들 경우, 1.5초간은 돌진 비활성화가 유지된다.
공격 방식이 좌/우클릭 두 가지로 나뉜다. 좌클릭을 최소 0.25초간 유지하면 커서 방향으로 화살표 형태의 표식이 나타나며, 클릭을 놓으면 21 무적 프레임을 획득함과 동시에 그 방향으로 최소 0.35초간 돌진해 접촉하는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오래 누를수록 표식이 길어지며, 그와 함께 돌진 거리와 공격력이 늘어난다. 이는 '0.75초 좌클릭 유지 시 피해량 600%으로 증가, 돌진 거리 45블록로 증가'의 상한선을 지닌다.
우클릭 사용 시, 방패를 최대 2개까지 투척해 적을 공격하며, 모든 방패가 플레이어에게 돌아오기 전까지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방패는 투척 0.5초 후 플레이어에게 돌아오며, 적을 타격하면 40블록 이내의 다른 적에게 튕긴다. 방패가 복귀 중일 때 적을 타격할 때마다 피해량이 40%씩 줄어들며, 이는 돌진 공격으로 적을 타격할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재료로 들어간 화려한 방패의 사용 방식에 일반적인 부메랑을 합쳐 놓은 듯한 무기.
탈것을 탄 채로 공격을 시전하면, 돌진을 시작함과 동시에 탈것에서 내린다.
인벤토리에 철구를 즐겨찾기 설정해 놓아도, 스티기안의 방패의 돌진은 다른 돌진들과는 달리 비활성화되지 않는다.
무기의 모습은 하데스에 등장하는 혼돈의 방패를 그대로 가져왔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몰락한 팔라딘의 망치, 영=Fallen Paladin's Hammer,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몰락한 환영의 망치,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몰락한 폭발, 추가2설명=, 추가2h=80,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368, 시=57, 넉=20,추가2개행=, 추가2=몰락한 폭발, 추가2설명=, 추가2h=80,
조합=,
링1=팔라딘의 망치,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압도적인 승리의 망치,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재앙의 잿더미,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4=혼돈의 코어, 링4모드=, 링4h=24,
글5=(5) +,
링5=화산암 주괴, 링5모드=, 링5h=24, 링5개행=,
글6=(5) @,
링9=하드모드 모루)]
압도적인 승리의 망치의 강화판.글2=+,
링2=압도적인 승리의 망치,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재앙의 잿더미,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4=혼돈의 코어, 링4모드=, 링4h=24,
글5=(5) +,
링5=화산암 주괴, 링5모드=, 링5h=24, 링5개행=,
글6=(5) @,
링9=하드모드 모루)]
사용 시 타일을 통과할 수 없는 빠른 망치를 하나 던진다. 망치는 커서 방향으로 진행해 나가다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며, 적 타격 시 속도가 느려지며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이 상태에서는 적을 무한히 관통하나, 매 타격마다 피해량이 10%씩 감소한다.
공격을 할 수록 타격음의 음고가 높아지며, 3번째 타격마다 몰락한 환영의 망치를 소환한다. 소환된 망치는 0.92초 후 적에게 빠르게 유도되며, 무기 공격력 200%의 피해를 입히고, 무기 공격력 100%의 추가 광역 피해를 입히는 거대한 폭발을 일으킨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문로드 이후 스텔라 컨템프트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옴니블레이드, 영=Omniblad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추가=옴니블레이드 참격, 추가개행=,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w=150,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100, 시=9, 넉=6, 치=49,조합=,
링1=카타나,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10) +,
링3=생명 합금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9=하드모드 모루)]
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10) +,
링3=생명 합금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9=하드모드 모루)]
전설의 옴니어가 주조한 고대의 검
골렘 이후 제작 가능한 순수 근접 무기.사용 시 무라사마와 비슷한, 커서로 방향 조종이 불가능한 참격을 수행한다. 명중 시 5초간
한 가지 특징으로, 49%의 높은 치명타 확률을 제공해 준다.
툴팁에 적혀있는 옴니어는 테라리아 초창기 유명 모드 중 하나인 옴니어의 모드(Omnir's mod)의 제작자이며, 디자인은 해당 모드에서 나오는 Masamune라는 검에서 따왔다고 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3.19. 달의 군주 이후
|
한=스텔라 컨템프트, 영=Stellar Contempt, 포문=, 희소=Red, 자동=,
추가=초충전 망치,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루나 플레어,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650, 시=45, 넉=28,추가2개행=, 추가2=루나 플레어,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조합=,
링1=몰락한 팔라딘의 망치,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루미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
링3=은하의 특이점,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몰락한 팔라딘의 망치의 강화판.글2=+,
링2=루미나이트 주괴, 링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3=(5) +,
링3=은하의 특이점,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타일을 통과하는 빠른 망치를 하나 던진다. 망치는 커서 방향으로 진행해 나가다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며, 적 타격 시 속도가 느려지며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이 상태에서는 적을 무한히 관통하나, 매 타격마다 피해량이 10%씩 감소한다.
또, 망치의 타격마다 하늘로부터 루나 플레어가 추락한다. 플레어는 무기 공격력 10%의 추가 피해를 입힌다.
5번째 타격마다 망치는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오며 루나 플레어를 낙하시키는 대신, 위쪽 방향으로 발사된다. 그 후, 망치는 초충전 상태가 되어 크기가 커지고 0.92초 후 적에게 빠르게 유도된다. 초충전 망치는 600%의 피해를 입히며, 화면을 뒤흔들며 범위 내 적에게 무기 공격력 300%의 추가 광역 피해를 입히는 거대한 폭발을 일으킨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디오갓 이후 은하 분쇄기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원소의 방주, 영=Ark of the Elements, 포문=, 희소=Purple, 자동=,
추가=충전, 추가설명=충전된 모습,
추가2개행=, 추가2=태양의 바늘, 추가2설명=,
추가3=유리 별, 추가3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507, 시=20, 넉=8.5, 치=14,추가2개행=, 추가2=태양의 바늘, 추가2설명=,
추가3=유리 별, 추가3설명=,
조합=,
링1=고대의 방주,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생명 합금괴,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은하의 특이점,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6=(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고대의 방주의 강화판. 특이하게 일반적인 무기가 아닌 가위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글2=+,
링2=생명 합금괴,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은하의 특이점,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6=(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사용 시 전용 애니메이션과 함께 5가지 패턴으로 이뤄진 화려한 콤보 공격을 수행한다. 첫 번째와 세 번째 공격은 무기를 위로 휘둘러 공격하며, 두 번째와 네 번째 공격은 좀 더 크게 베며 1개의 태양의 바늘과 5개의 유도성 유리 별을 발사한다. 5번째 공격은 전방 커서 방향으로 검을 부메랑처럼 회전시키며 날려서 공격한다.
바늘은 무기 기본 공격력 80%, 별은 20%의 피해를 입힌다. 5번째 공격 도중[18] 클릭을 떼면 무기의 나머지 반쪽이 날아가, 두 가위날이 합쳐져 다물어지며 공격력 120%의 피해를 입힌다.
방주 계열 무기들의 특수 공격인 'Parry'를 사용할 수 있다. 우클릭 시, 커서 방향으로 한 번 가위질해 공격한다. 적 타격 시, 플레이어는 0.58초의 짧은 무적 시간을 제공받는 반면, 투사체를 대상으로 공격하면 이후 1초간 모든 적 투사체들의 피해량이 최대 100 감소한다. 두 경우 모두 특수 음향 효과 재생과 함께 'Parry!'라는 문구가 나타나 공격이 성공적이었음을 알려준다. 공격의 성패 여부와 무관하게, Parry 공격은 5.66초의 쿨타임을 가지며, 플레이어 머리 위의 무지개색 바로 이를 알 수 있다.
또한 Parry는 독자적인 충전 시스템을 지니고 있는데, 무기는 최대 10의 충전을 담아 둘 수 있으며 이 충전량은 인벤토리 창의 무기에 무지개색 바로 표시된다. 무기를 휘두르면 충전량을 1 소모하고, Parry 공격을 적 대상으로든 투사체 대상으로든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10의 충전을 즉시 부여받는다. 충전이 1이라도 남아 있으면 무기의 크기가 커지고 공격력이 35% 증가한다. 이 상태에서 무기는 가위날 하나가 아닌, 두 날이 합쳐진 완전한 가위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공격 시에도 그 모습을 유지한다.[19]
추가적으로, 고대의 방주부터 그 이후의 방주 계열 무기들은 충전이 남아있을 때 이동 키 UP(기본키 w)+우클릭을 누르면 잔존 충전을 전부 소진해 특수 공격을 가한다. 원소의 방주의 경우 이를 'Big Rip(대절단)'이라고 하며, 사용 시 무기를 커서 방향으로 멀리 던져 그 궤적을 남긴다. 이 공격은 남은 충전을 전부 소모해 수행하며, 궤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사라진다. 공격의 피해량은 소모한 충전량에 따라 달라지며, 그 공식은 (1.35 x 잔존 충전량 x 0.5)로, 남아있는 충전이 많을수록 피해량이 더욱 커진다. 일례로 완충된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할 경우 피해량은 무기 기본 공격력의 6.75배(1.35 x 10 x 0.5)가 되며, 1칸만 남은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하게 되면 무기 기본 공격력의 0.675배(1.35 x 1 x 0.5)의 피해만 준다.
원소의 방주의 Parry 공격은 1.5초간, 그 외 모든 공격은 1초간
원소의 방주의 콤보 공격에 대한 설명은 선홍색(#DC143C)으로, Parry 기능에 대한 설명은 주황색(#FFA500)으로, 대절단 공격에 대한 설명은 노란색(#FFD700)으로 각각 툴팁에 표기된다.
문로드 직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중 하나로, 적당한 사거리와 특수 공격으로 인한 강한 대미지를 갖고 있다. 다만 Parry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엔 피해량이 약해, 하위 무기들보다 특수공격에 많이 의존하는 편.
여담으로, 해당 무기 말고도 다른 원소계열 무기들도 리메이크된 컨셉아트가 존재하는데, 앞으로의 패치에 리뉴얼된 타 직업군의 원소 무기들을 볼 수 있게 될 지도 모른다.
또, 해당 무기의 외형은 킬라킬의 '반쪽도검가위'에서 따왔다고 한다.[20] 이는 상위 무기인 우주의 방주도 마찬가지.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야론 이후 갤럭시아와 함께, 방주 계열 최종 무기인 우주의 방주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악마의 일출, 영=Devil's Sunrise,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추가=악마의 일출 사이클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420, 시=25, 넉=4, 치=14, 예시=공격,조합=,
링1=테라그림,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악마의 골회, 링2모드=, 링2h=20,
글3=(10) +,
링3=혈석 코어, 링3모드=, 링3h=20,
글4=(25),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프로비던스 이후 제작 가능한, 테라그림의 강화판.글2=+,
링2=악마의 골회, 링2모드=, 링2h=20,
글3=(10) +,
링3=혈석 코어, 링3모드=, 링3h=20,
글4=(25),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무기 사용 시 테라그림과 비슷하게, 가까운 거리의 적은 검을 빠르게 베어 공격하며, 추가적으로 커서가 가리킨 곳에 작은 사이클론이 체공한다. 공격 시간이 길어질수록 검기와 사이클론 모두 색상이 붉게 변해 공격력이 200% 증가하며, 사이클론은 8초가 지나면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온다.
무기의 모든 공격은
무기의 이름과 외형은 'Epic Battle Fantasy'라는 플래시게임과 메이플스토리의 동명의 무기에서 따 왔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인광성 건틀릿, 영=Phosphorescent Gauntlet,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추가=인광성 펀치, 추가확장자=webp, 추가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2\,705, 시=39, 넉=9, 치=14, 예시=공격,드롭=,
링1=방사능의 공포, 링1모드=, 링1문서=이벤트, 링1h=24,
글2=(33.33%))]
폴터가스트 이후 방사능의 공포가 드롭하는, 상당히 특이한 형태의 순수 근접 무기.글2=(33.33%))]
사용 시 주먹을 휘두르며 커서가 있는 방향으로 짧게 돌진하며, 적이나 타일에 충돌할 경우 뒤로 밀려난다. 이 때 짧게 무적 시간을 가지는데, 이를 이용해서 야론전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죽음의 승천, 영=Death's Ascension,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추가=유도성 낫,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죽음의 승천 참격, 추가2확장자=webp,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200, 시=24, 넉=9,추가2개행=, 추가2=죽음의 승천 참격, 추가2확장자=webp, 추가2설명=,
조합=,
링1=죽음의 낫,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파멸의 영혼, 링2모드=, 링2h=24,
글3=(4) +,
링3=뒤틀린 황천, 링3모드=, 링3h=24,
글4=+,
링4=밤의 영혼, 링4개행=,
글5=(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폴터가스트 이후 제작 가능한, 죽음의 낫의 강화판.글2=+,
링2=파멸의 영혼, 링2모드=, 링2h=24,
글3=(4) +,
링3=뒤틀린 황천, 링3모드=, 링3h=24,
글4=+,
링4=밤의 영혼, 링4개행=,
글5=(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공격 방식이 좌/우클릭 두 가지로 나뉜다. 좌클릭 시 플레이이어의 전방으로 전용 참격 모션과 함께 낫을 휘둘러 적을 공격한다. 사거리는 짧지만, 1200이라는 공격력에서 알 수 있듯이 피해량은 굉장히 크다.
우클릭 시 일반적인 검들과 비슷하게 낫을 휘두르는데, 이 때 4개의 유도성 낫 투사체를 방출한다. 투사체는 무기 공격력 12.5%의 피해를 입히고, 적을 최대 2번 관통하며 블럭을 통과할 수 있다.
좌클릭 공격은 비교적 느리고 범위 또한 굉장히 좁아 활용하기 어렵지만, 우클릭 공격의 낫 투사체들이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투사체들의 유도력이 굉장히 강하고 유지 시간도 길어, 타격점이 특히 많은 적들[21] 상대로 빛을 발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근접 무기들 중에서는 디오갓 상대로 가장 추천받는 무기 중 하나. 일정 시간 버티다가 순간적으로 폭딜을 넣는 순수 근접 무기 위주 전략보다, 보스를 살살 갉아먹는 전략에서 사용된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넵튠의 하사품, 영=Neptune's Bounty,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예시=공격,
유형=근접 무기, 공=444, 시=65, 넉=9,
조합=,
링1=심연의 검,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사신 이빨, 링2모드=, 링2h=24,
글3=(6) +,
링3=파멸의 영혼, 링3모드=, 링3h=24,
글4=(6),
글9=@, 글8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폴터가스트 이후 제작 가능한, 심연의 검의 강화판.글2=+,
링2=사신 이빨, 링2모드=, 링2h=24,
글3=(6) +,
링3=파멸의 영혼, 링3모드=, 링3h=24,
글4=(6),
글9=@, 글8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사용 시 무기를 냅다 집어던지며, 던진 무기는 회전하면서 포물선으로 떨어지며 적을 무한히 관통한다. 회전 중인 검은 적을 무한히 관통하는 물줄기를 적을 향해 난사하며, 물줄기는 무기 공격력 16.67%의 피해를 입힌다. 검은 투척 후 1.25초가 지나면 근처의 적을 향해, 적이 없다면 공중으로 다시 발사되며 200%의 피해를 입힌다. 검과 투사체 모두 블록을 통과할 수 있으며, 적에게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퍼져나가는 임페일러, 영=Insidious Impaler,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198, 시=20, 넉=8,
드롭=,
링1=늙은 공작,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올드 듀크가 드롭하는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사용 시, 적이나 블록에 박힌 채로 유지되는 작살을 발사한다. 작살은 0.5초간 직선으로 날아가다 이후 중력의 영향을 받아 추락한다. 적에게 박힌 작살은 최대 8회까지 추가 피해를 입힌 후 초록색 혹은 보라색으로 폭발하며, 해당 적이 죽으면 작살도 같이 사라진다. 작살은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무라사마, 영=Murasama,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추가=신들의 포식자 격파 후, 추가확장자=webp,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무라사마 참격, 추가2확장자=webp, 추가2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2\,222, 시=25, 넉=6.5, 치=65,추가2개행=, 추가2=무라사마 참격, 추가2확장자=webp, 추가2설명=,
보물=,
링1=지하세계, 링1문서=지형, 링1문자만=,
링2=무기고 연구소, 링2모드=, 링2문서=지형, 링2문자만=,
글3=의, 글3트림=,
링4=보안 상자,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가구, 링4한줄로=,
글5=(100%),
)]링2=무기고 연구소, 링2모드=, 링2문서=지형, 링2문자만=,
글3=의, 글3트림=,
링4=보안 상자,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가구, 링4한줄로=,
글5=(100%),
There will be blood!
피가 있으리라!
디오갓 이후부터 사용 가능한, 순수 근접을 상징하는 무기.피가 있으리라!
지하세계의 연구소에 있는 보안 상자 중 하나에서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이 외의 다른 획득 경로는 없다. 하드모드 입성 이전에도 손에 넣을 수 있지만 디오갓 격파 이전에는 칼을 휘두를 수 없어, 실질적으로는 문로드 이후 장비로 취급한다. 무기 사용이 불가능할 때에는 왼쪽처럼 납도된 상태의 모습으로 보인다.
디오갓 격파 이후 비로소 빛나는 붉은 칼날을 드러내며, 무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 시, 커서 방향으로 무기 전용 모션을 출력하며 공격을 실행한다. 이 공격은 커다란 윗방향 참격,[22] 더 큰 윗방향 전기성 참격, 그리고 비교적 작은 아랫방향 참격의, 3연타 패턴으로 나타난다. 매 3번째 공격은 그 크기가 더 커지고 두 배의 피해를 입힌다. 칼은 벨 때마다 붉은 발광성 입자를 방출한다.
Get Fixed Boi 시드에서는 무기 크기 +200% 버프와 함께, 광클을 통해 딜 욱여넣기가 가능해진다.
출시 초기에는 슈퍼 더미 상대로 수백만 단위의 DPS를 꽂아넣을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해, 순간 폭딜에 특화된 순수 근접의 개념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는 무기였다. 그러나 1.5 패치 이후로 피해량이 크게 너프되고 공격 방식도 현재처럼 바뀌어 그 위상이 바래졌다. 그 시절 투사체를 난사하던 우주의 방주에게 밀리는 경우도 있었어서 작정하고 순수 근접 세팅을 할게 아니면 선호도가 많이 떨어졌다. 같은 티어였던 용의 격노에게 브림스톤 심장 파괴, 타나토스 대항이라는 두가지 주 용도에서 모두 밀려 더욱 더 입지는 좁아졌다.
설상가상으로 2.0.3.7 이후로 리워크를 빙자한 너프를 먹었다. 공격 틱 간격이 공격모션에 맞춰져[23] Dps자체는 오히려 늘어났지만, 무기의 크기와 함께 줄어든 짧은 사거리 때문에 이후 보스전에서 큰 힘을 발휘하기 힘들어졌다. 티어가 야론 이후에서 디오갓 이후로 떨어진 게 그나마 위안으로 삼을 만하다.[24]
물론 해당 패치에서는 거의 모든 달의 군주 이후 순수 근접 무기의 사정거리가 반토막이 났기 때문에, 순수 근접 플레이중이라면 결국 울며 겨자먹기로 쓰게 된다. 그나마 늘어난 피해량과 앞당겨진 사용 가능 시점 덕분에, 신들의 포식자 이후 이벤트를 가볍게 쓸어버릴 수 있다. 오히려 이전에는 용의 격노에게 밀렸던 것에 비하면 동티어대 순수 근접 무기중에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되었다. 이제 같은 티어 순수 근접 무기라고 하면 무라사마와 집행자 둘 뿐이지만...
차후 스프라이트 리뉴얼 밎 리워크가 예정되어 있다.
모티브는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에 나오는 검. 무기 설명에 써 있는 "ID and power-level locked. Prove your strength or have the correct user ID to wield this sword"라는 말 또한 메탈기어 라이징 리벤전스에서 따온 것으로, 디오갓을 잡아 힘을 증명하는 것 말고도 ID 인증, 즉 캐릭터 아이디가 Jetstream Sam이거나 Sam의 풀네임인 Samuel Rodrigues이면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었다. 현재는 불가능.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무기 자체의 높은 차명타율 덕에 치명타 확률 100%를 달성한 상태라면, 무자비한(Ruthless) 또한 좋은 선택지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흐름결, 영=Stream Gouge,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추가=포탈,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투사체,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500, 시=19, 넉=9.75,
조합=,
링1=코스밀라이트 주괴, 링1모드=,
글2=(12) @,
링2=전우주의 모루,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디오갓 이후 제작할 수 있는 무기.글2=(12) @,
링2=전우주의 모루,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사용 시 창을 한바퀴 돌린 뒤[25] 커서 방향에 포탈을 생성하여, 창으로 그 안을 지속적으로 찌른다. 이 때, 커서 주변의 랜덤한 방향에서 두 개의 새로운 포탈이 생겨나며 포탈 안에서 창이 튀어나와 커서를 향해 공격을 가한다. 이 창에 피격당한 적 주변에는 성운처럼 생긴 시각적 효과가 생성된다. 내지른 창 자체에도 공격 판정이 있으며, 무기의 모든 공격은 5초간
2.0 패치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리워크되었으며, 이전에는 휘두를 때마다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발사체를 쏘는 창이었다.
맞추기 쉬우며 대미지도 나쁘지 않고 돌진하는 적을 커서로 따라간다는 느낌으로 공격하면 어느 정도 쉽게 때릴 수 있어, 야론 전투에 쓸 만하다. 야론이 화면을 벗어나면 공격하지 못하지만, 이 시점 무기들 대부분이 사거리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발목을 잡지는 않는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은하 분쇄기, 영=Galaxy Smasher,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예시=공격,
추가개행=, 추가=미니 망치, 추가설명=,
추가2=초충전 망치,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300, 시=40, 넉=14,추가2=초충전 망치, 추가2설명=,
조합=,
링1=스텔라 컨템프트,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10),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스텔라 컨템프트의 강화판.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10),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사용 시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타일을 관통하는 망치를 투척한다. 망치는 적에게 명중하면 다시 플레이어에게 되돌아오며, 이 때 적을 무한히 관통할 수 있으나 매 타격마다 피해량이 10%씩 감소한다.
망치로 적을 타격할 때마다 최대 8회까지 타격음의 음고가 높아지며, 피격당한 적 주변에는 작은 보랏빛 미니 망치가 하나씩 추가로 소환된다. 미니 망치는 무기 공격력 10%의 피해를 입힌다.
매 8회 타격 시, 망치는 즉시 돌아오지 않고 앞으로 짧은 시간 진행한다. 그 이후 망치는 크기가 커지며 초충전 상태가 되어, 0.92초 후 적에게 유도된다. 초충전 망치는 1000%의 피해를 입히며, 화면을 뒤흔들며 범위 내 적에게 무기 공격력 500%의 추가 광역 피해를 입히는 거대한 폭발을 일으킨다.
타격감도 좋고 초충전 타격을 맞췄을 때의 순간 화력 하나만은 굉장하지만, 공속이 너무 느려 안정적인 dps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심지어 8번이나 공격해야 그제서 강타가 한 번 발동되어, 기대 딜량 자체도 그리 높지 않은 편.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개발자 무기인 트리엑티스의 진정한 수호자의 마법망치의 재료로 쓰인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한=페이즈슬레이어, 영=Phaseslayer, 포문=, 희소=Dark Blue, 희소2=Dark Orange, 자동=, 예시=공격,
유형=근접 무기, 공=980, 시=24, 넉=7, 예시=공격,
조합=,
링1=수상한 도금판, 링1모드=, 링1h=18,
글2=(25)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15) +,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8) +,
링4=고대인의 영혼의 정수, 링4모드=, 링4h=24,
글5=(2),
글6=@, 글6개행=,
링6=전우주의 모루, 링6모드=, 링6문서=아이템/가구,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얼음),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드레이돈 근접 무기.글2=(25)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15) +,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8) +,
링4=고대인의 영혼의 정수, 링4모드=, 링4h=24,
글5=(2),
글6=@, 글6개행=,
링6=전우주의 모루, 링6모드=, 링6문서=아이템/가구,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얼음),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사용 시, 적에게 지속적으로 접촉 피해를 입히는 거대한 붉은 빛의 칼날을 소환한다. 칼날은 항상 커서 방향을 향하며, 더 빠르게, 멀리 회전시킬수록 피해량도 그에 비례해 증가한다. 칼날을 충분히 빠르게 회전시키면 유도성 빔을 추가로 소환할 수도 있다. 빔은 공격력 15%의 피해를 입히며 적을 최대 2회 관통한다. 사용자와 커서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칼날의 피해량은 줄어들지만, 빔을 발사하는 빈도가 늘어난다.
무기는 매 프레임마다 0.005의 충전을 소모하며, 최대 250의 충전량을 갖는다. 따라서, 무기가 완충된 상태에서 플레이어는 최대 13분 53초간 무기를 휘두를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유도성 빔이 하나 발사될 때마다 0.1의 충전이 추가로 소모된다. 충전이 25%(62.5) 이하로 떨어진다면, 칼날의 크기가 작아지고 그 공격력 또한 10% 감소한다.
앞서 언급했듯, 칼을 휘두르는 각속도에 따라 공격력이 늘어난다. 공격력은 회전 각도에 비례해 증가하지만, 그 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아래에 초당 회전수 별 적용되는 공격력을 기재해 놓았다.
- 각도 이동이 없을 때 기존 공격력의 53.5%
- 초당 1회 회전할 때 공격력 100%
- 초당 1.5회 회전할 때 공격력 116.6%
- 초당 2회 회전할 때 공격력 130.6%
- 초당 3회 회전할 때 공격력 153.5%
- 초당 5회 회전할 때 공격력 187%
무기의 특이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마우스 감도를 높게 설정해 놓는 것이 최대 출력을 뽑는 데 도움이 된다.
설정 상 위의 무라사마의 프로토타입형 무기라고 한다. 디자인의 모티브는 둠 리부트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마검인 크루시블. 이름 또한 둠 리부트 시리즈의 주인공 둠 슬레이어에서 따 왔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전우주의 무법자, 영=Scourge of the Cosmos,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78, 시=16, 넉=5, 예시=공격,
추가개행=, 추가=전우주의 무법자의 머리, 추가설명=,
추가2=미니 전우주의 무법자,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조합=,추가2=미니 전우주의 무법자,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링1=커럽터의 채찍,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본브레이커,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1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커럽터의 채찍의 강화판.글2=+,
링2=본브레이커,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1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사용 시, 적당한 거리를 이동하며 블록에 최대 2번 튕긴 후 분열하는, 창 끝과 똑같이 생긴 머리를 발사한다. 머리는 블록에 튕길 때마다 미니 전우주의 무법자를 1~2마리 소환한다. 미니 무법자들은 블록에 한 번 튕길 수 있으며, 소환되고 1초 뒤 적에게 유도되어 무기 공격력 75%의 피해를 입힌다. 적은 관통할 수 없다. 만약 머리가 적에게 직격하거나 블록에 3번째로 접촉하면, 3~4마리의 무법자로 분열한다. 창머리가 적에 직격해 소환된 무법자들은 소환된 즉시 적에게 피해를 입힐 수도 있다.
기존보다 스펙이 대폭 강화되었지만 아래의 최고천의 단검과 비교되며 평가절하되는 감이 강하다. 그래도 강력한 공격력 덕분에 나름대로 좋은 무기.
이름에서 어렴풋이 알 수 있듯, 무기와 투사체들 모두 디오갓 자체를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최고천의 단검, 영=Empyrean Knives,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추가=최고천의 칼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30, 시=15, 넉=3,조합=,
링1=흡혈귀의 단검,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무시무시한 단검,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글3=+,
링3=암흑태양 파편, 링3모드=, 링3h=24,
글4=(8) +,
링4=코스밀라이트 주괴, 링4모드=,
글5=(8)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흡혈귀의 단검의 강화판으로 철선의 모습을 하고 있다.글2=+,
링2=무시무시한 단검,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글3=+,
링3=암흑태양 파편, 링3모드=, 링3h=24,
글4=(8) +,
링4=코스밀라이트 주괴, 링4모드=,
글5=(8)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사용 시, 입힌 피해량의 1.5%만큼을 회복시켜 주는 유도성 칼날을 4~8개 투척한다. 칼날은 블록에 두 번 튕길 수 있으며, 흡혈귀의 단검의 것보다 그 이동 거리가 길다. 평균적으로 무기 사용 1회당 발사되는 칼날의 수는 4.94개로, 흡혈귀의 단검과 같은 공식을 따른다.
공격력과 사거리가 대폭 상승하고 투척 속도도 훨씬 빨라졌으며, 유도 기능도 탑재되어 있어 사용하기 편하다.
그러나 바닐라에서 흡혈귀의 단검은 흡혈 쿨다운이 적용되지 않아 공격하는 족족 치유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쪽은 칼라미티 모드의 흡혈 시스템을 따르기 때문에 1초의 쿨다운이 적용되며 타수가 아무리 많아도 한번에 단검 한개분의 흡혈량만 회복되어, 체력이 차는 양이 비교적 적다. 이는 상위 무기인 명검도 공유하는 단점. 자체 대미지도 애매하고 한번에 회복되는 양도 5~6 정도인데 이게 1초에 한 번 간신히 들어온다. 따라서 뱀파이어 나이프의 귀신같은 생존력을 기대하고 만들었다면 실망할 수도 있다. 물론 초당 6 정도가 추가 회복되는 효과는 생각보다 적지 않으며 대미지가 그래도 대부분의 무기들의 3분의 2 정도까지는 나와, 체력은 낮은데 회복 포션 쿨은 돌고 있고 어떻게든 한 턴 버텨야 할 때 사용할 만하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개발자 무기인 명검으로 강화할 수 있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갤럭시아, 영=Galaxia, 확장자=webp,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설명=염소자리,
추가=게자리, 추가확장자=webp,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갤럭시아 볼트,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800, 시=18, 넉=9,추가2개행=, 추가2=갤럭시아 볼트, 추가2설명=,
조합=,
링1=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암흑태양 파편, 링2모드=, 링2h=24,
글3=(8) +,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8)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강화판.글2=+,
링2=암흑태양 파편, 링2모드=, 링2h=24,
글3=(8) +,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8)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그것에 각각 대응하는, 별자리 테마의 4가지 조율을 갖고 있다. 무기 제작 직후에는 기본적으로 봉황자리의 긍지 조율이 설정된 상태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여전히 우클릭을 통해 조율을 변경할 수 있으며, 제작하자마자 4가지 조율에 모두 접근할 수 있어 각 바이옴까지 직접 달려가 조율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조율은 봉황자리의 긍지, 양자리의 분노, 작은곰자리의 시선, 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의 순서로 4가지가 순환하는 구조로 바뀐다. 사용자 기준 커서의 위치로 조율이 전환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데, 화면 오른쪽 우클릭 시 위의 순서대로, 화면 왼쪽 우클릭 시 그 역순으로 바뀐다. 각 조율을 전환할 때마다 큰 소리와 함께 별자리의 형상이 플레이어 뒤에 나타나는데, 이는 순수 시각적 효과로 적에게 아무런 피해도 입힐 수 없다.
하위 무기와 차별되는 또 다른 점으로, 갤럭시아는 두 번째 조율 슬롯이 없지만 조율에 따라 다른 패시브 효과가 적용된다. 패시브 효과는 염소자리의 축복, 게자리의 축복의 두 가지가 존재하며, 무기 스프라이트의 타오르는 칼날 색으로 이를 파악할 수 있다.
무기 스프라이트는 칼날을 타오르는 듯한 비고체성 물질로 묘사하지만, 실제 사용 시에는 칼날이 일반적인 고체의 모습을 하고 있다.
각 조율 및 축복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갤럭시아(봉황자리의 긍지), 영=Galaxia(Pheonix's Pride), 확장자=webp,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예시=공격,
기타=,
사용 시, 검을 원형으로 휘두르기 시작하며 그 시간이 지날수록 검의 크기, 회전 속도와 공격력이 상승한다. 검의 공격력은 회전 시작 시 50%에서 3.75초 후 최대 260%까지 상승한다. 회전을 75% 이상 충전하면 무기 기본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는 갤럭시아 볼트를 난사하기 시작한다.
검을 2.5초 이상 회전시켰을 때 커서를 떼면, 검을 커서 방향으로 던졌다가 다시 감아온다. 검은 충전한 시간에 따라 기본 공격력 210%~320%의 피해를 입히며, 던질 때 무기 기본 공격력 100%의 피해를 입히는 6발의 갤럭시아 볼트를 검 주변으로 동시에 발사한다. 검이 투척 가능한 상태가 되면 특수 음향 효과가 재생되어 이를 알려준다.
봉황자리의 긍지에는 염소자리의 축복이 적용된다.
검을 최대로 충전하는 데 드는 시간이 3.75초로 결코 짧지 않아, 투척 공격에는 적을 잘 조준해야 한다는 위험 부담이 어느 정도 따른다. 그렇기 때문에 공격을 무조건 맞춘다는 자신이 없다면 그냥 계속 돌리고만 있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애초에 봉황자리의 긍지가 단일 대상 보스전보다는 펌킨 및 프로스트 문 이벤트같은 잡몹전에서 우월한 성능을 보여준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오갓 직후 일식을 돌려 무기를 빨리 만들면 이벤트에서 이만한 성능의 조율이 없긴 하다.
봉황자리의 긍지의 툴팁은 진한 주황색(#FF5700)과 연한 주황색(#FF8F00)의 두 가지 색으로 표기된다.
한=갤럭시아(봉황자리의 긍지), 영=Galaxia(Pheonix's Pride), 확장자=webp,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예시=공격,
추가=염소자리의 검,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갤럭시아 볼트, 추가2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200, 시=18, 넉=9,추가2개행=, 추가2=갤럭시아 볼트, 추가2설명=,
기타=,
링1=갤럭시아, 링1모드=, 링1h=24,
글2=제작 직후 사용 가능,
글3트림=)]
봉황자리의 긍지는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도검장인의 긍지에 대응하는 조율이다.글2=제작 직후 사용 가능,
글3트림=)]
사용 시, 검을 원형으로 휘두르기 시작하며 그 시간이 지날수록 검의 크기, 회전 속도와 공격력이 상승한다. 검의 공격력은 회전 시작 시 50%에서 3.75초 후 최대 260%까지 상승한다. 회전을 75% 이상 충전하면 무기 기본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는 갤럭시아 볼트를 난사하기 시작한다.
검을 2.5초 이상 회전시켰을 때 커서를 떼면, 검을 커서 방향으로 던졌다가 다시 감아온다. 검은 충전한 시간에 따라 기본 공격력 210%~320%의 피해를 입히며, 던질 때 무기 기본 공격력 100%의 피해를 입히는 6발의 갤럭시아 볼트를 검 주변으로 동시에 발사한다. 검이 투척 가능한 상태가 되면 특수 음향 효과가 재생되어 이를 알려준다.
봉황자리의 긍지에는 염소자리의 축복이 적용된다.
검을 최대로 충전하는 데 드는 시간이 3.75초로 결코 짧지 않아, 투척 공격에는 적을 잘 조준해야 한다는 위험 부담이 어느 정도 따른다. 그렇기 때문에 공격을 무조건 맞춘다는 자신이 없다면 그냥 계속 돌리고만 있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애초에 봉황자리의 긍지가 단일 대상 보스전보다는 펌킨 및 프로스트 문 이벤트같은 잡몹전에서 우월한 성능을 보여준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오갓 직후 일식을 돌려 무기를 빨리 만들면 이벤트에서 이만한 성능의 조율이 없긴 하다.
봉황자리의 긍지의 툴팁은 진한 주황색(#FF5700)과 연한 주황색(#FF8F00)의 두 가지 색으로 표기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갤럭시아(양자리의 분노), 영=Galaxia(Aries' Wrath), 확장자=webp,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예시=공격, 추가=염소자리의 검,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325, 시=18, 넉=9,추가2개행=, 추가2=갤럭시아 볼트, 추가2설명=, 기타=, 링1=갤럭시아, 링1모드=, 링1h=24, 양자리의 분노는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속박된 자들의 비애에 대응하는 조율이다.글2=제작 직후 사용 가능, 글3트림=)] 사용 시, 검을 커서 위치로 내던져 회전시키기 시작하며, 무기 본체는 기본 공격력의 20%의 피해를 입히는 별자리 사슬로 연결된 채로 유지된다. 회전하는 검 본체로 적을 타격하면 무기 기본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히는 유도성 갤럭시아 볼트를 3발 소환한다. 양자리의 분노에는 염소자리의 축복이 적용된다. 양자리의 분노는 다른 3가지 조율보다 안정적으로 원거리를 공격할 수 있다. 이 외에는 별다른 특징이 없는 조율. 양자리의 분노의 툴팁은 어두운 라벤더색(#C459C9)과 빨간색(#FF0000)의 두 가지 색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갤럭시아(작은곰자리의 시선), 영=Galaxia(Polaris' Gaze), 확장자=webp,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예시=공격, 추가=게자리의 검,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1800, 시=18, 넉=9,추가2개행=, 추가2=갤럭시아 볼트, 추가2설명=, 추가3=북극성, 추가3설명=, 추가3h=60, 기타=, 링1=갤럭시아, 링1모드=, 링1h=24, 작은곰자리의 시선은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핏빛 격노에 대응하는 조율이다.글2=제작 직후 사용 가능, 글3트림=)] 사용 시 검을 커서 방향으로 들며, 검에는 밝고 커다란 북극성과 검 주변을 도는 3개의 별 고리가 생성되어 푸른색과 보라색을 오가는 화염을 내뿜기 시작한다. 검은 적을 타격하면 점점 충전되어 그 크기와 공격력, 타격 빈도가 모두 늘어난다. 공격력은 기본 1800에서 최대 충전 시 3600에 다다른다. 검은 적을 타격하지 않았더라도 천천히, 지속적으로 충전된다. 적 타격 시 플레이어는 약간 뛰어오르며, 10의 무적 프레임을 부여받는다. 검이 85% 이상 충전된 경우 좌클릭을 떼면 검에 달려 있던 북극성을 커서 방향으로 발사하며, 북극성은 충전된 정도와 무관하게 무기 기본 공격력 80%의 피해를 입힌다. 북극성을 발사한 직후 그를 향해 빠르게 좌클릭을 사용하면 20의 무적 프레임을 제공받고 북극성의 자리까지 일직선으로 돌진하며 돌진이 끝난 그 자리에서 5발의 유도성 갤럭시아 볼트가 발사된다. 돌진으로 적을 타격하면 무기 기본 공격력의 600%의 피해를 입히며, 이 공격은 반드시 치명타로 발동한다. 또, 타격한 적 하나당 갤럭시아 볼트가 3발 추가로 생성되며, 볼트들은 1300의 근접 피해를 입힌다. 작은곰자리의 시선에는 게자리의 축복이 적용된다. 돌진의 딜이 꽤나 강력한데다 돌진으로 소환하는 볼트들의 딜도 쏠쏠해, 잘 맞추기만 한다면 괜찮은 조율. 특히 야론전에서 돌진을 카운터칠 때 빛을 발한다. 물론 충분한 연습이 필요한데다 돌진에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으로 인해, 재미는 있지만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 작은곰자리의 시선의 툴팁은 창백한 파란색(#80BDFF)과 연한 빨간색(#FF808C)의 두 가지 색으로 표기된다. |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갤럭시아(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 영=Galaxia(Andromeda's Stride), 확장자=webp,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예시=공격, 추가=게자리의 검,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재료, 공=2800, 시=18, 넉=9,추가2개행=, 추가2=갤럭시아 볼트, 추가2설명=, 기타=, 링1=갤럭시아, 링1모드=, 링1h=24, 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은 진정한 바이옴 블레이드의 변덕스러운 파도에 대응하는 조율이다.글2=제작 직후 사용 가능, 글3트림=)] 사용 시, 검을 커서방향을 향해 치켜들며 충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 검 자체에는 적에게 대한 피격 판정이 없어 아무런 대미지를 입히지 않는다. 검은 4.16초 이후 최대 충전 상태가 되며, 25% 이상 충전되었을 때 클릭을 놓으면 사용자가 1/3초의 무적 프레임을 제공받고 커서 방향으로 빠르게 돌진한다. 검을 충전한 정도에 따라 돌진의 최대 피해량이 기본 공격력의 700%까지 상승한다. 플레이어가 돌진해 블록에 부딪히면 충돌 지점 양쪽에서 갤럭시아 볼트가 뿜어져 나오며, 볼트의 개수 또한 검을 충전한 정도에 비례해 많아진다. 검의 충전이 1/4 진행될 때마다 특수 음향 효과 재생과 함께 검이 반짝이며, 약한 유도성을 지닌 5발의 작은 갤럭시아 볼트가 사용자에게서 뿜어져 나온다. 검이 완충되면 볼트의 수가 5개에서 9개로 증가하고 검날이 타오르는 듯한 모습으로 바뀐다. 돌진으로 생성된 갤럭시아 볼트는 각각 무기 기본 공격력 120%의 피해를, 충전 중 소환되는 작은 볼트들은 무기 공격력 20%의 피해를 입힌다. 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에는 게자리의 축복이 적용된다. 작은곰자리의 시선과 함께, 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은 돌진을 통해 적의 공격을 무력화시키기 좋은 조율이다. 돌진에 필요한 조건도 훨씬 널널해, 훨씬 적은 부담으로 야론의 돌진을 파훼할 수 있다. 다만 대미지 기댓값은 작은곰자리의 시선에 비해 약간 딸리는 편. 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의 툴팁은 밝은 보라색(#8480FF)과 연한 라벤더색(#C2A6FF)의 두 가지 색으로 표기된다. |
축복은 무기 사용 시 8.33초마다 각기 다른 색의 고리를 소환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별의 고리(염소자리의 축복), 영=Tropic Ring(Capricorn's Blessing), w=150, 툴팁=,)]
염소자리의 축복 패시브 효과는 커서 주변에 보라색의 별의 고리를 소환하며, 소환된 고리는 플레이어 반대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다 멈춘다. 적과 접촉 시, 고리는 3.33초간
갑옷 박살 디버프를 유발한다.
염소자리의 축복의 내용은 툴팁에 짙은 파랑색(#4C89ED)으로 표기된다.
한=별의 고리(염소자리의 축복), 영=Tropic Ring(Capricorn's Blessing), w=150, 툴팁=,)]
염소자리의 축복 패시브 효과는 커서 주변에 보라색의 별의 고리를 소환하며, 소환된 고리는 플레이어 반대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다 멈춘다. 적과 접촉 시, 고리는 3.33초간
염소자리의 축복의 내용은 툴팁에 짙은 파랑색(#4C89ED)으로 표기된다.
1.5.1 패치에서 리워크되어 현재의 독특한 사용 방식을 지니게 되었으나 이전보다 쓰기가 불편해진 감이 있다. 하지만 봉황자리의 긍지가 잡몹 잡기에 꽤나 쓸만하고, 작은곰자리의 시선과 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의 공격이 야론의 돌진을 카운터 치기 좋은 능력이라 여전히 나쁘지 않다. 무엇보다 돌진을 돌진으로 맞받아친다는 것 자체가 재미있어서 야론전 워리어에게 추천해 볼 만한 무기다.
이전까지 모든 바이옴 블레이드 계열 무기들은 전설적인(Legendary)를 최고 접두사로 삼았으나, 갤럭시아는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신의(Godly)가 최고 접두사이다. 검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정작 검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도 하위 무기들과 구별되는 또 하나의 특징.
원소의 방주와 함께, 야론 이후 우주의 방주의 재료로 사용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불타는 창공, 영=The Burning Sky, 포문=, 희소=Violet, 자동=,
추가=타오르는 메테오,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47, 시=8, 넉=2.5, 예시=공격,드롭=,
링1=야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야론이 드롭하는 근접 무기로, 바닐라 무기 별의 진노의 강화판 쯤으로 생각하면 편하다.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무기 사용 양상이 일반적인 마법 무기와 비슷하다.
사용 시 플레이어가 무기를 마법봉처럼 들어 하늘에서 커서 방향으로 메테오를 낙하시킨다. 메테오는 근접 피해를 입히며, 블록을 통과할 수 있지만 적은 관통할 수 없다. 메테오는
생성되는 메테오의 수 및 메테오의 추락 속도는 근접 공격 속도에 비례해 커진다.
출시 초기에는 같은 티어의 원거리 공격형 워리어 무기 중 가장 강력한 단일대상 딜량을 자랑했으나, 이 때문인지 공격력이 깎이는 너프를 자주 받았다. 그 결과로 딜량이 일반적인 오릭 티어 무기와 비슷해졌다.
최고 접두사는 전설적인(Legendar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용의 격노, 영=Dragon Rage, 포문=, 희소=Violet, 자동=,
추가=화염구,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사용 시 모습, 추가2설명=,
유형=순수 근접 무기, 공=1\,075, 시=25, 넉=7.5, 예시=공격,추가2개행=, 추가2=사용 시 모습, 추가2설명=,
드롭=,
링1=야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야론이 드롭하는 언월도 형태의 순수 근접 무기로, 바닐라의 천룡의 격노의 강화판 쯤으로 생각하면 편하다.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사용 시 기다란 무기를 원형으로 돌리기 시작하며, 주변 적에게 무기 공격력 25%의 피해를 매우 짧은 간격으로 여러 번 입힌다. 이 공격의 히트박스는 회전하는 무기 본체 근처에 여러 개 생성되는 천룡의 격노의 것과는 다르게, 커다란 하나의 덩어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기로 적을 타격했는지와는 무관하게, 플레이어와 일정 거리 내의 적은 모두 피해를 입는다. 이 점 때문에 지렁이 보스 상대로 보이는 것보다도 월등한 성능을 뽐낸다.
또, 매 10번째 타격마다 무기는 기본 공격력 12.5%의 피해를 입히는 유도성 화염구를 10~15개 방출한다. 화염구 생성에는 적 타격과는 별개로 1초의 쿨타임이 적용된다. 화염구는 적과 충돌 시 폭발하며, 이 폭발은 적에게 추가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무기 자체와 화염구는 적에게
용의 격노는 XF-09 아레스에게는 80%, XM-05 타나토스에게는 75%만의 피해를 입힌다.
1.5 패치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리워크되었다. 다관절 보스를 상대하기에 특화된 무기 메커니즘과 더불어 다른 무기들을 압살하는 대미지로 인해, 입히는 피해 감소 페널티에도 불구하고 타나토스를 갈아버릴 수 있다. 이 외에, 칼라미타스의 브림스톤 심장을 부수는 데에도 요긴하게 쓰인다. 사실상 무라사마의 입지를 떨어뜨린 장본인.[26]
결국 이후 패치로 공격력이 떨어지고, 기존에는 기본 공격력 30%의 피해를 입히던 화염구의 폭발 대미지가 삭제되었으며, 화염구 자체 대미지 감소와 더불어 1초의 쿨타임이 걸리도록 너프를 받았다. 무라사마의 입지를 나락으로 보내버릴 정도였으니 당연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타나토스 대항 무기로 이만한 게 없고 브림스톤 심장도 다른 무기들보다 더 빨리 부순다. 워리어가 아닌 다른 직업이 엑소 메카전에서 타나토스를 잡을 때만 본인 클래스 무기가 아닌 이 용의 분노를 잠깐 사용해도 좋을 정도.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우주의 방주, 영=Ark of the Cosmos, 포문=, 희소=Violet, 자동=,
추가=영겁의 볼트, 추가설명=,
추가2=창조의 바늘, 추가2설명=,
추가3개행=, 추가3=균열의 가위날, 추가3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1\,700, 시=15, 넉=9.5, 치=19, 예시=공격,추가2=창조의 바늘, 추가2설명=,
추가3개행=, 추가3=균열의 가위날, 추가3설명=,
조합=,
링1=갤럭시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원소의 방주,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오릭 주괴, 링3모드=,
글4=(5),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글2=+,
링2=원소의 방주,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오릭 주괴, 링3모드=,
글4=(5),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당신의 여정의 물질적 정점, 신들조차 찢어버리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야론 이후 제작 가능한, 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 및 파편화된 방주 계열 무기들의 최종 강화판. 원소의 방주처럼 가위의 모습을 하곺았으며, 굉장히 화려한 공격 방식을 지니고 있다.좌클릭 시, 무기 전용 모션과 함께 5개 패턴의 콤보 공격을 실행한다. 첫 번째 패턴에서는 가위날 하나를 커서 방향 좁은 범위만큼 아래에서 위로 짧게 베며, 두 번째 패턴에서는 가위날을 원형으로 크게 한 바퀴 돌려 주변 적에게 피해를 입히며 또한 6발의 유도성 영겁의 볼트를 발사한다. 세, 네번째 패턴은 앞선 두 패턴을 반복하며, 마지막 다섯번째 패턴에서는 가위 반쪽을 커서 위치로 던진 뒤 회전시킨다. 가위날을 던질 수 있는 범위에는 30블록 정도의 거리 제한이 있으며, 날은 2.33초간 커서를 따라다니다 사용자에게 되돌아간다.
그리고 1~4번째 패턴에서는 커서 방향으로 유도성이 없는 커다란 창조의 바늘을 투척하며, 5번째 패턴에서 던져진 가위날은 공격력 10%의 피해를 입히는 별자리 사슬로 사용자와 연결된다. 창조의 바늘은 무기 공격력 70%의 피해를 입히며, 영겁의 볼트는 6발이 도합 70%[27]의 피해를 입힌다. 5번째 패턴 도중에[28] 좌클릭을 떼면 가위의 나머지 반쪽을 던져, 두 쪽이 합쳐져 다물어지며 120%의 피해를 입히고 추가로 각각 공격력 10%의 피해를 입히는 3발의 유도성 볼트를 방출한다.
마지막 5번째 패턴은 XF-09 아레스에게는 80%, XM-05 타나토스에게는 75%만의 피해를 입힌다.
파편화된 방주부터 지니고 있던, 방주 계열 전용 시스템인 Parry 또한 여전히 남아 있다. 우클릭 시, 커서 방향으로 한 번 가위질해 공격한다. 적 타격 시, 플레이어는 0.58초의 짧은 무적 시간을 제공받는 반면, 투사체를 대상으로 공격하면 이후 1초간 모든 적 투사체들의 피해량이 최대 160 감소한다. 두 경우 모두 특수 음향 효과 재생과 함께 'Parry!'라는 문구가 나타나 공격이 성공적이었음을 알려준다. 공격의 성패 여부와 무관하게, Parry 공격은 5.66초의 쿨타임을 가지며, 플레이어 머리 위의 무지개색 바로 이를 알 수 있다.
또한 Parry는 독자적인 충전 시스템을 지니고 있다. 우주의 방주는 하위 무기들보다 5 늘어난 최대 15의 충전을 담아 둘 수 있으며, 이 충전량은 인벤토리 창의 무기에 무지개색 바로 표시된다. 무기를 휘두르면 충전량을 1 소모하고, Parry 공격을 적 대상으로든 투사체 대상으로든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충전이 다시 최대가 된다. 충전이 1이라도 남아 있으면 무기의 크기가 커지고 공격력이 35% 증가한다. 이 상태에서 무기는 가위날 하나가 아닌, 두 날이 합쳐진 완전한 가위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공격 시에도 그 모습을 유지한다.[29]
추가적으로, 고대의 방주와 그 이후의 방주 시리즈들은 게이지가 남아있을 때 이동 키 UP(기본키 w)+우클릭을 누르면 잔존 충전게이지를 전부 소진시키고 특수 공격을 가한다. 우주의 방주의 경우 이를 원소의 방주와 동일하게 Big Rip(대절단)이라 부른다. 대절단 공격 시 남은 충전을 모두 소모해, 거대한 환영의 가위를 커서 방향으로 멀리 밀어내면서 가위질하고 그 궤적에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시공간의 균열을 남긴다. 균열의 대미지 공식은 (1.35 x 잔존 충전 x 0.5)로, 남아있는 충전이 많을수록 대미지가 더욱 커진다. 일례로 완충된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할 경우 피해량은 기본 공격력의 1012.5%(1.35 x 15 x 0.5)가 되며, 1칸만 남은 상태에서 해당 공격을 가하게 되면 기본 공격력의 67.5%(1.35 x 1 x 0.5)의 피해만 준다.
또한 우주의 방주만의 특성으로, 앞의 공격을 완료하고 나서도 w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발사된 가위를 향해 빠르게 돌진하여 1/6초가량의 무적 프레임을 획득하며 5발의 유도성 볼트를 소환한다. 볼트는 무기 공격력 20%의 피해를 입힌다.
무기의 기본 콤보 공격은 노란색(#FFD700)과 황금색(#DAA520), Parry 기능은 청록색(#00FFFF)과 하늘색(#00BFFF), 대절단 공격은 분홍색(#FF69B4)과 선홍색(#DC143C)으로 각각 툴팁에 표기된다.
우주의 방주는 두 하위 무기의 공격 방식의 많은 요소를 기반으로 했다. 콤보 공격과 Parry 등의 기본적인 요소는 원소의 방주를 바탕으로 하며, 콤보의 2, 4번째 패턴의 원형 공격은 갤럭시아의 봉황자리의 긍지에서 가져왔다. 무기를 사용자와 연결된 채로 빙빙 돌리는 콤보의 마지막 패턴은 양자리의 분노와 몹시 흡사하며, 대절단 공격 중 플레이어가 무기의 위치로 돌진하는 기능은 작은곰자리의 시선으로부터 가져왔다. 이로 인해, 안드로메다자리의 발걸음은 공격 패턴에 나타나지 않는 유일한 조율이 되었다.
1.5 패치에서 현재와 같이 리워크되어, 유도기능을 위시한 무지성 난사로 때려잡던 이전보다 사용하기 좀 더 까다로워졌다. 그래도 딜은 그 시절과 비슷하고 범위도 나쁘지 않은지라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무기. 게임을 진행하며 재료를 하나하나 모아 완성하는 근접 무기라는 점에서, 바닐라의 제니스와 비슷한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다. 모드의 변경점으로 인해 제니스가 우주의 방주와 같은 티어인 야론 이후 무기인 점도 있어, 성능도 엇비슷하다. 그러나, 우주의 방주의 경우 공격에 정해진 패턴이 있고 Parry와 대절단 등 특수 공격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 대미지 최고점은 방주가 제니스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인 딜 기댓값은 제니스가 높다. Parry를 잘 사용할 자신이 있으면 방주를, 그냥 회피에 집중하며 마음 편하게 딜하고 싶다면 제니스를 사용하도록 하자.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한=엑소블레이드, 영=Exoblade, 포문=, 희소=Violet, 자동=, 추가=엑소빔,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915, 시=49, 넉=9, 예시=공격,
조합=,
링1=테라토미어,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무질서의 칼날,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화염서리 칼날,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엔트로픽 클레이모어,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4h=24,
글5=+,
링5=기적의 물질, 링5모드=,링5h=24,
글6=@,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이름 그대로, 엑소 칼.[30] 가장 먼저 등장한 엑소급 무기이자, 엑소급 무기의 대표 주자다.글2=+,
링2=무질서의 칼날,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2h=24,
글3=+,
링3=화염서리 칼날,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3h=24,
글4=+,
링4=엔트로픽 클레이모어,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4h=24,
글5=+,
링5=기적의 물질, 링5모드=,링5h=24,
글6=@,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공격 방식은 좌/우클릭 두 가지로 나뉜다.
좌클릭 시, 무기를 휘둘러,[31] 4발의 무지갯빛 엑소빔을 발사한다. 엑소빔은 0.4초 동안 직진하다, 이후 블록을 무시하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적에게 유도된다. 엑소빔이 적과 접촉하면 그 위치에 적을 무한히 관통하는 검격을 소환해 여러 번 피해를 입힌다. 엑소빔과 검격은 무기 공격력 35%의 피해량을 입힌다.
우클릭 시, 커서를 향해 칼을 겨누어 0.82초동안 빠르게 돌진하며, 최소 돌진 거리는 65블록이다. 돌진 시간이 짧긴 하지만, 방향 전환도 가능하다. 플레이어가 적과 충돌하면 뒤로 튕겨나오고, 그 동시에 5개의 검격을 소환해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각각의 검격은 무기 공격력의 150%에 해당하는 피해량을 갖는다. 이 돌진으로 적을 공격했다면, 이후 0.62초 동안 엑소블레이드의 크기가 50% 증가하며, 그 상태에서 좌클릭으로 적 타격 시 무기 공격력 180%의 피해를 입히는 거대한 폭발을 일으킨다. 돌진은 1초의 쿨타임을 갖는다.
무기의 모든 공격은 5초간
최초의 엑소 무기인 만큼 참으로 많은 버프/너프를 받았으며, 리워크도 한 차례 이루어졌다. 리워크 이전에는 대미지도 그렇고 투사체도 상당히 많이 소환해 최강의 검다운 면모를 여실히 드러냈으나, 리워크 이후 다양한 엔드게임 무기들이 함께 추가되면서 입지가 좁아졌다. 현재에 이르러서 대미지만 놓고 보면 다른 무기들에게 밀리고 있지만, 투사체의 강한 유도 기능과 빠른 속도, 자체 돌진 기능 등 유틸 능력이 상당해 여전히 극후반부에 무난하게 사용하기 좋다. 특히 거리 조절이나 딜 계산 등의 복잡한 생각 없이
또한 기나긴 역사만큼이나 리스프라이트 전적도 많다. 2.0.3.001 패치에서 마지막으로 리스프라이트를 받았으며,[32] 이전에는 칼이라는 게 명확히 보이는 직관적인 모습이었다. 현재 스프라이트는 그 점이 잘 안 보이는 대신, 칼라미티 모드 메인 로고의 알파벳 C를 닮도록 바뀌었다. 모드를 상징하는 무기가 된 셈.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잔혹, 영=Violence,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근접 무기, 공=435, 시=25, 넉=9,
드롭=,
링1=칼라미타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슈칼 드롭 근접 무기.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사용 시 창을 커서 위치로 던져 회전시킨다. 창은 붉은 궤적을 남기며 커서를 계속 따라다니며, 닿는 적에게 빠르게 피해를 입힌다. 악마의 일출의 사이클론과 흡사한 메커니즘.
소소한 디테일으로, 유기체 적이 창에 피격당하면 전용 피격음 재생과 함께 빨간 피 입자를 내뿜는다. 피 입자는 단순 시각적 효과로, 이 외의 기능은 없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명검, 영=Illustrious Knives, 포문=, 희소=Hot Pink, 희소2=linear-gradient(0deg\,#9AFF97\,#E497FF), 자동=,
추가=명검의 칼날, 추가설명=,
유형=근접 무기, 공=400, 시=10, 넉=3,조합=,
링1=최고천의 단검,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최고천의 단검의 강화판이자 개발자 무기.글2=+,
링2=재앙의 코어,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섀도우스펙 주괴, 링3모드=, 링3h=18, 링3개행=,
글4=(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사용 시 흡혈귀의 단검과 유사하게, 녹색의 느린 유도성 단검 4~8개를 적에게 흩뿌린다. 단검은 블록과 부딪히면 파괴되지만, 발사되고 잠시 후 적에게 빠르게 유도되어
또한 단검은 무기 피해량의 1.5%의 체력을 회복시켜 준다. 기본 공격력이 높기 때문에 흡혈귀의 단검, 최고천의 단검보다 높은 회복력을 보여 준다.
명검은 하위 아이템들보다 회당 평균적으로 더 많은 단검을 생성한다. 흡혈귀의 단검, 최고천의 단검, 명검 셋 모두 최소 4개의 투사체를 생성하지만, 앞의 둘은 1/2, 1/4, 1/8, 1/16의 독립적인 확률로 투사체가 하나씩 늘어나, 평균 4.94개의 투사체를 던진다. 그러나 명검의 추가 투사체 생성 확률은 1/2, 1/4, 1/6, 1/8으로 살짝 더 높아, 평균적으로 5.04개의 단검을 던질 수 있다.
최고천의 단검과 마찬가지로, 대미지 자체보다는 유지력을 보고 사용하게 되는 무기.
여담으로 이 무기는 고유 희귀도를 가지고 있다. 민트색(#9AFF97)과 자주색(#E497FF)이 번갈아 나타난다. 다만 일관성을 위해 핫핑크로 분류한다.
크기와 관련된 접두사를 가질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1] 주의할 점으로, 혜성 쇄도나 신성 가속기처럼 적 타격 시에 발사체를 방출하거나, 이지스 블레이드처럼 우클릭 시에 발사체를 방출함에도 순수 근접에 해당하는 몇몇 경우가 있다.[2] 이 효과는 최대 체력 400에서부터 적용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의 최대 체력이 600이면 20%의 추가 피해량을 갖는다.[3] 즉, 두 번째 타격으로 나오는 안개는 무기 공격력의 10.35%, 세 번째의 안개는 11.5%의 피해를 입힌다.[4] 공격 50% 충전 시 1개, 75% 충전 시 3개, 완충 시 5개가 솟아오른다.[5] 다만 침몰한 바다와 심연은 월드 생성 시점부터 존재하긴 한다. 심연의 진입 시점이 하드모드 중후반이므로, '익사자의 몸짓'은 침몰한 바다보다는 심연에 초점을 두고 개발한 조율이라고 보는 게 맞을 듯하다.[6] 현재는 모티브가 된 것과 동명의 무기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었다.[7] 블러드플레어 레인저 아머의 세트효과로 나오는 영혼과 동일한 개채이다.[8] 공포의 칼날의 경우 신들의 포식자 기준 dps로 공허의 칼날과 비교하면 2배 수준으로 강력하여 전용무기로 손꼽히지만 유도와 지형관통이 없어 편의성에서는 확실히 모자란 무장이다. 그러나 죽음의 승천은 신들의 포식자에게 앞서 언급한 두 무기의 중간 정도로 dps를 뽑아내면서 유도, 지형관통 모두 지원하기에 모든 면에서 공허의 칼날을 대체하는 상위호환에 가깝다.[9] 다만 소멸의 잿더미를 재료로 요구하기 때문에 사실상 거기서 거기.[10] 피시론, 골리앗 등.[11]
[12] 하드모드에서 획득 가능한 모든 요요는 무제한 체공이 가능하다.[13] 빠른 공속+관통 투사체 덕에 은근히 대미지가 잘 들어간다.[14] 서머너의 청어 스태프, 레인저의 물총고기 등.[15] 이 때 야론의 포효 소리를 재생한다.[16] Triactis' True Paladinian Mage-Hammer of Might로, 총 46자.[17] 최종적으로 계산해 보면, 투사체는 무기 기본 공격력의 120%의 피해를 입힌다.[18] 공격이 대략 30%~60% 진행되었을 경우. 효과음 재생 및 반짝 하는 시각적 효과로 이를 알려준다.[19] 이로 인해 기능적으로 달라지는 건 없으나, 공격의 5번째 패턴에서 한쪽 날을 던져 합체시키는 게 아닌, 가위가 통째로 던져진 상태에서 다물어지는 모습을 보인다.[20] 참고로 바닐라의 미용사가 떨구는 우아한 가위의 소스코드 이름이 'StylistKilLaKillScissorsIWish'이다.[21] 끝없는 공허, 신들의 포식자 등의 보스들.[22] 소소한 이스터 에그로, 첫 참격 때 무기 스프라이트에 어몽 어스의 크루원이 작게 그려져 있다.[23] 이전에는 공격모션보다 데미지가 들어가는 틱이 더 느렸다.[24] 하지만 야론 이후 보스들은 무라사마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까다로워, 큰 의미가 없다.[25] 이 때 회전하는 창은 적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26] 물론 무라사마의 공격력이 엄청나게 너프된 탓도 있다.[27] 각각 무기 기본 공격력의 11.66%만큼의 피해를 입힌다.[28] 대략 20%에서 75%정도 검을 돌렸을 경우에 해당한다. 시각 및 음향 효과로 이를 알려주는데, 무기 자체의 비주얼과 사운드가 워낙 화려해 알아차리기는 힘든 편.[29] 이로 인해 기능적으로 달라지는 건 없으나, 공격의 5번째 패턴에서 한쪽 날을 던져 합체시키는 게 아닌, 가위가 통째로 던져진 상태에서 다물어지는 모습을 보인다.[30] 게임 내 분류 상으로는 검에 포함되지 않는다.[31] 일반적인 무기들처럼 휘두르지 않고, 무기 전용 애니메이션이 출력된다.[32] 2.0.4.001 패치에서도 픽셀을 몇 개 수정 및 보완하는 리스프라이트를 받긴 했으나, 전후 차이가 작기 때문에 제외하고 생각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Calamity Mod/아이템/무기, version=226, uuid=a3bb98b3-048b-437b-a72a-083023345687,
title2=Calamity Mod/아이템/도구, version2=304, uuid2=5fba879e-4e76-4fba-8ad6-65502426eb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