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 제1정보통신단 | 제2정보통신단 | 제3정보통신단 | 제5정보통신단 | 제12정보통신단 | |
| | | | | | |
| 제90정보통신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103정보통신단 | |
| | | | | | |
| 제105정보통신단 | 제107정보통신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23정보통신단 | 공군작전정보통신단 |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
| 독립단 · 단 | 해체된 독립단 · 해체된 단 | |||||
| 제3정보통신단 {{{#f3c715 第3情報通信團}}} The 3rd Signal Group | ||||||
| | ||||||
| <colbgcolor=#005bab><colcolor=#f3c715> 창설일 | 1990년 11월 1일 | |||||
| 상징명칭 | 3통신단 | |||||
| 소속 | 대한민국 국군 | |||||
| 상급부대 | 국군지휘통신사령부 | |||||
| 종류 | 단 | |||||
| 역할 | 용산기지 통신업무 지원 | |||||
| 단장 | 해군 대령 이강석 | |||||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기지 | |||||
1. 개요
통신을 주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국군 국군지휘통신사령부 소속 직할부대.2. 상세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및 용산기지 전·평시 통신지원과 군 위성통신망 통제 및 관리, 작전지역 유·무선 장거리 통신을 지원한다.3. 편제
3.1. 단본부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기지에 위치하고 있다.- 본부대
3.2. 제60정보통신운용대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하고 있다.- 본부중대
- 1정통대(합참, 국방부의 주요 통신 업무보조)
- 2정통대(합참, 국방부의 통신시설 관리 보조)
- 3정통대(수도방위사령부 영내에 있다.)
3.3. 제80정보통신운용대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하고 있다.- 본부중대
- 체계지원대
- 체계운용대
4. 출신인물
4.1. 단장
| 볼드체는 장성급 장교 진급이 된 단장. |
| 역대 제3정보통신단장 |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 초대 | 김홍식 | 예) 공군 대령 | 초대 단장 | ||
| 2대 | 전재구 | 공군 대령 | |||
| 3대 | 조한동 | 공군 대령 | |||
| 4대 | 조용희 | 공군 대령 | |||
| 5대 | 임근배 | 공군 준장 | |||
| 6대 | 김용혁 | 공군 대령 | |||
| 7대 | 백계근 | 공군 대령 | |||
| 8대 | 류연도 | 공군 대령 | |||
| 9대 | 김문석 | 공군 대령 | |||
| 10대 | 성신모 | 공군 대령 | |||
| 11대 | 한경표 | 공군 대령 | |||
| 12대 | 이규연 | 공군 대령 | |||
| 13대 | 박동성 | 공군 대령 | |||
| 14대 | 김주혁 | 공군 대령 | |||
| 15대 | 김종규 | 공군 대령 | |||
| 16대 | 최용현 | 공군 대령 | |||
| 17대 | 김충호 | 공군 대령 | |||
| 18대 | 신중익 | 공군 대령 | |||
| 19대 | 박준홍 | 공군 대령 | |||
| 20대 | 주영진 | 공군 대령 | |||
| 21대 | 이강석 | 해군 대령 | 現)단장 | ||
4.2. 장교/부사관
4.3. 병
- 서호연(통신사령부 제3통신단) -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1978년 5월 26일 육군 입대, 중가설병(통신병)으로 복무, 1981년 2월 26일 병장 만기전역.
- 임인환(통신사령부 제3통신단) - 대구광역시 중구의회 의원, 대구광역시의회 의원
1977년 12월 5일 육군 입대, 일반행정병, 1980년 8월 28일 병장 만기전역.
5. 기타
5.1. 근무 환경
용산구 내 용산기지에 위치해서 국방부 근무지원단과 근무 환경이 유사하다. 다만 60/80대대 일부 인원은 수도방위사령부에 파견을 나간다. 파견나간 인원들은 사이버네트워크작전센터 인원들과 같이 생활한다.비전투부대이기 때문에 분위기가 널널할것 같지만,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의 통신지원이라는 병들 개개인의 임무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근무 외의 잡일을 거의 하지 않아 자신이 군대에 있는지 회사에 있는지 헷갈리는 수준.
몇몇 주요 보직에서 근무하는 인원들은 하늘에 떠있는 별보다 장성들의 별을 더 많이 보게된다.
분대(처부)별 임무가 정해져있어, 24시간 최소인원 이상으로 운용되어야 하는 분대는 당직근무가 열외된다.
국직부대 특성상 육.해.공.해병대가 함깨 생활한다.
현재 전 대대가 불침번이 없고, 당직병 근무를 CCTV로 운용하고 있다.
육군, 해군, 해병대가 올 수 있는 최고의 꿀부대(공군에게도 헌급방 보다는 훨씬 꿀이긴 하다). 용산이라는 부대 위치만으로도 전군 병사들의 시기질투 대상이 된다.
5.2. 통신단가
6. 사건/사고
7. 여담
합동참모본부 청사에서 근무하는 병들은 국방부 영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계룡대보다 별을 더 자주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일반 야전부대랑 근무환경, 근무지, 생활환경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같은 육군이라도 야전부대에서 근무한 병사들과 공감대가 많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