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6:35:39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G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fff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9px 10px;
'''[[아시아 축구 연맹|{{{#fff 아시아[br](AFC)}}}]]'''
<colbgcolor=#fff> 지역예선 <colbgcolor=#ffffff,#191919>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3차예선 (A조 · B조 · C조)
PO (A조 · B조)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7px 10px;
'''[[아프리카 축구 연맹|{{{#fff 아프리카[br](CAF)}}}]]'''
지역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PO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7px 10px;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fff 북중미카리브[br](CONCACAF)}}}]]'''
지역예선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최종예선 (A조 · B조 · C조)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남미 축구 연맹|{{{#fff 남미[br](CONMEBOL)}}}]]'''
지역예선 2023년 · 2024년 · 2025년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fff 오세아니아[br](OFC)}}}]]'''
지역예선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최종예선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6px 10px;
'''[[유럽 축구 연맹|{{{#fff 유럽[br](UEFA)}}}]]'''
지역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PO
조 추첨 }}}}}}}}}}}}


1. 개요2. 각 팀간 전적3. 경기 기록
3.1. 1차전
3.1.1. 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4 : 0 파키스탄3.1.2. 2경기 타지키스탄 1 : 1 요르단
3.2. 2차전
3.2.1. 1경기 요르단 0 : 2 사우디아라비아3.2.2. 2경기 파키스탄 1 : 6 타지키스탄
3.3. 3차전
3.3.1. 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1 : 0 타지키스탄3.3.2. 2경기 파키스탄 0 : 3 요르단
3.4. 4차전
3.4.1. 1경기 타지키스탄 1 : 1 사우디아라비아3.4.2. 2경기 요르단 7 : 0 파키스탄
3.5. 5차전
3.5.1. 1경기 요르단 3 : 0 타지키스탄3.5.2. 2경기 파키스탄 0 : 3 사우디아라비아
3.6. 6차전
3.6.1. 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1 : 2 요르단3.6.2. 2경기 타지키스탄 3 : 0 파키스탄
4. 3차예선 진출팀5. 총평

1. 개요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6 4 1 1 16 4 +12 13 월드컵 3차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6 4 1 1 12 3 +9 13 아시안컵 개최국
월드컵 3차예선 진출
아시안컵 본선 진출
3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6 2 2 2 11 7 +4 8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4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6 0 0 6 1 26 -25 0
<rowcolor=#000,#fff> 월드컵 3차예선 진출 |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G조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1강(사우디아라비아) - 2중(요르단, 타지키스탄) - 1약(파키스탄)의 구도로 이루어져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손쉬운 1위가 예상된다. 최근 자국 축구 리그에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며 세계적인 선수들이 즐비해졌고, 지난 월드컵에서 비록 조별 리그를 뚫지 못했지만 반자동 오프사이드 기술과 오프사이드 트랩을 적절히 활용해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를 잡는 등 국내 선수들의 수준도 과거 최전성기인 1980~90년대 수준에 필적할만하다. 요르단과 타지키스탄은 치열한 2위 싸움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이스 무사 알 타마리의 존재가 위협적이고 항상 평가된 전력 이상의 결과를 내는 저력이 있는 요르단과, 최근 연령별 세계 대회에 연이어 출전하며 선수층을 나름 갖추게 된 타지키스탄은 서로 비교했을 때 누가 2위를 차지하더라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백중세라고 할 수 있다. 1차 예선을 뚫고 올라오는 팀은 캄보디아, 파키스탄 모두 고춧가루를 뿌리는 정도의 존재감만 가질 것으로 보인다. 그 중 파키스탄의 경우 자국의 사정 때문에 제3국에서 홈 경기를 가질 가능성이 높았으나 1차예선에 이어 2차예선에서도 홈 경기 유치에 성공하였다.

2023년 카타르 아시안컵에서 타지키스탄이 8강, 요르단이 결승에 진출해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최약체 파키스탄을 제외한 3국 중에서 제일 성적이 낮았다. 물론 사우디아라비아가 16강부터 대한민국을 만나긴 했지만, 그 대한민국을 요르단이 꺾었고, 타지키스탄과 요르단이 호성적을 이끈 건 변함없으므로 2차예선 최악의 죽음의 조가 되어버렸다.

4개국이 모두 이슬람 국가라 라마단으로 인해 성적이 요동칠 확률이 있다.

2. 각 팀간 전적

3. 경기 기록

3.1. 1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3. 11. 16.(목) 22:00 타지키스탄 1 : 1 요르단 파미르 스타디움
(타지키스탄, 두샨베)
2023. 11. 17.(금) 01:30 사우디
아라비아
4 : 0 파키스탄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호푸프)

3.1.1. 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4 : 0 파키스탄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호푸프)
주심: 하나 하타브 (시리아)
관중: 11,150명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6', 48' (PK) 살레흐 알셰흐리
90+1' 압둘라흐만 가리브 (A. 사우드 압둘하미드)
90+6' 압둘라 라디프 (A. 하산 카디쉬)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경기 풀영상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사우디가 매우 큰 전력 차이와 6만 관중의 함성으로 쉽게 이길 것으로 예상된다.

사우디아라비아가 4골차 승리했다.

3.1.2. 2경기 타지키스탄 1 : 1 요르단

파미르 스타디움 (타지키스탄, 두샨베)
주심: 알리 알 카이시 (이라크)
관중: 13,650명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대.png
1 : 1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rowcolor=#373a3c,#dddddd> 89' 샤롬 사미에프 파일:득점 아이콘.svg 90+3' 야잔 알나이마트 (A. 이산 하다드)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경기 풀영상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지난 대회에서 자신보다 강한 키르기스스탄을 제압하고 조 2위를 거둔 타지키스탄과 쿠웨이트에게 밀리며 아쉬운 성적을 거둔 요르단의 대결이다.

후반 막판, 타지키스탄이 득점하며 요르단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그러나 추가시간, 요르단의 극적인 동점골로 비겼다.

3.2. 2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3. 11. 21.(화) 18:00 파키스탄 1 : 6 타지키스탄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2023. 11. 22.(수) 01:00 요르단 0 : 2 사우디
아라비아
암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요르단, 암만)

3.2.1. 1경기 요르단 0 : 2 사우디아라비아

암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요르단, 암만)
주심: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관중: 13,845명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0 : 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9', 31' 살레흐 알셰흐리 (A. 9' 아바스 알 하산, 31' 알리 하자지)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사우디아라비아의 실력이 월등한 만큼, 승리를 예상하지만 요르단도 마냥 허수아비는 아니니 섣부른 예상은 금물이다.

한편 같은 조의 파키스탄과 타지키스탄의 경기에서 타지키스탄이 6-1 대승을 거웠다. 따라서 요르단은 이 경기를 이겨야 조 1위가 가능하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가 중동 최강팀인지라 이기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아니나 다를까 경기 시작한지 얼마 못 가 사우디아라비아가 2골을 넣었다. 사우디는 험난한 요르단 원정에서 승리해 최종예선 진출에 유리해졌고 요르단은 1무 1패로 시작하며 먹구름이 꼈다.

3.2.2. 2경기 파키스탄 1 : 6 타지키스탄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주심: 아라키 유스케 (일본)
관중: 18,316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1 : 6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대.pn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21' 라히스 나비 (A. 알람기르 가지) 파일:득점 아이콘.svg 9', 65' 아마도니 카몰로프
13' 루스탐 소이로프 (A. 콜무로드 나자로프)
26' 파르비존 우마르바예프 (A. 알리셰르 잘릴로프)
45' 에손 판샨베 (A. 알리셰르 잘릴로프)
90+1' 샤롬 사미에프 (A. 바흐다트 하노노프)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타지키스탄의 승리가 예상되는 경기이다. 파키스탄은 아직까지는 어떠한 임팩트를 불러일으킬 경기력을 겸비했다고 볼 수 없다.

전반전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타지키스탄이 3골을 넣으며 몰아치고 있다.

결국 전, 후반 각각 3골을 기록한 타지키스탄의 대승으로 끝났다. 파키스탄이 상대적으로 안이하게 경기 플랜을 짜 온 것이 티가 난 경기였는데 무리하게 공격을 시도하다가 골을 허용하기 일수였다. 반대로 타지키스탄은 파키스탄 원정에서 생각 이상의 대승을 거뒀고 이후 펼쳐진 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전에서 사우디가 무난히 승리를 챙기면서 조 2위를 확보하며 남은 일정을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게 되었다.

3.3. 3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4. 03. 21.(목) 18:00 파키스탄 0 : 3 요르단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2024. 03. 22.(금) 04:00 사우디
아라비아
1 : 0 타지키스탄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3.3.1. 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1 : 0 타지키스탄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주심: 무하마드 타키 (싱가포르)
관중: 18,756명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0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대.pn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23' 살렘 알 다우사리 (A. 알리 무크타)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사우디아라비아의 승리가 예상되는 경기로 타지키스탄은 터무니 없이 많은 실점만 하지 않는다면 조 2위는 무난하게 가져갈 것이다..만 문제는 요르단의 다음 상대가 파키스탄이다.

결론적으로 타지키스탄은 이번 2연전에서 대량 실점을 피하고 한 경기라도 승점을 뺏어오는 것이 최우선 목표일 것이다.

사우디가 전반에 골을 기록했지만 타지키스탄이 추가 실점을 저지하며 타지키스탄 입장에서는 나쁘지 않은 성과를 가지고 홈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3.3.2. 2경기 파키스탄 0 : 3 요르단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주심: 루스탐 루트풀린 (우즈베키스탄)
관중: 9,625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0 : 3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2', 86' 무사 알타마리 (A. 2' 마흐무드 알마르디)
9' (PK) 알리 올완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파키스탄은 앞선 경기 타지키스탄 전에서 홈 경기임에도 불구하고 1-6 대패를 당했다. 비슷한 조건에서 요르단을 잡으려면 기적이 따라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요르단은 조 2위를 차지하기 위해선 적어도 7골 정도는 넣어야 다득점에서 타지키스탄에 앞선다. 요르단의 이번 2연전 목표는 2연속 대승.

요르단이 3골을 넣으며 승리를 차지했지만 2위 경쟁 팀인 타지키스탄이 골득실에서 +5를 챙겼고 거기에 사우디 원정에서 1골만 실점했기에 아쉬움이 남는 경기가 되었다.

3.4. 4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4. 03. 27.(수) 00:00 타지키스탄 1 : 1 사우디
아라비아
파미르 스타디움
(타지키스탄, 두샨베)
2024. 03. 27.(수) 04:00 요르단 7 : 0 파키스탄 암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요르단, 암만)

3.4.1. 1경기 타지키스탄 1 : 1 사우디아라비아

파미르 스타디움 (타지키스탄, 두샨베)
주심: 김종혁 (대한민국)
관중: 13,300명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대.png
1 :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rowcolor=#373a3c,#dddddd> 80' 루스탐 소이로프 (A. 아마도니 카몰로프) 파일:득점 아이콘.svg 46' 피라스 알 부라이칸 (A. 모함메드 알 브레이크)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3차전 사우디 원정에서 1실점만 기록한 타지키스탄은 이 경기에서 최소한 무승부를 기록한다면 2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사우디는 이번 경기에서 승리 시 3차 예선 진출이 확정된다.

전반 30분 즈음, 경기장 정전으로 인해 경기가 잠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다. 사우디가 후반 시작과 동시에 선제골을 넣어 앞서가다 타지키스탄이 후반 막판 동점골을 기록하며 경기는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사우디는 이번 경기를 통해 3차 예선 진출을 확정하지는 못했지만, 사우디가 탈락하는 유일한 경우의 수가 사우디 2패+타지키스탄 2승+요르단에게 골득실 열세가 모두 이루어져야 하는 터라 꽤 여유로운 상황이다.

3.4.2. 2경기 요르단 7 : 0 파키스탄

암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요르단, 암만)
주심: 니본 가미니 (스리랑카)
관중: 14,695명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7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15', 62', 79' 무사 알타마리 (A. 15' 이브라힘 사데, 62' 이산 하다드)
28' (PK) 야잔 알나이마트
52' 사에드 아흐마드 알로산
75' 알리 올완 (A. 야잔 알나이마트)
83' 모하메드 아부즈라이크 (A. 누르 알라와브데)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요르단은 타지키스탄이 아직 파키스탄과의 경기가 남은 관계로 최대한 다득점을 노려야 한다. 파키스탄은 이번 경기에서 패배 시 3차 예선 진출 실패가 확정된다.

요르단이 무사 알타마리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파키스탄을 7:0으로 대파하며 조 2위로 올라섰다. 반면 파키스탄은 월드컵 예선 탈락이 확정됨과 동시에 4차전 종료 시점에서 이번 2차 예선 국가 중 유일하게 20실점을 기록하는 국가가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사실 파키스탄은 1차예선을 뚫고 올라오는 것부터가 기적이었다.

3.5. 5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4. 06. 07.(금) 00:30 파키스탄 0 : 3 사우디
아라비아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2024. 06. 07.(금) 02:30 요르단 3 : 0 타지키스탄 암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요르단, 암만)

3.5.1. 1경기 요르단 3 : 0 타지키스탄

암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요르단, 암만)
주심: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관중: 14,795명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3 : 0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대.png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46' 알리 올완 (A. 야잔 알나이마트)
68' 야잔 알나이마트 (A. 마흐무드 알마르디)
90+4' 이브라힘 사데흐 (A. 야잔 알나이마트)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2023 아시안컵 8강전 대결 이후 약 4달 만의 재대결이다. 둘이 조 2위를 놓고 하는 만큼 이 경기의 승자가 3차 예선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

경기 결과, 요르단이 승리하면서 타지키스탄과 승점차를 5점차로 벌려 월드컵 3차예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타지키스탄은 4차전 사우디와의 무승부로 힘을 내며 아시안컵 8강 돌풍의 기세를 이어나가려던 찰나였지만, 객관적 전력도 우세하고 아시안컵 준우승으로 기세도 좋은 요르단에게는 역시나 역부족이었는지 아시안컵 8강 진출의 호성적을 뒤로 하고 2차예선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3.5.2. 2경기 파키스탄 0 : 3 사우디아라비아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주심: 하산 마흐푸드 (바레인)
관중: 20,124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0 : 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26', 41' 피라스 알 부라이칸 (A. 26', 41' 술탄 알 간남)
59' 무사브 알 주와이르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사우디아라비아는 이 경기에서 최소 무승부만 기록해도 3차 예선 진출이 확정된다.

3.6. 6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4. 06. 12.(수) 00:00 타지키스탄 3 : 0 파키스탄 파미르 스타디움
(타지키스탄, 두샨베)
2024. 06. 12.(수) 03:00 사우디
아라비아
1 : 2 요르단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3.6.1. 1경기 사우디아라비아 1 : 2 요르단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주심: 아델 알 나크비 (아랍에미리트)
관중: 17,871명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2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rowcolor=#373a3c,#dddddd> 16' 알리 라자미 (A. 무사브 알주와이르) 파일:득점 아이콘.svg 27' 알리 이야드 올완
45+2' 누르 알 라와브데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이변이 일어났다
요르단은 사우디 원정에서 역전승을 해 극적으로 3포트을 차지했다.

3.6.2. 2경기 타지키스탄 3 : 0 파키스탄

파미르 스타디움 (타지키스탄, 두샨베)
주심: 무우드 보냐디파르 (이란)
관중: -명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대.png
3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rowcolor=#373a3c,#dddddd> 35' 셰르보니 마바쇼예프 (A. 바흐다트 하노노프)
65' 마누체르 사파로프
70' 바흐다트 하노노프 (A. 조이르 주라보예프)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4. 3차예선 진출팀

FIFA 월드컵 3차예선 진출
AFC 아시안컵 3차예선 진출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대.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5. 총평

  • 요르단: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부터 어째 기세가 심상치 않다. 경쟁자 타지키스탄을 제친 것은 물론 아예 2군이 출전한 것도 아닌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원정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끝내 조 1위를 탈환했고, 유일하게 1포트가 아닌 팀으로 조 1위를 차지했다. 비록 몇 년 전까지도 최종예선에 오르지 못하는 등 아시아 중위권 수준이었으나 아시아에서 가장 강한 수준의 국가들에게도 한 방 먹이는 등 최근에 가파른 성장을 이루어냈고, 나아가 아시아 본선 티켓 확대의 수혜도 크게 입었다. 이 기세가 이어진다면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도 마냥 꿈은 아니다.
  • 사우디아라비아: 파키스탄에게 승리하며 3차예선 진출을 조기에 확정한 사우디아라비아는 요르단전에도 아시안컵에 출전했던 선수들을 대거 기용했지만, 결국 패배한데다 순위까지 떨어지며 1포트 국가 중 유일하게 조 2위로 떨어지는 망신을 당했다. 게다가 이로 인해 3차예선 포트가 떨어지는 등의 치명적인 결과도 나왔는데, 사우디아라비아가 3차예선에서 이라크에게 밀려 3포트로 강등되는 초유의 상황이 펼쳐져 3차예선에서의 조 추첨 운 작용이 크게 작용하게 되었다. 그나마 이변이 없는 한 3차예선에서 조기에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할 수 있는 전력은 되기에 사우디아라비아가 들어가는 조는 무조건 죽음의 조 확정이다. 그렇지만 3차예선에서는 18팀 중 절반이 같은 중동 팀이기에 최소한 중동 팀에게 발목이 잡히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며, 괜히 6차전을 패배하고 순위까지 내려가서 하필 1포트와 2포트의 월드컵 단골 강호들을 둘이나 만날 수도 있는 상당히 불리한 위치에 놓였다.
  • 타지키스탄: 2023 아시안컵에서 8강에 진출한 이변의 주인공이었으나 이번 2차예선에서는 신통치 못한 성적을 내며 탈락했다. 특히 요르단과의 홈 경기에서 극장골을 허용해 무승부에 그친 경기가 뼈아팠다.
  • 파키스탄: 애초부터 조 최하위로 예상되던 전력답게 볼 것도 없이 최하위로 탈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