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0:02:47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역대 하계 아시안 게임 개폐회식장
11회 12회 13회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히로시마 광역공원 육상경기장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
참가 구단별 홈구장 (202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파일:가시마 앤틀러스 로고.svg
산쿄프론티어
가시와 스타디움

파일:가시와 레이솔 로고.svg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파일:가와사키 프론탈레 로고.svg
노에비아 스타디움
고베

파일:비셀 고베 엠블럼.svg
상가 스타디움
by KYOCERA

파일:교토 상가 FC 로고.svg
도요타
스타디움

파일:나고야 그램퍼스 엠블럼.svg
덴카 빅 스완
스타디움

파일:알비렉스 니가타 로고.svg
에키마에 부동산
스타디움

파일:사간 도스 로고.svg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파일:FC 도쿄 엠블럼.svg
야마하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파일:주빌로 이와타 로고.svg
레몬 가스 스타디움
히라츠카

파일:쇼난 벨마레 엠블럼.svg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파일:감바 오사카 로고.svg
요도코 사쿠라
스타디움

파일:세레소 오사카 엠블럼.svg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파일:도쿄 베르디 로고.svg
닛산 스타디움
* NHK 스프링 미츠자와 경기장
파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 로고.svg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

파일:아비스파 후쿠오카 엠블럼.svg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

파일:산프레체 히로시마 엠블럼.svg
마치다
기온 스타디움

파일:FC 마치다 젤비아 로고.svg
삿포로 돔
* 삿포로 아쓰베쓰공원 경기장
파일: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엠블럼.svg
* 표시는 제 2홈구장
}}}}}} ||||

파일:edista.jpg


{{{#000000 핫 스태프 필드 히로시마
ホットスタッフフィールド広島
Hot Staff Field Hiroshima}}}
<colbgcolor=#c76b83><colcolor=#ffffff> 위치 히로시마시 아사미나미구 오즈카니시 5
개장 1992년 9월
설계자 토하타 건축사무소
건설사 오바야시구미, 마스오카구미
좌석 수 36,894석 (45,000명 수용)
경기장 형태 종합 운동장
홈 구단 산프레체 히로시마
AFC 명칭
(구장 정식명칭)
히로시마 광역공원 육상경기장[1]
(Hiroshima Athletic Stadium)
1. 개요2. 역사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히로시마 현 히로시마 시 아사미나미 구의 히로시마 광역공원 내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2. 역사

1992년에 완공되어 그 해 1992년 AFC 아시안컵의 경기장으로 활용되었으며,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시설은 히로시마 시가 소유하고 공익 재단법인 히로시마시 스포츠 협회가 지정 관리자 서 운영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원래 경기장의 애칭은 히로시마 빅아치(広島ビッグアーチ)였으나, 2013년부터 명명권을 판매하고 있다. 2013~2023년 사이에는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エディオンスタジアム広島, J리그 약칭 E스타 'Eスタ'), 2024년부터는 '핫스태프 필드 히로시마'(ホットスタッフフィールド広島) 명칭이 쓰이고 있다.

2023년까지는 J리그 프로축구팀인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홈경기장으로 사용했다. 수용 규모가 공식 5만명이지만 J리그에서 공인한 좌석수는 36,894석이다. 2018년에는 AFC 챔피언스 리그 규정에 맞춰 등받이 좌석을 설치하면서 수용 인원이 4만 5천명으로 줄어들었다. AFC가 경기장 좌석 중 1만 개 이상에 등받이를 갖출 것을 의무화한 데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벤치 형태 좌석[2]은 아예 사용을 금지했기 때문에 ACL에서는 수용인원 자체가 1만석으로 줄어들었다.

메인 스탠드는 아치형 지붕이 달려있어 상공에서 보면 스타디움이 원형인 것이 특징이다. 다만 종합경기장이다 보니 축구 경기 개최시 관중석과 그라운드가 멀고, 현재의 위치는 시내에서 떨어져 있으며, 앞서 말했듯 좌석 문제도 있기에 구단측에서는 이를 보완할 새 구장을 현재 공터가 된 히로시마 시민 구장 위치에 건설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결국 새 홈구장이 전용구장으로 히로시마 중앙 공원쪽에 건설이 확정되었다. 팬들의 기부금을 받기로 하면서 5년간 1억엔을 목표로 했는데 1달도 안돼서 1억엔을 훨씬 넘기면서 이 경기장을 팬들이 얼마나 싫어했는지 확인시켜줬다.

2024년에 드디어 축구전용구장인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가 개장하게 되어 산프레체 히로시마는 30여년 간 홈으로 사용하던 이 경기장을 떠나게 되었다.

3. 둘러보기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역대 AFC 아시안컵 결승전 개최 경기장
9회 10회 11회
1988 AFC 아시안컵 카타르
알아흘리 스타디움
1992 AFC 아시안컵 일본
히로시마 광역공원 육상경기장
1996 AFC 아시안컵 아랍 에미리트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1] AFC 주관 대회에서는 스폰서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2] 여러 명이 앉을 좌석을 판 하나로 이어서 설치한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