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중동 | ||||||||||||
파일:이슬람 국가 샴주 휘장.svg 샴주 | 파일:이슬람 국가 이라크주 휘장.svg 이라크주 | 파일:이슬람 국가 예멘주 휘장.svg 예멘주 | |||||||||||
아프리카 | |||||||||||||
파일:이슬람 국가 시나이주 휘장.svg 시나이주 | 파일:이슬람 국가 리비아주 휘장.svg 리비아주 | 파일:이슬람 국가 알제리주 휘장.svg 알제리주 | 파일:이슬람 국가 사헬주 휘장.svg 사헬주 | ||||||||||
파일:이슬람 국가 서아프리카주 휘장.svg 서아프리카주 | 파일:이슬람 국가 중앙아프리카주 휘장.svg 중앙아프리카주 | 파일:이슬람 국가 소말리아주 휘장.svg 소말리아주 | 파일:이슬람 국가 모잠비크주 휘장.svg 모잠비크주 | }}} | 아시아 | ||||||||
호라산주 | 파일:이슬람 국가 파키스탄주 휘장.svg 파키스탄주 | 파일:이슬람 국가 벵골주 휘장.svg 벵골주 | 파일:이슬람 국가 인도주 휘장.svg 인도주 | ||||||||||
파일:이슬람 국가 캅카스주 휘장.svg 캅카스주 | 파일:이슬람 국가 아제르바이잔주 휘장.svg 아제르바이잔주 | 파일:이슬람 국가 튀르키예주 휘장.svg 튀르키예주 | 파일:이슬람 국가 필리핀주 휘장.svg 필리핀주 | ||||||||||
해체된 윌라야 | |||||||||||||
동아시아주 | 헤자즈주 | 파일:이슬람 국가 나즈드주 휘장.svg 나즈드주 | 파일:이슬람 국가 튀니지주 휘장.svg 튀니지주 |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자칭 행정구역인 윌라얏(주)는 정상적인 행정 능력이 없는 지부에 가깝습니다. 대륙의 구분은 공식이 아닌 임시 표기입니다.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10100><colcolor=#fff> 배경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 |
전개 | 탈레반의 공세 (반응 · 탈레반의 재집권 · 탈레반/2022년 · 탈레반/2023년) · 대규모 철수 (미라클 작전) · 내전 | ||
내전 상황 2021년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장소 | 카불 · 바그람 공군기지 · 카불 국제공항 · 판지시르 · 바자라크 | ||
단체 | 탈레반 · 탈레반 과도정부 · 미군 · 파키스탄군 · ISI |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군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호라산 이슬람 국가 | |||
인물 | |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 압둘 가니 바라다르 · 시라주딘 하카니 · 하미드 카르자이 | |
|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마수드 · 하시브 판지시리 · 압둘 가니 알리푸르 · 이스마일 칸 · 압둘 라시드 도스툼 | ||
| 사미 사다트 · 아슈라프 가니 · 압둘라 압둘라 | ||
| 조 바이든 · 토니 블링컨 · 로이드 오스틴 | ||
사건·사고 | IS의 아프가니스탄 테러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슬람 국가 호라산주 الدولة الإسلامية – ولاية خراسان Islamic State–Khorasan Province | ||
| ||
설립일 | 2015년 1월 26일 | |
소속 |
| |
지도자 | 샤하브 알무하지르 | |
참전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
1. 개요
|
|
2. 성향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잔인한 조직으로 악명높다. 아프간·파키스탄 토착 군벌인 탈레반과 달리 국제 이슬람 테러조직인 IS의 지부이며 IS가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한 것과 같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이슬람 신정국가를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 이유로 탈레반과도 적대적인 관계이며, 자기 땅만 지키려는 보신주의로 활동한다며 탈레반에 불만을 품은 만큼 다른 테러 조직에 비해 극단주의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잘랄라바드의 세이브 더 칠드런 지부를 공격해 6명의 사망자와 27명의 부상자를 낸 사건은 ISIS-K가 인권을 유린한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3. 역사
|
2019년 8월 아프가니스탄 카불의 한 결혼식장에서 자살폭탄 테러를 자행해 63명의 사망자를 낸 적도 있다.[3] 이들은 탈레반이 미국과 평화협정에 나서고 미국에 타협했다는 이유로 배교자로 칭하고 서로 적대 관계가 되었다고 알려진 바 있지만 초창기인 2015년에도 탈레반과 IS의 충돌 사례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2018년 탈레반이 자신들의 정예부대를 투입해 IS 조직원 수백명을 사살하고 생포한 다르자브 전투가 벌어졌다. 당시 정부군은 IS의 인력과 장비들이 탈레반 측에 넘어갈 것을 우려해 IS 지도부와 협상해 정부 쪽에 투항하는 조건으로 이들을 구출한 바 있다. 이 때문에 탈레반이 정부를 비난하기도 했다.
조직의 본거지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접경 지역의 낭가하르 지방이라고 한다. 이들은 하카니 네트워크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알려졌다. 수니파인 이들은 시아파를 표적으로 한 테러를 자행하기도 한다.
2021년 8월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로 큰 악명을 떨친다.
2021년 10월 31일에 월스트리트 저널이 아프간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남겨진 아프간 전직 국가안전보안국(NDS) 요원들과 NDS 휘하이던 코만도나 내무부 산하 경찰특공대 같은 정예 군인들이 IS-K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역상 국민저항전선에 합류하지 못한 인원들이다.
카불에서 IS-K에 의한 연쇄 폭탄 공격이 발생해 10명 안팎의 민간인 사상자가 생겼다.#
총기난사, 급조 폭발물 테러 전 선언문을 읽는 모습 |
2023년 1월 11일에는 카불 외교부 청사 앞에서 자폭테러를 일으켜 20명이 넘는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2023년 3월 9일, 북부 발흐주 청사에 난입해 자폭테러로 주지사와 경호원 두명을 사살하였다.
2023년 6월 6일에는 차량 폭탄테러로 북부 바다흐샨 주 전임 주지사를 살해하였다.
2023년 7월 30일, 카르 폭탄 테러를 저질렸다.
2023년 10월 26일, 하자라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스포츠 클럽에서 자폭테러를 감행했다.
2024년 2월 7일, 2024년 파키스탄 의회 선거 하루 전날 정치인과 정당 사무실을 상대로 폭탄 테러를 일으켰다.
2024년 3월 21일에는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에서 자살폭탄 테러를 수행했다.#
2024년 3월 22일,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사건을 일으켰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정보당국도 이 사실을 확인했다.##
4. 세력
IS가 예멘, 리비아, 소말리아 등으로 자신들의 세력을 확장하는 것처럼 이들도 자신들만의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이들의 영향력은 타지키스탄, 파키스탄[5], 인도[6] 또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까지 미칠 수 있다고 추정된다.이란도 호라산주 활동 영역으로 분류된다.[7][8]
5. 테러단체 지정 현황
미국, 호주, 캐나다, 인도, UN, 아르헨티나, 뉴질랜드, 이라크, 대한민국 등은 ISIS-K를 테러단체로 지정했다.[1] 하나피파 신학교까지 이단으로 간주해 테러를 저지를 정도로 매우 극단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2013년에 ISIL에 합류했다. 2016년 7월 26일 낭가르하르에서 은신하고 있다가 미군의 공습에 의해 사망했다.[2] 탈레반은 시아파들을 혐오하고 집권 기간 동안 아프가니스탄의 시아파들을 핍박한 것으로 시아파 종주국 이란과 척을 졌었다. 그런 탈레반이 이란과 연합했을 정도면...[3] 이는 하자라인을 노린 테러였다.[4] 국정원의 2023년 테러 정세와 2024년 전망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5] 파키스탄의 IS도 독자적인 조직으로 분리됐다.[6] 인도에서는 인도 이슬람 국가라는 독자적인 명칭으로 분리됐다.[7] #[8] 이란에도 수니파가 극소수 있는데 주로 쿠르드족, 아랍인, 발루치인이며 일부는 파슈툰인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