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포항제철고등학교|{{{#!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교 정보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학교 특징 | 포스코교육재단 | 축구부 | 야구부 | 출신 인물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경북과학고등학교 | 세명고등학교 | 영일고등학교 | 오천고등학교 | ◈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 |
포항동성고등학교 | 포항이동고등학교 | ※ 포항제철고등학교 |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북구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포항제철고등학교 전경 (2025 여름)[1] |
포항제철고등학교 浦項製鐵高等學校 Pohang Jecheol High School | |
| |
교훈 | 자주 · 창의 · 실천 (自主 · 創意 · 實踐) INDEPENDENCE, ORIGINATION, PRACTICE |
<colbgcolor=#00a9fd><colcolor=#fff> 국가 |
|
개교 | 1981년 3월 6일 |
설립자 | 청암 박태준 (靑巖 朴泰俊) |
유형 |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
성별 | 남녀 공학[2] |
학교 법인 | 포스코교육재단 |
교장 | 노정은 |
교감 | 김현곤 |
학생 수 | 남: 456명 여: 424명 880명[기준] |
교직원 수 | 71명[기준] |
관할청 | 경상북도교육청 |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로 212번길 40 |
웹사이트 | |
리로스쿨 | |
학교알리미 | |
1. 개요
|
미래를 준비하고 도전하는 행복한 도약의 터전, 포항제철고등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浦項製鐵高等學校, Pohang Jecheol High School)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동에 위치한 포스코교육재단 산하의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다.
포항제철(현 포스코)의 박태준 회장이 지곡동 사원 주거 단지를 조성하면서 임직원에게 약속한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이어지는 교육기관 설립” 계획의 일환으로 세워졌다.
이는 직원 자녀들의 교육 문제 해결을 통해 사원의 주거 안정과 기업의 생산성 제고를 도모하고, 나아가 포스코의 설립 이념인 제철보국(製鐵報國) 정신을 교육보국(敎育報國)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박태준 설립 이사장의 의지로, 설립 후 현재까지 포항제철고등학교는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에 입각하여 자주인 · 도덕인 · 창의인을 육성하는데 힘쓰고 있다.
2. 연혁
<colbgcolor=#00a9fd><colcolor=#fff> 일자 | 연혁 |
1980.11.26. | 포항제철고등학교 설립 인가, 학생 정원 및 81학년도 학급 승인 |
1981.03.01. | 초대 이대호 교장 취임 |
1981.03.06. | 개교 및 입학식(5학급: 남 3학급, 여 2학급) |
1982.01.31. | 교서관(도서관) 준공 |
1982.02.25. | 구 교사로 이전 |
1983.09.30. | 미덕사(생활관) 준공 |
1984.10.12. | 교서관 증축 준공 |
1986.03.26. | 남자 체조부 창단 |
1988.11.12. | 제2대 김진 교장 취임 |
1990.03.02. | 여자 체조부 창단 |
1995.02.28. | 신교사(현교사 : 포항시 남구 지곡동 지곡로 212번지 40)준공 및 이전 |
1999.03.01. | 오케스트라 창단 |
1999.09.01. | 제3대 서석두 교장 취임 |
2001.03.01. | 제4대 장정충 교장 취임 |
2001.10.20. | 자립형 사립고 시범학교 지정 승인 |
2004.03.01. | 제5대 김기용 교장 취임 |
2006.03.01. | 제6대 강석윤 교장 취임 |
2010.04.23. |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
2011.03.01. | 제7대 김홍규 교장 취임 |
2012.01.31. | 청암 학사(기숙사) 준공 |
2013.02.22. | 운동부(축구부, 야구부) 창단 |
2015.03.01. | 제8대 김성정 교장 취임 |
2017.09.01. | 제9대 배한우 교장 취임 |
2018.09.28. | 기억의 숲 및 명예의전당 준공 |
2019.09.01. | 제10대 박석현 교장 취임 |
2022.09.01. | 제11대 노정은 교장 취임 |
2024.02.07. | 제41회 졸업식 (총 졸업생수 14,784명 - 남 8,270명, 여 6,514명) |
3. 교훈 및 상징
3.1. 교훈
| |
|
첫째, 투철한 교육관과 신념을 가지고 혼신의 정력을 다하는 새로운 교육의 장을 마련해 주기 바랍니다. 신념있는 교육이야말로 훌륭한 2세 교육을 위한 지름길이고, 명문 사학의 초석이 된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랍니다. 둘째, 포항제철고등학교 학생들은 모두 자주적이며 창의적이고 실천하는 훌륭한 사람들로 육성되어야 합니다. 21세기에 적응하고 선도할 수 있기 위해서 자주, 창의, 실천의 세 덕목을 실행하는 선도적 인물이 되어주기 바랍니다. 셋째, 사랑과 정성을 다하는 전인교육에 전념하는 학교가 되어야 합니다. 훌륭한 성품과 인격을 갖추게 하는 일은 교육 본래의 사명이며, 이를 통하여 명문사학으로 발돋음할 수 있는 것입니다. |
3.2. 교육 목표
자주적 애국인 올바른 국가관을 확립하여 나라를 사랑하는 자주적 애국인을 기른다. Bringing up students as self-reliant patriots by helping to form righteous views of the nation 창의적 지성인 잠재적 탐구능력을 개발하며 미래를 개척하는 창조적 지성인을 기른다. Bringing up students as creative inteliectuals to shape the future by cultivating their potential spirit of inquire 실천적 도덕인 건전한 심신을 단련하여 인간을 사랑하는 실천적 도덕인을 기른다. Bringing up students as person of philanthorpic, practical morality by creating sound minds&bodies |
3.3. 운영 중점
3.4. 교표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포항제철고등학교 교표 변천 | }}} | ||
| | | |||
1981년 ~ 200x년 | 200x년 ~ 201x년 | 201x년 ~ |
과거 교표에 (구)포항제철의 로고가 들어가있었으나 2010년대부터 전국단위 모집을 시작하며 교표의 역'Z'자를 없애고 책으로 대체하였다.
3.5. 교조
<nopad> |
민첩, 용감하며 기로움 !ㆍ강열한 힘 !ㆍ위엄 !ㆍ정확성 ! 비상하는 진취적 기상높은 이상ㆍ냉철한 이성 항상 멀리 바라 보며, 언제나 날카로운 눈으로 사물을 직시하는, 냉철한 이성의 상징 |
3.6. 교화
<nopad> |
외유내강(외적으로는 아름다움과 향기, 내적으로는 가시) 자존심 강한(가시돋힌) 아름다운 꽃의 여왕 고급스러운 위엄이 있음ㆍ젊음 상징 |
3.7. 교목
<nopad> |
독야청청ㆍ불굴의 의지ㆍ민족과 함께 살아온 나무 시련에도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이겨나가는 기상 강인한 생명력ㆍ강직함ㆍ남성의 지조와 여성의 절개 |
3.8. 교색
<nopad> |
하늘을 공경하여 겸허함과 정직함을 가짐ㆍ확 트인 마음 넓은 포용력ㆍ평화상징ㆍ독수리의 활동무대 무한한 꿈 무한한 꿈ㆍ청소년의 이상과 미래상징ㆍ밝고 맑고 싱싱함 |
3.9. 교가
작사 - 이은상 작곡 - 김성태 1절 : 동해의 푸른 파도 우리의 기상 보아라 걸음 걸음 희망에 찼다 참 인간 참 학문 배우고 닦아 제 갈길 제 힘으로 개척하리라 2절 : 보람찬 꿈과 비상한 가슴 안고 새 역사 맡을 일꾼 여기 모였다 같은 뜻 한데 뭉쳐 큰 힘 이루어 겨례와 인류 위해 봉사하리라 후렴 : 덕과 지식 기르는 슬기의 샘터 우리들의 보금자리 포철고교 미덥다 늠름하다 배달의 자손 조국을 빛내리라 우리 손으로 |
3.10. 건학 이념
본교는 포스코 직원 자녀들의 교육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사원의 주거 안정 및 회사의 생산성 제고는 물론, 나아가 製鐵報國의 민족적 소명을 실현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에 입각한 敎育報國의 정신아래 자주인, 도덕인, 창의인을 육성한다 자주인 역사의식에 투철하여 올바른 조국애를 지닌 사람 자신의 본분을 깨달아 주어진 사명을 다하는 사람 도덕인 자유와 진리를 추구하고 지혜로운 사람 신분을 깨끗이 하고 사람다운 품격을 중히 여기는 사람 창의인 진취적 기상으로 새 역사 충출에 동참할 수 있는 사람 인류 문화의 발전과 번영에 헌신할 수 있는 사람 |
3.11. 면학삼행
3.12. 학생 선서
저는 자랑스러운 포항제철고인으로서 첫째, 학교에 자부심을 가지고 교칙을 준수하겠습니다. 둘째, 학교 선생님들을 존경하겠습니다. 셋째, 선배님들을 존경하겠습니다. 넷째, 의지와 열정을 가지고 성실한 태도로 학교 생활에 임하겠습니다. |
4. 학교 특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제철고등학교/특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제철고등학교/특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학교 시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제철고등학교/시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제철고등학교/시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학교 생활
6.1. 교복
동복 구성 | 종류 |
정복 | 와이셔츠/블라우스, 치마/바지[6][7], 마이[8], 조끼[9], 넥타이[10] |
체육복 | 체육복 상의/하의 [11] |
생활복 | 후드티[12] |
겉옷 | 후드집업[13], 학교잠바[14] |
하복 구성 | 종류 |
정복 | 셔츠/블라우스[15], 치마/바지[16] |
체육복 | 체육복 상의/하의 [17] |
생활복 | 생활복 상의/하의 [18] |
교복에는 동복 교복, 체육복, 하복 교복, 체육복이 있으며 2015년부터 하기 생활복이 도입되었다.
명찰 색은 흰색, 남색, 초록색이 있으며 3n기가 파란색, 3n + 1기가 초록색 3n + 2기가 흰색을 사용한다.
남자 동복 교복은 포항제철중학교 교복과 교복바지 및 마이가 호환되며(마이는 교표와 명찰만 바꾸면 된다), 와이셔츠(+넥타이)와 조끼는 중학교와 좀 다르다. 하복의 경우는 바지는 같지만 상의 디자인은 다르다. 하복 상의의 경우에는 교표가 붙어있지 않다.
여자 교복은 남자 교복과 마찬가지로 동복 교복, 동복 체육복, 하복 교복, 하복 체육복이 있고 생활복도 동시에 도입되었다. 명찰 색 역시 같다.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동복 교복치마와 마이는 굉장히 비슷하지만 몇몇 여학생들은 포항제철중학교 치마를 입고 오면 귀신같이 다른 걸 눈치챈다. 제철고의 넥타이는 남색이지만 중학교의 넥타이는 빨간색이다. 조끼는 교표외에 큰 차이점이 없다. 하복의 경우는 동복의 치마와 같은 남색이며 소재가 조금 더 얇다는 점만 다르다. 상의의 경우에는 흰색 블라우스로 세로로 양쪽 가슴 앞면에 레이스가 있다. 그리고 뒷쪽에는 중앙에 세로로 긴 두 줄이 있는데 이걸 척추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복에서처럼 남색의 넥타이도 있는데 동복보다는 짧으며, 지금은 거의 매고 다니는 학생이 없다.
체육복은 남녀 공통이며, 상의는 겨울에는 흰색 긴팔, 여름엔 남색 반팔이다. 바지는 동복은 긴바지, 하복은 반바지이다.
교복은 정복은 월요일 교복데이를 제외하고는 거의 착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교복데이에도 등교 후에는 아무 교복(생활복, 체육복)을 착용하는 것이 가능할 만큼 복장 규정이 매우 자유로운 편이다.
6.2. 학교 일과
6.2.1. 평일
일정 | 시간 |
등교 | <colbgcolor=#ffffff,#1c1d1f> 08:00 |
아침시간 | 08:00~08:30 |
1교시 | 08:30~09:20 |
2교시 | 09:30~10:20 |
3교시 | 10:30~11:20 |
4교시 | 11:30~12:20 |
점심시간 | 12:20~13:20 |
5교시 | 13:20~14:10 |
6교시 | 14:20~15:10 |
7교시 | 15:20~16:10 |
종례 및 청소 | 16:10~16:30 |
8교시[19] | 16:30~17:15 |
9교시[20] | 17:25~18:10 |
저녁시간 | 18:10~19:10 |
야자 1교시 | 19:10~21:00 |
야자 2교시 | 21:20~23:00 |
6.2.2. 토요일
일정 | 시간 |
자습 시작 | <colbgcolor=#ffffff,#1c1d1f> 09:00 |
1교시 | 09:00~11:00 |
2교시 | 11:20~13:00 |
점심시간 | 13:00~14:00 |
3교시 | 14:00~16:00 |
4교시 | 16:20~18:00 |
저녁시간 | 18:00~19:00 |
6.2.3. 일요일
일정 | 시간 |
자습 시작 | <colbgcolor=#ffffff,#1c1d1f> 14:00 |
1교시 | 14:00~16:00 |
2교시 | 16:20~18:00 |
저녁시간 | 18:00~19:00 |
3교시 | 19:00~20:30 |
4교시 | 20:45~22:00 |
6.3. 위치 및 주변 환경
설립 목적이 설립 목적인지라 포항시 지곡동에 있는 포스코 사원 거주지역(지곡의 빌라 및 아파트 단지들)과 붙어 있다. 교문을 바라보고 섰을 때 우측에는 포스코교육재단 체육관, 좌측에는 소방서가 자리잡고 있다. 교문 전방에는 포스코 한마당 체육관이, 그리고 그 너머에는 롯데마트가 있다. 롯데마트 옆에는 복합 상가 에드빌이 있다. 교통 환경으로는 뒷문의 버스정류장에 시내버스 207번이 온다. 지곡 자체가 꽤 폐쇄적인 환경이라 가장 가까운 학원이든 PC방이든 음식점이든 제대로 갖춰진 이동까지 가려면 약 10분 정도를 걸어가거나 롯데마트 버스정류장에서 22분마다 오는 306번을 타야한다.[21] 게다가 넘어가려면 큰 언덕을 지나야해서 걷거나 자전거를 타기가 꽤나 힘들다. 쉽게 말해서 자가용 아니면 나가기 힘들다고 보면 된다.6.3.1. 롯데마트
정문에서 나온 후 한마당만 건너면 바로 도착할 수 있는 곳이다. 어릴 때부터 지곡에서 살아온 학생들에게는 '동네 마트'와 동치인 곳이기도 하다. 롯데마트 맞은 편의 롯데마트 소유 건물에는 사우나, 미용실, 우리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서점, 비디오&만화방 등등 온갖 가게들이 입점해 있다. 다만 건물 자체가 낡아 이용자는 그리 많지 않은 편.[22]저녁시간 등 외출이 허용된 시간에 이용하게 된다. 특히 기숙사생은 이곳을 통해 생필품을 구하거나, 간식을 대량 구매하는 등 살림을 처리하곤 한다. 주말 등 시간이 빌 때 필요한 물건을 구매해 일주일 동안 쓰는 것이 보통이다. 근처 편의점과는 차별화된 가성비, 잦은 세일 등등 마트만이 가진 메리트가 있어 많은 학생들이 찾는다.
6.3.2. 애드빌
편의시설이라고는 롯데마트밖에 없었던 지곡에 들어온 롯데마트 소유의 주상복합 상가이다. 여러 음식점들과 카페, 편의점 등이 즐비해 있어 본교 학생들이 매우 자주 이용한다. 특히 외출이 허용된 저녁시간, 야자 쉬는시간 등에는 수많은 학생들이 방문하여 시끌벅적한 풍경을 볼 수 있다. 다만 이 때문에 근처 주민들의 불만 또한 거세기도 하다.참고로 포스코가 재정위기로 매각한 땅에 지어진 건물이며, 건설 당시 난개발 논란이 있었다.[23]지곡2차 단지 사람들을 중심으로 전망이 안좋다며 욕을 먹었다. 건물의 모양새 또한 다른 건물과 이질적이다.[24]
6.3.3. 포스코 한마당
포스코에서 2012년쯤에 지은 체육관이다. 중앙에는 배드민턴 실내 경기장과 커피숍이 있고, 지하에는 당구장, 탁구장, 1층에는 스쿼시, 2층에는 요가, 에어로빅, 승마기구, 3층에는 조깅 트랙이 있으며 모두 실내 시설이다. 학생들은 이곳을 롯데마트 갈 때 쓰는 지름길로 이용하거나 주말 등에 학생들끼리 간단한 모임을 가지거나 장기자랑 등의 연습을 할 때 이곳을 사용하게 된다. 다만, 본래 설립취지에 맞게 학생들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대부분 포스코 임직원)들도 많이 이용한다. 격주로 월요일마다 휴무이니 유의할 것. 많은 학생들이 이용하고 포스 시리즈 및 조별 모임도 많이 한다.6.4. 주요 행사
6.4.1. 입학식
6.4.2. 자주 종례
신학기 신입생들을 가장 쫄게 만드는 것 중 하나이다.
자주조회가 있는 주(시험기간이 아닐 경우 매달 마지막주) 월요일 오후 7:10~8:15에 진행된다.
행사를 가지는 목적은 학교의 교칙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준수하며 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돕고 선후배간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진행 순서는 보통
- 입장
- 교실의 청소 여부와 두발,용모 검사
- 질문(주로 교훈, 교조, 교화, 교목, 교색, 건학이념, 면학 삼행을 물어보지만 가끔 학생선서를 물어보기도 한다.)
- 학급회의
- 질의응답
- 교가제창
의 순서로 진행된다. 교사 대신 선배들이 들어오기 때문에 자주종례라고 부르는 듯.
청소 검사를 매우 꼼꼼히 진행하여 청소당번이나 주번의 심장을 쫄깃하게 만든다. 청소 상태나 두발,용모검사의 결과는 자주조회 시 CLEAN/DIRTY반, 지킴이반/찍힘이반 선정에 반영된다.
교훈 등을 질문할 때에는 대답을 못 하면 뒤로 내보낸다. 학생선서를 물어볼 경우 가볍게 뒤로 나가는 것이 불문율로 지켜지고 있다. 선배들과 친해질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성실하게 참여하도록 하자.
처음에는 분위기를 잡다가 반 상태 검사가 끝나면 많이 풀어주면서 놀자하는 분위기로 변질된다...! 사실 밖에 학생부 선생이 돌아다니기 때문에 분위기를 잡는다.
2024년 현재 자주 종례는 실시하지 않는다.
6.4.3. 자주 조회
3月
6月
9月
11月
<nopad> |
|
학생회에서 주관하는 조회로, 모의고사가 있는 달 마지막 주 목요일 동아리 시간을 빌려 실시한다. 상당히 자율적인 분위기로 진행되는 편이다.
매년 3, 4월까지는 3학년 학생회에서, 그 이후부터는 당 학년도 2학년 학생회에서 진행하게 된다.
체육관에서 하는데 교사들도 이때는 보이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각 부서[25]의 실천 사항을 발표 한 후, 학생들의 교실 청소를 장려하기 위해서 위생 상태가 가장 좋은 반과 가장 나쁜 반을 각각 'CLEAN반', 'DIRTY반'으로 운영관리부에서 선정하여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학생들의 교칙 준수 장려를 위하여 자주 조회시 가장 벌점을 적게 받은 반과 많이 받은 반을 각각 '지킴이반'과 '찍힘이반'으로 선정하여 발표한다. 보통 2학년 여자반이 CLEAN반과 지킴이반을 독점하며, DIRTY반과 찍힘이반은 그때그때 다르다. 그리고 학생회에서 준비한 프로그램을 보는 등 상당히 재미있다. 패러디 요소나 영상 완성도가 꽤나 높은 편이라 오글거리지만 즐길 만하다.
6.4.4. 두드림(Do Dream) 콘서트
5月
10月
<nopad> |
|
한 학기에 한 번씩 진행하는 버스킹 행사. 급식실 앞의 무대에서 공연을 하는데, 다들 이거본다고 계단을 점령한다! 일반적으로는 1학년과 2학년, 그리고 밴드부가 공연을 하나 가끔씩 선생이나 3학년이 무대에 서는 경우도 있다. 인기 투표도 진행하여 상품을 주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6.4.5. 국외 수학여행
5月
|
6.4.6. 체육한마당
10月
<nopad> |
|
체육한마당은 학교에서 학생들의 체력 향상과 단합을 목적으로 열리는 행사이다. 대체로 학급 또는 학년 대항 형식으로 진행되며, 주요 종목으로는 축구, 농구, 발야구, 피구, 전략 줄다리기 등이 있다. 각 종목은 토너먼트나 리그전 방식으로 운영되며, 학생들은 팀워크와 스포츠 정신을 기르는 동시에 학급 간의 친목을 다지는 기회로 삼는다.
6.4.7. 국제교류행사
2018년부터 진행된 프로그램으로 독일 Dresden Plauen Gymnasium의 학생들과 한국 포항제철고등학교 학생들이 한국과 독일을 서로 찾아가 교류하는 국제 교류 행사이며 독일 학생들은 한국에 방문에 포철고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한국 학생들은 호스트 학생들 집에서 생활한다. 단순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이 아니라 학술교류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6.4.8. 한어울림제
12月
<nopad> |
|
매년 12월에 크리스마스 직후 열리는 학교 축제이다.
1부와 2부로 나뉘어 부스 체험과 학생회 주최 행사가 함께 진행되는데 부스는 동아리나 반 단위로 제작하여 참여한다. 다양한 체험 활동을 즐길 수 있고 일반적으로 먹거리를 판매하는 부스가 정말 인기가 많다. 각 과목실이나 교실을 대여하여 부스를 운영하는데, 굉장히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진행된다.
2부에는 포스코 교육재단 체육관에서 펼쳐지는 학교 응원단 포르테와 개인 신청자 및 음악 동아리들의 공연을 즐길 수 있다.
7. 운동부
운동부는 야구부와 축구부가, 체조부, 골프부가 있으며 이들은 전문적인 체육계열로 나갈 학생들이라 일반 학생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입학해서 모든 학교 생활을 다르게 해나간다. 운동부의 경우 원래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에 소속되어 있었던 것이지만 포철공고가 마이스터고로 전환해버린 관계로 관계 법률상 소속을 포철고로 옮긴 것이다. 하지만 훈련은 여전히 포철공고에서 하는 듯. 학교 내에 따로 훈련시설이 없기 때문에 운동부들은 훈련시 외부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38기부터는 운동부반이 없어지고, 일반 학생들 반에 배치되었다.
7.1. 축구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축구부는 2014년부터 같은 재단인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에서 이관된 포항 스틸러스의 U-18 팀[26]이며 K리그로 가서 주전을 차지하는 선수들이 많아서 아웃풋이 가장 좋은 고교팀으로 꼽힌다.
축구부 출신 유명인으로는 이동국, 신화용, 오범석, 신광훈, 고무열, 이명주, 김승대, 손준호, 황희찬, 이진현 등이 있다.
7.2. 야구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삼성 라이온즈의 지원을 받는 삼성 라이온즈 팜이며, 그래서 삼성 출신 선수들이 많은 편.[27] 야구부 옷이나 전용버스를 보면 파랑색 깔맞춤이다.
전신인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는 포항제철 야구단 창단이후 3년후인 1981년에 창단 되었으며 1983년 청룡기와 봉황대기 준우승이 최고 기록으로 축구부에 비해 썩 좋은 성적을 내는 구단은 아니다. 그러나 팀 성적에 비해 강민호, 최준석, 권혁등 KBO 리그 S급 선수들을 배출해낸 학교 이기도 하다.
참고로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뛰고 있는 골키퍼 정성룡과 이름이 똑같은 야구선수 정성룡이 이곳 출신이다. 1983년의 돌풍의 주역이 바로 이 사람.
최근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한 김성윤 역시 포항제철고 야구부 출신이다. 그는 2017 시즌 타격 1위를 달리고 있는 KIA 타이거즈의 김선빈을 제치고 KBO 리그의 최단신 선수로 등극했다.
8. 출신 인물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권영현: 군인
- 김동범(축구선수): 축구선수
- 김동일: 관료
- 김보민: KBS 아나운서
- 김성윤: 야구선수[28]
- 민규동: 영화감독
- 박규정: 작곡가 그루비룸
- 서수민: KBS PD
- 심교언: 국토연구원장,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 이종하(교수)
- 이지은(기자): 기자
- 이진현: 축구선수
- 이하영(강사): EBSi 수학 강사
- 정재민(1977): 법조인, 관료
- 최재영: 축구선수
- 홍자매: 드라마 작가
- 황희찬: 축구선수
- 허형규: 배우
- 최인호(야구선수)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포항제철고등학교/포스코교육재단
(299005·299006·299186) ||
(299005·299006·299186) ||
좌석 | |
일반 |
9.2. 철도
11.2km 거리에 서울/행신행 KTX, 영덕/순천/동대구행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는 동해선 포항역이 있다. 2021년 12월 동해선 일광~부조 구간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부전행 KTX-이음도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10. 사건·사고
- 2016년 9월 12일 일어난 2016년 경주 지진 당시에 학교에 학생들은 도서관에 자습중이었고, 심한 진동을 느꼈으나 열람실을 나가려는 학생들을 학교측에서 막고 계속 자습을 시켰다. 그리고 2차 지진이 일어나고 나서야 대피를 시켰는데 이 사실이 교내 학생의 제보로 한겨레신문에 기사로 났다. “지진 느껴지는데 학교는 ‘야자’ 계속 강제했다” 2016년 9월13일 <한겨레>
11. 기타
- 동복은 포항제철중학교, 하복은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와 비슷하다. 동복은 교복의 마크가 고등학교는 한자로 (高)라고 적혀져 있고 중학교는 (中)이라고 적혀져있다. 좌우도 다르다.
고등학교에서 중등호흡기증후군이 위험해- 청암학사 내 고데기 사용 및 음식물 반입이 금지되어 있다.
- 2006년에 장학퀴즈 학교대항전에서 4승을 달성했으며, 2007년 2월에 방영된 2006 퀴즈 제왕전에서 대성고등학교를 누르고 퀴즈제왕에 등극했다.
- 과거 태풍 '매미'때 하교하는 한 학생이 BBC채널 뉴스에 나온 적이 있다. 당시 학교가 교장이 군인 출신이라 굉장히 엄격해서 태풍이 뭐같이 쳐도 집으로 안 보내줬는데, 당시 태풍 한복판에서 물이 허리까지 잠기고 우산은 뒤집어지면서 하교하는 한 학생의 모습이 찍힌 동영상이 방영되었다.
- 산을 깎아 만든 학교라 그런지 경사가 상당하다. 위에서 전술한 층을 구분할 수 없는 구조도 가파른 경사로 학교가 계단 식으로 지어졌기 때문인 것이다. 학교에 많은 계단이 존재하는데 반해 엘리베이터는 없고 경사로는 2개만 존재한다. 그 때문에 부상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반발이 많다. 분명히 개선되어야 할 문제이다.
- 장학퀴즈 학교에 가다: 전국 고교 퀴즈 배틀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35기 학생들(2017년 현재 3학년)로 구성된 팀으로 2016년 장학퀴즈: 학교에 가다(1010회)에 출연했을 때 출연한 학생이 참가했다.
- 연말 나눠주는 교지로 월계수가 있다.정규 동아리인 편집부가 편집하며,구성은 포항제철중학교의 교지인 한밝맑과 거의 비슷하다. 선생과 학생들 앙케이트, 각종 행사 리뷰, 사건 사고 등을 다룬다.
- 포항공과대학교와 함께 포스코 산하 고등학교이다보니 상대적으로 자연과학 연구 및 교육은 영재학교 급으로 밀어주고 있다
- 학교에 운동부가 있다 보니 결승전에 올라갔을 때 학년 전체가 당일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결승전 응원을 가는 경우가 있다.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최수혁 학생이 수능 전 영역에서 만점을 획득했다.#
- 2023학년도에 학교 점퍼를 제작했다
12. 둘러보기
포스코교육재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포항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 포항제철고등학교 | 포항제철중학교 |
포항제철초등학교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 포항제철유치원 | ||
광양 | 광양제철고등학교 | 광양제철중학교 | 광양제철유치원 | |
광양제철초등학교 | 광양제철남초등학교 | |||
인천 | 인천포스코고등학교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74ca1,#074ca1><tablebgcolor=#074ca1,#074ca1> | 삼성 라이온즈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74ca1,#074ca1> 기본 정보 | 삼성그룹 | 제일기획 | 삼성스포츠 | 삼성 라이온즈 | 삼성 라이온즈 2군 | |
주요 인물 | 구단주·대표이사 유정근 | 단장 이종열 | 감독 박진만 | 2군 감독 정대현 | 주장 구자욱 | ||
경기장 | 1군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1호 기록) · 포항 야구장(1호 기록) | 2군 경산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스프링캠프 온나손 아카마 볼파크 | 재활 삼성 트레이닝 센터 | 이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 ||
주요 정보 | 선수단 | 등번호 | 유니폼 |마스코트 블레오 | 사건 · 사고 | 프랜차이즈 스타 | 삼성 왕조 | 암흑기(2차) | 통산 기록 일지 | 상대 전적 | ||
관련 정보 | 삼적화 | 여름성 | 이마양 | 채최박 | 조원수박차 | JOKKA 라인 | 윤안임오 | 곤규엽 | 굴비즈 | 최원태인 | 삼나쌩 · 삼상바 클럽 | 기롯삼한 | 라떼동맹 | 임김오 | ||
라이벌리 | vs KIA 달빛 시리즈 | vs 롯데 클래식 씨리즈 | vs 두산 싸대기 매치 | vs 현대 재계 라이벌 시리즈† | ||
영구 결번 | 10 양준혁 | 21 오승환 | 22 이만수 | 36 이승엽 | ||
최종 우승 | 1985년 한국시리즈(V1) | 2002년 한국시리즈(V2) | 2005년 한국시리즈(V3) | 2006년 한국시리즈(V4) | 2011년 한국시리즈(V5) 2012년 한국시리즈(V6) | 2013년 한국시리즈(V7) | 2014년 한국시리즈(V8) | ||
현재 시즌 | 삼성 라이온즈/2025년 | ||
팬덤 정보 | 응원가(구단 · 선수)|디시인사이드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 |유튜브 LionsTV | 네이버 카페 사자 사랑방 | 팬 게시판 | ||
지역 연고 | 경북고 | 대구고 | 상원고 | 포철고 | 경주고 | 의성고 | 강릉고 | 설악고 | 도개고 | 예일메디텍고 | ||
기타 | 이승엽 와도 자리 없다|나믿가믿|삼팬이지만 인정한다|돈 내놔라 먹튀야|왕조 부활 선언|김헌곤 유니버스 | 세이브 조작단 | 오승환/밈 | 상대 전적 | ||
틀 문서 | |||
역대 시즌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역대 1차지명 |응원단|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1] 2024년 인조잔디 설치 후 개편된 농구 코트, 관중석, 골프장의 모습이 보인다.[2] 다만 합반인 광양제철고등학교와 인천포스코고등학교는 달리 여기는 남녀 분반이다.[기준] 2025년 3월 4일 기준[기준] [5] 동 재단 소속 광양제철고등학교와 교훈이 같다. 포스코 교육 재단 소속 학교들의 교훈은 전부 자주 창의 OO이기 때문에 앞 두 개는 다른 학교들과도 같다.[6] 남색[7] 교칙상으로는 여학생도 바지 착용이 가능하다[8] 남색이며 왼쪽 주머니에 포항제철고등학교 교표와 교훈이 금색으로 수놓아져있다[9] 남색[10] 남녀학생 넥타이 길이가 다르다[11] 흰색에 앞쪽은 PJHS, 등에는 POHANG JECHEOL HIGH SCHOOL이 새겨져 있다 하의는 길이 빼곤 하계와 동일(재질은 다르다)[12] 2025년 기준 각자 기수별로 부여받은 색에 맞는 후드티를 착용한다 앞에 POHANG JECHEOL HIGH SCHOOL이 새겨져 있다[13] 44기 회장단 제작 예정[14] 디자인이 어른들의 사정으로 인해 많이 구린편이다[15] 셔츠는 하늘색의 죄수복 디자인이다[16] 색은 검은색[17] 남색에 양옆 흰색 줄이 있고 왼쪽 기슴에 Pohangjecheol High School이 적혀있다. 하의는 왼쪽 허벅지쪽에 Pocheol.H.S가 적혀있다[18] 검은색에 왼쪽 가슴에 교표와 이름표가 달려있다 비교적 단순한 디자인. 하의는 남색에 양옆 파란색 줄이 그어진 단순한 형태이다[19] 필수 방과후 및 수요일 계절학기 진행[20] 필수 방과후 및 수요일 계절학기 진행[21] 물론 포스코교육재단 버스정류장에서 700번 버스를 타고 가면 되지만 좌석버스이고 배차간격이 30분이라 306번 탈때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22] 서점은 예외이다. 동네 서점이 그곳 하나뿐이기도 하고, 내신 대비용 문제집이나 부교재 등을 적절하게 구비해 놓아 학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23]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551[24] 효자동/지곡동의 기존건물들은 학교, 주택을 불문하고 대부분 정형화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25] 운영관리부, 비전활성부, 홍보부, 행사부, 자치안전부로 구성된다.[26] 포철공고가 마이스터고로 지정되면서 운동부를 운영할 수 없게 되어 포철고로 이관되었다.[27] 특이하게 롯데에서도 많이 뽑아간다. 강민호, 최준석, 박종윤이 대표적인 사례.[28]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금메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