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6-11 08:43:05

파일:종관선 노선도.png

파일:제한적 이용(라이선스).svg이 파일은 나무위키에서 제한된 한도 안에서 쓰입니다.

본 이미지는 퍼블릭 도메인 혹은 자유이용 저작물이 아닌, 독점적 저작권이 존재하는 이미지입니다. 나무위키는 본 이미지를 제한된 한도 안에서 이용합니다.

※ 다음과 같은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권리자는 해당 이미지가 나무위키에 게시되어 권리자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한다고 여겨진다면 권리침해 도움말 문서 참고후 메일로 문의해 주세요.
  2. 해당 이미지를 업로드한 사용자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이 부과될 수 있음을 숙지해 주세요.



1. 기본 정보2. 노선 연혁

1. 기본 정보

출처 출처를 반드시 삽입해 주세요.
날짜 이미지가 만들어진 날짜를 삽입해 주세요.
저작자 이미지의 저작자를 삽입해 주세요.
저작권 이미지의 저작권과 관련된 기타 정보를 삽입해 주세요.
기타 기타 정보가 있으면 삽입해 주세요.

2. 노선 연혁

  • 1905년 : 경부선 개통
  • 1906년 : 경의선 개통
  • 1911년 : 기존의 신의주역을 신의주하급소역으로 개칭하고 신의주역(신의주청년역)을 현재위치에 새로이 개업함. 이 결과 신의주역과 신의주하급소역 구간(강안선)이 본선과 분리됨. 압록강철교(조중우의교)의 완성으로 신의주역은 안둥역(단둥역)과 연결됨.
  • 1936년 : 경성 -영등포 간 경인선에서 경부선으로 편입 (복선)
  • 1939년 : 영등포 -대전 간 복선화
  • 1940년 : 삼랑진 -부산진 간 복선화
  • 1944년 : 경성 -영등포 간 복복선화
  • 1945년 : 대전 -삼랑진 간 복선화. 전구간 복선화 완료
  • 1945년 : 광복이후 한국전쟁 이전까지 남측에서는 여객열차가 용산역~토성역(개풍역) 구간에 통행하였다. 이 때 북측에서는 사리원역이 종착역이었다.
  • 1950년 : 한국전쟁의 결과 문산역~개성역 구간이 폐지되고 본선의 구간은 서울역~문산역으로 단축됨.
  • 1991년 6월 1일 : 남북철도연결구간(문산 - 개성간) 연장공사 준공
  • 1994년 1월 3일 : 남북철도연결구간(문산 - 개성간) 연장개통
  • 1996년 4월 1일 : 경부선, 경의선, 평부선, 평의선등 4개 노선을 통합해 종관선으로 개칭
  • 2001년 : 평양 - 문산간 복선전철/선로계량 개통
  • 2003년 : 문산 - 대전간 복선전철/선로계량 개통
  • 2005년 : 평양 - 단동간 복선전철/선로계량 개통, 단동까지 연장 종관선의 종착역이 됨
  • 2008년 : 동대구 - 부산간 전철/선로계량 개통
  • 2014년 : 대전 - 동대구간 전철/선로계량 개통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1로 변경
  • 2020년 7월 1일 : 안주 - 개성간 복복선 개통
  • 2022년 6월 15일 : 물금 - 부산간 지하화공사에 따라 물금 - 부산구간 노선 운행중단, 구포역, 사상역, 부산진역, 부산역 영업중지, 물금역은 종관선의 시종착역이 됨
  • 2027년 9월 1일 : 물금 - 부산간 지하화 구간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