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2:32:13

특수기동지원여단

특수기동여단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여단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colbgcolor=#009600> 수도 수도포병여단
I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II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III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V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VII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1방공여단
항공사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파일:3공병여단 마크.png
제1공병여단 제2공병여단 제3공병여단
파일:제5공병여단_표지.png 파일:the-seventh-engineer-brigade.jpg 파일:특수기동지원여단 로고.png
제5공병여단 제7공병여단 특수기동지원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특수기동지원여단
特殊機動支援旅團
Special Maneuvers Support Brigade
파일:특수기동지원여단 로고.png
전사적 기질과 전문성을 갖춘 한반도 평화구축자
창설일 2019년 12월 1일(특수기동지원여단)
상징명칭 응칠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지상작전사령부
규모 여단
역할 지상작전사령부 공병지원 및 지뢰 제거 특화부대
여단장 대령 임창욱 (육사 56기)
위치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1. 개요2. 상세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3.2. 제112공병대대 명승3.3. 제129공병대대 가람3.4. 제132공병대대 백호
4. 출신인물
4.1. 여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자대배치5.2. 근무환경5.3. 여단가
6.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직할 공병여단이다. 경례구호는 선봉.

2. 상세

파일:1649176691.jpg
특수기동지원여단 흉장.

2019년 12월 1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공병여단. 2공병여단, 5공병여단, 6공병여단 예하에 있었던 공병대대 한 곳씩 소속을 이전하여 창설했다.

지상작전사령부가 직접 지휘하는 공병 전력이다.

여단 본부와 예하 대대들은 포천시화천군 일대에 주둔하고 있다.

지뢰 제거 전담부대로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 작업 현장과 후방 지역 방공 기지 등에서 지뢰제거작전을 수행 중이며, 국내 최초로 무인·원격화 지뢰 제거 장비(MV4)를 도입하였다.(출처: 국방일보 공식 블로그)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 본부중대
  • 폭발물처리중대
  • 통신중대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하고 있다. 129공병대대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다.

3.2. 제112공병대대 명승

  • 1중대
  • 2중대
  • 3중대
  • 본부중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에 위치해있다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으로 이사하였다. 과거 제2공병여단의 예하부대였다.

3.3. 제129공병대대 가람

  • 1중대
  • 2중대
  • 3중대
  • 본부중대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과거 제5공병여단의 예하부대였다. 여단직할대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다.

3.4. 제132공병대대 백호

  • 1중대
  • 2중대
  • 3중대
  • 본부중대
경기도 포천시(말이 포천시이지 연천군이다...)에 위치하고 있으며 과거 제6공병여단의 예하부대였다.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특수기동지원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최원희 대령 육사 53기 여단장 #
2대 김영준 대령 육사 54기 여단장
3대 임창욱 대령 육사 56기 여단장

4.2. 장교/부사관

조춘식 - 112대대 1중대 행정보급관 복무 중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02&num=8978

4.3.

5. 기타

5.1. 자대배치

지뢰제거 전문 공병부대이므로 대부분은 육군훈련소에서 장애물운용 특기(지뢰병, 폭파병)를 받은 인원들이 후반기교육 공병학교 수료 후 오게 되며, 조종수 등 일부 장비 운용(굴삭기, 발전기 등) 특기 받은 인원들도 대부분 공병학교를 거쳐서 온다.

지작사 직할부대이므로 지작사 예하 사단 신병교육대인 55사단, 36사단 신병교육대에서도 차출한다. 이때는 주로 미분류특기로 전속 후 대대 분류 과정에서 야전공병 및 통신병으로 배속된다.

운전병들의 경우 제2수송교육연대에서 올 수 있는 전방부대 중 하나이다. 특이하게도 근처 가평에 3수교가 있음에도 2수교 인원들만 차출한다.

5.2. 근무환경

평시에도 지뢰제거작전을 수행하는 평시작전부대라 크고 작은 훈련이 적은 편이다. 운이 좋다면 유격을 뺄 수도 있다! 물론 혹한기는 높은 확률로 해야 한다.

특히 작전을 나가는 경우 대부분의 훈련을 면제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엄연한 전투부대로, 점점 훈련이 많아지고 훈련 강도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휴가가 매우 적은 편이며 특히 작전을 뛰는 인원이 아닌 운전병, 특히 조종수(장비병)의 경우 휴가를 벌 수단이 사실상 전무하다. 또한 훈련은 적지만 근무[1]와 작업이 많은데다 휴식여건 보장이 잘 안되고 편의시설도 열악한 등 의외로 군 복무 난이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작전을 나가더라도 지뢰제거 자체가 상당히 위험하고 힘들기 때문에 역시 만만하지 않다.여름에 지뢰복 입고 1분만 서있어도 얼굴에 땀이 흐르기 시작하는 지옥

5.3. 여단가

6. 사건사고




[1] 그래도 여단본부 본부중대 인원들은 불침번만 들어가서 위병소나 그런 초병 경계를 서는 대대원에 비하면 훨씬 낫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