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트루 엔딩'''{{{#!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의 극장판}}}에 대한 내용은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의 극장판: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극장판 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트루 엔딩#|]]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의미
True Ending. 게임 업계에서 처음 탄생한 조어로, 최초 사용자는 타카하시 타츠야로 알려져 있다.가장 일반적으로 말하는 진 엔딩이라고 하면 보통 멀티 엔딩이 있는 게임에서 가장 사건의 진실을 파헤친 엔딩, 혹은 스토리 전개상 가장 좋은 결말을 맞을 수 있는 엔딩 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조건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가장 보기 힘든 엔딩이다.[1][2]〈조건〉 문단에 나와있는 경우가 바로 이런 경우를 말한다.
다만 반드시 진엔딩=공식 엔딩인건 아니다. 진엔딩은 그 자체로 스토리가 깔끔하게 완결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후속작에서 스토리를 이어나가기 위해서 오히려 전작의 배드엔딩이나 노멀엔딩이 공식으로 채택되는 경우도 흔하며, 모든 뒷설정이 풀리는 루트라 해도 진엔딩이 아닐 수 있다.[3] 이 경우에 진엔딩은 그냥 전작의 진엔딩이고 후속작에서 채택한 엔딩을 공식 엔딩, 정식 엔딩, 또는 간단히 정사나 캐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4]
사람에 따라 후속작에서 채택된 공식 엔딩을 진엔딩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이렇게 되면 용어가 헷갈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진엔딩과 공식 엔딩을 따로 분류하는 경우가 흔하다. 예를 들어 엑스컴2가 채택한 건 전작인 엑스컴: 에너미 언노운에서 엑스컴이 패배한 배드엔딩이다. 굿엔딩의 경우 외계인을 모두 물리치고 인류의 승리~로 끝나므로 후속작 스토리를 쓰기가 힘들다. 그렇다고 에너미 언노운의 진엔딩이 패배엔딩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미연시에서는 보통 아무와도 이어지지 않는 엔딩이 후속작에서 채택한 공식 엔딩인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도 전작에서 아무와도 이어지지 않는 엔딩을 진엔딩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진 엔딩은 진 엔딩, 공식 엔딩은 공식 엔딩이다.
특별히 이렇다 할 진 엔딩이 없을 경우, 굿 엔딩 중에서 주인공이 가장 잘 된 경우 내지는 난이도가 어려운 엔딩을[5] 하나 선택해 편의상 진 엔딩으로 치는 경우도 있다.
페이크 엔딩의 뒤에 숨어 관객 혹은 플레이어가 속는 걸 구경하다가 작품의 제작자가 의도한 진짜 결말로서 짠하고 나타나 본 엔딩에서 그들에게 주려했던 감동이나 충격을 곱빼기로 전해주는 경우도 있다. 가끔 이 효과가 가히 충격과 공포급으로 나타나는 작품들도 있다. 예를 들면 에이스 컴뱃 3에서 모든 루트를 클리어하면 나오는 진엔딩이 바로 이런 경우다.
간혹 작품의 흐름을 따른 진 엔딩이 마음에 안들거나 문제가 있을 때, 다른 분기점을 통해야 나오는 분기점 엔딩 혹은 페이크 엔딩이 더 마음에 들어서 이쪽을 진짜 엔딩으로 삼자는 경우에 장난삼아 진 엔딩이라 부르기도 한다.
2. 조건
대개 숨겨져 있던 사실이 드러난다는 점을 반영했기 때문인지 굿 엔딩보다 난도가 높은 조건들이 많다. 그래서 몇몇 작품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도록 노멀 엔딩 내지 굿 엔딩이 준비되어 있지만, 절반 이상을 충족하지 못했을 경우 배드 엔딩으로 직행하는 악마같은 작품도 있다.- 진 최종 보스(흑막, 원흉, 만악의 근원, 악의 축) 격파
- 남아 있는 서브 미션을 모두 클리어 - 가장 기본적인 경우.
- 특수 및 숨겨진 요소 모두 클리어 - 위와 달리 조건들이 숨겨져 있어서 보기 힘들다. 즉 비밀장소를 많이 찾거나 히든 커맨드를 입력해야 한다.
- 특정 분기/선택지 선택 - 특정 인물의 생존 등이 있다. 혹은 특정 분기/선택지에 따른 결과가 누적이 되어야 진 엔딩이 해금되는 경우도 있다. 선악 수치를 사용하는 게임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된다.
- 다회차 플레이 필요 - 게임에 따라서는 진 최종보스나, 숨겨진 미션이 2회차 이후에나 등장하는 경우도 있고, 모든 분기, 모든 시나리오를 클리어 해야만 진 엔딩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특히 서양의 게임보다 회차 플레이나 2회차 인계요소를 중시하는 일본 게임에서 이런 경우가 많다.
- 돈 - 농담이 아니라 정말로 진 엔딩을 돈 받고 팔아먹는 경우가 존재한다. 시계를 앞당겨 1980년대로 가면 MSX판 사라만다의 문자 그대로 지랄맞은 진 엔딩 조건[6]도 미리 돈 주고 다른 게임을 사놔야 가능한 것이니 이 조건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 들어서는 DLC라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로 더욱 편하게 팔아먹을 수 있게 됐는데, 데드 스페이스 3, 검은방4, 파이어 엠블렘 if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3. 기타
게임 방송을 진행하던 스트리머가 게임 도중 오류로 강종을 하게 되는 경우, 진 엔딩을 봤다고 놀리곤 한다.짐 캐리 주연의 스릴러 영화 넘버 23의 결말부에서 주인공이 언급한다.[7]
4. 관련 문서
[1] 그래서 상술했듯 진 엔딩은 유저들이 가장 만족하고 게임을 끌 수 있도록 해피 엔딩이나 굿 엔딩을 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 물론 예외적으로 배드 엔딩이 진엔딩인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보통 스토리상으로 배드 엔딩이 나올 수밖에 없게 만든다.[3] 대표적으로 Fate/stay night의 경우가 있다. 진 엔딩을 봐야만 해금되는 새로운 루트에서 다양한 떡밥을 풀어내지만, 어디까지나 진 엔딩을 본 후에 즐길 수 있는 또 다른 결말에 가깝다.[4] 공포 쯔꾸르 게임 aria's story 에서도 진엔딩(=트루엔딩)과 공식 엔딩(=굿엔딩)이 따로 나뉘어져 있다.[5] 보통 두 가지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많다.[6] 직접적인 조건은 '베놈 함을 출현시켜 격파'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게임 중 '크리스탈 브리즈'라는 아이템을 획득해야 하는데, 이 아이템의 출현 조건은 그라디우스 2가 2번 슬롯에 꽂힌 채로 MSX를 구동하는 것이다. 가격을 낮추기 위해 2번 슬롯을 탑재하지 않은 컴퓨터들과 한국에서 많이 팔린 형태인 재믹스에서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절대로 진 엔딩을 볼 수 없다. 돈 없는 게 죄. 거기다 설사 하드웨어적으로 슬롯이 2개 있더라도, MSX의 슬롯은 0번~3번 중에서 지정되는 방식(그나마도 확장을 통해 각 슬롯마다 최대 4개까지 (n-0~n-3) 부여될 수 있다)이다보니 슬롯 번호가 잘못된 경우 또한 마찬가지로 진 엔딩을 볼 수 없다.[7] "모든 것을 기억해낸 나는 자수해서 감옥에 갔고, 나 대신 누명을 쓰고 갇혀있던 남자는 풀려났다. 해피엔딩은 아니지만, 올바른 엔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