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3:42:14

쿠키런: 마녀의 성

쿠마성에서 넘어옴

파일:Kakao Cookie Run Logo.png
쿠키런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d9,#540> 본가 파일:오븐브레이크 아이콘.png오븐브레이크× (2009) · 파일:오븐브레이크 2 아이콘.png오븐브레이크 2× (2012) · 파일:쿠키런 아이콘.png쿠키런M (2013) · 파일:쿠키런 오븐브레이크 아이콘.png쿠키런: 오븐브레이크M (2016)
스핀오프 <colbgcolor=#ed9,#540> 퍼즐 파일:쿠키런 문질문질 아이콘.png쿠키런 문질문질× (2014) · 파일:쿠키런 퍼즐 월드 아이콘.png쿠키런: 퍼즐 월드M (2020) · 파일:쿠키런: 마녀의 성 아이콘.jpg쿠키런: 마녀의 성M (2024)
기타 파일:쿠키워즈 아이콘.png쿠키워즈× (2018) · 파일:쿠키런 킹덤.png쿠키런: 킹덤M (2021) · 파일:쿠키런 브레이버스 아이콘.webp쿠키런: 브레이버스TCG (2023) · 파일:쿠키런: 더 다키스트 나이트 이미지.jpg쿠키런: 더 다키스트 나이트VR (2023)
출시 예정 파일:쿠키런 모험의 탑 아이콘.png쿠키런: 모험의 탑M (2024) · 파일:쿠키런 오븐스매시 이미지.png쿠키런: 오븐스매시M/P/S (2024)
미디어 믹스 도서 ·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 쿠키 (목록) · · 용어 · 전통 · 올해의 쿠키 · 무한런
M: 모바일 지원 | P: PC 지원 | S: 콘솔 지원 | ×: 서비스 종료
}}}}}}}}} ||
파일:쿠키런: 마녀의 성 로고.webp
쿠키(미출시 쿠키 전망) · 주민 · 스토리 · 패치노트 · 평가
쿠키런: 마녀의 성
Cookie Run: Witch's Castle
파일:쿠키런: 마녀의 성 아이콘.jpg
<colbgcolor=#439><colcolor=#fff> 개발 스튜디오 킹덤
유통 데브시스터즈
플랫폼 모바일
ESD
장르 퍼즐 어드벤처, 탭 투 블라스트
출시 사전예약
2024년 2월 29일
정식 출시
2024년 3월 15일
엔진
지원 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번체), 태국어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게임 아이콘.svg

1. 개요2. 트레일러3. 게임 시스템
3.1. 아이템 및 조합3.2. 장애물(기믹)
4. 콘텐츠
4.1. 메인 퍼즐4.2. 챔피언스 리그4.3. 쿠키 퍼즐 챌린지
5. 캐릭터6. 스토리7. 패치노트8. 평가9.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마녀의성 초기타이틀.jpg
초기 타이틀 아트워크
쿠키런 시리즈프리퀄에 해당하는 작품.[1] 쿠키런: 퍼즐 월드의 뒤를 잇는 퍼즐 장르로 제작되었다.

2. 트레일러

최초 공개 트레일러
메인 트레일러

3. 게임 시스템

3.1. 아이템 및 조합

쿠키런: 마녀의 성에는 연쇄 시스템은 없다.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여러 번 블럭을 터뜨린다고 좋은 점은 없지만, 대신 한번에 많은 양의 블럭을 터뜨리면 아이템이 나와 이득을 볼 수 있다. 가로세로 한칸 이내에 붙어있는 아이템은 조합하여 더 강력한 효과를 내는 아이템으로 조합할 수 있는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로켓: 같은 색깔 블럭 5/6개를 한번에 터뜨리면 나온다. 가로 1줄 또는 세로 1줄 전체를 1회 타격한다. 가로 로켓이 나올지 세로 로켓이 나올지는 랜덤이어서 운빨을 꽤 탄다.
    • 로켓+로켓: 탭한 지점을 원점으로, 十자 모양으로 모든 블럭을 1회 타격한다. 가로 로켓을 조합하든 세로 로켓을 조합하든 무조건 십자 모양을 타격하며, 따라서 반드시 가로 또는 세로를 타격해야 하는 경우는 로켓을 하나가 아니라 두개 만들면 확정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
  • 폭탄: 같은 색깔 블럭 7/8개를 한번에 터뜨리면 나온다. 가로세로로는 상하 2칸, 대각선 방향으로는 1칸 떨어진 범위 전체를 모두 타격한다.
    • 폭탄+폭탄: 탭한 지점을 원점으로, 7x7 정사각형 모양의 범위를 모두 1회 타격한다.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보통 이 게임은 반경이 넓은 것보다 사거리가 긴 쪽이 유용하기 때문에 폭탄+로켓 조합에 비해 활용도는 떨어진다.
    • 폭탄+로켓: 탭한 지점을 원점으로, 세로로 세 줄, 가로로 세 줄 범위에 로켓을 1회씩 발사한다. 이때, 가로세로 로켓이 교차하는 지점(탭한 지점 기준 3x3 정사각형 내)는 가로세로 1회씩의 로켓마다 타격이 따로 들어가서 총 2회 타격으로 간주된다. 여러번 타격해야 하는 블록이 있을 때 유용하며, 연속클리어 보상으로 로켓과 폭탄이 기본 제공되는데다 직접 만들어 쓰기도 가성비가 좋아서 주력 콤보로 사용된다. 효과 발동 원점을 잘 선택해서 최대한 원하는 위치에 타격이 들어가도록 하는 게 포인트.
  • 곰젤리: 같은 색깔 블럭 9개 이상을 한번에 터뜨리면 나온다. 색깔 구분이 있는데, 곰젤리를 만드는 데 사용한 색깔 블럭을 모두 파괴한다. 그러나, 이미 곰젤리를 만드는 데 해당 색깔을 많이 사용했을 것이므로 바로 사용하면 폭탄이나 로켓보다도 훨씬 못한 성능을 보이며, 따라서 사용하기 전에 미리 다른 색깔 블럭들을 파괴해놓고 같은 색깔 블럭만 최대한 남긴 다음 사용해야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렇더라도 로켓이나 폭탄보다 일반적으로 성능이 좋지 않으므로, 조합용 파츠라고 생각해야 한다.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곰젤리 조합이 게임 클리어를 좌우하게 되지만, 맵의 생김새에 따라서는 9개 이상의 색깔블럭을 한번에 터뜨리는 게 힘들 수 있으므로 너무 곰젤리에 집착하지 않고 폭탄+로켓 콤보를 적극 활용하는 편이 좋다.
    • 곰젤리+로켓: 해당하는 색깔의 블럭과 조합한 아이템이 있었던 지점을 모두 로켓으로 만든다. 가로세로 방향은 랜덤 지정되므로 원본 로켓처럼 랜덤성이 크지만, 대신 로켓은 폭탄에 비해 사거리가 훨씬 길기 때문에 맵의 대부분 지역을 타격할 수 있다. 아래 설명할 곰젤리+곰젤리 조합과 비교하면 밑작업이 필요한데다 타격 못하는 지점이 거의 반드시 생긴다는 점은 단점이지만, 대신 확률적으로 한 타일을 여러번 타격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번 타격이 필요한 블럭을 한번에 없앨 가능성이 생긴다. 확정적 1회 타격이 필요한지 확률적이라도 여러 번 타격이 필요한지에 따라 어느 쪽을 쓸지 결정할 수 있다.
    • 곰젤리+폭탄: 해당하는 색깔의 블럭과 조합한 아이템이 있었던 지점을 모두 폭탄으로 만든다. 그러나 폭탄은 로켓에 비해 사거리가 짧아서 반드시 타격이 닿지 않는 음영 지역이 생기며, 로켓의 단점인 가로세로 좁은 범위도 곰젤리+로켓 조합으로 로켓을 무식하게 많이 만들면 어떻게든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곰젤리+로켓 조합보다 파괴력은 작다.
    • 곰젤리+폭탄+로켓: 해당하는 색깔의 블럭과 조합하는 아이템이 있었던 지점을 모두 로켓 또는 폭탄으로 만든다. 폭탄이 섞이는 것보다 로켓만 사용하는게 훨씬 강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냥 곰젤리+로켓을 사용하는 게 좋지만, 곰젤리와 로켓을 도저히 맞붙일 수 없는 경우 중간에 폭탄을 끼어 이어주는 것으로 어떻게든 아이템 조합을 발동시키는 데 쓸 수는 있다. 곰젤리+로켓만 조합할 수 있는데 폭탄까지 조합하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
    • 곰젤리+곰젤리: 곰젤리가 무지개색으로 변하면서, 색깔 불문하고 맵 전체를 1회 타격한다. 곰젤리+로켓 조합에 비해서 랜덤성 없이 맵 전체를 타격할 수 있는 점은 강점이지만, 대신 정직하게 맵 전체를 1회만 타격하기 때문에 2회 이상을 타격해야 하는 블럭, 특히 두 번 연속으로 때려야만 하는 왕밤도치 등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데는 취약하다. 게임 목표상 확정적 1회 타격이 필요한지 확률적이라도 여러 번 타격이 필요한지에 따라 어느 쪽을 쓸지 결정할 수 있다.

아이템 조합 족보의 우선순위는 위 목록에서 아래에 있는 것을 우선하며, 예를 들어 곰젤리+곰젤리+폭탄+로켓 조합은 폭탄과 로켓이 무시되고 곰젤리+곰젤리 조합이 발동한다. 족보만 만족시키면 몇 개의 아이템을 조합하는지는 전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로켓+로켓+로켓, 폭탄+폭탄+로켓, 곰젤리+곰젤리+곰젤리+곰젤리 등 필요 이상의 아이템을 아무리 조합해봤자 낭비일 뿐이다.단 아이템을 조합하려면 두 아이템이 가로세로로 1칸 옆에 딱 붙어야 하기 때문에, 조합하고자 하는 아이템 두 개를 도저히 이웃시킬 수 없는 경우 가운데에 징검다리용 아이템 하나를 만들어서 조합을 발동시키는 용도로는 사용 가능하다.

3.2. 장애물(기믹)

장애물을 없애는 방법 (이하 타격)은 크게 두 가지이다. 장애물의 옆에서 블럭을 눌러 터뜨리거나, 또는 로켓, 폭탄, 또는 곰젤리 등의 부스터로 직접 타격하는 방법이다. 장애물에 따라 제거하는 방법과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 비고정 파괴형: 밑바닥이 비면 아래로 떨어지는 형태의 장애물.
    • 물약병, 등불, 케이크, 아몬드 새: 각각 1, 2, 3, 4번 타격하면 사라진다.
    • 색깔 물약병: 해당하는 색깔로 타격하거나 부스터로 타격하면 사라진다.
    • 먼치킨: 부스터로만 타격 가능하다. 1번 타격하면 사라진다.
    • 왕밤도치:한 번 타격하면 얼굴을 드러내며, 얼굴을 드러낸 상태에서 타격해야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얼굴을 드러낸 상태에서 타격하지 못하면 다시 얼굴을 숨긴다. 즉, 2연타로만 제거할 수 있다.
    • 딸기잼 병: 타격받기 전에는 비고정형이지만, 타격을 받으면 깨지면서 자리에 딸기잼을 남긴다. 딸기잼은 고정형이고, 한번 더 타격하면 완전히 사라진다. 맵 위에 딸기잼이 고정되어 버리면 블록 갯수가 모자라 게임이 꼬이므로, 최대한 아래로 끌어내려서 타격하거나 아예 처음부터 2회 타격으로 날려버리는 게 포인트.
    • 푸딩: 금고 안에 숨겨져 있다. 금고는 매턴 열렸다 닫혔다를 반복하며, 금고가 열렸을 때 1번 타격하면 사라진다. 금고가 닫혔을 때는 부스터도 안 통하므로 주의. 다만, 쿠키의 스킬은 닫혔을 때도 통하니 잘 활용해보자.
    • 버섯: 매턴 색깔이 바뀐다. 해당하는 색깔 블럭으로 타격하거나 또는 부스터로 타격해야 사라진다.
  • 비고정 비파괴형: 타격으로 부서지지 않으며, 다른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 츄러스: 1x1 크기 츄러스와 2x2 크기 츄러스 두 종류가 있다. 타격해도 사라지지 않으며, 맵의 맨 아래 바닥까지 떨어트려야 사라진다.
  • 고정 파괴형: 밑바닥이 비더라도 그 자리에 머무르는 형태의 장애물. 맵 위에 고정된 장애물은 블럭 갯수를 제한하기 때문에 우선 처리 대상이다.
    • 웨하스, 초코 웨하스, 초코 토핑 웨하스: 각각 1, 2, 3번 타격하면 사라진다.
    • 단단한 웨하스: 부스터로만 없앨 수 있다. 1회 타격하면 사라진다.
    • 설탕 코팅: 타일에 덧씌워지지만, 다른 블럭 또는 장애물과 겹칠 수 있다. 블럭과 겹쳐있는 상태에서 겹쳐진 블럭을 1회 타격하면 사라지는데, 장애물과 겹쳐있거나 아예 해당 칸이 비어있으면 타격해봤자 사라지지 않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 과자 박스: 2x2 크기이다. 총 9회 타격해야 부서지며, 타격할 때마다 박스 안의 과자가 1개씩 사라진다. 부스터로 타격하면 타격당한 타일 갯수만큼 체력이 깎인다. 예를 들어 로켓으로 타격하면 2회, 폭탄으로 타격하면 위치에 따라 1~3회, 무지개 곰젤리로 타격하면 4회 등.
    • 개구리 젤리: 2x2 크기이다. 안에 4색 개구리가 있는데, 해당하는 색깔의 블럭으로 타격할 때마다 하나씩 없어진다. 따라서 최소 4회 타격이 필요하다. 부스터로 타격하면 랜덤 개구리가 1회 사라지기 때문에, 부스터 타격 전에 최대한 색깔블럭으로 타격할 수 있으면 타격하는 것이 좋다. 과자박스와 달리 부스터 1회당 1번만 타격당하며, 예를 들어 로켓에 맞든, 폭탄에 맞든, 무지개 곰젤리에 맞든 1회만 타격당한다. 폭탄+로켓은 같은 방향 로켓들이 다 1회의 부스터로 간주되는지, 가로방향 로켓에 2번 맞아도 타격은 1번만 당하며 세로방향도 마찬가지다. 단, 폭탄+로켓을 개구리 젤리에 딱 붙여서 가로세로 로켓을 모두 맞추면 2회 타격이 들어간다.
    • 초콜릿[2]: 1회 타격하면 사라지지만, 《쿠키런: 퍼즐 월드》의 슈크림처럼 한 무브에 하나 이상 타격하지 않으면 막혀 있지 않은 무작위 방향으로 하나씩 증식한다. 증식하면서 다른 블럭을 침식할 수 있으나, 장애물이나 부스터는 침식하지 않는다. 맵 전체를 타격해서 모든 초콜릿을 지우는 무지개 곰젤리가 초콜릿의 극상성이다.
    • 거대 먼치킨: 2x2 크기이다. 부스터로만 타격할 수 있으며, 총 3회 타격해야 한다.
    • 다트 풍선: 프레임의 크기나 길이는 맵마다 다르다. 길쭉한 프레임에 여러 개가 달려있으며, 해당 프레임에 있는 모든 풍선을 터뜨려야 프레임이 파괴된다. 풍선은 근처 색깔블록이나 부스터로 타격할 수 있다.
    • 만드라고라: 왕밤도치 고정형 버전. 연속 2회 타격해야 부서진다.
  • 고정 비파괴형: 고정되어 있으나, 타격을 받아도 부서지지 않는다. 대신 맵 전체에 같은 장애물이 여럿 있는데 이들을 총합 n회 타격하는 것이 목표가 된다. 타격 횟수가 모두 차면 뚜껑이 닫힌다.
    • 호박: 한 번 타격할 때마다 호박 젤리를 뱉는다. 맵 전체에서 n회의 호박젤리를 획득하는게 게임 목표가 되며, 목표 횟수만큼 획득하면 뚜껑이 닫히고 눈을 감는다.
    • 설탕 병: 한 번 타격할 때마다 맵상 무작위 지점에 설탕 코팅을 생성한다. 맵 전체에서 n회의 설탕 코팅을 없애는 게 게임 목표가 되며, 목표 횟수만큼 생성하면 뚜껑이 닫힌다.
    • 약병 대포: 한 번 타격할 때마다 맵상 무작위 지점에 물약병을 생성한다. 초콜릿처럼 다른 장애물 또는 부스터와 겹치게는 생성하지 않는다. 물약병이 색깔젤리 위치에 떨어지면서 연쇄를 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맵 전체에서 n개의 물약병을 파괴하는 게 게임 목표가 되며, 목표 갯수만큼 뱉어내면 잠에 든다.

또한 이것 외에도 쿠키 퍼즐 챌린지에서 또한 쿠키별로 다양한 장애물 및 기믹이 존재하며, 이들은 특정 조건을 달성하면 일정 범위의 색깔블록을 파괴해 주는 등 도움이 되기도 한다.

4. 콘텐츠

4.1. 메인 퍼즐

기본모드. 현재 1250레벨까지 업데이트 되었으며, 2주 간격으로 50레벨이 추가된다. 기본 모드만의 특징으로는 스테이지를 클리어 하면 황금[3]/보라[4]별사탕이 지급되는데, 이것을 모아 스토리를 볼 수 있다. 보통 50레벨 간격으로 새로운 기믹이 추가되지만, 새로운 기믹이 없을 때도 있다.

4.2. 챔피언스 리그

현존하는 모든 레벨을 클리어할 경우, 모든 레벨을 클리어한 플레이어들끼리 트로피를 모아 경쟁하는 모드이다.

4.3. 쿠키 퍼즐 챌린지

2024년 5월 21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콘텐츠. 정해진 쿠키로 10스테이지를 깨 나가는 콘텐츠이며, 2스테이지, 6스테이지, 10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데코, 크리스탈, 시즌 코인 등의 보상을 받고 스토리를 해금할 수 있다.[5]

노말, 하드, 챌린지[6]의 3가지 난이도로 구성되어 있어 한 쿠키당 스테이지는 30개[추정]이다. 또한, 챌린지별로 쿠키에 따라 메인 기믹이 다르다. 이 기믹들은 플레이를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rowcolor=#fff> 쿠키 챌린지 출시일 메인 기믹
용감한 쿠키의 챌린지 2024. 5. 21. 캔디케인
딸기맛 쿠키의 챌린지 딸기팝핑캔디
체리맛 쿠키의 챌린지 체리폭탄
뱀파이어맛 쿠키의 챌린지 포도주스통
위치베리맛 쿠키의 챌린지 젤리뱃 미사일
퍼스트크림 쿠키의 챌린지 홀리 브로치
명랑한 쿠키의 챌린지 2024. 6. 10. 롤리팝
천사맛 쿠키의 챌린지 천사깃털
연금술사맛 쿠키의 챌린지 플라스크
마블데니쉬맛 쿠키의 챌린지 가문 커프스

5. 캐릭터

5.1. 쿠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키런: 마녀의 성/쿠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주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키런: 마녀의 성/주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그 외

6.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키런: 마녀의 성/스토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패치노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키런: 마녀의 성/패치노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키런: 마녀의 성/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 초기작인 오븐브레이크(2009)에만 나왔던 도저가 이 작품에서 13년 만에 재등장했다. 때문에 오븐브레이크를 알고 있는 팬들 사이에서는 도저의 재등장을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가 강하다. 한국 한정으로 도저의 한국명이 어떻게 될지 기대된다는 반응도 있었으나, 결국 한국명은 ‘조는 사람’이라는 뜻을 살려서 ‘쿨쿨이’로 결정되었다. 또한, 영문명이 'GingerDozer'로 바뀌었다.
  • 킹덤, 모험의 탑, 오븐스매시처럼 더빙 지원이 될 지는 미지수였으나, 현재 공개된 모든 게임이 음성을 지원하기 때문에,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 후, 기사에서 성우 보이스 언급이 나왔으며,# 이후 트레일러 영상 및 더빙 스케치 영상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정작 공개된 결과물은 스토리에서는 대사가 나오지만, 뽑기 연출과 로비에서는 웃음소리만 녹음되어서 실망한 사람들도 있었다.[8] 추후 패치를 통해 쿠키들의 대사에도 음성이 추가될지는 미지수다.
  • 다른 쿠키런 게임들과 달리 배경이 마녀의 성이기 때문에, 쿠키들이 오븐에서는 탈출했지만, 마녀의 성을 탈출하지는 못했으며 결국 마녀의 성에서 숨어지내는 듯했지만, 이후 밝혀진 스토리에 의하면 용감한 쿠키와 친구들이 마녀의 성을 탈출하는 시점을 다루는, 쿠키런 시리즈프리퀄에 해당하는 작품이라고 한다.[10]

    스토리도 초기작인 오븐브레이크를 참고한 게 보이는데, 각자 다른 이유로 모인 용감한 쿠키와 친구들이 마녀의 성을 탈출하기 직전의 상황까지 도달했지만, 갑자기 나타난 그림자마녀에게 쿨쿨이가 잡혀버렸고, 결국 탈출을 미루고 쿨쿨이를 구하러 간다는 내용이다.
  • 쿠키런 시리즈 게임들 중 이례적으로 공식 홈페이지보다 SNS 계정이 먼저 공개되었다. 다른 게임들은 SNS 계정이 공식 홈페이지와 함께 공개되었다.
  • 이상하게도 보안 폴더에서 게임을 실행하면 리소스 다운 창이 뜨지 않는다.
  • 파일:2024 1분기 실적 마녀의 성.jpg
    데브시스터즈 1분기 경영 실적 자료에서 마녀의 성의 스토리를 쿠키런: 킹덤의 프리퀄 스토리라고 표현한 게 확인되었다. 둘이 같은 세계관인 것으로 보인다.
  • 플레이어블 쿠키 중복 캐스팅이 꽤 있다. 그러나, 완전히 다른 톤으로 연기해서 이름이 공개되기 전엔 같은 성우가 연기했다는 걸 모르는 사람들이 많았다.

[1] 정확하게는 쿠키런: 킹덤의 프리퀄이다.[2] 쿠키런 for kakao의 오븐 탈출 에피소드의 8스테이지 '아이스크림 캔디 동산'에서 장애물로 등장하는 그 초콜릿이다.[3] 메인 일지 해금용.[4] 스페셜 일지 해금용.[5] 겉으로 보기에는 3스테이지와 7스테이지에 동색 상자와 은색 상자가 놓여 있지만, 실제로는 각 스테이지에 도달만 해도 보상을 받을 수 있다.[6] 현재 챌린지 난이도는 오픈되어 있지 않다.[추정] [8] 심지어 영문판에서는 스토리에서 등장하지 않는 쿠키들의 음성을 한국판 웃음소리 그대로 사용했다.[9] 다만 퍼즐 월드는 개발 중단되었을 뿐이지 여전히 계속 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뜬금없이 마녀의 성의 사전예약을 홍보하는 공지를 올리고, 퍼즐 월드 공식 계정이 마녀의 성 공식 계정과 서로 맞팔로우하는 등 글만 올리지 않을 뿐 활동하고는 있다.[10] 또한, 마녀와 연관성이 적은 킹덤 쿠키들은 적게 등장하고, 대부분 클래식 쿠키들로 구성될 듯하다. 물론, 킹덤 쿠키가 나오지 않을 거란 보장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