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1:16:31

진해여객

진해마을버스에서 넘어옴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의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구 마산시 소재 대중교통 마인버스 마창여객 신양여객
신흥여객 제일교통
구 창원시 소재 동양교통 대운교통 창원버스 창원마을버스
구 진해시 소재 동아여객 진해여객 진해마을버스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f15a38><colcolor=#000> 창원시 · · · · · · · · · · <colbgcolor=#f15a38> 진주시 · · ·
김해시 · · · · 사천시 ·
양산시 · 통영시 · ·
밀양시 거제시 ·
창녕군 고성군 ·
함안군 남해군
의령군 · 하동군 ·
에이투어
합천군 · 산청군 ·
거창군 함양군
}}}}}}}}} ||

진해여객자동차(주)
鎭海旅客自動車
Jinhae Bus Transport Corp.
파일:IMG_1514.jpg
설립일자 1956년 2월 28일
업종 시내버스, 마을버스 운송업
대표이사 전진안
보유대수 79대[1][2]
본사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진희로 3 (태평동)
전화번호 055-544-6651
마산영업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로 39 (해운동)[3]
여좌차고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충장로 105-2 (여좌동)
상장유무 비상장
기업규모 중기업
홈페이지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특징4. 운행 노선
4.1. 진해여객4.2. 진해마을버스
5. 폐선된 노선6. 차량운용대수
6.1. 진해여객6.2. 진해마을버스
7. 사건 사고8. 면허 체계9. 현재 보유 차량10. 과거 보유차량

[clearfix]

1. 개요

창원시 진해구 태평동에 본사를 둔 버스회사이다. 계열사로 진해마을버스를 두고 있다.

2. 역사

  • 1956년 2월 28일 진해여객자동차주식회사로 회사 설립.
  • 2015년 11월 20일 창원시로부터 기존 공영버스 노선을 인수해서 진해마을버스(주)라는 계열사를 설립하게 되었다. #

3. 특징

  • 동아여객과 마찬가지로 전차량 현대버스만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신양여객과 더불어 창원 전기버스 도입 업체 중 중국산 전기버스가 단 한 대도 없는 업체이다.
  • 창원시 시내버스 업체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4]
  • 저상버스는 2009년도부터 도입하여 다른 마창지역 업체들보다는 꽤 늦은 편. 신차를 뽑을 때 고급형 자주색 타라매트를 적용시키는게 특징적. 매우 유니버스 같은 느낌이 든다.[5] 2008년까진 바닥 매트와 시트 색상을 빨간 계열로 맞춰 뽑았었다.[6] 또한 빨간 체크무늬 시트커버도 이 회사의 특징이었지만 2012년 3월 9일 노선개편 이후로는 시 정책에 따라 좌석-간선-지선에 맞춰 시트커버 색상을 통일했기 때문에 체크무늬 시트는 보기 어려워진 상황.
  • 창원시가 창원시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한 '2011년 상반기 서비스평가'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
  • 진해 군항제 기간에는 진해해군사령부 및 해군사관학교가 진해여객에서 운행하는 좌석버스를 셔틀버스로 운영하기도 한다. 참고로 유료다.
  • 진해여객에 지선노선이 대부분인 탓인지 창원시 중에서 신차를 제외하고 가장 차량의 내부상태가 청결하다. 간선 노선이라도 155번은 대부분 신차인데다가 그렇게 노선이 안 좋은 편도 아니라서 깔끔한 편.
  • 156번[7], 302-2번[8], 303번, 305번[9], 306, 309번을 제외한 나머지 진해간선, 지선 노선에는 저상버스가 투입된다.[10]
  • 카운티에어로타운은 진해마을버스에만 볼 수 있으며, 진해마을버스를 제외하면 창원에서 유일하게 대형차량만 운행하는 업체다.
  • 신차를 출고하면 155번에 투입시키다가 307, 315, 317번에 투입시킨다.
  • 타 업체가 구도색 차량을 신도색 차량으로 도색하는 경우가 있으나, 진해여객은 재도색 하지 않고 2023년 하반기 이후 신차에만 신도색이 적용된다.
    진해여객 홈페이지
  • 업체가 직접 이용객과 소통하는 자체 홈페이지가 있으며, 분실물, 교통불편접수, 칭찬 게시판등 이용객 편의를 위해 오래전 부터 운영하고 있다.

4. 운행 노선

4.1. 진해여객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55 행암입구 진해구청 - 냉천사거리 - 안민터널 - 남산공원환승센터 - 상남시장(은아아파트) - 정우상가 - 시티7 - 명지여고 - 의창구청(도계주유소) 태광주유소 18~26분
156 진해구청 녹수아파트 - 자은중흥S클래스 - 냉천사거리 - 안민터널 - 남산공원환승센터 - 상남시장(은아아파트) - 성산아트홀 - 창원중앙역 창원대학교 26~34분
164 행암입구 녹수아파트 - 냉천사거리 - 경화역 - 중앙시장 - 장복터널 - 유신상가 - 봉암교 - 신세계백화점 - 어시장 경남대학교 30~35분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01 속천 남원로터리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자은교 - 동진여중 - 우성아파트 - 진해구청 녹수아파트 22~26분
302 속천 남원로터리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덕산동 - 장천동종점 행암동 18~24분
302-1 속천 남원로터리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덕산동 - 행암동 수치 30~60분
302-2 속천어촌계 남원로터리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덕산동 - 장천동 - 행암동 - 수치 학개마을 1일 11회
303 속천 남원로터리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덕산동 - 진해구청.장전주유소 세스페데스공원 36~54분
305 속천 남원로터리 - 공설운동장 - 진해고등학교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우성아파트 - 진해구청.장전주유소 - 어은동 - 웅천성내 - 웅동농협 - 청안해오름 - 해인로즈빌아파트 - 용원종점 - 이지더원아파트.애플타운 부영4단지 22~26분
306 속천 남원로터리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덕산동 - 해양공원 - 제덕마을 시티프라디움1차 36~54분
307 속천 남원로터리 - 중앙시장 - 경화역 - 진해경찰서 - 자은동행정복지센터 - 진해구청 녹수아파트 36~54분
309 속천어촌계 진해루 - 남흥아파트 - 경화역 - 경화포스코 - 중앙시장 - [[진해역] 중원로터리 36~54분
315 속천 남원로터리 - 공설운동장 - 진해역 - 중앙시장 - 경화역 - 진해경찰서 - 진해구청.장전주유소 - 어은동 - 세스페데스공원 - 웅동농협 - 청안해오름 - 해인로즈빌아파트 - 용원종점 - 이지더원아파트.애플타운 부영4단지 30~40분
317 속천 남원로터리 - 공설운동장 - 진해고등학교 - 중앙시장 - 경화역 - 진해경찰서 - 자은중흥S클래스 - 진해구청.장전주유소 장천동 22~26분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006 진해신항 이지더원.애플타운 - 용원종점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해인로즈빌아파트 - 청안해오름 - 웅동농협 - 세스페데스공원 - 어은동 - 진해구청.장전주유소 - 냉천사거리 - 안민터널 - 남산환승센터 - 상남시장(은아아파트) - 시티7 창원대학교 25~35분

4.2. 진해마을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50 수도마을 괴정마을 - 세스페데스공원 - 웅천동행정복지센터 - 어은동 - 죽곡마을 - 해양공원입구 삼포 150분
351 대장동 웅동농협 - 청안해오름 - 웅동중학교 - 마천산업단지 - 부암마을 대장동 40~140분
352 부암마을 마천산업단지 - 안골버스회차지 - 마린2차푸르지오A - 안골포초등학교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용원종점 - 용재 - (구)검문소 - 가주동시내버스회차지 주포 64분
353 웅동농협하나로마트 웅동2동행정복지센터 - 용원사거리 - 경제자유구역청 - 부산항홍보관 - 이지더원.애플타운 - 부영4단지 - 신항서문입구 포스틱지엘씨 150분

5. 폐선된 노선

6. 차량운용대수

6.1. 진해여객

  • 155번 : 10대
  • 156번 : 3대[대운교통과 공동배차]
  • 164번 : 3대[제일교통과 공동배차]
  • 301번 : 4대
  • 302번 : 4대
  • 302-2번 : 1대
  • 303번 : 3대
  • 305번 : 2대[동아여객과 공동배차]
  • 306번 : 3대
  • 307번 : 7대
  • 309번 : 3대
  • 315번 : 7대
  • 317번 : 8대
  • 3006번 : 5대[대운교통, 창원버스와 공동배차]

6.2. 진해마을버스

  • 350번 : 1대
  • 351번 : 1대
  • 352번 : 2대
  • 353번 : 1대

7. 사건 사고

2015년 1월 30일 317번을 운행하던 버스기사가 저혈당 쇼크로 인해 노선을 한참 벗어나 창원 성산구 공단로에서 역주행을 하여 좌회전 대기하고 있던 트럭을 들이받은 사건이다. 뉴스기사

8. 면허 체계

  • 경남 7160##
  • 경남 7161##[15]

9. 현재 보유 차량

9.1. 현대자동차

10. 과거 보유차량

10.1. 현대자동차


[1] 진해여객 73대 + 진해마을버스 6대[2] 저상버스 1대 말소[3] 바로 옆에 대운교통 마산영업소가 있다.[4] 2010년 폐업한 구 시민버스가 전신인 마산여객주식회사 시절까지 따진다면 진해여객보다 먼저 생겼다고 할 수 있지만 시민버스란 이름을 달고 설립된 시기는 1966년으로 진해여객보다 10년이나 늦다.[5] 2017년부터 별의 별 매트를 선택해서 출고하고 있다.[6] 시트는 검빨시트라고 불리는 인조가죽시트를 넣어서 뽑았었다. 서울의 제일여객한국brt에서 쓰는 그 시트 맞다.[7] 대운교통은 156번에 수소전기버스를 투입한다.[8] 302번과 달리 302-2번은 독립형 노선이기 때문에 투입이 어렵다.[9] 동아여객과 공동 배차하는 노선인지라 투입이 어려우나 주말에 315번 고정인 버스 1대를 가져와 굴렸다. 그러나 현재는 고상버스로만 운행한다.[10] 303,306번 노선은 차량을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투입이 어렵다.[11] 자은3지구 순환노선, 2023년 6월 10일 노선 전면 개편으로 창원 버스 156번이 자은3지구 경유로 신설되면서 폐선.[12] 웅천동 - 남문지구 순환노선, 2023년 6월 10일 노선 전면 개편으로 창원 버스 315번이 남문지구 경유 함에 따라 폐선.[13] 신항지구 - 용원 순환노선, 동아여객과 공동배차 했으며 2016년 4월 1일 폐선[14] 청안동 - 하단역으로 운행하던 부산 시내버스 부산 버스 58-1번 노선이 강서공영차고지(부산) 개장에 따른 노선 개편으로 2023년 7월 29일 청안동,용원 구간을 철수하게 되어 개편 시행 이틀 전인 7월 27일에 창원시에서 급하게 임시 개통했던 노선.[15] 진해마을버스 면허이다.[16] 305번에서 1대 고정운행을 했다가 지금은 코로나 긴급감차와요소수 문제로 임시예비로 전환하다 지금은 완전히 예비차량으로 내려갔다.[17] 주로 지선차량이다.[18] 지선차량 중에서 간선차량이 3대가 있으며 출고할때부터 간선도색 이였다.[19] 주로 간선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