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7 23:54:20

지미 파레디스

지미 파레데스에서 넘어옴
<nopad> 파일:레오네스파레기.webp
<colbgcolor=#c6011f><colcolor=#fff> 레오네스 델 에스코히도 No.38
지미 파레디스
Jimmy Paredes
본명 지미 산티아고 파레데스 테레로
Jimmy Santiago Paredes Terrero
출생 1988년 11월 25일 ([age(1988-11-25)]세)
산크리스토발주 바호스데아이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도미니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도미니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0cm, 104kg
포지션 유틸리티[1]
투타 우투양타
프로 입단 2006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NYY)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1~2013)
캔자스시티 로열스 (2014)
볼티모어 오리올스 (2014~2015)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6)
필라델피아 필리스 (2016)
치바 롯데 마린즈 (2017)
두산 베어스 (2018)
랭커스터 반스토머스 (2018)[A]
서머셋 패트리어츠 (2019)[A]
웨스트버지니아 파워 (2021)[A]
토로스 데 티후아나 (2021)
웨스트버지니아 파워 (2021)[A]
와일드 헬스 게놈스 (2022)[A]
스파이어 시티 고스트하운즈 (2023)[A]
스테이튼 아일랜드 페리호크스 (2024)[A]
히간테스 델 시바오 (2010/11~2014/15)
레오네스 델 에스코히도 (2014/15~)
응원가 치바 롯데 시절: 타키&츠바사 - 〈Crazy Rainbow〉[9][10]
두산 시절: 엘비스 프레슬리 - 〈Can't Help Falling in Love[11][12]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레오네스 델 에스코히도 소속 야구선수. 투수와 포수를 제외한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다.[13]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미 파레디스/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미 파레디스/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미 파레디스/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마이너에서의 활약이 인상적인 타자는 아니었다. 그가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던 마이너 시즌은 2012시즌 휴스턴 트리플A 시절로 당시 13홈런 59타점 타율 .318를 기록했을 때였다.

파레디스의 가장 큰 단점은 선구안으로, 미국 야구계는 물론 KBO까지 포함해서 역대 최악의 선구안[14]을 자랑한다. KBO 리그 선수들 중에서도 선구안이 나쁘기로 유명한 박종윤, 이성규 등과 비견될 정도로 선구안이 극도로 나쁜데, 패스트볼을 상대로는 그나마 사람다운 선구안을 보이지만 변화구나 오프스피드 피치 대처 능력은 아예 없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에 비해 기교파 투수들이 많은 일본에서 애를 먹은 이유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였다. 즉 투수들이 변화구만 주야장천 던졌을 때의 대처능력은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는 타자다.

이로 말미암아 3-4푼 정도의 타출갭과 극악의 볼삼비로 매우 나쁜 타격 생산성을 기록하기 때문에 21세기 현대야구에서는 절대 중용받기 어려운 선수였으나, 그래도 멀티플레이어에 펀치력이 있어 담장을 가끔 넘길 수 있는 일발장타능력을 인정받아 백업요원으로는 충분히 활용가치가 높았다. 덕분에 파레디스는 메이저에서 자신의 타격능력에 비해 많은 타석을 부여받았으나 좋은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특히 본인의 첫 풀타임 시즌이었던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의 2015시즌은 파레디스를 왜 풀타임 주전 선수로 기용해서는 안되는지를 철저히 증명해낸 시즌이 되고 말았다. 10홈런 42타점 .275로 표면적 성적은 나쁘지 않았으나 역시 출루율은 3할 초반대에 불과했고, 장타력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것도 애매한 수준이라 크게 타격에서의 장점을 어필하지 못했다. 그렇다고 수비가 안정적인 것도 아닌데, 우익수 포지션의 다른 선수들이 다들 어딘가 아쉬운 점이 있어서...[15]

한국 야구에서도 초반부터 부진에 빠진다면 2군에 보낼 필요 없이 바로 계약을 해지하는 것이 더 나은 옵션으로 보이는데, 그 이유는 당연히 파레디스의 이런 습관화된 타격 접근법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공을 많이 보는 타입이 아니고, 비슷하면 나가는 스타일인데 정말 어이없는 공에도 방망이가 나갈 정도로 헛스윙 비율이 너무나도 높기 때문. 이런 기본적인 타격 자세는 2군에 다녀온다고 마법같이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여기가 닉 에반스와의 가장 큰 차이점인데, 에반스가 풀스윙 일변도로 나가면서 삼진이 많지만 컨디션이 중간 이상 갈 때는 자신의 존을 확실히 잡아 놓고 그 안에 들어오는 공만 휘두르기 때문에 볼넷도 많아서 타율 대비 출루율이 높았다.[16] 때문에 2016시즌 초반에 삽질을 하다가 2군에 갔다 오면서 감을 어느 정도 찾고 나니 반등할 수 있었던 것이다.

덕분에 기록을 살펴보면 처참한 볼삼비를 자랑하는데, 메이저 통산 49볼넷 287삼진이라는 눈 뜨고 볼 수 없는 볼삼비를 보여주었다. 커리어하이 시즌이었던 볼티모어 시절에도 19볼넷 111삼진. 참고로 파레디스는 마이너리그에서도 볼삼비가 안 좋았다. 마이너 통산 137볼넷 584삼진.

수비에서는 외야에서는 중견수를 빼고, 내야에서는 전 포지션 소화가 가능한 멀티플레이어다. 하지만 수비력이 딱히 뛰어난 것도 아니다. 메이저리그 시절에는 3루와 우익수를 많이 봤는데, 3루수로서는 9할 2푼대의 수비율을 보였고 우익수로도 단 61경기에 선발출장했으나 4번이나 실책을 범했을 정도로 수비 능력이 좋지 않다. 특히 코너 외야수가 겨우 60-70경기 나와 실책을 네 번이나 했다는 것은 아주 심각한 수준이다.[17][18] 내야 수비는 더 심각한데 감독의 말로는 파레디스가 내야수로 출장하는 경우는 팀에 심각한 재앙이 생겼을 때만 가능하다고 할 정도로 수비 수준이 떨어지는 걸 알 수 있다. 한마디로 멀티 플레이어라는 것도 그냥 그 포지션에서 뛸 수 있는 정도일뿐 그 이상의 수비력은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것. 딱히 메이저리그라고 수비 스탯이 나쁜 것은 아니고 마이너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한 마디로 아무것도 못하는 KBO 역대 외국인 중 최악의 먹튀 반열에 드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

마이너리그 시절 주루 기록을 보면 원래는 30~40개의 도루가 가능한 리드오프형 타자였던 것 같다. 커리어하이는 싱글A 시절 기록한 1시즌 50도루. 또한 어느 시즌에는 20도루 이상을 하면서 도루자가 1개일 정도로 주루센스는 나름 있는 듯. 그러나 이거 다 옛날 애기고, 최근 3년 동안은 10도루도 못했다.

치바 롯데 마린즈 시절에는 성적만 좋았으면 간판스타가 됐을텐데... 성적이 똥이네 하면서 야못착 취급받았다. 그러나 두산에서는 2군 내려가서 하라는 야구는 안하면서 페북에서 놀러다니는거 자랑질이나 하고[19][20] 본인 실책으로 교체당하며, 동료들의 격려를 받으면서도 글러브를 패대기치는 걸 봐선[21] 인성이 좋은지도 의심스럽다. 친화력는 좋은 듯 싶지만 성실성은 영 아니다. 일본인들이 사람을 잘못 본 건지 2018년 들어 사람이 확 바뀐 것인지는 몰라도 인성이 좋다고 말하긴 어렵다.

결국 두산은 2019년 호세 미겔 페르난데스를 영입하면서 외국인 타자 숙제를 해결했다. 2018년 파레디스가 타석에서 선풍기, 붕붕스윙을 시전하던 모습을 보던 두산팬들은 공을 끝까지 보고 볼넷으로 출루하는 경우가 많은 호미페를 보면서 개안하는 중.

4. 여담

  • 인스타그램도 있는데 시범경기 전에는 몇 번 인스타라이브를 하기도 했고, 두산 이적 이후 BEARS TV 영상 및 시범경기 생중계를 보면 폭풍 친화력을 보여주고 있다. 헨리 소사의 인스타그램에도 외국인선수모임 참석자로 뜨기도 했다.
  • 2016년 스프링캠프 때 김현수와 한솥밥을 먹었다. 그러나 김현수는 개막전 25인 로스터에 들었고 파레데스는 개막전 때 DL에 올랐다가 한 달만에 방출을 당했기 때문에 둘의 친분이 생겼는지는 미지수.
  • 좋아하는 음식으로 콩과 고기를 꼽았다.
  • 가보고 싶은 여행지로 두바이를 꼽았다.
  • 치바 롯데 시절 팀메이트 맷 더피가 가장 친한 사람으로 꼽았다. 그러나 본인은 자신은 팀원 모두와 친하다고 했다.
  • 타격폼이 로빈슨 카노와 굉장히 흡사하다. 거의 복붙 수준. 이는 해외에서도 많이 알려져 있다.
  • 처음 문서가 만들어질 때 문서 이름은 스페인어 표기법에 맞춘 지미 파레스였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파라데스[23]로 부르고 한국에서는 파레디스로 부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 이름으로 부르는 사람은 MLB나 NPB를 통해 파레디스를 이미 알고 있던 한국팬들이 끝.
  • 2018년 3월 25일 삼성과의 홈경기가 끝나고 전동킥보드를 타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사진 전임자 닉 에반스도 전동킥보드를 타고 출퇴근했다고.
  • 일본 프로야구 팬들 중 파레디스 유니폼을 판 사람들이 자조적으로 자신들을 '전일본 파레디스 유니폼 모임(全日本パラユニの会)'라고 칭하는 편이다.[24] 치바 롯데 팬들 사이에서는 반쯤 드립소재.
  • 스위치 히터라면서 일본에서 친 홈런 10개는 모두 좌타석이었다.
  • 방출 이후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두산 잠바를 입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어 두산 팬들이 쓴웃음을 지었다.
  • 방출 이후 파레디스의 응원가는 팀 응원가로 재활용(?)되고 있다. 제목은 '우리의 베어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지미 파레디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a1748><tablebgcolor=#1a1748>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두산 베어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파일:미국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2)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3)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일(2) 파일:미국 국기.svg
베넷(3)(2) 파일:호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d700>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이리키 파일:일본 국기.svg
쿨바(2)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3)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3)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어(3)(2)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1) 파일:미국 국기.svg
세데뇨(3)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왓슨(2) 파일:미국 국기.svg
니코스키(3)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르난도(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프록터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올슨(3)(2) 파일:미국 국기.svg
핸킨스(3)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볼스테드(2)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3) 파일:쿠바 국기.svg
칸투 파일:멕시코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2) 파일:쿠바 국기.svg
스와잭(3) 파일:미국 국기.svg
루츠(2) 파일:미국 국기.svg
로메로(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파레디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반슬라이크(3)(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플렉센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파일:쿠바 국기.svg
로켓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2) 파일:쿠바 국기.svg
브랜든(3) 파일:미국 국기.svg
스탁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rowcolor=#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딜런(2)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3)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발라조빅(3)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랜든 파일:미국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니퍼트(5)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제러드(3) 파일:캐나다 국기.svg
콜어빈 파일:미국 국기.svg
해치(1) 파일:미국 국기.svg
잭로그(3)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브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은퇴식 특별 엔트리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지미 파레디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44번}}}
에반스
(2016~2017)
파레디스
(2018~2018. 5. 31.)
반슬라이크
(2018. 7. 6.~2018)
}}} ||
}}} ||
[1] 메이저리그 초기에는 2루수3루수, 메이저리그 중후반에는 외야수, 지명타자, 치바 롯데에서는 1루수, 지명타자. 단, 좌익수우익수를 본다. 투포수 빼고 다 볼 수 있다는 말이다. 두산에선 외야수1루수를 보았다.[A] 애틀란틱 리그[A] 애틀란틱 리그[A] 애틀란틱 리그[A] 애틀란틱 리그[A] 애틀란틱 리그[A] 애틀란틱 리그[A] 애틀란틱 리그[9] 에스펠 사테 파레이디 에스펠 사테 파레이디 라라 라라라라 라라라라 라라라라라~[10] 원피스의 오프닝으로 쓰인 적이 있다.[11] 파~레~디스~ 두산의~ 파레디스~ 오오~ 오오~ 오오~오 두산의 파~레~디스×2[12] 본인이 듣고 마음에 든다고 하였다. 팬들도 다른 건 몰라도 응원가만큼은 잘 뽑았다는 반응. 파레디스 방출 이후에는 '우리의 베어스'라는 응원가로 개사해서 쓰고 있다. 응원가 원툴 용병[13] 정확히 말하면 외야수는 중견수 빼고 소화 가능하다. MLB에서는 2루수, 3루수, 좌익수, 우익수로 출장했었다.[14] MLB 주전급 중 최악의 선구안인 하비에르 바에즈와 비슷하다.[15] 정진호가 그나마 좀 괜찮은 편이지만 우익수로 쓰기엔 타격툴이 아쉽고, 조수행이나 백민기는 수비는 되지만 타격이 갈길이 멀고, 국해성이우성은 타격툴에 비해 수비가 영 별로였다.[16] 페이스가 좋지 않았던 2016시즌 극초반이나 2017시즌 후반기는 예외.[17] 게다가 외야수는 정말 어지간히 뇌를 놓은 플레이를 하지 않는 이상 실책이 주어지지 않는다.[18] 일본 시절에는 좌익수로 나가 만세수비를 보여주면서 1점을 내준 적도 있다. 문제는 그 1점이 결승점이라 롯데는 1:0으로 패했다는 것이다.[19] 5월 말 잠실야구장에 가장 먼저 출근하고 가장 늦게 퇴근했다는 언플기사가 올라왔으나 두산팬들은 그간의 행적으로 인해 오히려 고개를 젓는 중.[20] 일본 시절에는 올스타 브레이크 때도 쉬거나 놀러다니지 않고 코치들이랑 훈련만 했다고 한다. 그래서 일본 시절에는 성실성 면에서는 크게 안 까였다.[21] 기사에 따르면 글러브를 패대기친 것에 감독이 의외로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았다고 한다.[22] 이로부터 5년 후, 브라이언 오그레디가 무려 파레디스보다 못하는 성적을 기록하며 파레디스 밈은 잊혀지고 오그레디 밈이 유행 중이다.[23] 다만 치바 롯데 응원단은 실제 발음을 고려해 파레이디ㅡ 라고 불렀다.[24] 개중에는 응원단 멤버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