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2:09:07

임병욱

임뱅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렁큰 타이거의 전 멤버에 대한 내용은 DJ 샤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임병욱의 2024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임병욱/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2024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2 이주형 · 15 이용규 · 27 도슨 · 33 원성준
· 35 임병욱 · 57 박주홍
2군
9 송재선 · 14 박수종 · 23 예진원 · 25 주성원
· 36 이형종파일:부상 아이콘.svg · 48 박찬혁 · 56 변상권 · 61 장재영
· 03 박채울· 101 우승원 · 104 안겸
최종 편집: 2024년 6월 7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입대선수등록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임병욱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2010년(1) 2011년(1) 2012년(1) 2013년(1)
강윤구 김건태(1) 윤지웅(1) 한현희(1) 조상우(1)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임병욱 최원태 주효상 이정후 안우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
박주성 박주홍 장재영 주승우 김건희(1)
2024년(1)
전준표(1)
김윤하(1)
(1) 전면 드래프트 시행연도
(2) 지명 후 미입단
}}}}}}}}}

임병욱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2023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svgKBO 준플레이오프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6 1997 1998 2000 2001
김인호
현대 유니콘스 / 내야수
김상엽
삼성 라이온즈 / 투수
김재현
LG 트윈스 / 외야수
가르시아
삼성 라이온즈 / 투수
홍원기
두산 베어스 / 내야수
2002 2003 2004 2005 2006
최동수
LG 트윈스 / 내야수
김원형
SK 와이번스 / 투수
홍성흔
두산 베어스 / 포수
최영필
한화 이글스 / 투수
고동진
한화 이글스 / 외야수
2007 2008 2009 2010 2011
류현진
한화 이글스 / 투수
진갑용
삼성 라이온즈 / 포수
김동주
두산 베어스 / 내야수
용덕한
두산 베어스 / 포수
정근우
SK 와이번스 / 내야수
2012 2013 2014 2015 2016
정대현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최준석
두산 베어스 / 내야수
최경철
LG 트윈스 / 포수
이현승
두산 베어스 / 투수
오지환
LG 트윈스 / 내야수
2017 2018 2019 2020 2021
해커
NC 다이노스 / 투수
임병욱
넥센 히어로즈 / 외야수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 내야수
오재원
두산 베어스 / 내야수
정수빈
두산 베어스 / 내야수
2022 2023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투수
김영규
NC 다이노스 / 투수
* 준플레이오프는 1989년에 시작했지만, MVP는 1995년부터 수상하기 시작했다. 1999년은 양대리그제로 준플레이오프 미개최.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46번
박동원
(2013)
<colcolor=#FFFFFF> 임병욱
(2014~2017)
김수환
(2018~2021)
넥센 /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0번
김태완
(2017)
<colbgcolor=#B07F4A> 임병욱
(2018~2020)
예진원
(2021~2021.8.24.)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35번
조영건
(2021)
임병욱
(2022~)
현역
}}} ||
}}} ||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키움 히어로즈 No.35
임병욱
林秉昱 | Lim Byeongwook
출생 1995년 9월 30일 ([age(1995-09-30)]세)
경기도 화성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수원신곡초 - 배명중[1] - 덕수고
신체 193cm | 94kg
포지션 내야수(유격수, 1루수)[2]외야수(중견수)[3]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4년 1차 지명 (넥센)
소속팀 넥센-키움 히어로즈 (2014~)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1년 3월 22일~2022년 9월 21일)
연봉 7,000만원 (20.7%↑, 2024년)
등장곡 Sia - 《Unstoppable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응원가 구단 자작곡[가사]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소속사 MVP스포츠
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
5.1. 야구 관련5.2. 개인 관련
6. 별명7. 응원가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IMG_79175.jpg
이 선수가 바로 임병욱입니다!!!
한명재 캐스터, 2016년 5월 8일 KIA전 9회말 동점 홈런(연타석 홈런) 콜
키움 히어로즈 소속 외야수.

2014년 유일한 야수 1차 지명으로 넥센 히어로즈에 입단하였다.[5] 선구안과 컨택 능력이 부족하여 타격에서 약점이 뚜렷하며 이를 뛰어난 신체와 운동 능력을 살린 파워와 수비, 주루로 메워내야 하는데 부상이 잦아 온전히 펼치는 데 한계가 있는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임병욱/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군 복무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임병욱/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연도별 주요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임병욱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14 넥센-키움 1군 기록 없음
2015 40 52 8 1 1 1 13 3 2 9 23 .186 .327 .326 .653 73.6 -0.15
2016 104 265 58 11 1 8 43 24 17 25 82 .249 .324 .408 .732 75.5 0.59
2017 21 46 10 3 0 1 10 7 2 3 14 .238 .283 .381 .664 62.1 0.09
2018 134 447 124 29 3 13 76 60 16 22 119 .293 .327 .468 .795 96.3 2.14
2019 117 419 92 17 5 0 39 41 10 23 110 .243 .305 .314 .619 69.1 0.57
2020 12 41 10 4 0 0 3 6 3 4 10 .270 .342 .378 ,719 89.2 0.21
2021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2 1군 기록 없음
2023 80 223 54 11 1 6 30 36 4 10 75 .260 .293 .409 .701 95.5 0.47
KBO 통산
(7시즌)
508 1493 356 76 11 29 214 177 54 96 433 .261 .314 .396 .711 82.6 3.9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임병욱의 역대 포스트시즌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16 SP 넥센 히어로즈 4 12 .100 1 0 0 1 1 1 0 2 4 .250 .400 .650 51.1 -0.06
2018 WC 1 4 .500 2 0 1 0 1 1 0 0 0 .500 1.000 1.500 262.3 0.10
2018 SP 4 17 .364 4 1 0 2 5 8 0 4 4 .588 1.000 1.588 276.1 0.35
2018 PO 5 20 .250 5 2 0 0 4 3 0 0 7 .250 .350 .600 41.0 -0.06
포스트 시즌 통산
(2시즌)
<rowcolor=#191919> 14 53 .267 12 3 1 3 11 13 0 6 15 .377 .578 .955 135.7 0.32

5. 여담

5.1. 야구 관련

  • 데뷔 첫 번째 안타, 포스트 시즌 첫 번째 안타가 둘 다 모두 솔로 홈런이다.

  • 히어로즈 소속으로 친 첫 번째 안타도 홈런이다. 2014년 3월 14일 시범경기, 목동에서 SK 와이번스 윤희상을 상대로 대타 역전 쓰리런을 쳤다.
  • 2016년 첫 번째 포스트시즌 홈런 그리고 고척 스카이돔의 개장 후 첫 번째 포스트시즌 홈런 주인공이다.
  • 2017 그리고 2018 시즌 본인 생일인 9월 30일에 2년 연속으로 홈런을 쳤다.
    • 2017년 9월 30일은 창원 마산 구장에서 NC 다이노스 이재학 상대 9회의 2점 홈런이었고, 2018년 9월 30일은 고척 스카이돔에서 역시 NC 다이노스 로건 베렛 상대 6회의 2점 홈런이었다.[6]
  • 야구는 초등학교 4학년 때 아버지의 권유로 시작했다고 한다. 수영을 교통사고로 쉬다가 호기심에 따라 나갔는데 처음엔 분위기가 낯설고 무서워서 안 하려고 했다가, 일주일만 해보자는 말에 계속 했는데 점점 재밌어졌다고 했다.#
  • 국가대표로 출전한 2013 제26회 U-18 BFA 야구선수권대회 영상 그리고 2016 제 1회 WBSC U-23 야구 월드컵에서 각각 홈런을 기록했다. 영상[7]
  • 경기 전 애국가가 끝나면 스스로 주문을 건다고 한다. “오늘도 다치지 말자, 오늘도 아프지 말자” 기사
  • 2018 시즌 시작 전 버킷리스트를 만들었고 라커에 붙여두었으며, 인터뷰에서 부모님이 자랑스럽게 야구장 찾아오실 만한 실력을 갖게 하자는걸 지킨거 같아서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구단 유튜브 영상 2019 시즌 전 인터뷰
파일:IMG_018634.jpg
  • 2018 시즌 8월, 라이언 피어밴드를 상대로 친 타구 속도 166km 비거리 135m짜리 대형 홈런으로 kt wiz 파크의 전광판 단자가 잠시 나갔다 돌아온 적이 있다.영상
파일:180804.gif
  • 2019 시즌 7월 SK 와이번스와의 경기 종료 후 마지막 아웃 카운트를 본인이 중견수 뜬공으로 잡았는데 장정석 감독의 200승 기념구인 것을 잊고 관중석으로 던져 이정후가 관중석으로 다가가 다시 가져오기도 했다.# 다음 날 “작년에 우리 팀에서 뛰었던 불펜 포수 동생들이 왔다. 경기 끝나고 공을 달라고 해서 반가운 마음에 아무 생각없이 공을 던져줬다. 그리고 곧바로 200승 공을 챙겨야 한다는 것이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파일:IMG_1008.gif
  • 2019년 외야 수비에 관한 채널A 쇼미더스포츠 뉴스에 인터뷰로 출연했다.#

5.2. 개인 관련

  • 어릴 때 수영을 배워서 어깨가 굉장히 넓다. 접영을 1년정도 했는데, 도 대회에 나갈 정도였다고 한다. 6학년 때도 야구를 하다가 메달을 딴 적이 있다고 한다.[8] 동기 김하성의 말에 따르면 샤워할 때 뒤에서 보면 완벽한 역삼각형이라고.
  • 키가 크고 다리가 길어 비율이 굉장히 좋다.
파일:IMG_834876.gif
파일:IMG_0252.gif
  • 넥센 히어로즈의 2군 구장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가 소재했었던 화성시가 고향이다. 그런데 고교시절 화성에서 덕수고등학교까지 매일 시외버스를 타고 편도 2~3시간을 훌쩍넘는 거리를 통학했다고 한다.[9] 그리고 경기도에서 서울으로 전학을 왔기 때문에 1년 동안 경기 출전이 불가능한 상태라 경기는 나가지 못하고 선배들 뒷바라지를 하며 남들이 야구하는 모습을 보기만 하면서 빨리 야구를 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1년을 기다렸다고 했다. 인터뷰
  • 성격이 감성적이다. 과거 인스타에 감성글을 올린 적 있는데 내용도 훈훈하고 생각보다 필력도 좋다.
파일:IMG_01852.jpg
파일:IMG_019490.jpg
  • 계속된 부상에 개명을 권유하는 지인도 많았지만 "이름을 바꾼다고 한들 바뀌는 것이 있을까 싶다. 내 인생은 내가 개척해 나가야 하는 것이고, 바뀌어야 하는 것은 이름이 아닌 내 자신"이라고 밝히면서 "그런 것에 기대기보단 좀 더 부지런해지려 한다"라고 인터뷰를 했다.
  • 글러브에 LUCETE라는 자수가 박혀있다. 라틴어로 밝게 빛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본인의 신념이라고 한다. 1 2 3
파일:IMG_018890.jpg
파일:IMG_88555.jpg
  • 2019년 한국시리즈 3·4차전이 열린 날 부상(무릎 수술)으로 뛸 수 없었지만 응원하고 싶어서 고척돔을 찾았다고 한다. 경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많이 떨렸다고 했다.
  • 2021 신인 선수들에게 조언을 남겨준 적이 있다. 영상
파일:IMG_858598.jpg
  • 2020 시즌 개막 전에 경기도 온라인 평생 학습원에서 생활 체육 야구 강사로 출연했다. 지금도 여기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다.
파일:임병욱과함께하는하우투야구_450x388.jpg
  • 제이크 브리검이 팀에서 영어 실력이 가장 좋은 선수가 누구냐는 말에 고른 두 명의 선수 중 한 명이다. 나머지 한 명은 장영석. 영상
  • 같은 덕수고등학교 출신인 임지열[10]과 친하다. 넥센 입단 이후에는 95년생 2014 드래프트 동기인 임지열, 임병욱, 하영민, 김하성 네 명이서 친하게 지낸다. 김하성에 의하면 뭘 하든 붙어다닌다고 한다. # 김하성과는 박수쳐주기보다 놀린다고 2018년 인터뷰에서 말했다.[11]
  • 2020 시즌 스프링캠프 김하성, 이정후의 구단 유튜브 브이로그에 룸메이트 김웅빈과 함께 큰 지분으로 출연하였다. 1편 2편 3편 그리고 3월 5일 스프링캠프 연습경기 코멘터리에서 이정후가 팀의 키플레이어라고 언급하였다. 영상
  • 덕수고 야구부 시절의 친구였던 김하민이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진학 후 야구를 접자 김하민을 설득해서 다시 야구를 하게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김하민은 1차 지명자였던 친구와 다르게 고졸 때도 대졸 때도 미지명되고 말았다.
  • 상무 피닉스 야구단 시절이던 2022년 5월 휴가에 고척돔을 방문한 영상이 있다. “집이 근처라 휴가 때마다 구단에 들르면 감독님, 코치님들이 '항상 준비 잘하고 있어, 좋은 모습으로 보자'고 말씀해주셨다.” 라고 한다.
  • 팬 서비스가 굉장히 좋다. 2015년 그를 알아본 직관러가 싸인을 요청하자 "예?! 저를 아세요?" 하고 놀라워하며 싸인을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 후로도 현재까지도 꾸준히 사진도 잘 찍어주고 굉장히 친절하게 싸인이나 인사를 해준다는 글이 트위터 그리고 키움 히어로즈 갤러리에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미담
  • 2020년 내일은 히어로에서 응원해주는 사람이 있어서 돈도 벌고 행복하게 야구를 할 수 있다, 피곤해도 좋은 기를 받기도 하니까 최대한 다 해주는 스타일이다 라고 말하고 감사함을 전했다.
  • 가장 잘 만드는 요리는 김치찜이라고 한다.
  • 당근이랑 콩 빼고 가리지 않고 잘 먹는다고 한다.
  • 0 이라는 등번호는 안 다치기 위해서, 그리고 이름에 ㅇ 글자가 많기 때문에 골랐다고 한다.
  • 2015 스프링 캠프에서 성대모사 장기자랑을 한 적이 있다.
  • 구단 유튜브에서 야수조 게임 활동을 할 때 몸으로 말해요 출제자가 된 적이 있다.
  • 2019년 6월 덕아웃에서 소세지를 먹던 모습이 중계에 잡혔다. 영상
파일:IMG_0468.gif
  • 혹시 돌아가고 싶은 때가 있다면 언제인지 묻자 “초등학교 4학년 때”라는 의외의 답을 내놓았다. “야구를 시작할 때부터 몸 관리 방법을 알았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물론 우스갯소리다. 지금의 제가 좋다. 많은 부상과 슬럼프까지 모든 게 쌓여서 지금의 제가 성숙해지지 않았나 싶다”라는 인터뷰를 했다.
  • 상무 입대 전 머리를 기르고 탈색과 염색을 한 적이 있다.[13]
  • 2023년 4월 16일 이정후가 KIA전에서 끝내기 홈런을 쳤을 때 이정후가 던진 헬멧을 받았다.
파일:IMG_0487.gif
  • 형이 있고 막내이다.
  • 2024년 5월 27일 비야인드에서 정세영 기자가 2군에 내려가 있을 때에도 요령 절대 피우지 않고, 어린 선수들과 땀을 흘리면서 열심히 노력하는 선수이기 때문에 포텐 터질 것 같은 선수라고 선정했다.#

6. 별명

  • 2014년 이장석의 거금을 주고 데려왔다는 시범경기 멘트 이후 '임거금', ‘거금이’ 라는 별명이 생겼다.
  • 넥센 히어로즈 갤러리에선 잘할 땐 "병욱이 하고 싶은 거 해" 라고 부르지만, 못할 땐 "임병욱은 군대가 딱이야" 라며 임군딱 내지는 그냥 군딱이라고 부른다. 잘 할 때는 1군딱, 임국딱으로 격상된다.
  • 좋은 활약을 할 때는 팬들이 병욱단 점호를 하기도 한다.[14]
  • 히어로즈의 첫사랑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기사 출처
  • 이름에 병 자가 들어가서 다른 선수처럼 이름을 줄인 임뱅이라는 별명도 있다.

7. 응원가

▲ 임병욱 응원가
넥센 임병욱 오오오 안~타! 임병욱!
ABBA - 《Ring, Ring》[2015]
넥센의 임병욱 넥센의 임병욱! 워어 히어로즈 임병욱
지누션 - 《말해줘》[2014]
히어로 임병욱~ 누구보다 빛나는 너잖아~ 히어로 임병욱 워어어~ 승리를 위해 날려버려 임병욱!
울랄라세션 - 《너와 함께》[2016]
날려라 히어로 임!병!욱! 뜨거운 열정의 임!병!욱! 히어로즈 임병욱 임병욱 임병욱 히어로즈 임병욱 워어어어어!
프란츠 슈베르트 - 《군대 행진곡》[2017~2019]
임~병욱(짝짝짝짝) 임~병욱(짝짝짝짝) 히어로즈 승리를 위하여 하나되어 외쳐보자(짝짝짝짝) ×2
구단 자작곡[2020~, 현재 사용하는 응원가이다.]

8. 관련 문서



[1] 매송중에서 전학[2] 2015 시즌 중반에 외야수로 전향했다.[3] 외야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다.[가사] 임~병욱 (짝짝짝짝) 임~병욱 (짝짝짝짝) 히어로즈 승리를 위하여 하나되어 외쳐보자 (짝짝짝짝) ×2[5] 고등학교 때 유격수로 뛰었고 지명 당시에도 내야수였지만 키가 계속 자라면서 내야수로 뛰기에는 사이즈가 커졌고, 부상을 당한 사이 동기인 김하성이 주전 유격수를 꿰차게 되고, 그 외에도 팀에서 내야수 자원들을 모으면서 2015년, 외야수로 전향하게 되었다.[6] 2015, 2016 시즌에는 9월 30일에 소속 팀의 경기가 없었고, 2019, 2020, 2022, 2023 시즌은 생일 전에 부상으로 시즌 아웃되었다. 2021시즌은 군 입대.[7] 홈런 타석 장면을 보고 싶다면 2시간 48분부터 보면 된다.[8] 3분 8초부터 나온다.[9] 일반적으로 화성에서는 서울에 있는 학교를 다닐 시 99% 이상 자취나 기숙사를 선택한다. 거기에 주말리그로 인해 주말마다 집에 꼬박꼬박 돌아가는 학생도 생각보다 많지 않다.[10] 개명 전 임동휘[11] 임병욱은 "서로 박수쳐주기보다 놀린다. 그래도 친구와 함께 시리즈를 치르니까 재미있다. 서로 놀리고 하면서 긴장도 더 풀리고 재미있다"며 소감을 밝혔다. 김하성 역시 “좋다. 정말 좋다. 같이 하니까 재미있다"고 말하며 "지금 이번 시리즈 뿐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같이 할 거니까 좋다"고 말했다.[12] 같은 초등학교를 나왔는데 수비 연습을 하다가 공에 코를 맞았다는 이야기를 했다.[13] 파일:IMG_034300.jpg[14] 팬이 많다는 뜻에서 백만스물하나같은 큰 숫자부터 시작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