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7:40:32

인천 버스 77-1, 77-2

인천 버스 77-2에서 넘어옴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77-1.jpg 파일:external/cb1f62d9b5b9d1813a063a91ceb7722539d57eb08c517a01b7cca26961dbce8f.jpg
77-1번 77-2번
[1]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77-1번4.2. 77-2번
5. 연계 철도역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7-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인천 77-1, 77-2번 노선도.png
기점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청라복합환승센터) 종점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인천여객터미널)
종점행 첫차 05:20 기점행 첫차 05:20
막차 23:05 막차 23:30
배차간격 35분
운수사명 영풍운수 인가대수 2대
노선 청라복합환승센터 - 해원중학교 - 반도유보라 - 한양수자인 - 청라동문굿모닝힐 - 청라국제도시역 - 인천체고입구 - 인천여객터미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7-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인천 77-1, 77-2번 노선도.png
기점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청라복합환승센터) 종점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세어도선착장)
종점행 첫차 10:35 기점행 첫차 11:25
막차 15:15 막차 16:30
배차간격 1일 2회
운수사명 영풍운수 인가대수 0대[2]
노선 (77-1번과 동일) - 세어도선착장

2. 개요

영종운수에서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0.1km(77-1번), 35km(77-2번)였다.

3. 역사

  • 서구의 열악한 교통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5년 3월 31일에 1기 77번에서 분리 신설하였다. 차량은 7번 단축분 2대와 77번 분리분 1대를 차출해 왔으며, 당시에는 경서동 태평아파트에서 출발해 서인천세무서, 서구보건소, 가정오거리를 거쳐 가좌홈플러스까지 일직선으로 쭉 내려오는 노선이었다. HWP 파일
  • 2011년 2월 28일부터 효성고가차도와 서구문화회관을 경유하는 'ㅏ'자 노선이 되었다. 이 구간은 나중에 42-2번이 그대로 물려받았다.
  • 2011년 7월 15일에 2대가 감차되었다.
  • 경인운하 인천터미널(정서진)이 개장하면서 2011년 10월 28일에 '경서동 - 검암역 - 인천여객터미널' 구간이 연장되었다. 동시에 77번에서 2대를 빼와 투입하였다.
  • 2012년 8월 13일에 '검암역 - 가좌홈플러스' 구간을 42-2번에게 물려주고 단축되었으며, 202번으로 5대가 차출됨에 따라 1대로만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다. 배차간격이 85분까지 늘어났지만 '검암역 - 정서진' 간 무료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 2012년 10월 30일에 42-2번에서 1대를 차출해 왔다.
  • 2014년 7월 17일에 노선이 완전히 변경되었는데, 청라국제도시역을 경유하고 청라복합환승센터에서 회차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노선 길이로 따지면 이전보다 더 줄어든 셈. 여기에 정서진과 가장 가까운 청라국제도시역과 바로 연계되는 노선이 되었다.
  • 2014년 8월 1일에 한양수자인과 동양엔파트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4년 10월 27일에 77-2번이 분리 신설되었다.
  • 파일:external/65c92fc389a1db302ef2c71985d9e4a999c6d08076287f4335d569f3dd7ffa58.jpg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77-1번, 77-2번 두 노선 모두 폐선되었다. 대체 노선은 44번202번이다.

4. 특징

  • 세어도 선착장을 이어주는 노선이다.

4.1. 77-1번

  • 이 노선 운행 차량 중 1대가 77-2번으로 세어도선착장 노선 지원운행을 나갔다.
  • 과거 노선은 42-2번이 계승하였으나, 42-2번 마저도 2020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폐선되면서 나눠졌다.
  • 2021년 현재는 44번이 거의 대부분의 구간을 계승하고 있다.

4.2. 77-2번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 77-1번 차량 중 1대가 시간대에 맞춰 지원운행을 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위 사진처럼 LED는 77-2번으로 바뀌어 운행한다.[3] 그리고 '세어도선착장'이라고 쓰여진 판을 달고 운행했었다.
  • 운행하는 시간은 세어도 배편에 따라 변경되었다.
  • 종점인 세어도선착장은 강화로 가는 길목에 있으며 주변에는 아무 것도 없다. 2016년 7월 30일에 신설된 700-2번이 이 길을 거쳐 강화로 갔으나, 2018년 9월 15일에에 폐선되며 구.세어도선착장을 대중교통으로 갈 수 있는 방법은 없었으나, 현재는 44번을 이용하여 갈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에 존재한 철도역만 기재함.

6. 관련 문서



[1] 두 차량 모두 현재 202번에서 운행 중이다.[2] 77-1번 차량으로 1대 운행.[3] LED가 없던 시절에는 그냥 77-1번 스티커를 가리지 않고 그대로 붙인 채 운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