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5:14:51

인천 버스 760, 760-1

인천 버스 760에서 넘어옴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인천760_뉴비.png 파일:태양760-1번_뉴비시티.png
760번 760-1번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사건사고6.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60번
기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삼산동차고지) 종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삼산동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23:30 막차 -
배차간격 35분
운수사명 태양여객 인가대수 8대
노선 삼산동차고지 → 삼산주공1단지 → 신성미소지움 → 삼산월드체육관 → 부개여고 → 부개역인천성모병원동수역 → 부평사거리 → 백운역 → 인평자동차고 → 청천치안센터 → 갈산역 → 갈산태화아파트 → 삼산농산물시장 → 휴먼시아1단지 → 삼산동차고지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760-1번
기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삼산동차고지) 종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삼산동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23:30 막차 -
배차간격 35분
운수사명 태양여객 인가대수 8대
노선 삼산동차고지 → 휴먼시아1단지 → 삼산농산물시장 → 갈산태화아파트 → 갈산역 → 청천치안센터 → 인평자동차고 → 백운역 → 부평사거리 → 동수역인천성모병원부개역 → 부개여고 → 삼산월드체육관 → 신성미소지움 → 삼산주공1단지 → 삼산동차고지

2. 개요

태양여객에서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7.3km였다.

3. 역사

  • 부평구에서 대중교통이 좋지 못한 곳들을 연결하기 위해 2005년 8월에 신설했다. 당시에는 태양여객과 같은 계열인 부평버스에서 운행했으며, 기점은 미래타운3~4단지였고, 번호는 내선순환이 760번, 외선순환이 760(갈산동)이었다.
  • 일자 미상 태양여객으로 넘어갔다.
  • 2011년, 행선지 번호 혼동을 줄이기 위해 내선순환에 760번, 외선순환에 760-1번을 부여하였다. 당시 행선지 번호는 똑같이 표기했기 때문에 번호를 통한 도착안내 메시지 서비스 이용시 불편이 있었기 때문이다.
  • 2012년 11월 1일에 기점이 미래타운1~2단지(760번), 후정초교(760-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7월 말 쯤에, 지선버스만 정차하던 삼미타운, 비전교회 정류장이 14-1번, 20번과 함께 정식으로 인가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 개편으로 폐선되었다. 대체 노선은 부개1동(동수로 구간 한정)-청천동 구간은 14-1번[1], 삼산1동-갈산역 구간은 34번, 526번, 555번이고, 갈산역-산곡동은 67-1번으로 대체되었다. 부개3동-희망천은 한동안 대체노선이 없었다가[2] 2021년 6월 26일에 562번을 신설함으로써 해결된다.

4. 특징

  • 희망천입구부터 삼미타운(비전교회)까지는 526번, 561번과 겹친다. 다만 이 노선은 바로 부개고가교로 넘어가고 526번은 중간에 항동로로 빠져서 일신동과 구산동을 돌고 부개고가교로 진입하며, 561번은 부개고가교가 아니라 경인로로 빠진다.
  • 특이하게도 2011년식 NEW BS106이 운행하였다. 해당 차량은 시제차량이었다.

5. 사건사고

2011년 6월경에 부개동에서 달리고 있던 760번 버스가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로 전소되었다.

6.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하지만 2020년 개편으로 14-1번도 부개1동 구간이 바뀌어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한다.(부개1동행정복지센터에서 항동로 경유로 변경)[2] 대체재로 79번이 연장되었으나 삼산동까지 직진만 하며 성모병원에서 노선이 끊긴다.[3] 부평사거리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