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 과학 연구 · 실험 Scientific Research · Experiment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000,#fff> 배경 | 과학적 방법 | ||
기반 | 수학(미적분학 · 선형대수학 · 미분방정식) · 통계학(수리통계학 · 추론통계학 · 기술통계학) | |||
연구·탐구 | 논증(귀납법 · 연역법 · 유추(내삽법 · 외삽법)) · 이론(법칙 · 공리 · 증명 · 정의 · 근거이론 · 이론적 조망) · 가설 · 복잡계(창발) · 모형화(수학적 모형화) · 관측 · 자료 수집 · 교차검증 · 오컴의 면도날 · 일반화 | |||
연구방법론 | 합리주의 · 경험주의 · 환원주의 · 복잡계 연구방법론 · 재현성(연구노트) | |||
통계적 방법 | 혼동행렬 · 회귀 분석 · 메타 분석 · 주성분 분석 · 추론통계학(모형(구조방정식) · 통계적 검정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통계의 함정 · 신뢰도와 타당도) | |||
측정·물리량 | 물리량(물리 상수 · 무차원량) · 차원(차원분석) · 측도 · 단위(단위계(SI 단위계 · 자연 단위계) · 단위 변환) · 계측기구 · 오차(불확도 · 유효숫자 · 과학적 표기법) | |||
실험 | 실험설계 · 정성실험과 정량실험 · 실험군과 대조군 · 변인(독립 변인 · 조작 변인 · 종속 변인 · 변인 통제) · 모의 실험(수치해석) · 맹검법 · 사고 실험 · 인체실험 · 임상시험 · 실험 기구(거대과학) | |||
연구윤리 | 뉘른베르크 강령 · 헬싱키 선언 · 연구투명성 · 연구 동의서 · 연구부정행위 · 표절(표절검사서비스) · 편향 · 문헌오염 · 자기교정성 · 연구윤리위원회 | |||
논문 | 소논문 · 리포트 · 학술지 · 형식(초록 · 인용(양식 ·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저자 · 동료평가 · 지표 · 저널인용보고서 · 구글 학술검색 · 학술 데이터베이스 · 게재 철회 | |||
과학 공동체 | 논문제출자격시험 · 연구계획서 · 학회 · 세미나 · 학술대회 · 학제간 연구 | |||
철학 관련 정보 · 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자연과학 관련 정보 · 물리학 관련 정보 · 통계 관련 정보 · 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 }}}}}}}}} |
1. 개요
유추(類推)는 유비추리(類比推理)의 준말로, 두 개의 사물이 몇몇 성질이나 관계를 공통으로 가지며, 또 한 쪽의 사물이 어떤 성질, 또는 관계를 가질 경우, 다른 사물도 그와 같은 성질 또는 관계를 가질 것이라고 추리하는 일을 말한다.교과서에선 좀 어렵게 가르치지만 사실 별 거 아니고, 지구에는 생명이 있으니 지구와 비슷한 환경의 다른 행성에도 생명이 있을 수 있다 수준의 자연스러운 추리 방식이다.[1] 직관적이고 비형식적인 사고이며, 정확한 논리적 타당성은 부족할 수 있지만 정보량이 적거나 추론 비용을 줄여야 할 때 실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가령, 외계생명체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전혀 없으므로 거의 전적으로 지구 생명체를 바탕으로 유추를 해야 한다)
유추와 귀납의 차이는 일반화를 하는지 여부이다.
2. 단어의 유추
언어학적으로 볼 때 유추는 어떠한 단어의 의미와 형태가 비슷한 다른 단어를 기반하여 음운의 변화가 생기는 과정을 이야기하기도 한다.예로서는 훈민정음 언해에 등장하는 고유어 ‘서르‘라는 표현이 조사 ’-로‘에 유추하여 ’서로’로 변화한 과정이 있다.
문해력 논란의 예시로 제시된 고유어 ‘사흘‘과 한자어 ’4일‘의 의미 혼동 또한 사흘의 의미를 숫자 '4‘의 의미에 기반하여 4일로 유추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3. 같이보기
- 유비
- 외삽법
- LLM - LLM이 보여주는 놀라운 지능은 아주 정교한 유추를 통해 엄밀한 추론을 흉내낸 것이다.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증명언어 사용, 외부 계산 프로그램 실행 등의 모달리티를 이용하기도 한다.
[1] 한국수사학회를 통해 개제된 김주현의 유비논증과 맥락의 화용론이 대표적인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