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17:47:29

웨이크원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웨이크원|{{{#!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07DC3 5%, #F8971D 5%, #F8971D 15%, transparent 15%, transparent 85%, #DF1F36 85%)"
[[CJ ENM|{{{#!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CJ ENM_CI_COLOR.svg파일:CJ ENM CI WHITE.png
CJ ENM
씨제이이엔엠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 0 -10px -5px; min-width: 50%"
{{{#!folding [ 엔터테인먼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J ENM 엔터테인먼트 부문
TV Shows 엠넷
tvN | tvN STORY | tvN DRAMA | tvN SHOW | tvN SPORTS
OCN | OCN Movies | OCN Movies 2
CATCH ON | 중화TV | UXN
스튜디오드래곤 (문화창고, 화앤담픽쳐스, 케이피제이, 지티스트, 길픽쳐스) | JS픽쳐스
CJ ENM STUDIOS (본팩토리, 에그이즈커밍, JK 필름, 블라드스튜디오, 엠메이커스, 모호필름, 용필름, 만화가족)
피프스 시즌 | 스튜디오드래곤 재팬
스튜디오테이크원
Film CJ ENM MOVIE
Music Mnet
Live Entertainment & Digital Platform
MAMA AWARDS | KCON | Mnet Plus(플러스챗)
Artist & Label Business
웨이크원 | 라포네 (라포네 걸즈) | 챕터아이 | AOMG (에잇볼타운) | 하이어뮤직 | 아메바컬쳐 | 스톤뮤직
Digital Business OTT 서비스
TVING
Digital Studio
tvN D | 채널 십오야 | 스튜디오 와플 | M2 (스튜디오 춤)
MCN
DIA TV (다이아마켓, 다이아 페스티벌, 엉클대도)
Performing Arts CJ ENM MUSICAL
Animation Tooniverse
스튜디오 바주카 | 밀리언볼트
Media 퍼스트룩
Festival 비이피씨탄젠트 (WDJF, S2O KOREA)
Awards 비저너리
Theme Park CJ ENM 스튜디오 센터
AD Sales CJ 메조미디어 | 디엑스이
}}}}}}}}}
[ 커머스 ]
||<-2><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640faf,#640faf> 커머스 ||
홈쇼핑 CJ온스타일 (온리원 브랜드)
자회사 브랜드웍스코리아 | 다다엠앤씨 | CJ텔레닉스 | 슈퍼레이스
||



파일:웨이크원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 소속 아티스트 ]
||<-4><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ddd,#383b40> GROUP ||
파일:Kep1er 로고 화이트.svg
Kep1er1
<#0c0998,#0c0998> 파일:ZEROBASEONE 로고 축약 화이트 YOUTH IN THE SHADE.svg
ZEROBASEONE
파일:izna 로고 화이트.svg
izna
파일:ALPHA DRIVE ONE 로고.svg
ALPHA DRIVE ONE
SOLO
{{{#!wiki style="margin: -16px -11px" 김필 윤지윤 조유리
김재환 하현상 임슬옹 }}}
ETC
김채현 김태래 박한빈2 이정현2
문정현2 박지후2 상현
1 클렙엔터테인먼트 합작.
2 EVNNE 활동 기간 동안 젤리피쉬로 소속 이관.
[ 관련 문서 ]
||<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101920,#101920><colcolor=#fff><nopad> 프로젝트 ||<colcolor=#ddd,#383b40><width=80%>WAKEONE Trainee | I-LAND2 : N/a ||
전신 MMO | 스톤뮤직 | 오프더레코드 | 스윙
기타 역사 | 사건 사고 | 출신 아티스트 | SUPERSTAR WAKEONE

<colbgcolor=#101920,#101920><colcolor=#fff> 웨이크원
WAKEONE
파일:웨이크원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웨이크원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NEW WAVE of ENTERTAINMENT
정식 명칭 주식회사 웨이크원
영문 명칭 WAKEONE Co., Ltd.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2014년 2월 18일 (주식회사 MMO엔터테인먼트)[1]
2021년 8월 3일 (주식회사 웨이크원)[2]
업종명 엔터테인먼트 및 음반기획업
임원진
대표이사
방윤태[3]
사내이사
심준범[4], 옥영주[5]
모기업 CJ ENM
최대 주주 CJ ENM (100%)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유무 비상장기업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153 (하중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신개팀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신개팀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경영 실적5. 사옥6. 현재 소속
6.1. 아티스트6.2. 프로듀서6.3. 기타6.4. 연습생
7. 과거 소속8. 논란 및 사건 사고9. 여담

1. 개요

<keepall>
웨이크원은 글로벌 뮤직 아티스트 레이블입니다. 잠재력 있는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사전 기획부터 매니지먼트에 이르는 풀 벨류 체인을 통해 K-POP 시장에 새로운 물결을 일으킬 아티스트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CJ ENM 산하의 연예 기획사.

2021년 CJ ENM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 정비 계획에 따라 MMO엔터테인먼트,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오프더레코드엔터테인먼트, 스윙엔터테인먼트[6] 등이 통합되어 웨이크원으로 출범되었다.

설립 이후로 로이킴, 아이오아이, Wanna One, 김재환, 프로미스나인, IZ*ONE, 조유리, 하현상, X1, TO1, Kep1er, ZEROBASEONE, izna, ALPHA DRIVE ONE 등을 배출했다.[7]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웨이크원/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웨이크원/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웨이크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웨이크원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웨이크원 출신 아티스트

[ 그룹 ]
||<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bgcolor=#101920,#101920><rowcolor=#fff> 연도 ||<width=35%> 아티스트 || 리더 ||<width=35%> 비고 ||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03년 모닝 백보람 2004년 활동 종료
2012년 TimeZ
슈퍼제트엔터테인먼트 합작
2016년 계약 종료
2016년 아이오아이 임나영 2017년 활동 종료
2017년 Wanna One 윤지성 2019년 활동 종료
IN2IT 인표 2020년 계약 종료
2018년 프로미스나인 이새롬송하영[1] 2021년 계약 종료
IZ*ONE 권은비 2021년 활동 종료
2019년 X1 한승우 2020년 활동 종료
2020년 TO1 재윤 nCH 엔터테인먼트 합작
2023년 활동 종료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2년 Kep1er 최유진 클렙엔터테인먼트 합작
2023년 ZEROBASEONE 성한빈 -
2024년 izna -
2025년 ALPHA DRIVE ONE 리오 -
{{{#!wiki style="margin: 0px -10px -1px; min-height: calc(0.85em + 1px); font-size: 0.85em; color: #8c8c8c"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 -6px 0px -11px; word-break: keep-all"

[1] 2025년, 이새롬이 그룹을 탈퇴하면서 송하영으로 리더가 교체되었다. 다만 오프더레코드 소속 시절에는 이새롬이 리더를 맡고 있었다.
}}}}}}}}}
[ 솔로 ]
||<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bgcolor=#101920,#101920><rowcolor=#fff> 연도 ||<width=40%> 아티스트 ||<width=40%> 비고 ||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3년 홍대광 2017년 계약 종료
박재정 2015년 계약 종료
2014년 박보람 2018년 계약 종료
2016년 트루디 2018년 계약 종료
2017년 케빈 오 2017년 계약 종료
2018년 미아 2023년 계약 종료
2019년 김재환 Wanna One 멤버
2020년 나띠 2022년 계약 종료
2021년 김영흠 2024년 계약 종료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1년 조유리 IZ*ONE 멤버
2022년 송수우 2022년 계약 종료
[ 영입 ]
||<width=1000><colbgcolor=#101920,#101920><colcolor=#fff>
[ 그룹 ]
||<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bgcolor=#101920,#101920><rowcolor=#fff> 연도 ||<width=40%> 아티스트 ||<width=40%> 비고 ||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14년 다비치 2024년 계약 종료
2015년 SG워너비 2019년 계약 종료
와블 2017년 계약 종료
스피카 2017년 활동 종료
2018년 훈스 2019년 계약 종료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3년 Mbitious
ER콘텐츠미디어그룹 합작
2024년 계약 종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연도 아티스트 비고
웨이크원 통합 이전
2003년 채소연 2004년 계약 종료
2006년 옥주현 2010년 계약 종료
이효리
2012년 손호영 2021년 계약 종료
나튜 2014년 계약 종료
2013년 정준영 2016년 계약 종료
2014년 로이킴 2025년 계약 종료
김필 2020년 계약 종료
2025년 북귀
2015년 에릭남 2021년 계약 종료
2016년 우잉제 2017년 계약 종료
헤이즈 2020년 계약 종료
2018년 애쉬비 2018년 계약 종료
2019년 하현상 -
웨이크원 출범 이후
2022년 임슬옹 -
}}}}}}}}} ||

2021년 8월 3일, CJ ENM은 산하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 정비 계획에 따라 MMO엔터테인먼트,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 등을 통합하여 웨이크원을 출범했으며, 이후 2024년 6월 1일에 스윙엔터테인먼트를 흡수합병했다.

3. 지배구조

<rowcolor=#fff>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J ENM
100%
2023년 1월 기준

4. 경영 실적

<rowcolor=#fff> 년도 매출액 순손익 총포괄손익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 0 -10px -5px; min-width: 100%"
{{{#!folding [ MMO 시절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8년 704,740 50,837 51,611
2019년 1,326,653 108,107 108,107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 0 -10px -5px; min-width: 100%"
{{{#!folding [ 원팩트 시절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945,984 -15,594 -15,287 }}}}}}}}}
2021년 814,909 -211,206 -221,544
2022년 2,257,539 -422,800 -422,800
2023년 7,061,482 547,745 547,477
2024년 8,834,068 593,064 566,648
2025년 (상반기) 2,989,469 19,160 19,160
* 단위는 만원.

5. 사옥

파일:웨이크원 사옥.png
파일:9D071963-296A-47FA-A70B-0E6EF3C6BE3D.jpg
<rowcolor=#fff>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153 (서강동)

6. 현재 소속

6.1. 아티스트

파일:김필 프로필 2025.jpg 파일:BLUE PARADISE 프로필.jpg 파일:BEEP 프로필.jpg
김필 ZEROBASEONE izna
파일:N/α 프로필 윤지윤.jpg 파일:BUBBLE GUM 프로필.jpg 파일:Episode 25 프로필.jpg
윤지윤 Kep1er 조유리
파일:WAKEONE 김재환 프로필_2024.jpg 파일:정마 프로필.jpg 파일:WAKEONE_임슬옹.jpg
김재환 하현상 임슬옹
파일:ALPHA DRIVE ONE 프로필 1.jpg
ALPHA DRIVE ONE

6.2. 프로듀서

6.3. 기타

6.4. 연습생

7. 과거 소속

===# 아티스트[10] #======# 연습생 #===

8.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웨이크원/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웨이크원/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웨이크원/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 국내 팬들은 윀원으로, 영어권의 해외 팬들은 WKN, W1[14], WK1로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 소속 아티스트들의 식사를 잘 챙겨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신 오프더레코드 소속이었던 프로미스나인IZ*ONE의 공식 인스타그램을 보면 음식 사진이 많으며, V LIVE에서도 먹방을 진행하거나 뭔가를 먹으며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거기에 강혜원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IZ*ONE의 한 달 식비가 3,000만 원[15]임을 밝히기도 하며 잘 먹이는 소속사의 이미지를 굳혔다. 웨이크원 출범 이후에도 현재 소속인 보이그룹 ZEROBASEONE이 전체적으로 식성이 잘 맞는 편이고, 특히 아침마다 고기를 먹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해서 육식베이스원이라 부를 정도이다.
  • 2023년, CJ ENM의 음악사업이 고성장한 배경으로 웨이크원이 꼽혔다. CJ ENM이 웨이크원을 중심으로 '음악 기반 IP 생태계 확장 시스템(MCS)'을 구축한 덕분에 4년간 음악 사업의 매출성장률이 50%를 상회했기 때문이다. CJ ENM의 음악 사업은 올 1분기만 봐도 매출액이 11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2% 증가했다. 아울러 지난해 매출은 5850억원으로 2018년 1108억원에서 4년 동안 평균 51.6%씩 성장해왔던 셈이다. #
  • 2023년 8월, CJ ENM이 웨이크원 강화를 목적으로 HYBE와의 합작 레이블 빌리프랩 지분을 1471억원에 전량 매각했다. #
  • CJ ENM이 지분의 100%를 보유하고 있는 기획사이기 때문에 사원들과 소속 아티스트는 모든 CJ 계열사 상품/서비스에 대해 임직원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18]
  • 의외로 웨이크원 소속 가수들은 tvN에 많이 출연하지 않는다. tvN도 Mnet과 동일하게 CJ ENM 산하 채널임에도 그렇다. 왜냐하면 tvN은 음악 예능 비율이 적고[19]20~30대를 타겟으로 하는 드라마, 자체 제작 컨텐츠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tvN보다는 Mnet, JTBC, 지상파, 유튜브와 같은 채널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1] 현 웨이크원의 합병 전 존속 법인.[2] 2021년, MMO엔터테인먼트,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오프더레코드엔터테인먼트이 통합되어 웨이크원으로 출범되었다. 기사 2024년 6월, 스윙엔터테인먼트 또한 웨이크원으로 흡수합병된다. 기사[3]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4] CJ ENM 음악컨텐츠 사업본부장.[5] CJ ENM 음악사업 개발본부장 겸 하이어뮤직 겸임 사내이사.[6] 2024년 6월 1일 흡수. 기사[7] 2021년에 웨이크원 출범 이후 데뷔한 그룹은 Kep1er, ZEROBASEONE, izna, ALPHA DRIVE ONE이다. 나머지는 웨이크원이 출범되기 전 MMO엔터테인먼트,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오프더레코드엔터테인먼트, 스윙엔터테인먼트 시절에 데뷔했다.[8] 연습생 전용 사옥이었으며, WINNER, iKON, TREASURE 등이 연습생 시절 이 사옥을 사용했다.[9] 활동 기간 동안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로 소속 이관.[10] 현재 웨이크원에서 관련 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MMO엔터테인먼트, 오프더레코드엔터테인먼트,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스윙엔터테인먼트 과거 아티스트도 포함한다.[11] 중국의 슈퍼 제트 엔터테인먼트랑 데뷔 약 2년 전부터 공동으로 기획 투자에 나선 중국인 멤버 4명과 한국인 멤버 2명으로 구성된 한중 합작 보이그룹. 2012년 10월 18일 데뷔해 2016년부터 활동이 없어졌는데, 이 시기에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한한령의 영향을 받아 CJ와의 계약은 끝난 것으로 추정. 공식 웨이보를 보면 그 후 중국에서 활동을 재개한 것으로 보인다.[12] 같은 이유로 활동이 어려워진 그룹으로 믹스UNIQ가 있다.[13] 아이돌학교 탈락 후 스톤뮤직에 입사한 참가자들. 현재까지 웨이크원 소속 아티스트인 조유리, 스톤뮤직에서 스윙으로 이적해 솔로 가수로 데뷔한 나띠도 이 팀에 있었다.[14] 하지만 이것은 Wanna One의 약칭이기도 해서 매우 헷갈린다.[15] 다만, 신동가요에서 IZ*ONE 멤버들과 스태프들의 식비를 합한 비용이라고 언급되었다.[16] 이 때문에 아이돌 팬들 사이에서는 엠넷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가했지만 데뷔하지 못하는 웨이크원 연습생들에 대한 동정 어린 시선이 많다. 회사 특성상 서바이벌을 통하지 않으면 데뷔할 수 있는 루트가 없기에, 탈락하면 다음 서바이벌까지 최소 2~4년은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17] 다만 엠넷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데뷔한 그룹 중 EL7Z UP, B.D.U는 CJ ENM 산하 기획사가 매니지먼트를 담당하지는 않았다. EL7Z UP의 경우, 결성 당시 웨이크원 소속으로 데뷔한다는 기사가 나온 적이 있지만 공식 기사도 아니었고 결국 DG엔터테인먼트와 애플몬스터 소속으로 데뷔했다.[18] 소속 아티스트인 조유리이정현이 임직원 할인 혜택을 받고 있다고 인증한 바 있다.[19] 그나마 음악 예능이라고 할 수 있는 놀라운 토요일에는 자주 나오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