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0 17:30:02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002395><tablebg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아시아축구연맹
주요 축구 리그(중앙아시아)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555555,#aaaaa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ersian_Gulf_Pro_League_Logo.png
파일: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신 로고.jpg
파일:요카리 리가 로고.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하이어 리그 로고.png
파일:키르기스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챔피언스 리그 로고.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전 세계 리그
}}}}}}}}}}}} ||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O'zbekiston Superligasi
Ўзбекистон Суперлигаси
파일: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신 로고.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정식 명칭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영문 명칭 Uzbekistan Super League
창설 연도 1992년(전국 리그)
2008년(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2018년(슈퍼 리그)
참가 구단 수 16개 구단
하위 리그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
최근 우승 구단 FC 나사프 카르시(2024)
최다 우승 구단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16회)
웹사이트 http://www.pfl.uz
AFC 리그 랭킹 9위 #

1. 개요2. 역사3. 참가 구단4. 우승 구단 연혁5. 우승 횟수6. 역대 한국인 선수7. 여담

1. 개요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O'zbekiston Superligasi)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리는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다.

리그 우승 구단은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본선 출전권을 얻는다. 참고로 우즈베키스탄컵 우승 구단은 AFC 챔피언스 리그 투 본선 출전권을 얻는다. 최하위인 16위는 2부 리그인 프로 리그로 다이렉트 강등되며 14, 15위는 승강 플레이오프에 출전한다.

리그 스폰서는 우즈베키스탄의 가전 제품 회사인 아르텔 일렉트로닉스.

2. 역사

소련에서 독립한 뒤인 1992년 창설되었다. 2008년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 자격을 충족하기 위해 조직을 개편하고 전국 리그(Oliy Ligasi)에서 우즈베키스탄 프로 축구 리그(O'zbekiston Professional Futbol Ligasi)로 개칭되었다. 2018년에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로 다시 개칭되었다.

2025 시즌부터 14개 구단에서 16개 구단으로 리그가 확대되었다.

3. 참가 구단

파일: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신 로고.jpg
20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파일:PFC 나브바호르 나망간 로고.svg
파일:FC 나사프 카르시 로고.svg
파일:FC 네프치 페르가나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로고.svg
파일:FC 부뇨드코르 엠블럼.svg
파일:FK_Bukhara.png
파일:FC 디나모 사마르칸트 로고.svg
파일:FC 소그디아나 지자흐 로고.jpg
파일:FK 수콘 테르메즈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로고.svg
파일:FK 안디잔 로고.svg
파일:FK 코칸트 1912 로고.svg
파일:FC 키질쿰 자라프샨 로고.svg
파일: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로고.svg
파일:FC AGMK 로고.svg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이란 국기.svg 프로 리그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슈퍼 리그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요카리 리가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하이어 리그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챔피언스 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4. 우승 구단 연혁

연도 우승
1992[1] FC 네프치 페르가나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1993 FC 네프치 페르가나
1994 FC 네프치 페르가나
1995 FC 네프치 페르가나
1996 PFC 나브바호르 나망간
1997 MHSK 타슈켄트
1998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1999 두스틀릭 FK
2000 두스틀릭 FK
2001 FC 네프치 페르가나
2002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03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04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05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06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07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08 FC 부뇨드코르
2009 FC 부뇨드코르
2010 FC 부뇨드코르
2011 FC 부뇨드코르
2012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13 FC 부뇨드코르
2014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15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16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
2017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
2018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
2019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0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1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2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3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4 FC 나사프 카르시

5. 우승 횟수

구단 우승 우승 연도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16 1992, 1998,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12, 2014, 2015, 2019, 2020, 2021, 2022, 2023
FC 네프치 페르가나 5 1992, 1993, 1994, 1995, 2001
FC 부뇨드코르 5 2008, 2009, 2010, 2011, 2013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 3 2016, 2017, 2018
두스틀릭 FK 2 1999, 2000
MHSK 타슈켄트 1 1997
PFC 나브바호르 나망간 1 1996
FC 나사프 카르시 1 2024

6. 역대 한국인 선수


현재까지 네 명의 한국인이 이곳에서 뛰었다. 2016년 제주, 포항, 경남을 두루 거친 미드필더 최현연이 2016시즌 전반기 동안 중상위권 팀 나브바호르 나망간에서 플레이메이커로 뛴 것을 시작으로 2018년 초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조석재가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는 팀인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FK에 임대로 합류하며 두 번째 선수가 되었고 하반기에는 성남 출신 공격수 김동희FC 소그디아나 지자흐에 합류해 반 시즌을 뛰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전남 드래곤즈에서 뛰었던 김보용FK 투론 예이판에서 뛰며 1, 2부를 모두 경험했다.

7. 여담

  •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반 리그 최고 강호는 단연 FC 부뇨드코르였다. 상술한 히바우두도 이 팀에서 활약했고 당시 대통령이던 독재자 이슬람 카리모프의 딸 굴노라 카리모바의 후원을 받는 것으로 유명해 자금력과 인맥이 우즈베키스탄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그러나 카리모바의 부패 혐의 연루와 2016년 카리모프의 사망 이후 중상위권 클럽으로 입지가 줄어들어 압도적인 강호의 모습은 사라졌다. 현재 리그를 대표하는 강팀은 2023년까지 16회로 최다 우승을 자랑하는 전통의 강호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 K리그에 아시아 쿼터로 이 리그 선수가 많이 온다. 부뇨드코르 독주 체제 시절에도 세르베르 제파로프, 알렉산데르 게인리흐, 티무르 카파제라는 우즈벡 국대 핵심 선수들이 K리그에서 뛰었고 한동안 뜸했다가 독주 체제가 끝난 뒤 파흐타코르,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부뇨드코르, 나사프 등 여러 구단의 경쟁으로 리그가 치열해지면서 수준이 상향 평준화되기 시작한 2010년대 후반부터 다시 K리그에 진출하는 선수가 늘어났다. 2017년부터 온 선수들을 나열해 보자면

[1] 양 구단의 승점이 같아 공동 우승을 차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