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0:20:39

wwwww

와로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와로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걸그룹 유닛에 대한 내용은 와타리로카하시리타이7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와라와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와라와라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상세
2.1. 2007년부터 2021년까지 니코동 코멘트 Top 10
3. 국내에서4.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인터넷 용어.

2ch(현 5ch)와 니코니코 동화 등지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웃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쓰이며 한국 인터넷 용어 중 ㅋㅋㅋ에 해당한다. 파생된 신조어로 (쿠사)라는 표현도 있다. 이는 w를 많이 붙이면 풀밭처럼 생겼다에서 유래된 말이다. 너무 웃겨서 w를 많이 붙여야 하는 상황일 경우 로 대신하여 쓰인다. 201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는 쿠사가 훨씬 더 범용적으로 쓰이고 w는 부차적인 수준까지 쓰임새가 줄어들었다. 이 때 '草生える'(풀이 자란다)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한술 더 떠서 '森生える'(숲 자라난다) 처럼 사용하는 등, 파생된 단어가 정말 많다.

2. 상세

유래는 일본 PC통신 시절부터 웃음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여오던 (笑) (warai), 또는 '웃다'를 뜻하는 笑う(warau)가 1990년대 알파벳만 타이핑 가능한 PC 게임을 거치며 (warai) 등으로 사용되다 점점 축약되어 (w)로 쓰이게 되었고, 이것이 VIP판을 비롯한 2ch에서 사용되며 퍼져나갔다는 설이 유력하다. 간혹 warota(와로타)를 줄였다고도 알려진 경우도 있는데, warota는 笑った(와랏타)의 간사이벤 발음이니, 의미는 동일하다. 뭐라고 보든 w로 시작하는 건 같다. 참고로 중세 이전 일본어에 비슷한 뜻으로 笑まひ가 있다고. 여기서 笑는 라고 한다.

한국의 ㅋ처럼 w의 숫자에 따라 뉘앙스가 달라지는 효과가 있으나 후술할 니코니코 동화에서의 남용 등의 문제로 이미지가 하락한 후에는 놀리거나 비웃는 용도로 쓰는 게 아니라면 일반적인 게시판에선 많아야 1~2개 정도 붙이는 경우가 많다. 한국인이 이를 쓸 때 www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본 인터넷에서는 전각 문자를 사용하므로 wwwww라고 쓰는 게 정확하다.[1] 하지만 반각 문자 사용 빈도가 늘어나며 www를 쓰는 일본인도 자주 볼 수 있다. 가끔 반각 대문자인 WWW로 쓰는 일본인도 있기는 하다.[2]

ㅋㅋ이 '키키', '킥킥', 크크[3], '큭큭', 키읔키읔 등으로 제멋대로 읽히듯이 이걸 정확히 읽는 정해진 법은 없다. 억지로 소리로 읽을 땐 보통 "와라와라"로 읽는다. 정말 억지로 소리낸 것이다. 이는 일본 인터넷 방송에서 TTS가 채팅 내용을 발음할 때 이 부분을 와라, 와라와라 등으로 발음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외국인들은 더블유라고 읽는다.

본래 2ch에서 주로 쓰이던 표현이었으나 인터넷 용어로 정착하여 일본 인터넷 전반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草로 점점 대체되고 있다고는 하나 또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라 다르다.
예문
コーラメントスを入れてみたwwwww
→콜라에 멘토스를 넣어 봤다 ㅋㅋㅋㅋㅋ
응용으로 ()이나 () 등 각종 감정 표현이나 형용사를 넣어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이 대사에 붙는 캐릭터로는 우자이 타쿠야가 있다. 최신 IME(Windows 8.1 기준)에서는 わら를 입력하는 것으로 변환 후보에서 (笑)를 찾을 수 있다.[4](笑) 같이 쓰거나, (藁)[5]라고 쓰기도 한다. 아예 ()과 같이 괄호만 열고 닫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도 비꼬는 의미인 (笑)와 똑같은 표현이 된다. 이렇게 쓸 경우 단순히 웃음을 나타내는 의미는 거의 사라지고 비꼬는 의미가 크게 부각된다.

V2(BEMANI 시리즈)의 제목이 W가 될 뻔 했다가 이 표현 때문에 기각되었다고 한다. 해당 문서로.

한때 ʬ, 즉 w가 이중으로 한 글자가 된 기호가 발견되어 이를 유행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현 시점에서는 사장된 것으로 보인다. 이 기호는 양순 충격음을 나타낸다.

웃는 표기를 나타내기 애매한 중국인들도 가끔 차용하여 쓰기도 한다.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으로 을 모아 哈哈哈 이렇게 쓰지만 www 쪽이 더 쓰기 편하기 때문이다.

2.1. 2007년부터 2021년까지 니코동 코멘트 Top 10

파일:wwwwwwww2007niconico.jpg
2007년 순위
파일:2008-1536x864.jpg
2008년 순위
파일:2009-1536x864.jpg
2009년 순위
파일:니코동wwwwww2010.jpg
2010년 순위
파일:2011-1536x864.jpg
2011년 순위
파일:니코동쿠사2012.jpg
2012년 순위
파일:피라미드쿠사w2013.jpg
2013년 순위
파일:니코동쿠사카와이이2014.jpg
2014년 순위
파일:아쿠사2015니코동.jpg
2015년 순위
파일:2016-1536x864.jpg
2016년 순위
상기 표는 니코니코동화에서 많이 쓰여진 코멘트를 각 년도별로 10위까지 순위를 매긴 것인데,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순위 대부분을 'w' 연타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일본 내에서는 아주 범용적으로 사용된다. 여백이 부족해서 2017년 이후는 첨부하지 않았지만, w가 포함된 코멘트가 순위권에 들지 못한 2018년과 2019년조차 1위 혹은 2위가 '草'로 w에서 파생된 코멘트고, 2020년에는 다시 www가 1위로 복귀했다. '草'는 wwwww처럼 w가 여러개 반복되면 풀더미처럼 보인다고 파생된 단어로 www와 같은 뜻이다.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지 20년이 넘게 되어가는데도 2024년에도 여전히 압도적인 인지도를 자랑하는 단어로, 한국으로 치면 '창렬' '혜자'처럼 인터넷 신조어로 시작했지만 다른 단어론 대체할 수 없는 지위를 가진 단어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3. 국내에서

(웃음)과 더불어 일본 인터넷 용어 중에선 한국에서도 꽤 알려져 있는 편. 은 한자이기 때문에 일일히 변환해서 쓰기 귀찮은 관계로 그냥 한글로 비슷해보이는 '쑻'을 쓰는 경우도 있다. 쿠키커플 영상에서는 '쑻' 대신 '쏯'을 써서 '쏯'으로도 알려져있다. 범국민적으로 일본에 대해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있는 한국이다 보니 (웃음)을 사용하면 일본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라며 적대하며 원색적인 비난을 퍼붓는 사람들이 많다.

번역할 때는 w의 개수를 ㅋ의 개수와 의도적으로 맞추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w 하나를 치는 건 상대를 비꼬는 의미도 있는 듯, 이렇게 번역해도 자연스럽다.

'코이츠ww 꽤 오모시로이다'[6][7]라는 유행어로 쓰이기도 한다. 이 때도 코이츠+ww 형태의 드립은 있었지만 2021년 후반부터 '코이츠ww ~해버린 www' 하는 엉터리 번역체 밈이 나오면서 예전보다 더욱 자주 보이게 되었다. 족제비와토끼가 올린 블루 아카이브 만화와 같이 인터넷에 만화를 올리는 작가들이 즐겨 사용했다.

4. 관련 문서


[1] 한글 키보드로 전각 로마자를 입력하려면 Alt + =를 누르고 입력하거나 ㅍ을 한자 키로 변환하면 된다.[2] w 같은 자음을 연속해서 입력하면 촉음인 っ이 입력되는 일본어 입력기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Caps Lock을 켜고 WWW를 친 것으로 보인다.[3] 가장 대표 발음[4] 이 경우에는 괄호가 전각 기호로 되어 있다.[5] 읽으면 わら / 짚 고.[6] 증조할배의 블로그 폭주만화에 등장하는 엑스트라가 한 말에서 유래.[7] "이녀석 ㅋㅋ 꽤 재미있잖아?" 정도로 변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