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7:30:01

세종텔레콤

온세통신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인터넷'''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비자 인터넷 상품
파일:B 인터넷 로고.svg 파일:KT 기가 인터넷 로고.svg 파일:LGUplus_Internet_Logo.pn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Hello 인터넷
백본망
국가 소유
파일: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로고.svg 파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로고.svg
KOREN(미래네트워크연구시험망) KREONET2(국가과학기술연구망)
통신사 소유
파일:SK텔레콤 로고.svg 파일:KT 로고.svg 파일:LG U+ 로고.svg
SK-TELECOM-NET KORNET LGTELECOM
BORANET(보라넷)
XPEED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파일:드림라인 로고.svg 파일:세종텔레콤 로고.svg
B-Net DREAMX SHINBIRO
}}}}}}}}} ||
파일:세종텔레콤 로고.svg
정식명칭 세종텔레콤 주식회사
영문명칭 Sejong Telecom Co., Ltd.
설립일 1992년 6월 9일[1]
대표이사 김형진, 안종석
업종명 유선 통신업
상장유무 상장기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상장시장 코스닥시장 (2000년 ~ 현재)
종목코드 036630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7길 12 (갈현동, 프리즘스퀘어1)
링크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
2.1. 구 온세텔레콤2.2. 구 세종텔레콤2.3. 신 세종텔레콤
3. 주요 사업4. 역대 임원
4.1. 온세텔레콤
4.1.1. 구 법인4.1.2. 신 법인
4.2. 구 세종텔레콤4.3. 신 세종텔레콤
5. 관련 문헌

1. 개요

세종그룹 계열 전기·통신·소방 설비 시공 및 토목공사 전문 기업이다. 전력 인프라 구축 및 전기설비 시공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한다.

2019년 6월 ㈜조일이씨에스를 합병한 이후 지속적인 기술력 확보와 공사 실적 축적을 통해 전기공사업의 전문성을 강화해왔으며, 특히 송전, 철도, 항공 등화와 같은 특수 전기공사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전기공사업은 도로, 철도, 산업단지, 발전소 등 국가 기간산업 시설 및 건축물의 전력 공급을 위한 송배전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하며, 옥내외 배전 및 조명 공사, 대형 건설 프로젝트의 전기설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름과는 달리, 세종특별자치시가 아니라 과천시 소재 기업이다.

2. 역사

2.1. 구 온세텔레콤

1996년 3월 고합그룹, 롯데그룹 등 418개 기업들이 모여 컨소시엄 '한국글로벌텔레콤'이 결성됐으며, 그해 7월 '온세통신'으로 정식 설립해 8월에는 기간통신사업자 허가를 따냈다. 1997년 국제전화 식별번호를 '008'로 정하고 10월에 서비스를 정식 개시했고, 1998년 7월 인터넷전화 '00365' 서비스 개시 후 8월 경기도 여주군에 위성지구국을 개설, 11월 국내 최초로 남북한 통신 서비스(서울 ~ 금강산)를 개통했다.#

1999년 7월 별정통신사업자 등록 후 10월 현대정보기술로부터 인터넷서비스 '신비로' 사업부문을 인수해 사세 신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 12월 시외전화 '083' 서비스를 개시했다. 2000년 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고 7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 'i-base'를 개설, 8월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신비로 샤크'를 런칭하고 12월 본사를 기존의 서울 강남구 대치동 미래와사람 빌딩에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신사옥으로 이전했다.

2001년 음성인식 전화서비스 '세이폰', 2002년 무선랜 서비스 '샤크에어'와 '샤크 VDSL', 전국대표번호 서비스 '1688', 2003년 '1677 콜렉트콜' 등을 각각 런칭하며 2001년부터 흑자로 전환해 전성기에 돌입했으나, KT데이콤 같은 경쟁 업체들에게 점차 밀려 2003년 부도를 맞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초고속 인터넷 사업을 하나로텔레콤으로 매각하고 2004년 인터넷접속역무 기간사업자 면허를 취득, 2005년 6월 무선인터넷 'So1'[2]도 런칭하고 7월 인터넷전화 기간면허도 따서 회생을 꾀해 결국 2006년 유비스타에 매각되는 수순으로 회사정리절차를 끝냈다. 같은 해 3월 인터넷전화역무 기간통신사업권 확보 후 10월에는 1677 군장병 콜렉트콜 서비스를 개시했다.

2005년 말 모기업 유비스타가 알덱스로 넘어간 뒤 2007년 '온세텔레콤'으로 변경했으나, 얼마 못 가 유비스타에 역합병되어 '온세텔레콤' 사명도 넘겨졌다. 역합병 후 2008년 4월 알덱스와 세트로 대한전선그룹에 편입되어 9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온세 IDC분당센터'를 개설하고 2009년 전국대표번호 '1666', 전국안심번호서비스 '050'을 각각 런칭하고 MVNO사업단도 출범시켰다.

그러나 모기업 대한전선의 경영난으로 2011년 세종텔레콤에 넘어간 뒤, 2012년 알뜰폰 서비스 '스노우맨'을 개시하고 리워딩 모바일 앱 '포인트통통'도 출시했다. 2014년 자동번역 SNS '글로벌 프렌드', 한국형 워드프레스 마켓 '온세테마', 폐쇄형 그룹 SNS '펜스' 등도 각각 잇달아 개발해냈다.

2.2. 구 세종텔레콤

1996년 대한송유관공사, 현대중공업 등 35개 기업이 출자해 '지앤지텔레콤'으로 설립했다. 1997년 총연장 1,500km 가량의 전국 광통신망을 개통하고 1999년 대주주였던 송유관공사 측이 미국 푸르덴셜 계열사 푸르덴셜 아시아에 지분을 내다 팔고 2000년 사명을 '지앤지네트웍스'로 바꾼 뒤, 미국에 첫 현지법인을 세웠다. 7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분당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개설했다. 10월 인터넷 접속 서비스 'GNG Matrix'를 개시했다.

2001년 부산 해저케이블 육양국 준공 후 2002년 '엔터프라이즈네트웍스'로 변경, 2003년 5월 게임업체 대상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하고 10월 휴대폰 국제전화 서비스 '00747'을 개시했다. 12월 한솔아이글로브로부터 ISP 부문을 넘겨받고 2004년 1월 분당 IDC를 호스트웨이로 팔았다.#

그러다가 경영 악화로 2004년 법정관리에 들어가 회사가 문 닫을 위기에 처했으나, 2007년 세종캐피탈에 인수되어 사명을 '세종텔레콤'으로 변경했다. 2008년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개시하고 2011년 대한전선으로부터 온세텔레콤을 사들여 사세를 점차 확장했다. 2013년 미국 아리아카(Aryaka) 사와 제휴해서 글로벌 가속 서비스를 개시했다.

2.3. 신 세종텔레콤

2015년 온세텔레콤이 세종텔레콤의 통신사업을 넘겨받아 '세종텔레콤' 명칭을 이어받았고, 구 세종텔레콤은 '세종투자'로 개편했다. 같은 해 클라우드형 정보보안 서비스 '프루라'를 출시 후 2016년 안심주차서비스 '차빼요', 중소상점 O2O 서비스 '마트요', 'AWS 다이렉트 커넥트', 2017년 '세종 스마트비즈'와 '세종페이' 등을 각각 출시했다. 2018년 '세종 CCTV' 서비스도 출시했다.

2017년 트루컷시큐리티의 일부 지분 투자 후 2018년 조일ECS를 인수, 2019년 합병했다. 같은 해 블록체인 메인넷 '블루브릭'을 공개, 블록체인 컴퍼니빌더 합작사 '비브릭'을 출범시켰다. 2020년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학사정보 플랫폼 'SER'을 개발하고 베트남 현지법인을 설립, 2021년 커머스 사업부문을 '콘텐츠캐리어'로 분사시켰다.

2024년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 신사옥으로 이전하며 유선통신 사업을 '세종네트웍스'로 분사했다.

2025년 1월, 아이즈비전에 알뜰폰 사업을 매각했다.

2025년 4월에는 AI·블록체인 기반 융합 사업 부문을 분할해 ‘세종디엑스㈜’를 설립했다.

3. 주요 사업

1. 전력/플랜트
  • 복합화력, 태양광, 풍력발전, 발/변전소 및 송/배전설비 설치 등의 시공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된 전력설비를 공급
  • 동력 및 계장 제어를 포함한 핵심 장치의 설치와 시운전, 유지보수를 수행

2. 공공인프라
  • 고속철도, 지하철, 경전철 등 다양한 철도 분야에서 전기공사를 수행
  • 항공등화 시설을 비롯한 공항시설 시공 및 유지보수

3. 하이테크
  • 반도체 제조 공장을 비롯, 디스플레이, 철강,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단지/공장 전기공사

4. 다목적시설
  • 초고층 빌딩 포함 호텔/리조트, 병원, 복합쇼핑몰, 학교/연구시설, 경기장/문화시설 등 다양한 분야의 전기공사

5. 주거시설
  •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등의 전기실 전기공사, 전력 간선설비, 주차 관제설비, CCTV/CATV 설비, 조명 설비 등 시공

6. 해외공사
  • 아프리카(적도기니), 중동(이라크), 동북아시아(몽골) 등 개발도상국의 국제공항 및 도심 건설, 공공 인프라 확충

4. 역대 임원

4.1. 온세텔레콤

4.1.1. 구 법인

  • 대표이사 사장
    • 장상현 (1996~2001)
    • 황기연 (2001~2003)
    • 황규병 (2004~2006)
    • 신광용 (2006~2007)
    • 최호 (2007)
  • 법정관리인
    • 황규병 (2003~2004)

4.1.2. 신 법인

  • 대표이사 회장
    • 김형진 (2011~2015)
  • 부회장
    • 홍기옥 (2014~2015)
  • 대표이사 부회장
    • 김신영 (2015)
  • 대표이사 사장
    • 최호 (2007~2011)
    • 송인권 (2011~2012)
    • 김신영 (2013~2014)
    • 정진우 (2014~2015)

4.2. 구 세종텔레콤

  • 대표이사 회장
    • 김형진 (2007~2014)
  • 대표이사 부회장
    • 홍기옥 (2014~2015)
  • 대표이사 사장
    • 강승수 (1996~1999)
    • 서명환 (1999~2001)
    • 채승용 (2001~2004)
    • 송인권 (2010~2012)
    • 김신영 (2013~2014)
  • 법정관리인
    • 강세영 (2004~2005)
    • 이경우 (2005~2007)

4.3. 신 세종텔레콤

  • 대표이사 회장
    • 김형진 (2017~)
  • 대표이사 부회장
    • 김신영 (2015~2016)
    • 안종석 (2022~)
  • 대표이사 사장
    • 정진우 (2015~2017)
    • 서종렬 (2016~2018)
    • 유기윤 (2020~2022)
    • 이병국 (2023~2025)

5. 관련 문헌


[1] 구 유비스타 설립연도이다.[2] So1 스타리그 2005를 후원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