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0:16:13

오셀롯

오실롯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오셀롯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오셀롯(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오셀롯
Ocelot
파일:B7D44FE6-7319-44ED-A5E1-09C2B2894BE7.png
학명 Leopardus pardalis [1]
(Linnaeus, 17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고양이아목(Feliformia)
고양이과(Felidae)
아과 고양이아과Felinae
호랑고양이속(Leopardus)
오셀롯(L. pardali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3. 생태
3.1. 먹이3.2. 천적
4. 인간과의 관계5.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Ocelot.jpg
호랑고양이속의 고양이과 동물. 소형 고양이과 동물 중에서는 대중에게 가장 유명한 종 중 하나이다.

2. 특징

일반적으로 고양이의 2~3배 정도 되는 체급이며, 머리와 몸통을 합쳐 50~102cm에 꼬리길이 27~45cm, 체중은 6~18kg 나간다.

아름다운 털 무늬로 유명한데, 어두운 테를 두른 짙은 반점들과 얼룩무늬로 몸이 뒤덮여 있다. 이 때문에 “재규어의 축소판”으로도 많이 불린다.

울음소리가 매우 저음에 허스키하기까지 해서 거의 그르렁거리는 소리만 들린다.

3. 생태

미국 남서부부터 아르헨티나 북부까지 매우 넓게 분포한다. 주로 열대우림에서 서식하지만,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적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식물이 몸을 숨길 정도로 무성하다면 여러 생태계에 살 수 있다. 선인장과 관목이 많은 반사막이나 가시덤불로 빼곡한 관목림[2], 건조 활엽수림, 사바나 등지에서도 제법 많이 살고 있다.

야행성이지만 간혹 낮에 활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나무 위에서 사냥하기도 하나 근본적으로 지상성이다. 마게이에 비해서는 나무타기를 잘 못한다. 암컷은 나무 구멍이나 동굴, 덤불 속에 보금자리를 만들고 그 속에다가 새끼를 낳는다. 임신 기간은 70~85일이고 암컷은 보통 한 배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최대 3~4마리까지 낳을 수 있다. 새끼는 생후 14일~18일에 눈을 뜨고 3~9개월 동안 젖을 먹는다. 18개월~2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3.1. 먹이



육식성이며 주로 소형 설치류를 주식으로 하지만, 크기만 적당하다면 사냥감을 가리지 않아 중소형 원숭이[3], 코아티, 주머니쥐, 아르마딜로[4], 작은개미핥기, 나무늘보[5], 어린 갈기늑대, 조류[6], 파충류도 잡아먹는다. 드물게는 흰꼬리사슴과 같은 중형 발굽동물도 사냥한다.

3.2. 천적

천적은 자기보다 더 큰 고양이과 동물인 재규어, 퓨마, 대형 파충류아메리카악어, 오리노코악어, 검정카이만, 그린아나콘다, 맹금류부채머리수리가 있다.

오셀롯이 많이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포식이나 경쟁에 의해서 오셀롯보다 더 작은 고양이과 동물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개체수가 적은데, 이 현상을 오셀롯 효과라고 한다. 반대로 오셀롯 역시 재규어퓨마가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포식당하는 등 개체수가 조절되며, 경쟁을 피해 아구티와 같은 큰 먹잇감을 노리지 않기도 한다.

4. 인간과의 관계

아름다운 무늬로 인해 70~80년대에 가죽용으로 엄청난 수가 사냥당했으며, 근연종인 마게이, 호랑고양이남방호랑고양이 역시 대규모로 포획되었다. 다행히 1990년대에 사냥이 금지되면서 현재는 오셀롯의 개체수가 많이 회복된 상황이며, 국제적으로는 야생에서도 꽤 흔한 동물이다. 그러나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 북부 한정으로는 서식지 파괴로 의해 지역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했으며, 특히 미국-멕시코 국경 장벽으로 의해 아성체들이 영역을 찾으러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면서 미국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고립되어 멸종 직전 상황이다.

애완용으로 사육되거나 번식된 해외 사례들도 있으며 살바도르 달리존 시나가 오셀롯을 키웠다. 현재 현지에서도 불법이지만 간혹 야생에서 새끼를 잡아와서 사육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국내법 상 오셀롯은 맹수로 분류되므로 일반인이 사육할 수 없다. 대형 고양이과 동물들보다는 훨씬 작기 때문에 성인이라면 위험한 동물은 아니나, 집고양이보다는 상당히 더 크고 강력한 동물이며 어린아이 정도라면 제법 위협적일 수 있다.

운이 엄청 좋으면 이런 일도 있는 모양이다. 야생 아성체 오셀롯이 장난기가 발동하여 놀이를 즐기는 모습.[7]

5. 여담


[1] 구 학명은 Felis pardalis였지만 이후 연구를 통해 고양이속(Felis)은 여러 속으로 나뉘게 되었다.[2] 특히 미국과 멕시코 북부에서는 이런 서식지에서 주로 발견된다.[3] 목화머리타마린, 카푸친원숭이, 흰머리카푸친, 다람쥐원숭이[4] 아홉띠아르마딜로[5] 린네두발가락나무늘보, 호프만두발가락나무늘보[6] 금강앵무, 호아친[7] 다만 이 오셀롯은 야생에서 성장했음에도 성격이 온순하고 사람을 그다지 겁내지 않는 특이한 개체다. 코요테 피터슨 역시 보통 오셀롯은 이렇게 온순하지 않으니까 조심해야한다고 몇번이나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