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A2C1CA><colcolor=#000000> 사르데냐 왕국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왕비 오스트리아의 아델하이트 여대공 Erzherzogin Adelheid von Österreich | ||
| ||
이름 | 독일어 | 아델하이트 프란치스카 마리 라이네라 엘리자베트 클로틸데 (Adelheid Franziska Marie Rainera Elisabeth Clotilde) |
이탈리아어 | 아델라이데 프란체스카 마리아 라니에라 엘리사베타 클로틸데 (Adelaide Francesca Maria Raniera Elisabetta Clotilde) | |
출생 | 1822년 6월 3일 | |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밀라노 밀라노 왕궁 | ||
사망 | 1855년 1월 20일 (향년 32세) | |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토리노 토리노 왕궁 | ||
배우자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1842년 결혼) | |
자녀 | 마리아 클로틸데, 움베르토 1세, 아마데오 1세, 오도네, 마리아 피아, 카를로 알베르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 |
아버지 | 오스트리아의 라이너 대공 | |
어머니 | 사보이아의 엘리사베타 | |
형제 | 마리아 카롤리나, 레오폴트 루트비히, 에른스트, 지기스문트, 라이너, 하인리히, 막시밀리안 | |
종교 | 가톨릭 |
1. 개요
신성 로마 제국 레오폴트 2세의 손녀.이탈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이 되는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와 결혼해 움베르토 1세와 아마데오 1세를 낳았다. 이탈리아 왕국이 출범하기 전에 사망해 이탈리아의 초대 왕비가 되지 못했다.
2. 생애
2.1. 유년기
레오폴트 2세의 아들 오스트리아 대공 라이너의 차녀로 태어났다. '아델'이라는 애칭으로 불린 아델하이트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답게 뛰어난 교육을 받았으며, 흰 피부의 미인으로 성장했다.2.2. 결혼
1840년 8월, 선자리에서 피에몬테 공[1]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와 처음 만난 아델하이트는 그에게 반해 편지를 주고 받았다. 사보이아와 합스부르크 간의 긴 결혼 협상 끝에 두 사람은 1842년 토리노 근교 스투피니지 사냥 궁전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서 아델하이트는 아델라이데 또는 마리아 아델라이데로 불렸다. 부부는 슬하에 8명의 자식을 두었다. 많은 아이를 낳으며 아델라이데는 몸이 약해졌다. 부부 사이는 나쁘지 않았지만 비토리오 에마누엘레는 여러 애인과 사생아를 만들었고, 아델라이데는 인내해야 했다.아델라이데는 조용하고 경건한 여성으로 엄격한 교육을 받았다만 그녀는 사랑스러운 아내였으며 자주 자선 단체에 기부하곤 했다.
2.3. 사르데냐 왕비
1849년 시아버지 카를로 알베르토가 퇴위하고 남편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로 즉위했다. 왕비가 되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을 경계하는 분위기와 시어머니 토스카나의 마리아 테레사의 영향력으로 인해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지 못했다.아델라이데 왕비는 정치적 영향력은 없었지만, 시어머니인 마리아 테레사 왕대비를 지지했다. 마리아 테레사 왕대비는 아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한때는 정책에 영향을 미치려고 했다. 1854년 카보어 정부에 의해 가톨릭 교회의 특권에 반대하는 개혁이 도입되었을 때, 아델라이데는 시어머니와 힘을 합쳐 개혁이 가톨릭 교회에 적대적이어서 그리스도인으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으로 남편에게 개혁을 막아달라고 호소했지만 그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다고 한다.
1855년 1월 16일, 시어머니의 장례식을 치르고 돌아오는 길에 급성 위장염에 걸렸다. 아델라이데는 엄청난 고통에 시달렸는데 당시 왕비의 앓는 소리가 궁 밖에 있는 광장에까지 들렸다고 한다. 아델라이데는 머리카락이 빠지고 이가 빠지더니 제대로 걸을 수도 없게 되었다. 그리고 시어머니의 장례식으로부터 4일 후에 숨을 거두었다. 유해는 토리노의 수페르가 성당에 안장되었다.
3. 가족관계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오스트리아의 아델하이트 (Adelaide of Austria) | <colbgcolor=#fff3e4,#331c00> 오스트리아의 라이너 대공 (Archduke Rainer of Austria) | <colbgcolor=#ffffe4,#323300> 레오폴트 2세 (Leopold II) | |
프란츠 1세 (Francis I) | |||
마리아 테레지아 (Maria Theresa) | |||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 공주 (Infanta Maria Louisa of Spain) | |||
카를로스 3세 (Charles III) | |||
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 (Princess Maria Amalia of Saxony) | |||
사보이아의 엘리사베타 (Elisabeth of Savoy) | |||
카리냐노 공 카를로 에마누엘레 (Charles Emmanuel, Prince of Carignano) | |||
카리냐노 공 비토리오 아마데오 2세 (Victor Amadeus II, Prince of Carignano) | |||
로렌의 조제핀 (Princess Joséphine of Lorraine) | |||
작센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Maria Christina of Saxony) | |||
쿠를란트 공작 카를 (Charles, Duke of Courland) | |||
프란치슈카 크라신스카 (Franciszka Krasińska)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1녀 | 나폴레옹 공비 마리 클로틸드 (Maria Clotilde, Princess Napoléon) | 1843년 3월 2일 | 1911년 6월 25일 | 나폴레옹 조제프 보나파르트[2] 슬하 2남 1녀[3] |
1남 | 움베르토 1세 (Umberto I) | 1844년 3월 14일 | 1900년 7월 29일 | 사보이아의 마르게리타 슬하 1남[4] |
2남 | 아마데오 1세 (Amadeo I) | 1845년 5월 30일 | 1890년 1월 18일 |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조 슬하 3남[5] |
마리아 레티치아 보나파르트 슬하 1남 | ||||
3남 | 몬페라토 공작 오도네[6] (Oddone, Duke of Montferrat) | 1846년 7월 11일 | 1866년 1월 22일 | |
2녀 | 포르투갈의 왕비 마리아 피아 (Maria Pia, Queen of Portugal) | 1847년 10월 16일 | 1911년 7월 5일 | 루이스 1세 슬하 2남[7] |
4남 | 키아블레세 공작 카를로 알베르토 (Carlo Alberto, Duke of Chablais) | 1851년 6월 2일 | 1854년 6월 22일 | |
5남 | 사보이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Vittorio Emanuele of Savoy) | 1852년 7월 6일 | 1852년 7월 6일 | |
6남 | 제네바 백작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Vittorio Emanuele, Count of Geneva) | 1855년 1월 8일 | 1855년 5월 17일 |
[1] 사보이아 가문의 계승자에게 주어지던 작위.[2] 제롬 보나파르트의 삼남.[3] 장남 빅토르 보나파르트가 벨기에의 클레망틴 공주와 결혼하여 낳은 후손들이 현재 보나파르트 가문의 수장 지위를 잇고 있다.[4]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5]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등[6]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자녀들 중 가장 똑똑했으나 부모의 근친혼으로 인한 유전질환이 있어 왜소증을 앓았고 그 여파로 일찍 죽었다. 건강 때문에 제노바에서 살았는데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제노바의 그리스 로마 유적에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했으며, 제노바 지역 학자들도 그의 학식에 감탄했다고 한다.[7] 카를루스 1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