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9 19:25:24

여론조사꽃

여론조사 꽃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론조사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리얼미터 로고.png 파일:엠브레인퍼블릭 로고.png파일:엠브레인퍼블릭 로고 화이트.png 파일:여론조사 꽃 로고.svg 파일:입소스 로고.jpg
리얼미터 엠브레인퍼블릭 여론조사꽃 입소스
파일:NBS 전국지표조사 로고.png 파일:Kantar-Logo-Small-Use-Black.png파일:칸타코리아 로고 화이트.png 파일: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_로고.svg 파일:한국갤럽 CI.svg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전국지표조사 칸타코리아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한국갤럽
파일:hrclogo2404.png 파일:한길리서치 로고.png
한국리서치 한길리서치
※ 순서는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여론조사기관. 가나다 순
}}}}}}}}} ||
여론조사꽃
Flower Research

파일:여론조사 꽃 로고.svg

<colbgcolor=#F7B62F><colcolor=#000> 설립연도 2022년
업종명 시장조사 및 여론조사업
대표 김어준
기업형태 중소기업
사업자등록번호 115-88-02536
통신판매신고번호 제2022-서울서대문-0822 호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0 (충현동)
링크 여론조사꽃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설립3. 특징4. 신뢰도5. 조사결과 추이6. 논란
6.1. 유도성 질문 논란
7. 사건 사고
7.1. 12.3 비상계엄 통제작전지역 지목
8. 세부 지표9. 정례 여론조사 목록(전화면접)
9.1. 국정 지지율9.2. 정당 지지율
10.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여론조사 기관. 유명 언론인 겸 시사평론가, 유튜버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가 설립하였다.

언론사의 의뢰나 비용 지불을 받는 시중 대부분의 선거 여론조사들과는 달리, 다른 기관이나 언론사의 의뢰를 받지 않고, 100% 순수 구독자들의 구독료로만 운영된다.

2. 설립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결과는 약 0.73%p라는 소수점 차이의 초박빙으로 결정되었다. 허나 적게는 몇%P, 많게는 10여%P 격차를 보이던 시중의 여론조사 발표들로 인해 민주당 지지층과 중도층이 여론조사 가스라이팅을 당하였고, 일부가 의기소침해져 투표장에 나오지 않는 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한[1]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가 독립성이 넉넉하게 보장된 여론조사를 만들겠다고 구상하면서 설립하였다.

2022년 10월 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산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여심위)에 등록되었다.

3. 특징

비싼 게, 정확하다![2][3]
전 세계 유일의 구독형 여론조사[4]를 표방하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매주 ARS 방식과 전화면접 방식의 조사를 같은 날짜에 동시에 실시하여 발표하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 윈지코리아컨설팅의 대표였던 박시영이 여론조사 기획에 참여하고 있다. 리얼미터이택수 대표도 연구원 채용에서 돕고 있다고 한다.[5]

ARS 조사는 정치 고관여층 위주의 응답이 이루어지지만, 익명성이 보장되어 샤이 표심을 파악하기 수월하다. 반면 전화면접 조사는 정치 저관여층의 응답까지 폭넓게 파악되지만, 동시에 응답자의 정치 의식을 상담원에게 공개하여야 하므로 익명성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같은 날짜에 두 조사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두 조사방식에 따른 결과의 차이 뿐만 아니라, 겉으로 드러난 보편적 민심과 기저에 감춰진 숨은 민심의 흐름을 서로 일대 일로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다. 당연한 소리지만 돈이 이중삼중으로 들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6]

ARS 조사의 경우에는 RDD 방식을[7] 전화면접 조사의 경우에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학계에서 권장하는대로 무작위로 추출한 응답 대상이 받을 때까지 시간 간격을 두고 여러번 다시 전화를 거는 '콜백'을 반복해서 실시하고 있다.#[8]

여론조사꽃의 조사 결과는 윤석열 정부 기간 동안 발표되는 다른 여론조사들에 비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지표가 약간 더 잘 나오는 편이었으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지지도는 공신력이 검증된 다른 여론조사들과 비슷하게 나오거나, 종종 더 높게 나오기도 했다. 대략적으로 표본수 4,000명 이상의 월간 통계 기준으로 보면,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의 경우 한국갤럽의 정례 조사보다 여론조사꽃의 정례 조사에서 약 2%p 내외 가량 높게 나오는 경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4년 22대 총선과 동해 말 12.3 비상계엄, 21대 대선 시기까지는 더불어민주당 쪽이 다른 여조 대비 좀 더 잘 나오고, 국민의힘 쪽은 좀 덜 나오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자세한건 후술 내용 참조.

조사기법에서도 많은 타 여론조사 기관과 차이가 좀 있는데[9], 평일 저녁부터 시작하여 주말까지 집중적으로 조사를 수행하여, 일과를 마친 화이트 칼라, 블루 칼라, 학생 계층까지도 비교적 여론조사에 잘 잡히는 편이다. 또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지지정당이 없다'고 대답했거나, 대통령 지지도 조사에서 '잘 모르겠다'고 대답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금이라도 더 낫거나 호감 가는 정당'을 묻거나, '그래도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식으로 재질문을 한다. 소극적 응답층을 잡아내기 위해 답변 유보자를 상대로 재질문을 하는 것이다.[10] 그 외 정당 지지도 관련 문항을 가장 먼저 묻는다. 소극적 응답층은 여론조사의 중도 탈락율이 높기 마련인데, 정당 지지도 조사를 가장 먼저 배치함으로써 소극적 응답층의 답변 유보나 중도 탈락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이러한 몇가지 특성 때문에 윤석열 정권 임기 개시 이후 소극적 응답층으로 숨게 된 표심이 해당 조사에서 더 잘 드러나게 되므로,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도가 다른 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은 더 높게 나오고, 때로는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의 지지도 또한 다른 조사에 비해 더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었으며, 대신 무응답 층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오는 편이었다. 특히 ARS 조사. 참고로 야당 지지층이 주로 샤이 계층화 되어 여론조사를 할 때 숨어버리는 현상은 보수/진보 정부를 막론하고 비슷하게 나타나는 편이다.

2023년 기준 언론에 공표되는 정례 선거 여론조사 중, 콜백을 여러 번 중점적으로 수행하는 조사로는 전국지표조사한국갤럽 등이 있고,[11] 오후부터 저녁 시간까지 조사를 진행하는 곳으로는 전국지표조사와 미디어토마토 등이 있으며,[12] 정당 지지도와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에 대해 재질문을 수행하는 곳으로는 전국지표조사한국갤럽 등이 있고, 정당 지지도를 가장 먼저 질문하는 곳으로는 리얼미터와 미디어토마토 등이 있다. 그러나 이 4가지 특징를 한꺼번에 모두 만족하는 조사는 현재 여론조사꽃이 유일하다.

이상의 여러 특징들은 일선 학계에서는 선거 여론조사의 이상적인 방법으로 권장되어 왔지만, 하나같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방법들인지라, 다른 조사 기관들이 쉽사리 시도하지 못하는 것들이었다. 그래서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는 여론조사꽃의 경우에는 전화면접조사에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사용해[13] 매주 여론조사 수행 비용이 약 2,000만 원대로 업계에서 가장 많이 소요되고, 조사의 단가 또한 국내에서 가장 비싼 축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스케일 면에 있어서는 좌우 가리지 않고 여러 커뮤니티가 혀를 내두를 정도.#

다만 2024~2025년 어느 무렵부턴 여론조사꽃의 인지도가 올라가면서 친민주당계 방송인 김어준이 하는 조사라는게 제법 알려져서인지, 민주당계 지지층이 더 적극적으로 응답하고 보수층은 덜 응답해 이른바 '하우스이펙트' 효과가 나타나 다른 여조 대비 차이가 더 벌어지는 현상이 일어난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2025년 21대 대선 때는 하우스이펙트 주장을 의식해 표본수를 늘렸음에도 국힘 김문수 후보측 샤이 표심을 제대로 잡아내지 못했다. 이에 대해 김어준 본인도 뉴스공장 방송에서 이건 국힘 후보 득표율이 이 여론조사보단 좀 더 올라갈 확률이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물론 그것과 별개로 여조 자체에서 잘 잡지 못한 부분은 있었기에 좀 더 정확한 여론조사 결과값을 내기 위해선 향후 보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4. 신뢰도

여론조사꽃의 창립자 김어준이 대표적인 친민주당 성향 방송인 중 한명이다보니, 정치적 편향성과 관련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단 여론조사꽃은 기본적으론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선거여론조사기관으로 등록되어있는 업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론조사꽃의 여론조사는 '공직선거법 제8조의8 7항 2호'에 따른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공직선거법 또는 선거여론조사기준의 위반 여부에 대한 심의 및 조치의 대상이다.# 또한 '공직선거법 제108조의 3항'에 명시돼 있는 것처럼, 여론조사를 실시하려면 여론조사의 목적, 표본의 크기, 조사지역ㆍ일시ㆍ방법, 전체 설문내용 등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하는 사항을 여론조사 개시일 전 2일까지 관할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서면으로 신고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여론조사결과를 왜곡하여 공표 또는 보도할 수 없다.[14] 즉, 규제 당국의 관리ㆍ감독을 받아 시행 및 공표되고 있는 최소한의 신뢰성을 담보하는 여론조사다.

여론조사꽃은 언론으로부터 의뢰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조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매번 '여론조사 실시신고'를 의무적으로 하고 있다. 여론조사의 목적, 표본의 크기, 조사 지역·일시·방법, 전체 설문내용 등 규칙으로 정한 사항을 매번 조사를 시행하기 이전에 통보하고 있다. # 반면 언론과 같은 제3자로부터 여론조사를 의뢰받은 경우 '여론조사 사전신고' 대상이 아니며, 드물지만 특정 후보자의 선거운동 수단, 불공정 여론조사로 악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명태균 게이트 의혹의 경우 사전신고 대상이 아닌 지역 인터넷 언론사 등의 의뢰를 받는 수법으로 여론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

5. 조사결과 추이

5.1.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강서구청장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의 진교훈 후보가 43.4%, 국민의힘의 김태우 후보가 27.4%를 득표해 약 16%p 차이를 보인다고 예측하였다.# 참고로 비슷한 시기 리얼미터나 리서치뷰는 대략 한 자릿수 정도, 또는 많아야 10%p 정도의 격차를 예상하였다. 여론조사꽃은 이들과 달리 훨씬 더 큰 폭의 차이가 나오는 조사를 발표한 것이었기 때문에 당시 몇몇 정치 커뮤니티에서는 '김어준이 대표로 있는 여론조사 기관이라서 민주당에게 유리하게 조사된 것 아닌가'는 식의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15] 실제 결과는 진 후보가 최종 득표수 13만7065표(득표율 56.52%)로 9만5492표(39.37%)를 얻은 김 후보를 17%p 차이로 꺾었다. 수치 차이로만 보면 당시 여론조사들 중 가장 정확했던 셈이다. 다만 여론조사꽃의 강서구청장 마지막 조사는 선거 3주 전에 실시되었던 건 감안할 필요가 있다.[16]

5.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2월 서울특별시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ars 자동응답방식)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47개 지역구별 ]
지역구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서울 전체
38.12%
38.12%
47.48%
2.44%
6.68%
5.29%
종로구
38.9%
38.9%
48.2%
1.4%
7.3%
4.2%
중구성동구갑
36%
36%
44.4%
4.6%
9.1%
5.9%
중구성동구을
37.2%
37.2%
48.7%
3.1%
6.2%
4.7%
용산구
40.6%
40.6%
47.5%
1.8%
7.3%
2.8%
광진구갑
38.2%
38.2%
47.2%
2.9%
6.2%
5.5%
동대문구을
36.6%
36.6%
50%
1.3%
6.3%
5.8%
중랑구갑
40.1%
40.1%
46.3%
1.6%
5.1%
7%
중랑구을
34.5%
34.5%
52.4%
1.9%
5%
6.2%
성북구갑
34%
34%
50.8%
2.5%
7.7%
5.2%
성북구을
36%
36%
51.7%
1.7%
6.3%
4.2%
강북구갑
33.1%
33.1%
53.8%
1%
4.8%
7.3%
강북구을
23.8%
23.8%
66.1%
1.4%
5.8%
2.9%
도봉구갑
35.4%
35.4%
51.9%
2.2%
6.2%
4.4%
도봉구을
38.7%
38.7%
50.5%
1.2%
5.1%
4.4%
노원구갑
30.8%
30.8%
53.6%
3.4%
8.1%
4.1%
노원구을
30.7%
30.7%
54.6%
2.1%
6.7%
5.9%
노원구병
35.2%
35.2%
49.2%
3.1%
7.7%
4.7%
은평구갑
31.3%
31.3%
55.1%
3%
6.1%
4.4%
은평구을
34.8%
34.8%
49.4%
2.8%
6.5%
6.3%
서대문구갑
38.5%
38.5%
45.9%
4.3%
6%
5.2%
서대문구을
32%
32%
55.4%
1.4%
6.6%
4.6%
마포구갑
34.8%
34.8%
47.5%
2%
9.7%
6.1%
마포구을
35.5%
35.5%
45.9%
5.4%
8.3%
4.9%
양천구갑
44.8%
44.8%
43.5%
2.1%
6.5%
3.2%
양천구을
32.5%
32.5%
51.1%
2.4%
6.3%
7.7%
강서구갑
31.6%
31.6%
51.5%
2.1%
7.9%
6.9%
강서구을
35.1%
35.1%
51.6%
3.4%
4.7%
5.2%
강서구병
35.3%
35.3%
50.3%
2.6%
6.4%
5.4%
구로구갑
37.6%
37.6%
48.8%
2.5%
7.1%
4%
구로구을
35.6%
35.6%
47.4%
2.3%
8%
6.8%
금천구
33.3%
33.3%
52.5%
2.1%
6.5%
5.6%
영등포구갑
34.7%
34.7%
49.1%
4%
7.1%
5.2%
영등포구을
47.3%
47.3%
37.1%
2%
7.3%
6.3%
동작구갑
39.3%
39.3%
44%
2.4%
7.2%
7.1%
동작구을
40.2%
40.2%
46.3%
3.4%
5.6%
4.5%
관악구갑
31.5%
31.5%
50.3%
3%
5.4%
9.8%
관악구을
34%
34%
51.3%
3.2%
6.1%
5.6%
서초구갑
49.6%
49.6%
37.1%
2.3%
7.2%
3.8%
서초구을
51.4%
51.4%
35.2%
1.9%
7.1%
4.4%
강남구갑
52.9%
52.9%
35.1%
1.4%
5.9%
4.7%
강남구을
48.4%
48.4%
36.7%
2.3%
9.2%
3.4%
강남구병
55.5%
55.5%
30.8%
2%
6.2%
5.3%
송파구갑
42.5%
42.5%
43%
1.4%
7.8%
5.4%
송파구을
44.8%
44.8%
41.2%
1.8%
6.3%
5.9%
송파구병
38.5%
38.5%
50.2%
2%
4.7%
4.6%
강동구갑
45.8%
45.8%
40.2%
1.6%
8.1%
4.4%
강동구을
43.5%
43.5%
42.3%
3%
5.9%
5.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4개 권역별 ]
권역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서울 전체
38.12%
38.12%
47.48%
2.44%
6.68%
5.29%
강북 서부권[1]
35.8%
35.8%
49.47%
2.86%
7.06%
4.77%
강북 동부권[2]
34.67%
34.67%
51.32%
2.24%
6.48%
5.29%
강남 서부권[3]
36.36%
36.36%
48.46%
2.7%
6.53%
5.99%
강남 동부권[4]
46.88%
46.88%
39.64%
1.95%
6.82%
4.7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전체 연령별 ]
연령대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서울 전체
38.12%
38.12%
47.48%
2.44%
6.68%
5.29%
18~29세
30.93%
30.93%
42.95%
5.31%
8.58%
12.23%
30대
29.9%
29.9%
48.63%
3.52%
11.04%
6.9%
40대
26.25%
26.25%
62.81%
1.35%
6.25%
3.33%
50대
32.95%
32.95%
57.61%
1.39%
5.36%
2.69%
60대
51.59%
51.59%
39.83%
1.18%
4.61%
2.78%
70대 이상
64.13%
64.13%
28.4%
1.53%
3.4%
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후보지지율 - 47개 지역구별 ]
지역구 국민의힘 후보 더불어민주당 후보
서울 전체
37.17%
47.03%
종로구
38.5%
46.9%
중구·성동구갑
33.4%
46.8%
중구·성동구을
33.4%
49.6%
용산구
41.1%
44%
광진구갑
36.7%
49.5%
동대문구을
36.4%
49.1%
중랑구갑
38.3%
46.8%
중랑구을
35%
52.5%
성북구갑
31.6%
52.6%
성북구을
36.5%
49.1%
강북구갑
32.3%
52.1%
강북구을
22.5%
65.7%
도봉구갑
37.3%
47.4%
도봉구을
36%
49.6%
노원구갑
29.3%
54.6%
노원구을
33%
54.8%
노원구병
31.1%
50.3%
은평구갑
31.3%
53.7%
은평구을
32.5%'
51.5%
서대문구갑
37.2%
45.1%
서대문구을
32.5%
54.8%
마포구갑
36.2%
46.4%
마포구을
33.1%
46.1%
양천구갑
43.7%
42.2%
양천구을
32.2%
50.9%
강서구갑
30.3%
53.9%
강서구을
33.6%
50%
강서구병
34.4%
49.9%
구로구갑
36.1%
47.4%
구로구을
34%
46.5%
금천구
31.3%
52.9%
영등포구갑
34.1%
48.7%
영등포구을
47.4%
36.2%
동작구갑
39.5%
42.5%
동작구을
40.8%
46.4%
관악구갑
29.8%
50.1%
관악구을
30.7%
49.7%
서초구갑
48.5%
35.8%
서초구을
49.6%
36.9%
강남구갑
50.2%
31.9%
강남구을
48.2%
36.8%
강남구병
57.2%
30.5%
송파구갑
41.2%
41.7%
송파구을
46.6%
39.8%
송파구병
39.9%
47.3%
강동구갑
44.5%
41.5%
강동구을
39.9%
42.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후보지지율 - 전체 연령별 ]
연령대 국민의힘 후보 더불어민주당 후보
서울 전체
37.17%
47.03%
18~29세
28.29%
43.16%
30대
28.5%
47.55%
40대
26.07%
62.43%
50대
33.09%
57.47%
60대
50.84%
38.98%
70대 이상
63.37%
27.55%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종로구, 중구성동구을, 용산구, 은평구갑, 은평구을, 서대문구갑, 서대문구을, 마포구갑, 마포구을.[2] 중구성동구갑, 광진구갑, 동대문구을, 중랑구갑, 중랑구을, 성북구갑, 성북구을, 강북구갑, 강북구을, 도봉구갑, 도봉구을, 노원구갑, 노원구을, 노원구병.[3] 양천구갑, 양천구을, 강서구갑, 강서구을, 강서구병, 구로구갑, 구로구을, 금천구, 영등포구갑, 영등포구을, 동작구갑, 동작구을, 관악구갑, 관악구을.[4] 서초구갑, 서초구을, 강남구갑, 강남구을, 강남구병, 송파구갑, 송파구을, 송파구병, 강동구갑, 강동구을.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4년 2월 14일 부터 2월 20일까지 서울 47개 지역구(광진구을과 동대문갑은 청년층 표본이 덜 찬 관계로 공표하지 않음)별로 자체적으로 ars 자동응답 방식(무선 안심번호 80~90% + 유선RDD 10~20%)으로 조사한 정당지지율 결과임. 각 지역구 별로 2일 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지역구 별 500~520여명에 ±4.3~4.4%P / 전체는 23500여명에 ±0.9%P). 지역구 기준은 22대 총선 획정 전으로 삼았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4년 3월 4일 월요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2월 대전광역시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ars 자동응답방식)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7개 지역구별 ]
지역구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대전 전체
40.36%
40.36%
46.78%
2%
4.92%
5.94%
동구
36.5%
36.5%
52.3%
1.5%
4.5%
5.2%
중구
44.5%
44.5%
43.5%
1.6%
4.7%
5.7%
서구 갑
41.2%
41.2%
45.9%
1.6%
4%
7.4%
서구 을
45.3%
45.3%
40.2%
1.8%
7%
5.7%
유성구 갑
38.2%
38.2%
51.8%
2.3%
2.9%
4.8%
유성구 을
34.7%
34.7%
47.3%
2.6%
8.6%
6.7%
대덕구
40.4%
40.4%
47.5%
3.1%
3.1%
5.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전체 연령별 ]
연령대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대전 전체
40.36%
40.36%
46.78%
2%
4.92%
5.94%
18~29세
28.77%
28.77%
44.5%
3.68%
5.77%
17.28%
30대
32.07%
32.07%
48.28%
2.66%
9.64%
7.34%
40대
22.66%
22.66%
68.76%
1.27%
4.58%
2.72%
50대
40.14%
40.14%
52.37%
1.24%
3.3%
2.95%
60대
55.49%
55.49%
36.57%
1.77%
3.75%
2.42%
70대 이상
73.07%
73.07%
21.6%
1.33%
2.51%
1.48%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후보지지율 - 7개 지역구별 ]
지역구 국민의힘 후보 더불어민주당 후보
대전 전체
40.09%
45.94%
동구
36.5%
52.3%
중구
44.5%
43.5%
서구 갑
41.2%
45.9%
서구 을
45.3%
40.2%
유성구 갑
38.2%
51.8%
유성구 을
34.7%
47.3%
대덕구
40.4%
47.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후보지지율 - 전체 연령별 ]
연령대 국민의힘 후보 더불어민주당 후보
대전 전체
40.09%
45.94%
18~29세
27.68%
40.98%
30대
33.41%
49.44%
40대
22.98%
66.83%
50대
39.3%
53.24%
60대
56.21%
34.99%
70대 이상
70.91%
22.24%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4년 2월 21일 부터 2월 22일까지 대전 7개 지역구별로 자체적으로 ars 자동응답 방식(무선 안심번호 90~91% + 유선RDD 9~10%)으로 조사한 정당지지율 결과임. 각 지역구 별로 2일 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지역구 별 500여명에 ±4.4%P / 전체는 3500여명에 ±1.7%P).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2월 인천광역시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ars 자동응답방식)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13개 지역구별 ]
지역구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인천 전체
38.23%
38.23%
48.04%
2.51%
5.17%
6.06%
중구강화군옹진군
44.7%
44.7%
44.2%
1.8%
3.5%
5.8%
동구미추홀구갑
40.1%
40.1%
46.4%
2.1%
4.9%
6.6%
동구미추홀구을
42.4%
42.4%
46.3%
2.6%
4%
4.8%
연수구갑
40.1%
40.1%
47.1%
2.8%
4.6%
5.4%
연수구을
36.8%
36.8%
52.7%
2.4%
3.4%
4.7%
남동구갑
39.5%
39.5%
47.4%
1.7%
5.4%
5.9%
남동구을
38.3%
38.3%
46%
3.7%
6.6%
5.5%
부평구갑
36.6%
36.6%
47.6%
2.5%
4.6%
8.7%
부평구을
35%
35%
51.2%
2.2%
4.8%
6.8%
계양구갑
36%
36%
51.2%
3%
4.6%
5.1%
계양구을
38.7%
38.7%
49.2%
2.7%
5.5%
4%
서구갑
38.9%
38.9%
45.3%
3.5%
7.1%
5.1%
서구을
32.2%
32.2%
50.9%
2.1%
6.9%
7.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3개 권역별 ]
권역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인천 전체
38.23%
38.23%
48.04%
2.51%
5.17%
6.06%
영종원인천권[1]
39.31%
39.31%
47.9%
2.5%
4.71%
5.61%
부평검단권[2]
35.91%
35.91%
49.07%
2.62%
5.77%
6.62%
도서지역[3]
55.1%
55.1%
35.1%
1.2%
3.6%
4.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전체 연령별 ]
연령대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인천 전체
38.23%
38.23%
48.04%
2.51%
5.17%
6.06%
18~29세
29.09%
29.09%
41.63%
4.2%
7.66%
17.44%
30대
29.48%
29.48%
51.27%
4.46%
7.38%
7.42%
40대
25.15%
25.15%
63.93%
1.86%
4.52%
4.52%
50대
33.97%
33.97%
57.45%
1.06%
5.04%
2.46%
60대
53.58%
53.58%
39.28%
1.42%
3.51%
2.23%
70대 이상
68.21%
68.21%
24.03%
2.54%
2.29%
2.9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후보지지율 - 13개 지역구별 ]
지역구 국민의힘 후보 더불어민주당 후보
인천 전체
37.87%
46.79%
중구강화군옹진군
45.7%
43.8%
동구미추홀구갑
37.8%
44.6%
동구미추홀구을
42.3%
44.3%
연수구갑
40.5%
46.6%
연수구을
36.8%
52.7%
남동구갑
36.3%
47.8%
남동구을
38%
46.8%
부평구갑
36.3%
44.7%
부평구을
36.7%
47.6%
계양구갑
35.5%
50.1%
계양구을
38.9%
47.3%
서구갑
38%
44.5%
서구을
33.1%
48.7%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중구, 동구미추홀구갑, 동구미추홀구을, 연수구갑, 연수구을, 남동구갑, 남동구을.[2] 부평구갑, 부평구을, 계양구갑, 계양구을, 서구갑, 서구을.[3] 강화군, 옹진군.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4년 2월 19일 부터 2월 22일까지 인천 13개 지역구별로 자체적으로 ars 자동응답 방식(무선 안심번호 87~92% + 유선RDD 8~13%)으로 조사한 정당지지율 결과임. 각 지역구 별로 2일 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자치구 별 500여명에 ±4.4%P / 전체는 6500여명에 ±1.2%P).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4년 3월 11일 월요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2월 경기도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ars 자동응답방식)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56개 지역구별 ]
지역구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경기 전체
36.98%
36.98%
49.66%
2.24%
5.96%
5.16%
수원갑
36.3%
36.3%
49.7%
2%
6.2%
5.7%
수원을
31.2%
31.2%
55.6%
2.5%
5.7%
4.9%
수원병
40.5%
40.5%
44.9%
3.8%
5%
5.8%
수원정
33.3%
33.3%
51.5%
1.7%
8.4%
5.2%
수원무
38.6%
38.6%
44.4%
2.4%
8.8%
5.8%
성남수정
37.4%
37.4%
48.7%
2%
6.9%
4.9%
성남중원
26.9%
26.9%
59.2%
1.8%
6.2%
5.9%
성남분당갑
42.3%
42.3%
42.9%
2.5%
8.2%
4.1%
성남분당을
47.1%
47.1%
39%
2.4%
8.1%
3.4%
의정부갑
34.9%
34.9%
49.9%
2.3%
7.4%
5.6%
의정부을
35.4%
35.4%
49.7%
2.1%
6.1%
6.7%
안양만안
33.7%
33.7%
52.3%
2.3%
6.7%
5.1%
안양동안갑
33.6%
33.6%
55.7%
3.3%
3.9%
3.5%
안양동안을
39.7%
39.7%
44.7%
3.4%
7%
5.5%
부천갑
36.3%
36.3%
49%
3.7%
6.3%
4.6%
부천을
34.2%
34.2%
52.7%
0.9%
7.4%
4.7%
부천병
31.1%
31.1%
56.2%
2.1%
5.7%
4.9%
부천정
30.1%
30.1%
58%
1.6%
5.6%
4.7%
광명갑
35%
35%
51.5%
2.3%
6.8%
4.4%
광명을
29.7%
29.7%
56.8%
3.4%
5.7%
4.5%
평택갑
38.6%
38.6%
48.8%
0.8%
5.9%
6%
평택을
38.2%
38.2%
45.8%
2.3%
7.1%
6.6%
동두천연천
49.2%
49.2%
39.3%
3.2%
3.5%
4.8%
안산상록갑
34.2%
34.2%
53.1%
2.8%
4.8%
5.1%
안산상록을
37.1%
37.1%
50.1%
2.7%
5.5%
4.5%
안산단원갑
34.2%
34.2%
50.4%
2.4%
6.3%
6.7%
안산단원을
35.6%
35.6%
47.3%
3.3%
6.6%
7.2%
고양갑
31.2%
31.2%
55.2%
4.1%
6.1%
3.3%
고양을
29.3%
29.3%
58.4%
2.9%
4.7%
4.7%
고양병
35.3%
35.3%
49%
2.9%
6.7%
5.9%
고양정
37.7%
37.7%
49.4%
3.7%
5.7%
3.6%
의왕과천
38.4%
38.4%
46.8%
2%
7.1%
5.7%
구리
39.4%
39.4%
46.9%
1.6%
5.7%
6.3%
남양주갑
37.9%
37.9%
50.3%
1.6%
4.2%
5.9%
남양주을
28.5%
28.5%
58.3%
2.8%
5.2%
5.2%
남양주병
36.8%
36.8%
48.1%
1.6%
7.2%
6.4%
오산
31.8%
31.8%
55.6%
1.9%
4.4%
6.3%
시흥갑
36.8%
36.8%
49.4%
1.4%
6.4%
5.9%
시흥을
30.3%
30.3%
56.8%
2.5%
4.7%
5.7%
군포
34.9%
34.9%
52.3%
1.7%
5.4%
5.7%
하남
39.9%
39.9%
48.4%
1.6%
5.9%
4.2%
용인갑
38%
38%
47.9%
3.1%
5.7%
5.2%
용인을
40.3%
40.3%
46.1%
2.1%
6%
5.4%
용인병
43.1%
43.1%
46.2%
1.7%
6.6%
2.4%
용인정
42.4%
42.4%
45.1%
1%
7.6%
4%
파주갑
31.4%
31.4%
56.2%
1.3%
5.8%
5.2%
파주을
39.5%
39.5%
47.2%
1.3%
6.3%
5.7%
이천
40.7%
40.7%
44.5%
1%
6.1%
7.7%
안성
42.3%
42.3%
46.6%
2.4%
5.1%
3.6%
김포갑
38.3%
38.3%
50.9%
1.8%
5.5%
3.5%
김포을
35.7%
35.7%
53.2%
2.2%
5.1%
3.9%
광주갑
39.8%
39.8%
50.6%
1.2%
2.7%
5.7%
광주을
37.4%
37.4%
49.3%
3.7%
4.2%
5.3%
양주
37.6%
37.6%
48.7%
2.1%
4.7%
6.9%
포천가평
49.5%
49.5%
37.4%
3.2%
4.4%
5.5%
여주양평
55.1%
55.1%
35.7%
1.9%
4.1%
3.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6개 권역별 ]
권역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경기 전체
36.98%
36.98%
49.66%
2.24%
5.96%
5.16%
수원용인권[1]
38.25%
38.25%
47.89%
2.23%
6.7%
4.9%
동남권[2]
40.31%
40.31%
46.79%
1.92%
5.98%
4.98%
남부권[3]
36.68%
36.68%
49.58%
2.19%
5.75%
5.8%
서남권[4]
34.15%
34.15%
52.47%
2.22%
6.07%
5.1%
서북권[5]
34.32%
34.32%
52.92%
2.55%
5.69%
4.49%
북부권[6]
38.8%
38.8%
47.65%
2.28%
5.44%
5.83%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전체 연령별 ]
연령대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정당 / 무당층 및 잘 모름
경기 전체
36.98%
36.98%
49.66%
2.24%
5.96%
5.16%
18~29세
28.27%
28.27%
43.89%
5.63%
7.84%
14.38%
30대
28.77%
28.77%
51.44%
2.63%
9.96%
7.21%
40대
21.64%
21.64%
68.54%
1.34%
5.49%
3.01%
50대
33.98%
33.98%
57.33%
1.37%
5.03%
2.3%
60대
54.9%
54.9%
38.02%
0.94%
4.08%
2.09%
70대 이상
65.98%
65.98%
27.47%
1.62%
2.97%
1.96%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수원시갑, 수원시을, 수원시병, 수원시정, 수원시무, 용인시갑, 용인시을, 용인시병, 용인시정.[2] 성남시수정구, 성남시중원구, 성남시분당구갑, 성남시분당구을, 하남시, 이천시, 광주시갑, 광주시을, 여주시.[3] 평택시갑, 평택시을, 안산시상록구갑, 안산시상록구을, 안산시단원구갑, 안산시단원구을, 오산시, 안성시.[4] 안양시만안구, 안양시동안구갑, 안양시동안구을, 부천시갑, 부천시을, 부천시병, 부천시정, 광명시갑, 광명시을, 의왕시과천시, 시흥시갑, 시흥시을, 군포시.[5] 고양시갑, 고양시을, 고양시병, 고양시정, 파주시갑, 파주시을, 김포시갑, 김포시을.[6] 의정부시갑, 의정부시을, 동두천시연천군, 구리시, 남양주시갑, 남양주시을, 남양주시병, 양주시, 포천시가평군, 양평군.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4년 2월 7일 부터 2월 28일까지 경기도 56개 지역구(단, 화성시 갑을병은 조사대상에서 제외)별로 자체적으로 ars 자동응답 방식(무선 안심번호 87~92% + 유선RDD 8~13%)으로 조사한 정당지지율 결과임. 각 지역구 별로 2일 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자치구 별 500~510여명에 ±4.3~4.4%P / 전체는 28000여명에 ±0.9%P). 지역구 기준은 22대 총선 획정 전으로 삼았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4년 3월 11일 월요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2024년 3월 4일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본 방송에서 총선전 여론조사를 발표한 건에 따르면 서울에서 국민의힘이 오차범위를 벗어나 우세한 지역은 강남, 서초, 송파, 영등포구뿐이라고 전망하였다.# 2월 29일 발표된 KBS 여론조사에서는 서울에서 정당지지도가 국민의힘 43%, 민주당 33%라고 발표한 것과 차이가 있다.# 서울 지역 외에도 대전, 충남, 충북, 강원, 제주 지역 여론조사도 발표하였다.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2024년 3월 4일 월요일-덩곱매치 참고, 이후 3월 11일 월요일에는 인천, 경기 지역 여론조사도 발표되었다.

여론조사꽃이 만들어진 이후 처음 치러지는 대형 선거이기 때문에 신뢰도를 가늠하는 진정한 시험대에 올랐다고 할 수 있다. 여타 여론조사 기관들과 수치상 차이가 있는 여론조사 결과를 내놓고 있어 더욱 그렇다.

놀라운 점은 지역구마다 500명씩 하고 있다는건데 이 정도면 거의 돈을 쏟아 붓는 수준이다.[17] 의외로 정확한 여론조사가 아니냐는 얘기도 이것 때문이다. 표본을 정말 무식한 수준으로 잡아내고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표본이 늘어나면 그만큼 오차도 줄어들게 된다. 총선 결과가 나와야 확인할 수 있는 부분.

그 후 4월이 지나면서 결과가 나왔고, 예상과 달리 여론조사 공표 결과와 실제 총선 결과 간 오차가 벌어진 지역들도 있었다.[18] 대표적으론 동작을의 류삼영/나경원 조사가 엇나갔고, 이준석의 동탄을 역전극도 제대로 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결과적으로 다른 지역 대비 수도권의 부동산 벨트와 부울경의 샤이보수층을 제대로 잡지 못한 편이었다.###

다만 이는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관측되는 현상이었는데, 성남 분당 갑·을, 부산 해운대구 갑 등 국민의힘이 어지간하면 차지하는 지역구에서 민주당이 우세한 여론조사들이 다수 관측되었지만, 출구조사는 물론이고 직전 여조 모두 샤이보수를 제대로 잡아내지 못하고 틀려버렸다. 유권자 수십 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출구조사조차 다수의 예측 실패가 발생하여 범야권이 200석까지 갈 수도 있다는 예측결과는 빗나갔다.

결론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 조국혁신당의 선전이라는 결과가 나왔던 전반적인 총선 분위기는 정확하게 예측했으나, 전통적인 보수 지지층이 있는 수도권 일부 부촌이나 부울경의 샤이 보수 표심은 제대로 잡아내지 못했다고 정리할 수 있다.

5.3. 202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선거 1주일 전 여론조사를 기준으로 서울특별시교육감 정근식, 강화군수 박용철, 곡성군수 조상래 후보의 당선을 예측하는 데 성공하였다. 다만 3파전으로 분류되었던 영광군수와 격전지였던 금정구청장의 당선 예측은 실패했다.

특히 금정구청장의 경우 재보궐선거 치고는 비교적 많은 여론조사를 진행하였음에도 지난 총선 당시와 마찬가지로 샤이보수 표심을 제대로 잡아내지 못해 실제 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다.[19] 이로 인해 적어도 부산 선거에서는 여론조사꽃을 비롯한 여론조사 결과를 그대로 믿으면 안된다는 얘기들이 이제는 지지자들에서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20][21]

그나마 전통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인 강화군수 여론조사에서는 박용철 후보, 한연희 후보를 오차범위 내 접전으로 분류하여, 한연희 후보의 선전을 어느 정도 예측했다.[22]

5.4. 비상계엄 및 탄핵정국

22대 총선 이후 한동안 대형 여론조사를 실시하지 않다가, 2024년 12월 3일 12.3 비상계엄과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그리고 2025년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둔 조기 대선 정국 기간에 약 3000여명 표본 크기의 전화면접 프로젝트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 2025년 3월 14일 - 1차, 2025년 3월 21일 - 2차.

작년 프로젝트 여론조사와의 차이점은 시/도 별 지역구 단위로 500명 씩 조사했던 작년 조사와는 달리 이번에는 전국 단위로 ars는 15,000 여 명, 전화면접은 2,000 ~ 3,000여 명 조사를 했다는 점이다. 2024년 재보궐 선거때 하우스이펙트 효과가 있었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표본수 자체를 크게 늘린 것으로 보인다.

파일:gukhoe_daihan.png
2025년 4월 대선3000 정당지지율(3차)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지지 정당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
민주당
<colcolor=#e4002b> 국민
의힘
<colcolor=#0073cf> 조국
혁신당
<colcolor=#ff7210> 개혁
신당
<colcolor=#d6001c> 진보
<colcolor=#000000> 기타
정당
<colcolor=#808080> 무당층
전체 52.0 30.5 4.1 2.0 0.7 1.2 9.6
권역별
서울 50.2 32.2 3.7 2.2 0.7 2.1 8.9
인천·경기 55.5 27.6 3.4 2.4 0.6 1.2 9.3
대전·세종·충청 49.6 31.5 5.3 1.9 0.0 0.6 11.1
광주·전라 80.5 5.6 5.7 2.1 0.0 0.3 5.7
대구·경북 29.5 51.6 3.1 0.7 0.4 1.1 13.8
부산·울산·경남 44.0 35.4 4.0 2.1 2.0 1.3 11.1
강원·제주 53.8 33.1 6.3 0.0 0.7 0.8 5.3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25.2 39.7 3.7 10.4 0.4 0.4 20.3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60.4 12.1 3.1 0.9 1.8 0.0 21.8
<bgcolor=#8EECF5> 30대 남성 43.0 33.2 0.9 5.4 0.8 1.8 14.9
<bgcolor=#8EECF5> 30대 여성 58.0 18.9 3.0 0.4 1.8 5.6 12.3
<bgcolor=#90DBF4> 40대 남성 68.5 16.3 6.0 1.5 0.0 0.7 7.1
<bgcolor=#90DBF4> 40대 여성 74.7 12.1 3.6 1.6 0.4 3.5 4.0
<bgcolor=#A3C4F3> 50대 남성 68.6 16.3 7.1 0.3 0.7 0.7 6.4
<bgcolor=#A3C4F3> 50대 여성 61.6 22.8 6.6 1.4 1.0 1.1 5.5
<bgcolor=#CFBAF0> 60대 남성 44.8 38.5 4.9 0.8 0.4 0.4 10.3
<bgcolor=#CFBAF0> 60대 여성 45.0 46.0 3.8 0.4 0.8 0.4 3.7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33.7 53.6 2.9 1.0 0.5 0.0 8.4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2.7 59.7 1.6 0.4 0.0 0.4 5.3
이념 성향별
진보 82.1 4.4 5.2 0.6 1.5 1.3 4.9
중도 54.8 22.1 5.2 3.3 0.4 1.5 12.7
보수 16.8 72.3 1.8 2.0 0.1 1.0 5.9
직업별
농·임·축·어업 47.5 38.5 6.6 2.8 0.0 0.0 4.6
자영업 51.5 34.1 3.7 1.4 0.9 1.6 6.9
화이트칼라 59.2 22.3 4.6 2.1 0.7 1.7 9.4
블루칼라 51.2 28.5 4.5 2.8 0.4 1.4 11.2
전업주부 46.7 43.1 2.4 0.9 0.6 0.6 5.6
학생 42.7 24.7 4.2 4.3 1.0 0.0 23.1
무직·기타 41.6 41.0 4.3 1.2 0.9 0.5 10.6
2022 대선투표자별
<bgcolor=#004EA2> 이재명 87.6 2.4 5.9 0.4 0.4 0.3 3.0
<bgcolor=#E61E2B> 윤석열 9.6 73.9 1.0 3.5 0.5 2.4 9.1
<bgcolor=#FFED00> 심상정 56.1 7.8 9.2 4.3 7.6 3.0 11.9
<bgcolor=#808080> 기타후보 19.6 18.5 7.0 5.4 2.6 3.9 42.9
투표 안했음 37.8 26.7 3.0 3.5 0.8 0.4 27.7
투표권 없었음 43.5 26.2 7.1 2.1 1.1 0.0 20.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후보 지지율 ]
- 국힘 후보 민주 후보
전체
27.2%
52.7%
권역별
서울
28.3%
51.2%
인천·경기
25.0%
56.1%
대전·세종·충청
28.1%
49.7%
광주·전라
5.5%
80.8%
대구·경북
47.2%
29.3%
부산·울산·경남
30.3%
45.4%
강원·제주
29.2%
55.5%
성·연령별
18~29세 남성
33.4%
24.1%
18~29세 여성
9.4%
52.2%
30대 남성
27.0%
42.4%
30대 여성
15.4%
54.5%
40대 남성
14.4%
74.0%
40대 여성
11.7%
74.3%
50대 남성
15.6%
72.6%
50대 여성
21.1%
64.4%
60대 남성
35.8%
49.3%
60대 여성
42.6%
45.4%
70대 이상 남성
49.6%
34.1%
70대 이상 여성
52.6%
33.5%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0.1%
93.1%
국민의힘
86.4%
1.0%
조국혁신당
0.8%
66.0%
개혁신당
5.3%
4.8%
지지정당없음
5.6%
7.3%
이념성향별
진보
3.3%
83.7%
중도
18.8%
55.5%
보수
67.1%
17.9%
직업별
농·임·축·어업
38.5%
52.0%
자영업
30.8%
53.9%
화이트칼라
19.3%
60.5%
블루칼라
27.4%
52.9%
전업주부
39.3%
46.3%
학생
20.7%
36.0%
은퇴·무직
35.9%
42.3%
2022 대선투표자별
이재명
2.3%
89.2%
윤석열
67.2%
9.7%
심상정
6.2%
58.0%
기타후보
14.6%
19.9%
투표 안했음
23.2%
37.0%
투표권 없었음
17.5%
38.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인식 ]
- 정권 연장 정권 교체
전체
27.0%
69.3%
권역별
서울
29.6%
67.4%
인천·경기
24.8%
71.7%
대전·세종·충청
26.2%
69.2%
광주·전라
6.3%
91.4%
대구·경북
42.5%
51.6%
부산·울산·경남
32.1%
64.2%
강원·제주
26.8%
68.5%
성·연령별
18~29세 남성
38.0%
54.5%
18~29세 여성
10.1%
84.1%
30대 남성
32.8%
63.4%
30대 여성
19.0%
79.2%
40대 남성
15.2%
84.8%
40대 여성
11.7%
87.8%
50대 남성
17.6%
81.0%
50대 여성
19.3%
78.6%
60대 남성
34.3%
61.9%
60대 여성
37.1%
57.6%
70대 이상 남성
48.3%
47.8%
70대 이상 여성
44.3%
46.3%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0.8%
98.5%
국민의힘
78.5%
17.3%
조국혁신당
2.5%
95.9%
개혁신당
8.9%
87.7%
지지정당없음
20.7%
59.9%
이념성향별
진보
3.4%
94.9%
중도
19.8%
76.4%
보수
64.6%
33.2%
직업별
농·임·축·어업
32.2%
61.3%
자영업
30.1%
67.1%
화이트칼라
21.6%
76.3%
블루칼라
25.6%
71.0%
전업주부
32.6%
62.1%
학생
23.1%
69.7%
은퇴·무직
36.9%
57.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 결정 요인 ]
투표 결정 요인 1순위 <colcolor=#4169E1><nopad> 능력과
경력
<colcolor=#FFA500> 도덕성 <colcolor=#00CED1> 공약 <colcolor=#DEB887> 소속
정당
<colcolor=#6B8E23> 이념 <colcolor=#FF4500> 당선
가능성
전체 37.1 22.6 13.3 10.6 8.4 5.2
권역별
서울 35.5 21.9 12.3 10.8 10.7 6.2
인천·경기 37.3 19.9 14.6 11.1 9.4 5.6
대전·세종·충청 38.0 23.3 12.7 9.6 9.0 5.2
광주·전라 38.3 18.8 15.5 10.9 7.2 5.5
대구·경북 38.3 29.3 10.1 9.7 4.6 3.7
부산·울산·경남 34.3 28.0 13.9 10.9 6.8 4.0
강원·제주 44.8 19.9 10.1 9.2 7.6 5.3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28.6 24.4 20.1 4.7 15.0 4.4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28.1 22.1 22.8 9.5 9.9 6.3
<bgcolor=#8EECF5> 30대 남성 35.1 17.2 18.5 7.6 12.1 5.9
<bgcolor=#8EECF5> 30대 여성 36.2 20.2 21.1 9.6 10.0 2.1
<bgcolor=#90DBF4> 40대 남성 41.7 14.2 15.6 13.3 8.6 4.8
<bgcolor=#90DBF4> 40대 여성 42.8 11.1 19.1 13.4 8.4 3.2
<bgcolor=#A3C4F3> 50대 남성 39.2 20.6 10.4 15.9 6.4 4.8
<bgcolor=#A3C4F3> 50대 여성 43.4 22.4 10.7 10.1 9.6 3.1
<bgcolor=#CFBAF0> 60대 남성 36.8 25.2 7.6 15.2 4.6 8.8
<bgcolor=#CFBAF0> 60대 여성 43.7 26.1 6.9 7.6 7.9 6.4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28.4 37.8 5.9 14.1 5.5 7.8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5.7 33.1 4.7 5.8 4.3 5.7
지지정당별
<bg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46.1 10.7 15.3 13.9 5.7 6.5
<bgcolor=#E61E2B> 국민의힘 25.6 37.4 7.4 9.2 12.8 4.1
<bgcolor=#0073cf> 조국혁신당 38.6 25.1 11.0 9.7 8.3 6.5
<bgcolor=#FF7920> 개혁신당 33.0 20.4 24.0 1.8 17.2 1.8
<bgcolor=#808080> 지지정당없음 29.9 35.9 20.8 0.3 6.7 2.1
이념성향별
진보 40.5 14.7 15.3 14.6 7.3 5.5
중도 42.0 22.1 13.9 9.1 6.8 4.8
보수 29.1 30.8 9.6 9.7 13.3 5.5
직업별
농·임·축·어업 38.0 17.9 10.2 12.9 3.3 8.3
자영업 37.3 21.0 10.9 13.7 8.1 6.7
화이트칼라 39.0 19.3 16.6 10.8 9.3 3.8
블루칼라 36.1 26.8 11.0 8.4 9.5 4.4
전업주부 38.3 25.6 9.4 9.0 7.7 5.7
학생 30.3 21.6 20.6 6.7 13.1 6.3
은퇴·무직 33.8 30.4 9.0 12.1 4.0 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의향 ]
- 반드시 투표할 것이다
전체
87.0%
권역별
서울
89.7%
인천·경기
86.4%
대전·세종·충청
88.0%
광주·전라
91.6%
대구·경북
81.4%
부산·울산·경남
85.5%
강원·제주
85.3%
성·연령별
18~29세 남성
72.1%
18~29세 여성
75.2%
30대 남성
85.8%
30대 여성
86.8%
40대 남성
92.2%
40대 여성
92.8%
50대 남성
90.5%
50대 여성
92.4%
60대 남성
87.8%
60대 여성
88.7%
70대 이상 남성
86.9%
70대 이상 여성
88.7%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92.5%
국민의힘
88.4%
조국혁신당
91.8%
개혁신당
81.3%
지지정당없음
51.3%
이념성향별
진보
92.0%
중도
84.4%
보수
89.6%
직업별
농·임·축·어업
93.5%
자영업
88.4%
화이트칼라
90.3%
블루칼라
86.3%
전업주부
89.4%
학생
67.5%
은퇴·무직
82.0%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5년 4월 14일 부터 4월 1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무선 안심번호 100%)를 실시했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3,014명에 ±1.8%.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5년 4월 21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조기 대선 국면에서 4월 14일 ~ 17일 간 3,000여명 표본의 3차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파일:gukhoe_daihan.png
2025년 4월 대선3000 정당지지율(4차)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지지 정당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
민주당
<colcolor=#e4002b> 국민
의힘
<colcolor=#0073cf> 조국
혁신당
<colcolor=#ff7210> 개혁
신당
<colcolor=#d6001c> 진보
<colcolor=#000000> 기타
정당
<colcolor=#808080> 무당층
전체 50.5 31.9 3.2 2.7 0.6 1.2 9.9
권역별
서울 52.4 30.6 2.3 3.4 0.5 2.1 8.8
인천·경기 53.1 29.5 3.1 2.1 0.4 1.4 10.3
대전·세종·충청 47.7 34.2 2.5 3.1 0.3 0.3 11.9
광주·전라 76.8 7.2 6.6 2.4 1.3 0.3 5.3
대구·경북 32.2 47.1 3.1 3.8 1.0 0.4 12.4
부산·울산·경남 40.6 43.0 2.9 1.9 0.7 1.3 9.5
강원·제주 45.7 33.4 3.2 3.2 0.0 2.3 12.2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26.5 37.7 0.4 13.6 0.4 0.9 20.5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64.4 13.2 1.3 1.3 1.0 1.7 17.2
<bgcolor=#8EECF5> 30대 남성 37.6 36.5 4.1 6.2 0.9 1.4 13.2
<bgcolor=#8EECF5> 30대 여성 59.7 18.0 1.8 1.8 0.8 6.2 11.7
<bgcolor=#90DBF4> 40대 남성 68.9 15.2 6.9 2.9 0.4 0.3 5.4
<bgcolor=#90DBF4> 40대 여성 69.3 15.8 2.8 0.8 0.4 1.6 9.3
<bgcolor=#A3C4F3> 50대 남성 66.3 18.0 4.7 2.1 1.0 0.0 7.9
<bgcolor=#A3C4F3> 50대 여성 57.9 28.8 5.4 1.0 0.7 1.0 5.3
<bgcolor=#CFBAF0> 60대 남성 44.8 35.7 4.3 1.9 0.8 0.4 12.1
<bgcolor=#CFBAF0> 60대 여성 34.2 54.3 3.4 0.4 0.0 1.1 6.6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33.4 58.4 0.5 0.5 0.5 0.6 6.1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6.5 55.0 0.7 0.4 0.4 0.8 6.3
이념 성향별
진보 83.4 3.9 5.0 0.9 1.3 0.8 4.6
중도 53.9 23.5 3.5 3.9 0.3 2.0 13.0
보수 15.7 71.4 1.3 3.4 0.3 1.0 6.9
2022 대선투표자별
<bgcolor=#004EA2> 이재명 87.7 2.8 5.0 1.1 0.6 0.3 2.5
<bgcolor=#E61E2B> 윤석열 8.3 76.2 0.8 3.6 0.3 1.8 9.0
<bgcolor=#FFED00> 심상정 49.8 7.6 5.8 3.0 4.6 8.2 20.9
<bgcolor=#808080> 기타후보 28.9 29.6 7.3 9.2 1.8 0.0 23.2
투표 안했음 44.1 26.7 2.3 4.1 0.7 1.1 21.1
투표권 없었음 42.2 22.6 1.9 8.9 0.0 1.1 23.3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인식 ]
- 정권 연장 정권 교체
전체
28.3%
67.6%
권역별
서울
29.2%
67.5%
인천·경기
26.2%
70.0%
대전·세종·충청
30.4%
66.4%
광주·전라
6.2%
90.8%
대구·경북
38.7%
55.1%
부산·울산·경남
36.4%
58.5%
강원·제주
32.7%
60.6%
성·연령별
18~29세 남성
33.3%
58.1%
18~29세 여성
9.5%
86.3%
30대 남성
32.9%
61.7%
30대 여성
18.3%
78.4%
40대 남성
15.5%
83.3%
40대 여성
11.6%
87.6%
50대 남성
17.1%
79.9%
50대 여성
28.8%
68.9%
60대 남성
32.9%
63.2%
60대 여성
44.2%
51.3%
70대 이상 남성
54.5%
40.9%
70대 이상 여성
44.2%
47.4%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1.2%
98.0%
국민의힘
78.2%
16.5%
조국혁신당
4.3%
94.7%
개혁신당
10.0%
86.2%
지지정당없음
20.3%
62.2%
이념성향별
진보
3.6%
95.6%
중도
21.0%
74.4%
보수
63.5%
33.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투표의향 ]
- 반드시 투표할 것이다
전체
84.0%
권역별
서울
84.8%
인천·경기
86.1%
대전·세종·충청
82.2%
광주·전라
87.2%
대구·경북
77.4%
부산·울산·경남
81.9%
강원·제주
85.2%
성·연령별
18~29세 남성
68.4%
18~29세 여성
70.5%
30대 남성
83.4%
30대 여성
86.6%
40대 남성
87.3%
40대 여성
88.7%
50대 남성
89.5%
50대 여성
88.7%
60대 남성
87.1%
60대 여성
85.1%
70대 이상 남성
87.8%
70대 이상 여성
81.9%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91.9%
국민의힘
83.4%
조국혁신당
82.6%
개혁신당
82.6%
지지정당없음
46.6%
이념성향별
진보
91.2%
중도
82.8%
보수
84.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가상대결 - 이재명 vs 김문수 ]
- 이재명 김문수
전체
51.5%
18.7%
권역별
서울
53.1%
19.4%
인천·경기
54.2%
17.4%
대전·세종·충청
49.9%
20.5%
광주·전라
78.2%
3.1%
대구·경북
32.3%
25.7%
부산·울산·경남
42.0%
24.2%
강원·제주
43.6%
22.5%
성·연령별
18~29세 남성
27.5%
15.2%
18~29세 여성
54.0%
5.3%
30대 남성
40.7%
15.3%
30대 여성
58.9%
9.9%
40대 남성
74.8%
9.4%
40대 여성
70.9%
8.1%
50대 남성
69.4%
12.3%
50대 여성
60.5%
17.4%
60대 남성
48.0%
27.0%
60대 여성
35.7%
31.1%
70대 이상 남성
33.8%
41.6%
70대 이상 여성
35.0%
34.1%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91.4%
1.2%
국민의힘
2.2%
51.3%
조국혁신당
76.9%
5.3%
개혁신당
15.0%
5.1%
지지정당없음
13.4%
10.9%
이념성향별
진보
85.5%
2.0%
중도
54.8%
11.7%
보수
17.2%
46.0%
투표의향별
적극투표층
57.1%
19.3%
소극투표층
27.5%
16.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가상대결 - 이재명 vs 한덕수 ]
- 이재명 한덕수
전체
51.2%
25.2%
권역별
서울
52.9%
26.7%
인천·경기
54.0%
22.9%
대전·세종·충청
51.4%
26.1%
광주·전라
75.2%
4.1%
대구·경북
31.3%
35.5%
부산·울산·경남
42.1%
32.7%
강원·제주
45.3%
30.8%
성·연령별
18~29세 남성
28.7%
29.9%
18~29세 여성
58.3%
7.8%
30대 남성
40.7%
25.3%
30대 여성
58.5%
14.3%
40대 남성
74.4%
12.3%
40대 여성
69.7%
10.9%
50대 남성
70.7%
13.6%
50대 여성
59.2%
24.4%
60대 남성
48.0%
32.5%
60대 여성
35.4%
42.8%
70대 이상 남성
32.3%
45.4%
70대 이상 여성
30.8%
44.2%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90.4%
1.6%
국민의힘
2.2%
67.3%
조국혁신당
78.9%
5.2%
개혁신당
15.2%
12.5%
지지정당없음
15.3%
19.7%
이념성향별
진보
85.3%
2.3%
중도
55.1%
20.2%
보수
16.6%
55.7%
투표의향별
적극투표층
56.4%
25.1%
소극투표층
30.4%
24.8%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가상대결 - 이재명 vs 한동훈 ]
- 이재명 한동훈
전체
50.6%
17.7%
권역별
서울
52.6%
18.2%
인천·경기
53.0%
16.7%
대전·세종·충청
49.8%
20.7%
광주·전라
73.7%
7.3%
대구·경북
31.6%
22.7%
부산·울산·경남
42.4%
20.7%
강원·제주
43.8%
16.5%
성·연령별
18~29세 남성
24.3%
23.7%
18~29세 여성
59.0%
10.6%
30대 남성
40.2%
16.3%
30대 여성
57.1%
15.4%
40대 남성
72.9%
8.8%
40대 여성
68.1%
8.9%
50대 남성
69.0%
9.2%
50대 여성
59.2%
17.1%
60대 남성
48.8%
21.6%
60대 여성
34.6%
30.9%
70대 이상 남성
34.2%
20.0%
70대 이상 여성
31.5%
29.7%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90.0%
2.5%
국민의힘
2.2%
43.4%
조국혁신당
78.9%
6.5%
개혁신당
7.4%
26.1%
지지정당없음
13.8%
14.3%
이념성향별
진보
84.4%
3.3%
중도
53.8%
18.0%
보수
17.0%
32.0%
투표의향별
적극투표층
56.1%
17.3%
소극투표층
26.7%
21.7%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5년 4월 21일 부터 4월 24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100% 무선 안심번호)를 실시했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3,008명에 ±1.8%.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5년 4월 28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4월 21일 ~ 24일 간 3,000 여 명 표본의 4차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에선 가상대결도 포함되었다.

5.5. 제21대 대통령선거

파일:gukhoe_daihan.png
2025년 5월 대선 D-14 15000 ars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ars 자동응답)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지지 정당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
민주당
<colcolor=#e4002b> 국민
의힘
<colcolor=#0073cf> 조국
혁신당
<colcolor=#ff7210> 개혁
신당
<colcolor=#d6001c> 진보
<colcolor=#000000> 기타
정당
<colcolor=#808080> 무당층
전체 50.4 34.6 2.7 7.6 1.1 1.4 2.2
권역별
서울 47.3 35.4 2.8 9.3 0.8 2.1 2.2
인천·경기 53.5 31.7 2.5 7.7 0.9 1.5 2.2
대전·세종·충청 49.8 36.1 2.5 7.0 1.2 1.3 2.2
광주·전라 72.5 14.4 4.3 5.4 1.4 0.9 1.1
대구·경북 36.9 48.4 1.3 8.6 1.4 1.4 2.1
부산·울산·경남 42.7 43.5 2.6 6.7 1.1 1.1 2.3
강원·제주 48.6 33.4 3.8 7.6 2.0 1.0 3.7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22.0 32.0 1.3 39.0 1.3 1.4 3.0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58.4 20.8 3.1 9.8 2.7 2.1 3.2
<bgcolor=#8EECF5> 30대 남성 39.3 33.8 2.1 19.5 0.5 1.3 3.5
<bgcolor=#8EECF5> 30대 여성 57.4 24.8 3.1 4.8 0.6 4.9 4.2
<bgcolor=#90DBF4> 40대 남성 64.8 22.6 3.4 5.2 1.0 0.9 2.0
<bgcolor=#90DBF4> 40대 여성 67.7 22.6 3.0 2.3 0.7 2.1 1.8
<bgcolor=#A3C4F3> 50대 남성 61.0 27.6 4.6 2.9 1.4 0.9 1.5
<bgcolor=#A3C4F3> 50대 여성 61.3 30.5 2.6 2.4 0.7 0.8 1.6
<bgcolor=#CFBAF0> 60대 남성 47.8 42.7 2.9 2.8 1.0 1.0 1.7
<bgcolor=#CFBAF0> 60대 여성 41.4 50.2 1.7 2.8 1.1 0.7 2.1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38.9 54.4 1.9 2.1 0.9 0.8 1.1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8.2 54.7 1.7 1.9 1.3 0.9 1.2
이념 성향별
진보 82.6 7.3 3.8 1.9 2.3 1.5 0.5
중도 54.2 26.1 3.4 11.0 0.7 1.4 3.3
보수 17.6 70.2 0.9 8.4 0.5 1.2 1.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후보 3자 대결 ]
지지 후보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colcolor=#e4002b> 국민의힘
김문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이준석
<colcolor=#000000> 그 외
다른 후보
<colcolor=#808080> 없음&모름
전체 52.3 35.1 9.0 1.0 2.7
권역별
서울 49.3 36.2 10.2 1.6 2.7
인천·경기 55.2 32.2 9.0 1.1 2.4
대전·세종·충청 51.5 36.0 8.5 0.6 3.4
광주·전라 75.4 14.1 7.3 0.7 2.5
대구·경북 37.7 49.1 9.8 1.0 2.5
부산·울산·경남 44.6 43.9 8.1 0.5 2.8
강원·제주 52.1 35.0 9.0 1.3 2.5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23.4 31.5 40.8 1.5 2.7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60.1 20.5 12.3 2.7 4.5
<bgcolor=#8EECF5> 30대 남성 41.1 33.9 21.6 1.4 1.9
<bgcolor=#8EECF5> 30대 여성 59.3 29.3 6.2 1.8 3.4
<bgcolor=#90DBF4> 40대 남성 67.3 23.9 6.8 0.4 1.7
<bgcolor=#90DBF4> 40대 여성 70.3 24.1 2.8 0.5 2.3
<bgcolor=#A3C4F3> 50대 남성 65.5 28.2 4.2 0.7 1.4
<bgcolor=#A3C4F3> 50대 여성 63.0 30.6 2.7 0.8 2.9
<bgcolor=#CFBAF0> 60대 남성 49.6 42.5 4.7 0.4 2.8
<bgcolor=#CFBAF0> 60대 여성 42.3 49.2 4.1 0.9 3.5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39.8 55.3 2.8 0.4 1.8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8.8 54.3 2.7 1.0 3.1
지지정당별
<bg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95.8 1.6 1.3 0.3 0.9
<bgcolor=#E61E2B> 국민의힘 2.0 92.5 2.7 0.5 2.4
<bgcolor=#0073cf> 조국혁신당 74.9 8.4 8.9 2.8 5.1
<bgcolor=#FF7920> 개혁신당 3.6 5.5 88.2 1.1 1.6
<bgcolor=#808080> 지지정당없음 13.8 31.0 9.2 4.0 42.1
이념성향별
진보 86.3 8.5 3.0 1.2 1.0
중도 56.3 26.9 12.7 0.8 3.2
보수 18.2 69.8 9.5 0.7 1.9
대선 인식
정권 연장 1.5 92.0 4.1 0.8 1.6
정권 교체 83.3 4.0 10.2 0.9 1.6
투표시점&적극투표층
사전투표 76.1 11.9 9.9 0.9 1.2
본투표 37.7 51.6 8.2 0.8 1.7
적극투표층 54.1 35.3 8.7 0.8 1.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인식 ]
- 정권 연장 정권 교체
전체
32.3%
61.5%
권역별
서울
33.5%
60.1%
인천·경기
30.2%
64.1%
대전·세종·충청
33.1%
60.3%
광주·전라
13.3%
82.5%
대구·경북
45.0%
47.2%
부산·울산·경남
39.4%
53.7%
강원·제주
30.1%
63.6%
성·연령별
18~29세 남성
35.3%
54.5%
18~29세 여성
20.4%
72.0%
30대 남성
34.1%
60.4%
30대 여성
23.8%
67.2%
40대 남성
22.9%
73.9%
40대 여성
20.6%
74.6%
50대 남성
26.0%
70.3%
50대 여성
28.1%
67.5%
60대 남성
40.2%
55.3%
60대 여성
44.9%
48.7%
70대 이상 남성
50.9%
44.5%
70대 이상 여성
42.7%
45.9%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1.7%
96.8%
국민의힘
83.5%
8.2%
조국혁신당
8.1%
87.6%
개혁신당
14.1%
71.1%
지지정당없음
27.2%
35.4%
이념성향별
진보
7.7%
90.5%
중도
24.8%
68.3%
보수
66.2%
28.1%
지지후보별
이재명
0.9%
98.0%
김문수
84.6%
7.0%
이준석
14.8%
69.9%
투표시점&적극투표층
사전투표
11.3%
85.4%
본투표
46.8%
46.4%
적극투표층
32.3%
62.8%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5년 5월 17일 부터 5월 2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ars 자동응답 조사(무선 안심번호 100%)를 실시했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15,009명에 ±0.8%.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5년 5월 21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대선 2주를 앞두고, 펜앤마-공정 이재명45.5 김문수41.1 이준석9.2라든지, 아시아투데이-코프라 : 이재명 46% 김문수 40% 이준석 11%[23] 등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뽐뿌 목적으로 이재명-김문수 지지율 격차를 줄여 놓은 표본 1,000 여 명 짜리 ARS-RDD 싸구려 여조[24]를 보수 언론사들이 앞다투어 내놔 여조 가스라이팅을 하려는 일이 벌어지자, 이에 여론조사 꽃은 5월 17일 ~ 20일 4일 간 무려 15,000 여 명 표본의 ars 자동응답(100% 무선 휴대전화 가상번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5월 21일 수요일 방송에서 공개되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지지 정당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
민주당
<colcolor=#e4002b> 국민
의힘
<colcolor=#0073cf> 조국
혁신당
<colcolor=#ff7210> 개혁
신당
<colcolor=#d6001c> 진보
<colcolor=#000000> 기타
정당
<colcolor=#808080> 무당층
전체 51.0 31.7 1.7 7.7 0.7 1.1 6.0
권역별
서울 52.3 27.3 1.6 10.7 0.2 1.5 6.4
인천·경기 53.7 29.8 2.0 7.7 0.6 0.6 5.5
대전·세종·충청 46.7 34.0 1.9 8.4 0.5 1.5 7.1
광주·전라 79.5 8.2 1.5 6.7 1.1 0.0 3.1
대구·경북 24.4 58.7 1.5 4.6 1.1 0.9 8.8
부산·울산·경남 44.6 39.5 1.0 6.6 1.3 1.4 5.4
강원·제주 52.2 25.1 3.7 6.4 0.0 2.9 9.7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21.6 28.5 1.2 36.0 1.3 1.4 9.9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48.0 21.4 0.0 11.4 1.3 3.3 14.6
<bgcolor=#8EECF5> 30대 남성 39.3 29.8 0.6 24.6 0.7 0.6 4.4
<bgcolor=#8EECF5> 30대 여성 51.8 20.4 1.4 9.0 0.6 6.6 10.2
<bgcolor=#90DBF4> 40대 남성 72.1 13.4 3.3 4.5 0.6 0.5 5.6
<bgcolor=#90DBF4> 40대 여성 68.7 15.3 2.4 4.1 1.3 0.6 7.8
<bgcolor=#A3C4F3> 50대 남성 68.3 21.4 3.6 1.6 1.6 0.6 3.1
<bgcolor=#A3C4F3> 50대 여성 61.2 31.3 1.0 2.5 0.5 0.0 3.5
<bgcolor=#CFBAF0> 60대 남성 48.5 42.1 2.9 2.4 0.6 0.0 3.5
<bgcolor=#CFBAF0> 60대 여성 44.5 47.7 1.1 1.1 0.0 0.0 5.6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39.5 56.6 1.6 0.8 0.0 0.0 1.6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7.9 55.2 1.2 0.0 0.0 0.6 5.1
이념 성향별
진보 81.1 6.4 2.9 2.4 1.6 1.8 3.8
중도 58.1 20.5 1.9 11.8 0.5 1.1 6.1
보수 17.3 69.0 0.8 8.3 0.4 0.5 3.7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후보 3자 대결 ]
지지 후보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colcolor=#e4002b> 국민의힘
김문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이준석
<colcolor=#000000> 그 외
다른 후보
<colcolor=#808080> 없음&모름
전체 51.5 29.9 9.0 1.5 8.3
권역별
서울 52.1 24.8 11.4 2.1 9.6
인천·경기 54.5 29.5 8.6 1.0 6.4
대전·세종·충청 47.7 33.3 10.4 1.4 7.3
광주·전라 79.4 6.7 6.1 0.5 7.2
대구·경북 24.7 52.6 6.4 1.6 14.7
부산·울산·경남 45.2 36.1 9.8 1.8 7.2
강원·제주 53.8 27.2 7.3 2.5 9.1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20.4 25.1 38.0 1.9 14.5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45.8 16.8 13.8 1.4 22.3
<bgcolor=#8EECF5> 30대 남성 38.7 23.4 29.6 0.7 7.6
<bgcolor=#8EECF5> 30대 여성 48.3 29.2 10.2 1.4 11.0
<bgcolor=#90DBF4> 40대 남성 77.7 12.8 4.5 0.6 4.5
<bgcolor=#90DBF4> 40대 여성 68.7 13.5 4.1 3.0 10.7
<bgcolor=#A3C4F3> 50대 남성 71.4 19.3 2.1 1.1 6.1
<bgcolor=#A3C4F3> 50대 여성 61.0 27.8 2.0 2.1 7.1
<bgcolor=#CFBAF0> 60대 남성 50.9 41.5 4.1 1.2 2.4
<bgcolor=#CFBAF0> 60대 여성 44.0 46.1 2.8 0.6 6.5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41.8 55.0 0.8 1.6 0.8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7.4 52.3 1.7 1.7 6.9
지지정당별
<bg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95.0 0.8 0.6 0.4 3.2
<bgcolor=#E61E2B> 국민의힘 1.0 87.6 3.1 1.4 6.8
<bgcolor=#0073cf> 조국혁신당 77.5 2.7 8.5 2.8 8.6
<bgcolor=#FF7920> 개혁신당 2.6 3.3 87.2 0.0 6.9
<bgcolor=#808080> 지지정당없음 12.7 12.3 10.6 5.4 59.1
이념성향별
진보 83.5 6.8 3.4 2.3 4.0
중도 57.4 20.2 12.4 1.0 9.0
보수 18.1 64.1 10.3 1.2 6.3
대선 인식
정권 연장 2.0 88.5 3.0 1.4 5.1
정권 교체 74.9 5.7 11.0 1.1 7.3
투표시점&적극투표층
사전투표 76.9 9.8 8.6 0.8 3.8
본투표 37.2 44.7 9.3 1.6 7.2
적극투표층 55.9 31.1 8.4 1.2 3.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인식 ]
- 정권 연장 정권 교체
전체
28.4%
67.1%
권역별
서울
24.3%
71.4%
인천·경기
27.6%
68.4%
대전·세종·충청
31.7%
63.2%
광주·전라
6.7%
88.5%
대구·경북
50.9%
43.2%
부산·울산·경남
34.5%
62.9%
강원·제주
21.5%
69.8%
성·연령별
18~29세 남성
30.3%
62.3%
18~29세 여성
15.7%
76.2%
30대 남성
26.4%
68.3%
30대 여성
22.4%
75.5%
40대 남성
13.9%
85.5%
40대 여성
11.1%
85.9%
50대 남성
20.9%
78.6%
50대 여성
29.8%
66.2%
60대 남성
41.1%
54.3%
60대 여성
39.0%
54.0%
70대 이상 남성
50.4%
48.8%
70대 이상 여성
42.5%
47.7%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1.7%
97.0%
국민의힘
81.0%
14.0%
조국혁신당
0%
100%
개혁신당
7.7%
85.3%
지지정당없음
15.2%
60.0%
이념성향별
진보
6.6%
92.6%
중도
20.0%
76.4%
보수
60.2%
35.0%
지지후보별
이재명
1.1%
97.7%
김문수
84.1%
12.7%
이준석
9.5%
82.3%
투표시점&적극투표층
사전투표
8.2%
89.8%
본투표
42.1%
53.8%
적극투표층
28.9%
68.3%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5년 5월 19일(월) 부터 5월 20일(화)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무선 안심번호 100%)를 실시했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2,007명에 ±2.2%.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5년 5월 23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이후 5월 19일(월) ~ 20일(화) 이틀 간 2,000 여 명 표본의 전화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5월 23일 금요일 방송에서 공개되었는데, 방송에서는 5/19(월)~20(화) 에 조사한 2000 여 명 표본 과 5/21(수)~22(목) 에 조사한 2000 여 명 분을 합쳐서 4000여 명 분으로 나왔지만, 여기에서는 대선 2주 전을 기준으로 중앙여심위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전자의 조사 결과만을 서술하였다.

파일:gukhoe_daihan.png
2025년 5월 대선 D-7 15000 ars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ars 자동응답)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지지 정당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
민주당
<colcolor=#e4002b> 국민
의힘
<colcolor=#0073cf> 조국
혁신당
<colcolor=#ff7210> 개혁
신당
<colcolor=#d6001c> 진보
<colcolor=#000000> 기타
정당
<colcolor=#808080> 무당층
전체 47.1 37.0 2.3 9.7 1.1 1.0 1.7
권역별
서울 46.8 35.0 1.8 11.5 1.5 1.6 1.8
인천·경기 49.3 34.7 2.0 10.2 1.0 1.0 1.8
대전·세종·충청 45.9 38.8 2.9 9.1 0.9 1.0 1.3
광주·전라 70.3 15.6 3.9 7.3 0.9 0.7 1.4
대구·경북 31.1 52.4 2.3 9.5 1.3 0.9 2.5
부산·울산·경남 39.8 45.5 2.1 9.1 1.2 0.9 1.4
강원·제주 44.6 42.8 2.1 8.0 1.0 0.6 1.0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16.0 31.7 1.4 46.6 1.0 0.8 2.5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54.3 22.5 1.9 14.3 2.5 1.4 3.0
<bgcolor=#8EECF5> 30대 남성 35.0 32.6 1.6 27.4 0.8 0.4 2.3
<bgcolor=#8EECF5> 30대 여성 54.8 27.3 1.8 8.6 1.7 4.3 1.6
<bgcolor=#90DBF4> 40대 남성 62.1 25.2 3.6 6.1 1.0 0.4 1.7
<bgcolor=#90DBF4> 40대 여성 63.4 25.2 2.9 3.8 1.1 1.7 1.9
<bgcolor=#A3C4F3> 50대 남성 57.3 33.6 3.6 2.2 1.0 0.5 1.7
<bgcolor=#A3C4F3> 50대 여성 56.6 34.3 3.2 2.8 1.2 0.7 1.2
<bgcolor=#CFBAF0> 60대 남성 45.5 45.5 2.2 3.6 0.6 1.0 1.6
<bgcolor=#CFBAF0> 60대 여성 42.0 51.8 1.5 2.4 1.0 0.5 0.8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36.3 56.3 2.1 2.4 0.7 0.9 1.3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6.1 57.9 0.9 2.3 1.3 0.4 1.0
이념 성향별
진보 83.7 7.2 2.8 2.9 1.8 1.2 0.4
중도 49.5 28.7 2.7 14.4 0.8 1.3 2.7
보수 14.6 73.0 1.2 9.1 0.9 0.6 0.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후보 3자 대결 ]
지지 후보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colcolor=#e4002b> 국민의힘
김문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이준석
<colcolor=#000000> 그 외
다른 후보
<colcolor=#808080> 없음&모름
전체 48.8 37.7 10.7 1.0 1.8
권역별
서울 47.7 35.8 12.2 2.0 2.3
인천·경기 50.9 35.4 11.2 0.8 1.7
대전·세종·충청 47.9 39.5 10.4 0.6 1.6
광주·전라 72.8 16.2 8.6 1.2 1.2
대구·경북 33.3 53.4 10.0 0.5 2.8
부산·울산·경남 41.5 46.3 9.9 0.4 1.9
강원·제주 46.6 42.4 9.4 1.1 0.5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15.5 32.3 49.2 1.3 1.8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54.5 23.7 15.2 2.8 3.6
<bgcolor=#8EECF5> 30대 남성 35.6 32.0 29.9 0.7 1.7
<bgcolor=#8EECF5> 30대 여성 55.5 32.1 9.1 1.3 2.1
<bgcolor=#90DBF4> 40대 남성 66.2 24.4 7.0 0.8 1.6
<bgcolor=#90DBF4> 40대 여성 66.7 26.3 4.2 1.2 1.5
<bgcolor=#A3C4F3> 50대 남성 59.6 34.9 3.0 0.8 1.7
<bgcolor=#A3C4F3> 50대 여성 60.1 34.8 2.9 0.5 1.7
<bgcolor=#CFBAF0> 60대 남성 47.4 45.8 4.2 0.8 1.8
<bgcolor=#CFBAF0> 60대 여성 43.3 51.5 3.4 0.3 1.4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37.9 56.0 3.5 0.9 1.7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6.1 58.8 2.7 0.6 1.9
지지정당별
<bg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96.1 1.6 1.3 0.4 0.7
<bgcolor=#E61E2B> 국민의힘 1.7 94.0 2.6 0.3 1.4
<bgcolor=#0073cf> 조국혁신당 71.6 8.4 11.2 5.4 3.4
<bgcolor=#FF7920> 개혁신당 3.1 7.7 87.0 0.8 1.4
<bgcolor=#808080> 지지정당없음 16.8 26.2 14.2 7.6 35.1
이념성향별
진보 86.5 7.9 3.6 1.2 0.7
중도 51.5 29.9 15.4 1.0 2.3
보수 15.3 72.9 10.3 0.5 1.1
대선 인식
정권 연장 1.7 92.8 4.3 0.3 0.9
정권 교체 80.1 4.7 12.7 1.2 1.3
투표시점&적극투표층
사전투표 73.5 13.3 11.1 1.1 1.1
본투표 33.5 54.2 10.3 0.8 1.3
적극투표층 50.1 37.7 10.4 0.9 1.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인식 ]
- 정권 연장 정권 교체
전체
34.4%
59.5%
권역별
서울
33.3%
60.1%
인천·경기
32.7%
61.4%
대전·세종·충청
35.0%
59.1%
광주·전라
15.9%
79.1%
대구·경북
47.5%
44.6%
부산·울산·경남
40.5%
53.0%
강원·제주
40.0%
55.4%
성·연령별
18~29세 남성
35.4%
54.7%
18~29세 여성
22.0%
68.4%
30대 남성
33.8%
59.1%
30대 여성
27.4%
66.5%
40대 남성
24.3%
72.1%
40대 여성
23.8%
71.3%
50대 남성
32.0%
64.5%
50대 여성
30.5%
65.2%
60대 남성
42.7%
53.5%
60대 여성
45.5%
49.1%
70대 이상 남성
51.3%
42.2%
70대 이상 여성
44.9%
44.7%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2.0%
96.5%
국민의힘
83.6%
8.8%
조국혁신당
8.9%
87.0%
개혁신당
15.2%
69.3%
지지정당없음
16.7%
44.7%
이념성향별
진보
7.1%
91.0%
중도
27.7%
65.7%
보수
67.7%
26.4%
지지후보별
이재명
1.2%
97.6%
김문수
84.6%
7.4%
이준석
13.8%
71.1%
투표시점&적극투표층
사전투표
12.9%
83.4%
본투표
48.8%
44.4%
적극투표층
34.4%
60.3%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5년 5월 24일 부터 5월 27일까지(공표금지 기간 이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ars 자동응답 조사(무선 안심번호 100%)를 실시했음. 표본 크기와 오차는 15,008명에 ±0.8%.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5년 5월 28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대선 1주일 앞두고 5월 24일 ~ 27일(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 직전) 4일 간 실시한 15,000여 명 표본의 ars 자동 응답 조사를 실시하였다.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5월 28일 수요일 방송에서 공개되었다. 이 ARS 여론조사에서는 이재명 48.8%, 김문수 37.7%, 이준석 10.7%, 기타 1.0%로 집계돼, 면접조사 방식보다 실제 선거 결과에 가까웠지만 역시 오차범위(±0.8%p)를 벗어났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정당지지율 ]
지지 정당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
민주당
<colcolor=#e4002b> 국민
의힘
<colcolor=#0073cf> 조국
혁신당
<colcolor=#ff7210> 개혁
신당
<colcolor=#d6001c> 진보
<colcolor=#000000> 기타
정당
<colcolor=#808080> 무당층
전체 50.0 32.8 1.9 8.1 0.5 0.8 5.9
권역별
서울 49.4 30.9 0.8 10.0 0.5 1.1 7.3
인천·경기 54.4 27.6 2.0 8.2 0.3 1.2 6.2
대전·세종·충청 43.2 39.9 2.3 7.7 0.0 1.4 5.5
광주·전라 76.0 9.3 3.0 7.3 1.1 0.0 3.4
대구·경북 25.8 56.3 1.5 8.8 0.0 0.0 7.7
부산·울산·경남 43.8 41.8 2.4 6.3 1.0 0.3 4.4
강원·제주 52.7 30.2 2.4 8.2 0.0 0.0 6.6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14.3 25.9 0.0 47.8 0.0 0.7 11.3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57.2 21.8 2.0 7.3 0.7 1.3 9.7
<bgcolor=#8EECF5> 30대 남성 37.4 29.1 1.3 23.1 0.0 1.3 7.8
<bgcolor=#8EECF5> 30대 여성 49.3 27.1 1.3 7.6 0.7 2.8 11.1
<bgcolor=#90DBF4> 40대 남성 69.6 17.1 3.9 3.3 0.0 0.6 5.6
<bgcolor=#90DBF4> 40대 여성 63.1 24.0 3.0 1.7 1.2 0.6 6.5
<bgcolor=#A3C4F3> 50대 남성 70.3 17.9 2.0 3.1 2.5 0.0 4.1
<bgcolor=#A3C4F3> 50대 여성 58.1 30.8 3.5 1.5 0.0 1.0 5.0
<bgcolor=#CFBAF0> 60대 남성 56.1 36.0 3.4 1.1 0.0 1.1 2.3
<bgcolor=#CFBAF0> 60대 여성 48.5 45.1 1.7 2.4 0.0 0.5 1.7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30.2 62.1 0.0 4.7 0.0 0.0 3.1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3.4 61.6 0.0 0.0 0.0 0.0 5.0
이념 성향별
진보 83.3 6.0 2.2 3.6 1.1 1.1 2.8
중도 52.7 23.3 2.6 12.5 0.3 1.0 7.7
보수 16.4 71.5 0.9 7.5 0.2 0.0 3.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후보 3자 대결 ]
지지 후보 <colcolor=#152484><nopad>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colcolor=#e4002b> 국민의힘
김문수
<colcolor=#ff7210> 개혁신당
이준석
<colcolor=#000000> 그 외
다른 후보
<colcolor=#808080> 없음&모름
전체 50.3 32.7 9.4 1.3 6.5
권역별
서울 49.6 33.2 9.7 1.3 6.2
인천·경기 55.2 26.4 10.5 1.1 6.7
대전·세종·충청 45.1 37.8 10.4 1.4 5.3
광주·전라 75.5 10.2 6.6 2.8 4.9
대구·경북 27.8 56.8 8.3 0.0 7.1
부산·울산·경남 43.1 40.8 8.3 1.0 6.9
강원·제주 48.0 32.6 9.4 1.2 8.9
성·연령별
<bgcolor=#98F5E1> 18~29세 남성 13.4 25.0 47.0 2.8 11.8
<bgcolor=#98F5E1> 18~29세 여성 55.5 20.6 9.2 1.3 13.5
<bgcolor=#8EECF5> 30대 남성 37.4 28.4 27.1 0.7 6.4
<bgcolor=#8EECF5> 30대 여성 50.0 27.8 8.2 0.7 13.2
<bgcolor=#90DBF4> 40대 남성 71.8 16.5 6.7 1.6 3.4
<bgcolor=#90DBF4> 40대 여성 63.7 25.8 3.5 0.6 6.5
<bgcolor=#A3C4F3> 50대 남성 72.4 18.4 3.6 1.5 4.1
<bgcolor=#A3C4F3> 50대 여성 60.0 31.4 2.6 1.0 4.9
<bgcolor=#CFBAF0> 60대 남성 57.8 37.7 1.1 0.6 2.9
<bgcolor=#CFBAF0> 60대 여성 47.9 45.2 2.9 1.7 2.3
<bgcolor=#F1C0E8> 70대 이상 남성 27.9 61.3 4.7 0.8 5.4
<bgcolor=#F1C0E8> 70대 이상 여성 32.3 58.6 1.7 1.1 6.2
지지정당별
<bgcolor=#152484> 더불어민주당 95.5 0.9 0.5 0.6 2.5
<bgcolor=#E61E2B> 국민의힘 0.6 92.2 4.2 0.5 2.5
<bgcolor=#0073cf> 조국혁신당 69.0 5.3 5.3 2.6 17.9
<bgcolor=#FF7920> 개혁신당 1.8 6.3 85.1 1.2 5.6
<bgcolor=#808080> 지지정당없음 10.4 17.3 11.5 3.5 57.4
이념성향별
진보 84.5 6.1 4.1 1.9 3.4
중도 52.3 24.4 13.8 1.1 8.5
보수 16.4 70.4 9.2 0.8 3.3
대선 인식
정권 연장 2.1 91.2 3.1 0.6 3.1
정권 교체 72.5 7.4 12.2 1.5 6.3
투표시점&적극투표층
사전투표 73.8 11.7 9.5 1.2 3.8
본투표 35.6 48.2 9.5 1.1 5.5
적극투표층 54.3 33.2 8.5 1.1 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대선 인식 ]
- 정권 연장 정권 교체
전체
28.8%
67.7%
권역별
서울
29.2%
68.1%
인천·경기
24.7%
72.7%
대전·세종·충청
31.0%
64.9%
광주·전라
8.9%
87.0%
대구·경북
51.2%
43.1%
부산·울산·경남
34.2%
61.7%
강원·제주
28.1%
68.4%
성·연령별
18~29세 남성
26.0%
69.5%
18~29세 여성
19.9%
75.0%
30대 남성
27.1%
69.6%
30대 여성
23.7%
72.1%
40대 남성
15.4%
83.5%
40대 여성
23.5%
75.4%
50대 남성
15.3%
82.1%
50대 여성
27.9%
69.6%
60대 남성
36.1%
61.6%
60대 여성
34.8%
61.1%
70대 이상 남성
57.4%
40.3%
70대 이상 여성
44.7%
46.2%
지지정당별
더불어민주당
1.8%
97.1%
국민의힘
78.4%
16.8%
조국혁신당
2.7%
97.3%
개혁신당
9.3%
87.6%
지지정당없음
18.8%
62.7%
이념성향별
진보
4.7%
94.2%
중도
22.9%
75.0%
보수
62.2%
33.5%
지지후보별
이재명
1.2%
97.6%
김문수
80.4%
15.4%
이준석
9.6%
88.3%
투표시점&적극투표층
사전투표
10.5%
88.0%
본투표
41.9%
54.5%
적극투표층
29.1%
68.3%
}}}}}} ||
[ 각주 펼치기 · 접기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2025년 5월 26일(월) 부터 5월 27일(화)까지(공표금지 기간 이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무선 안심번호 100%)를 실시했음. 표본크기와 오차는 2,011명에 ±2.2%.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2025년 5월 29일)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이후 5월 26일(월) ~ 27일(화) 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 직전, 이틀 간 2,000 여 명 표본의 전화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5월 29일 목요일 방송에서 공개되었다.

6월 3일, 21대 대선 당일 겸손은 힘들다 6.3 개표공장(- 6시 27분 55초부터)을 통해 5월 31일(토) ~ 6월 2일(월) (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 사전 투표 종료 후), 3일 간 3,004 명 표본의 전화 면접 예측 조사를 발표하였다. 이재명 49.6% 김문수 33.8% 이준석 6.6% 권영국 1.1% 정도가 나왔다.#

실제 개표결과와 비교해 보면, 당선된 이재명 득표율은 얼추 맞췄지만, 2등을 한 김문수 득표율은 이 선거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열렸다는 점이 작용했는지 8% 정도의 샤이 보수를 잡아내지 못했고[25] 이준석 득표율도 1.7% 정도 과소 표집되었다. 같은 면접조사 방식의 한국갤럽이나 한국리서치의 D-7 조사에서는 이재명과 김문수간의 격차가 9%p가 났었는데, 여론조사꽃의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그 두배의 격차가 났기 때문에 조사 방식만 탓하기도 어려운 부분.

사실 대선 몇주 전부터 뉴스공장 방송에선 김어준 본인도 무응답층에 샤이 보수층이 좀 있어보인다며 국힘 후보 득표율이 꽃 여론조사보단 좀 더 올라갈 확률이 있다고 이미 설명한 바 있지만, 하우스이펙트건 뭐건 다른 상당수 여조 기관보다 국힘 샤이층을 잡지 못한건 사실이라 돈 쓴거 대비 좀 더 정확한 여론조사 결과값을 내기 위해선 향후 보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5.6. 이재명 정부

윤석열 탄핵으로 조기에 치러진 21대 대선에서 이재명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인수위 기간 없이 바로 취임한 이후 본격적인 지지율 조사에 앞서 진행된 여론조사 꽃의 국정 수행 전망 여론조사에서 잘할 것이다 69.4%, 못할 것이다 26.5%가 나왔다.# 2025년 6월 9일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2시간 11분 15초부터)에서 발표되었다.

이후에도 2025년 국정수행지지율 조사를 보면 다른 주요 메이저 여조 기관인 리얼미터나 한국갤럽, NBS 등에 비해 이재명 정부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좀 더 높게 나오는 편이다. 임기초 다른 여조에서 이재명 지지율이 60대 초중반가량 나오면 ARS는 60대 중후반, 면접조사는 70대 초중반까지 치솟는 편이다. 다만 20대 남성은 다른 여조 대비해서도 여조꽃 조사에서 좀 더 우경화된 것으로 나와 따로 길게 조사해볼 전망이라고.

6. 논란

6.1. 유도성 질문 논란

조선일보는 여론조사꽃이 현안 질문에 유도성 질문을 넣어 답정너식 여론조사를 한다는 비판을 했다.

여론조사꽃 관련 2022년 12월11~12일 실시된 여론조사의 설문 문항에서 사회 및 정치 현안 질문에 유도성 질문을 넣어, 정해진 답을 찾아가도록 하는 답정너식 여론조사라고 비판했다. 해당 조사에는 민감한 질문엔 유도성 문구(文句) 또는 문장이 숨어있었다.

예컨대 한동훈 장관의 10억원 손배소 청구와 관련한 질문은 이랬다. '한동훈 장관은 청담동 술자리 의혹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김의겸 의원과 더탐사 관계자 등을 상대로 허위사실 명예훼손으로 형사 고소와 10억 손배소를 제기했습니다. 검찰사무를 관장하는 법무부 장관으로서 한 장관의 대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유도성 질문을 통해 정해진 답으로 향해가도록 설계된 여론조사는 아주 나쁜 조사”라고 했다. 익명을 요구한 재경 정치학 교수는 “해당 여론조사의 일부 문항은 여론조사 질문의 원칙을 무시하고 선동의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했다. 그는 익명을 요구한 이유에 대해 “김어준씨 극성팬들의 온라인 집단공격이 피곤해서"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질문지를 보면, '정당이나 선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항은 별다른 문제 없이 만들고, 자기가 필요한 일부 문항만 답정너로 만들었다며,김어준씨가 선거여론조사심의위 규정을 너무 잘 알고서 규제를 피해나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관련법규상 중앙선관위의 여론조사 심의 대상은 ‘선거 관련 질문’에 한하며, 선거와 관련되지 않은 일반적인 정치·사회 현안은 심의 대상이 아니어서 이런 식의 질문이 가능했다는 설명이었다.#

5월 2월 실시한 조사에서는 '1월 무역 적자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경제성장률이 IMF 이후 최초로 일본에 역전당했다. 현 정부의 경제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란 질문이 있었다. '무역 적자 사상 최고치' '일본에 역전' 등 문구가 '답정너' 질문으로 결과를 왜곡하여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여론조사꽃에서 자체 조사를 한 바 있는데, 2025년 1월 26일 발표에 따르면 정당지지도만 물은 조사와 정당지지도 외 여러 질문을 함께 물은 조사 비교 결과 약 1~2% 정도의 지지도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26] 영상.

7. 사건 사고

7.1. 12.3 비상계엄 통제작전지역 지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2.3 비상계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2.3 비상계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2.3 비상계엄#목적|목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세부 지표

조사 결과 발표는 매주 월요일 아침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덩곱매치때 공개된다.[27] 배치 순서는 왔다갔다해서, 초기엔 후반부에 배치되었다가 2023년 말부턴 주로 중반부인 시작 40분~1시간 뒤쯤에 진행되기도 했고, 이후 어느 순간엔 다시 후반부로 돌아왔다.

문항은 대통령의 국정운영 평가와 정당 지지도 조사를 하는데, 국내 여론조사 기관 중 드물게 웬만하면 전화면접과 ARS 조사를 모두 실시하는 편이다. 당연히 비용은 그만큼 더 든다. 그리고 그 주간의 주목받는 내용을 설문하고, 2023년 9월부터는 22대 총선 특집으로 주마다 선거구 몇곳을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9. 정례 여론조사 목록(전화면접)

9.1. 국정 지지율

파일:대통령기.svg윤석열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1년차 ]
선거 득표율
제20대 대통령 선거
48.6%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2년 10월 5주
31.8%
61.4%
2022년 11월 4주
31.6%
64.3%
2022년 12월 3주
34.6%
59.3%
2023년 1월 1주
32.4%
61.6%
2023년 1월 4주
37.4%
56.0%
2023년 2월 1주
35.2%
59.8%
2023년 2월 2주
34.9%
59.8%
2023년 2월 3주
36.5%
56.4%
2023년 2월 4주
32.6%
59.5%
2023년 3월 1주
33.3%
64.2%
2023년 3월 2주
33.3%
63.2%
2023년 3월 3주
33.3%
63.7%
2023년 3월 4주
33.3%
63.5%
2023년 4월 1주
33.2%
62.7%
2023년 4월 2주
33.8%
63.2%
2023년 4월 3주
31.3%
65.5%
2023년 4월 4주
31.1%
64.8%
2023년 4월 5주
31.4%
65.1%
2023년 5월 1주
31.4%
65.4%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윤석열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2년차 ]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3년 5월 2주
35.2%
62.2%
2023년 5월 3주
34.9%
61.9%
2023년 5월 4주
31.7%
64.6%
2023년 6월 1주
35.1%
62.3%
2023년 6월 2주
35.4%
60.8%
2023년 6월 3주
36.5%
60.8%
2023년 6월 4주
37.0%
60.2%
2023년 7월 1주
36.5%
61.6%
2023년 7월 2주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2023년 7월 3주
31.9%
65.9%
2023년 7월 4주
35.7%
61.9%
2023년 7월 5주
34.7%
62.6%
2023년 8월 1주
37.7%
59.7%
2023년 8월 2주
34.1%
62.1%
2023년 8월 3주
36.7%
61.4%
2023년 8월 4주
29.4%
68.3%
2023년 9월 1주
32.5%
65.9%
2023년 9월 2주
32.0%
65.4%
2023년 9월 3주
34.2%
62.9%
2023년 9월 4주
35.0%
62.3%
2023년 9월 5주 추석 연휴 관계로 조사 쉼
2023년 10월 1주
35.7%
62.5%
2023년 10월 2주
32.4%
65.1%
2023년 10월 3주
30.7%
67.5%
2023년 10월 4주
32.3%
65.9%
2023년 11월 1주
33.7%
63.9%
2023년 11월 2주
35.2%
63.8%
2023년 11월 3주
32.5%
65.0%
2023년 11월 4주
33.7%
63.6%
2023년 12월 1주
33.7%
63.9%
2023년 12월 2주
33.2%
64.1%
2023년 12월 3주
34.1%
62.7%
2023년 12월 4주
32.7%
64.5%
2023년 12월 5주 연말 연휴 관계로 조사 쉼
2024년 1월 1주
35.2%
62.4%
2024년 1월 2주
33.2%
64.6%
2024년 1월 3주
30.5%
68.0%
2024년 1월 4주
31.4%
67.8%
2024년 2월 1주
30.6%
68.4%
2024년 2월 2주 설날 연휴 관계로 조사 쉼
2024년 2월 3주
34.8%
64.0%
2024년 2월 4주
37.1%
61.1%
2024년 3월 1주 3.1절 연휴 관계로 조사 쉼
2024년 3월 2주
34.8%
63.5%
2024년 3월 4주
33.7%
65.1%
2024년 3월 5주
34.0%
64.6%
2024년 4월 1주 22대 총선 직전 주(공표금지 기간) 관계로 조사 쉼
2024년 4월 2주
25.7%
72.8%
2024년 4월 3주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2024년 4월 4주
23.8%
74.2%
2024년 5월 1주
24.2%
74.3%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윤석열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3년차 ]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4년 5월 2주
25.0%
73.3%
2024년 5월 3주
27.0%
71.3%
2024년 5월 4주
26.2%
72.7%
2024년 6월 1주
24.6%
73.4%
2024년 6월 2주
25.9%
73.1%
2024년 6월 3주
27.5%
70.3%
2024년 6월 4주
25.2%
73.2%
2024년 6월 5주
26.2%
72.6%
2024년 7월 1주
28.0%
70.6%
2024년 7월 2주
27.2%
72.2%
2024년 7월 3주
27.2%
71.4%
2024년 7월 4주
28.6%
70.2%
2024년 8월 1주
26.5%
72.3%
2024년 8월 2주
26.9%
71.1%
2024년 8월 3주
25.4%
73.1%
2024년 8월 4주
26.0%
72.4%
2024년 8월 5주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2024년 9월 1주
24.6%
74.0%
2024년 9월 2주 추석 연휴 관계로 조사 쉼
2024년 9월 3주
23.1%
75.2%
2024년 9월 4주
22.2%
77.3%
2024년 10월 1주
23.7%
76.0%
2024년 10월 2주
19.2%
80.0%
2024년 10월 3주
20.9%
78.0%
2024년 10월 4주
19.0%
80.0%
2024년 11월 1주
18.2%
81.3%
2024년 11월 2주
18.8%
80.5%
2024년 11월 3주
19.9%
79.5%
2024년 11월 4주
21.5%
77.6%
2024년 11월 5주
20.9%
78.3%
2024년 12월 1주
13.8%
85.4%
2024년 12월 2주
16.1%
83.3%
2024년 12월 3주 탄핵 소추로 인한 직무 정지
2024년 12월 4주
2025년 1월 1주
2025년 1월 2주
2025년 1월 3주
2025년 1월 4주
2025년 2월 1주
2025년 2월 2주
2025년 2월 3주
2025년 2월 4주
2025년 3월 1주
2025년 3월 2주
2025년 3월 3주
2025년 3월 4주
2025년 3월 5주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윤석열 대통령 국정 운영 평가 주간 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 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파일:대통령기.svg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6px"
{{{#!folding [ 1년차 ]
선거 득표율
제21대 대통령 선거
49.4%
조사 기간 긍정 부정
2025년 6월 3주
73.4%
23.6%
2025년 6월 4주
72.8%
24.2%
2025년 7월 1주
73.6%
23.4%
2025년 7월 2주
74.7%
22.7%
2025년 7월 3주
76.2%
21.9%
2025년 7월 4주
76.2%
21.6%
2025년 8월 1주
71.6%
26.1%
2025년 8월 2주
71.3%
27.7%
2025년 8월 3주
68.0%
30.9%
2025년 8월 4주
64.2%
34.3%
2025년 8월 5주
67.3%
31.0%
2025년 9월 1주
69.5%
28.7%
2025년 9월 2주
69.1%
29.4%
2025년 9월 3주
69.9%
28.2%
이 자료는 <여론조사 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주간 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 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


9.2. 정당 지지율

파일:gukhoe_daihan.png
2023년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차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1월 1주차
30.0%
30.0%
38.6%
1.9%
0.5%
0.9%
28.1%
1월 4주차
31.7%
31.7%
32.7%
1.5%
0.7%
1.6%
31.9%
2월 1주차
29.5%
29.5%
34.1%
2.6%
0.2%
1.5%
32.2%
2월 2주차
33.6%
33.6%
34.7%
2.3%
0.2%
1.2%
28.0%
2월 3주차
32.0%
32.0%
33.9%
1.7%
0.2%
0.8%
31.4%
2월 4주차
26.7%
26.7%
35.6%
1.3%
1.4%
1.5%
33.5%
3월 1주차
35.0%
35.0%
41.4%
3.3%
0.6%
0.8%
18.8%
3월 2주차
33.5%
33.5%
42.3%
3.1%
1.1%
0.9%
19.0%
3월 3주차
35.0%
35.0%
44.2%
1.9%
0.3%
1.0%
17.6%
3월 4주차
32.5%
32.5%
42.5%
4.0%
0.6%
1.1%
19.3%
4월 1주차
32.1%
32.1%
43.6%
3.2%
0.4%
1.0%
19.7%
4월 2주차
32.0%
32.0%
43.7%
2.2%
0.7%
1.2%
20.3%
4월 3주차
31.9%
31.9%
42.3%
3.3%
0.6%
1.5%
20.4%
4월 4주차
31.2%
31.2%
42.2%
3.1%
1.2%
0.2%
22.0%
4월 5주차
30.8%
30.8%
41.8%
3.3%
1.1%
0.9%
22.0%
5월 1주차
29.5%
29.5%
43.2%
3.0%
1.3%
1.1%
21.9%
5월 2주차
32.3%
32.3%
41.0%
3.4%
1.3%
1.0%
21.0%
5월 3주차
29.9%
29.9%
43.1%
3.1%
1.0%
0.8%
22.0%
5월 4주차
29.9%
29.9%
41.7%
2.7%
1.6%
1.0%
23.2%
6월 1주차
32.9%
32.9%
43.6%
2.7%
1.1%
0.8%
18.9%
6월 2주차
29.4%
29.4%
41.5%
3.5%
0.9%
1.0%
23.7%
6월 3주차
34.1%
34.1%
39.1%
2.6%
1.7%
0.7%
22.0%
6월 4주차
33.4%
33.4%
39.1%
2.8%
1.1%
0.6%
23.0%
7월 1주차
32.8%
32.8%
42.0%
2.4%
0.7%
0.7%
21.4%
7월 2주차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
7월 3주차
29.6%
29.6%
43.8%
3.3%
1.4%
0.6%
21.2%
7월 4주차
30.9%
30.9%
41.4%
3.5%
1.2%
1.1%
22.0%
7월 5주차
31.4%
31.4%
43.4%
3.2%
1.2%
1.0%
19.7%
8월 1주차
34.1%
34.1%
39.5%
2.5%
1.2%
0.5%
22.2%
8월 2주차
31.1%
31.1%
39.6%
3.5%
1.7%
1.0%
23.0%
8월 3주차
33.1%
33.1%
42.2%
2.6%
1.6%
0.6%
19.9%
8월 4주차
28.0%
28.0%
43.1%
2.8%
1.2%
0.7%
24.2%
9월 1주차
29.9%
29.9%
44.9%
3.5%
0.9%
0.6%
20.2%
9월 2주차
29.5%
29.5%
41.8%
3.5%
1.4%
1.0%
22.7%
9월 3주차
30.9%
30.9%
45.1%
3.3%
1.6%
0.8%
18.3%
9월 4주차
34.4%
34.4%
44.0%
3.1%
1.0%
0.6%
16.9%
9월 5주차 추석 연휴 관계로 조사 쉼 -
10월 1주차
34.4%
34.4%
43.1%
2.7%
2.0%
0.7%
17.1%
10월 2주차
31.8%
31.8%
46.7%
2.5%
1.0%
0.7%
17.3%
10월 3주차
30.2%
30.2%
47.0%
2.8%
1.3%
1.3%
17.4%
10월 4주차
32.5%
32.5%
44.2%
2.5%
2.6%
0.7%
17.5%
11월 1주차
32.7%
32.7%
44.4%
2.5%
2.2%
0.9%
17.3%
11월 2주차
34.9%
34.9%
44.8%
1.8%
1.2%
0.3%
16.9%
11월 3주차
30.5%
30.5%
45.8%
1.8%
2.0%
1.1%
18.9%
11월 4주차
31.0%
31.0%
46.1%
2.6%
2.3%
0.5%
17.5%
12월 1주차
30.1%
30.1%
46.1%
2.1%
2.0%
0.7%
18.9%
12월 2주차
32.5%
32.5%
42.6%
2.3%
2.7%
1.0%
18.8%
12월 3주차
31.5%
31.5%
43.0%
2.6%
2.4%
0.9%
19.7%
12월 4주차
31.8%
31.8%
43.4%
3.3%
1.9%
0.6%
19.1%
12월 5주차 연말 연휴 관계로 조사 쉼 -
▶ 2024년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2023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차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1월 1주차
36.7%
36.7%
40.1%
1.4%
3.3%
0.7%
17.8%
1월 2주차
32.0%
32.0%
44.1%
2.2%
4.9%
0.4%
16.5%
1월 3주차
30.6%
30.6%
47.2%
2.2%
4.0%
0.9%
15.1%
1월 4주차
34.2%
34.2%
44.8%
2.5%
3.8%
0.6%
14.1%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개혁신당 / 새로운미래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2월 1주차
32.0%
32.0%
45.5%
1.4%
5.2%
0.4%
15.5%
2월 2주차 설날 연휴 관계로 조사 쉼 -
2월 3주차
36.2%
36.2%
42.5%
1.3%
3.3%
1.0%
0.2%
15.4%
2월 4주차
37.7%
37.7%
40.6%
1.5%
2.7%
1.9%
1.1%
0.8%
13.7%
3월 1주차 3.1절 연휴 관계로 조사 쉼 -
3월 2주차
33.9%
33.9%
42.8%
1.2%
3.1%
1.3%
4.3%
0.8%
12.7%
3월 3주차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새로운미래 / 개혁신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3월 4주차
32.8%
32.8%
41.8%
1.3%
1.1%
3.2%
6.1%
0.7%
12.9%
3월 5주차
33.9%
33.9%
43.4%
0.7%
0.9%
3.0%
6.9%
0.6%
10.6%
4월 1주차 22대 총선 직전 주(공표금지 기간) 관계로 조사 쉼 -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조국혁신당 / 개혁신당 / 새로운미래 / 진보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4월 2주차
30.3%
30.3%
37.4%
15.9%
3.4%
1.2%
0.5%
1.3%
0.9%
9.1%
4월 3주차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
4월 4주차
29.2%
29.2%
36.3%
15.4%
3.7%
0.8%
1.0%
1.4%
0.4%
11.8%
5월 1주차
29.7%
29.7%
39.6%
13.1%
2.5%
1.2%
0.6%
1.2%
0.4%
11.6%
5월 2주차
28.6%
28.6%
40.6%
12.0%
3.1%
0.7%
1.1%
0.8%
0.6%
12.5%
5월 3주차
30.9%
30.9%
33.4%
15.1%
3.0%
0.5%
1.1%
1.9%
0.7%
13.5%
5월 4주차
28.7%
28.7%
39.5%
14.1%
2.4%
1.1%
0.4%
2.0%
0.3%
11.6%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조국혁신당 / 개혁신당 / 진보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6월 1주차
28.0%
28.0%
37.5%
13.3%
3.6%
0.8%
2.3%
1.2%
13.2%
6월 2주차
28.4%
28.4%
40.0%
13.6%
1.6%
1.1%
1.3%
0.4%
13.6%
6월 3주차
27.9%
27.9%
39.8%
12.6%
3.1%
0.6%
1.6%
0.3%
14.2%
6월 4주차
28.3%
28.3%
38.9%
12.4%
3.4%
1.2%
1.7%
0.8%
13.2%
6월 5주차
30.3%
30.3%
40.2%
10.4%
2.6%
0.6%
1.6%
0.2%
14.1%
7월 1주차
30.4%
30.4%
38.2%
12.2%
2.0%
1.3%
0.9%
0.6%
14.5%
7월 2주차
30.4%
30.4%
39.1%
9.6%
3.1%
1.6%
1.2%
0.9%
14.0%
7월 3주차
31.3%
31.3%
38.7%
11.0%
3.1%
0.8%
1.8%
0.3%
13.0%
7월 4주차
30.7%
30.7%
38.2%
9.3%
3.9%
0.6%
1.1%
0.3%
15.9%
8월 1주차
31.6%
31.6%
42.0%
9.0%
2.7%
0.6%
0.5%
0.5%
13.1%
8월 2주차
29.1%
29.1%
39.2%
11.0%
2.4%
1.0%
1.2%
0.6%
15.5%
8월 3주차
29.3%
29.3%
41.0%
9.7%
2.4%
0.6%
1.7%
0.3%
15.1%
8월 4주차
27.4%
27.4%
43.3%
10.1%
3.1%
0.6%
0.9%
0.5%
14.2%
8월 5주차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
9월 1주차
29.0%
29.0%
42.0%
7.6%
2.8%
1.2%
0.8%
0.6%
16.1%
9월 2주차 추석 연휴 관계로 조사 쉼 -
9월 3주차
28.5%
28.5%
39.5%
8.9%
3.2%
0.8%
1.2%
0.4%
17.4%
9월 4주차
26.8%
26.8%
42.5%
9.9%
3.1%
1.3%
1.3%
0.3%
14.8%
10월 1주차
29.0%
29.0%
41.9%
9.6%
2.6%
1.2%
0.9%
0.2%
14.7%
10월 2주차
26.9%
26.9%
43.5%
9.4%
1.9%
0.5%
1.3%
0.6%
15.9%
10월 3주차
26.4%
26.4%
45.9%
9.1%
3.3%
0.6%
0.6%
0.6%
13.5%
10월 4주차
29.3%
29.3%
45.5%
7.6%
2.4%
0.9%
0.9%
0.3%
13.1%
11월 1주차
27.3%
27.3%
46.6%
9.3%
3.0%
0.8%
0.7%
0.5%
11.8%
11월 2주차
25.7%
25.7%
49.5%
7.8%
2.3%
1.0%
1.2%
0.2%
12.4%
11월 3주차
24.2%
24.2%
49.5%
9.6%
2.7%
0.7%
1.2%
0.7%
11.4%
11월 4주차
27.0%
27.0%
47.5%
7.0%
2.0%
1.1%
0.7%
0.5%
14.2%
11월 5주차
28.0%
28.0%
47.0%
7.1%
2.1%
1.0%
0.6%
0.4%
13.7%
12월 1주차
21.8%
21.8%
50.6%
8.8%
2.4%
0.7%
1.1%
0.3%
14.3%
12월 2주차
21.2%
21.2%
53.1%
7.1%
3.1%
1.2%
1.7%
0.2%
12.5%
12월 3주차
24.2%
24.2%
52.8%
7.4%
2.0%
0.9%
1.1%
0.4%
11.2%
12월 4주차 연말연시 연휴 관계로 조사 쉼 -
2023년 ◀ ▶ 2025년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2024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

파일:gukhoe_daihan.png
2025년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차 지지율 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조국혁신당 / 개혁신당 / 진보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1월 1주차
26.8%
26.8%
47.1%
6.1%
2.9%
1.1%
1.4%
0.3%
14.3%
1월 2주차
33.2%
33.2%
43.9%
6.2%
2.5%
0.6%
0.9%
0.2%
12.4%
1월 3주차
38.1%
38.1%
43.2%
5.6%
1.7%
0.8%
0.8%
0.3%
9.6%
1월 4주차-현안미포함
37.8%
37.8%
45.2%
4.3%
1.8%
0.8%
0.7%
0.2%
9.2%
1월 4주차-현안포함
36.5%
36.5%
47.0%
4.9%
1.4%
1.3%
1.3%
0.0%
7.5%
2월 1주차
34.3%
34.3%
50.4%
3.5%
2.3%
0.5%
0.9%
0.1%
8.1%
2월 2주차
34.3%
34.3%
48.2%
5.0%
1.7%
0.5%
1.0%
0.1%
9.1%
2월 3주차
35.8%
35.8%
47.7%
4.2%
1.3%
0.5%
1.4%
0.1%
9.0%
2월 4주차
30.4%
30.4%
49.5%
5.1%
1.6%
1.4%
1.2%
0.0%
10.7%
3월 1주차
34.3%
34.3%
46.5%
5.3%
1.1%
0.5%
1.0%
0.1%
11.2%
3월 2주차
34.3%
34.3%
45.0%
5.9%
1.6%
1.0%
1.0%
0.1%
11.0%
3월 3주차
34.4%
34.4%
44.7%
5.4%
1.4%
0.6%
1.0%
0.2%
12.4%
3월 4주차
31.6%
31.6%
47.8%
5.5%
2.1%
0.6%
0.7%
0.5%
11.3%
3월 5주차
30.5%
30.5%
50.7%
4.3%
2.0%
0.4%
0.5%
0.7%
10.9%
4월 1주차
28.9%
28.9%
49.1%
5.9%
3.8%
0.9%
0.9%
0.5%
10.0%
4월 2주차
30.1%
30.1%
49.6%
3.1%
2.5%
0.3%
1.3%
0.3%
12.8%
4월 3주차
31.1%
31.1%
49.1%
4.7%
1.5%
1.1%
1.9%
0.3%
10.2%
4월 4주차
31.3%
31.3%
48.0%
3.0%
2.4%
0.6%
1.6%
0.2%
12.9%
5월 1주차
34.5%
34.5%
49.7%
2.1%
2.6%
0.4%
1.5%
0.3%
8.8%
5월 2주차
30.4%
30.4%
52.5%
3.2%
3.5%
0.5%
1.3%
0.2%
8.4%
5월 3주차
32.0%
32.0%
50.3%
2.7%
5.8%
0.5%
1.0%
0.1%
7.6%
5월 4주차
31.1%
31.1%
49.2%
2.2%
8.6%
0.3%
0.7%
0.3%
7.5%
5월 5주차 21대 대선 직전 주(공표금지 기간) 관계로 조사 쉼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조국혁신당 / 개혁신당 / 진보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6월 1주차
52.9%
52.9%
27.6%
3.2%
5.3%
0.5%
1.8%
0.3%
8.4%
6월 2주차 내부 사정으로 조사 쉼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조국혁신당 / 진보당 / 개혁신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6월 3주차
53.7%
53.7%
25.2%
4.2%
0.9%
4.2%
1.0%
0.1%
10.7%
6월 4주차
56.4%
56.4%
23.5%
3.7%
0.5%
3.7%
1.6%
0.3%
10.2%
7월 1주차
57.0%
57.0%
23.1%
2.3%
0.9%
3.4%
1.2%
0.4%
11.7%
7월 2주차
57.8%
57.8%
20.7%
3.5%
1.0%
2.9%
1.1%
0.1%
13.0%
7월 3주차
58.9%
58.9%
19.5%
4.1%
1.3%
2.4%
1.6%
0.0%
12.1%
7월 4주차
59.3%
59.3%
20.5%
2.8%
0.7%
2.8%
1.2%
0.1%
12.6%
8월 1주차
55.3%
55.3%
22.7%
3.3%
0.6%
2.8%
1.5%
0.1%
13.6%
8월 2주차
56.7%
56.7%
25.3%
3.3%
0.6%
2.8%
1.0%
0.0%
10.2%
8월 3주차
54.0%
54.0%
24.5%
4.2%
0.5%
3.7%
1.0%
0.1%
12.0%
8월 4주차
49.7%
49.7%
28.6%
4.6%
0.7%
3.2%
0.7%
0.4%
12.0%
8월 5주차
50.3%
50.3%
26.5%
3.9%
0.8%
3.5%
1.1%
0.4%
13.6%
9월 1주차
55.6%
55.6%
25.3%
1.8%
0.5%
4.0%
0.6%
0.4%
11.8%
9월 2주차
56.3%
56.3%
25.5%
1.5%
0.6%
3.1%
1.2%
0.4%
11.5%
9월 3주차
56.2%
56.2%
25.4%
2.3%
0.9%
1.9%
0.9%
0.2%
12.1%
2024년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2025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파일:김어준-투명-_1_.svg김어준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08080,#008CCD> 생애 생애
가족 배우자 인정옥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미투 운동 공작 발언 · 초등교사 사망 사건 국회의원 연루 허위사실 유포)
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 (김어준의 뉴스공장 주말특근 ) · 김어준의 블랙하우스 · 김어준의 뉴욕타임스
유튜브 김어준의 파파 이스 · 김어준의 다스 뵈이다 · 나는 꼼수다 ·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영화 그날 바다 · 저수지 게임 · 더 플랜 · 프로젝트 부
별명 공장장 · 총수 · 털보 · 상왕
관련인물 노무현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이재명 · 윤석열 · 유시민 · 조국 · 이해찬 · 주진우 · 정봉주 · 김용민 · 탁현민 · 박시영 · 안귀령 · 황교익 · 박구용
기타 딴지일보 · 씨벌교황 · 부르르닷컴 · 딴지방송국 · 여론조사꽃 · 옵션 열기 · 12.3 비상계엄
}}}}}}}}} ||
[1] 이후 명태균 게이트가 벌어지고, 실제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목적으로 여론조사를 조작하라는 명태균의 지시가 녹취록을 통해 드러나며,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이야기임이 밝혀졌다. 심지어 여론조사 조작을 위해 방해 여론조사까지 했을 정도.[2] 여론조사꽃의 정체성과 특징을 잘 나타내는 문구. 아래에 기술되어 있듯이 그 비싼 안심번호 여론조사를 시도때도 없이 돌린다.[3] 김어준의 다스 뵈이다의 여론조사 꼭지 도입부에서 외치는 구호.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서도 종종 진행자가 직접 말하기도 한다.[4] 사실 타 국가에서 이와 같은 사례가 있는지는 불명확하다. 어쨌든 국내에선 최초이자 아직까진 유일한 사례다.[5] 2023년 10월 16일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47분 04초에서 언급.#[6] 방송에서 밝힌 바로는 매주 조사에 지출되는 비용이 약 2,000만 원~2,500만 원 정도며, 매달 약 1억원 정도 든다고 한다.[7] 한때는 ARS 조사에서도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사용하였으나, 시간이 지나 RDD 방식으로 고정되었다. 아마도 비용 문제 때문인 듯.[8] 한국갤럽에서도 다른 날, 다른 시간대에 전화를 거는 '콜백'이 전체 국민이 조사에 참여할 기회를 늘려주고, 지역, 성, 연령대 등에 편중되지 않고 조사를 수행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9] 비싸지만 좀 더 교과서적인 방식이라고 한다.[10] 다만 이런 재질문은 다른 메이저 여조기관에서도 제법 하는 편이긴 하다.[11] 리얼미터도 주중 정례 조사 때 최소 2~3번의 콜백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 해당 조사들은 오후부터 저녁 시간까지 조사를 수행하는 형태지만, 여론조사꽃의 경우에는 ars 기준으로 조사 첫날에는 아예 저녁 6시부터 조사를 시작한다. 단, 전화면접(CATI)에서는 조사 첫날에 오후 1시 이후부터 조사를 시작한다.[13] 1,000명 표본의 조사를 위해선 가상번호 구입비용만으로 1,000만 원이 든다. 그런데 여론조사꽃은 이걸 매일 돌린다고.[14] 제96조 1항.[15] 단순한 호사가들의 의견을 넘어서, 리서치뷰 측의 보궐선거 선거 판세 분석글에서조차 여론조사꽃의 조사 결과를 인용하면서 ''여론조사꽃'의 기관 특성 등을 고려할 때 무응답층 상당수가 보수 성향일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진보 편향적 조사가 있었을 것이라는 식의 주장을 펼쳤다. 참고로 리서치뷰는 10%p 정도의 격차로 민주당이 승리할 것이라는 예측조사를 내놓았다가 결과적으로는 큰 폭으로 틀렸는데, 이후 예측조사 수치가 오차범위를 넘어간데 대해 일종의 사과문을 게시하기도 했다. 어쨌든 이 때문에 리서치뷰는 2022년 대선에 이어 또 선거 예측을 오차범위 밖으로 틀리게 되었다. 사실 애당초 리서치뷰 외에도 리얼미터를 비롯한 많은 여론조사기관들의 조사나 예측이 모두 틀렸고, 그 때문에 여론조사꽃이 설립되었던 것이다.[16] 이재명 대표의 구속영장 기각 직전에 실시되었던 조사가 가장 최근 조사였다.[17] 김어준이 직접 밝힌 바로는 한국갤럽같은 기성 거대 여론조사 회사를 이길 방법이 없으니 선택한 고육책이라고 한다. 결국 표본수 즉 돈 앞에선 장사 없다는 식으로 쓴 방법이라고.[18] 경기 분당갑, 경기 포천가평, 부산 사하을, 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경기 평택병, 경기 이천시, 부산 해운대갑, 인천 동미추홀을, 경기 하남을, 경기 의정부갑, 서울 강남을, 울산 남구갑, 서울 동작을, 충남 보령서천, 경기 화성정, 경기 하남갑, 충남 논산계룡금산, 경기 남양주을, 경기 고양갑 등에서 5%~20% 차이가 있었다. 이렇게 보면 많아 보일 수 있으나 TK, 호남을 제외한 201개 지역구에 대한 전수 조사가 이뤄졌다는 점, 총선일보다 1~2달 전에 조사되어 시간 차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봐야 한다.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 표본이 대개 500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4.38%의 표본오차가 발생되며, 오차범위의 존재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떤 여론조사기관이든 모든 지역구 여론조사의 수치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다.[19] 더불어민주당 김경지 후보와 조국혁신당 류제성 후보의 단일화를 통한 김경지 vs 국민의힘 윤일현의 여론조사에서 김경지 후보가 40.9%, 그리고 윤일현 후보가 37.7%를 얻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막상 개표 결과 윤일현 후보가 61.03%의 득표율을 얻어 38.96%의 득표율을 얻은 김경지 후보를 크게 이기는 결과가 나타나면서 여론조사가 큰 오차를 보이게 되었다.[20] 실제로 김어준과 민주진영 스피커 계통에서 라이벌 관계인 이동형 작가는 현재 여론조사꽃은 중립적인 여론조사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즉 하우스 이펙트(house effect)가 생긴다는 것. 처음에는 인력을 많이 때려부은 신생 업체로서 나름 객관적인 조사가 가능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보수층에서도 "아, 여론조사꽃은 민주진영의 대표 스피커 김어준이 차린 여론조사 업체구나!"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전화 오면 바로 끊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지는 추세라고 한다. 그리고 이 말은 21대 대선으로 크게 두드러져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여론조사꽃의 회사 이름을 바꿔야 하는 거 아니냐는 의견이 나올 정도다.[21] 물론 그렇다고 다른곳들 역시 여론조사꽃과 별반 차이가 없었음을 감안하면 여론조사꽃에게 마냥 뭐라고 할 상황도 아니다. KSOI 여론조사 역시 윤일현 후보가 3.5%p, 에브리리서치 여론조사또한 김경지 후보가 3.5%p 앞서는 것으로 나와, 오차범위 이내에서 경합하는 결과를 보였기 때문이다. KSOI 인용 기사 에브리리서치 인용 기사. 그만큼 보수 지지층이 여론조사 응답을 꺼리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벌어지는 현상이긴 하다. 그나마 한국은 계엄사태를 기점으로 보수층도 여론조사에 적극 응답하고 있기는 하다.[22] 한연희 후보가 민주당계 정당 후보 중 21세기 들어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선전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23] 그나마 여론조사 공정의 경우 조사 기간이 이틀에 첫날은 밤 9시 55분 까지 였지만, 이 KOPRA 조사의 경우 조사 기간이 5월 24일 단 하루에 시간이 낮 12시 50분 ~ 저녁 6시 50분 이었다. 말 그대로 6시간 짜리 조사였던 셈.[24] 비슷한 시기 5월 23일에 발표한 전화면접 조사 KBS-한국리서치 : 이재명 49% 김문수 34% 이준석 8%에서는 여전히 15% 대 지지율 격차를 보이고 있었다. ARS도 안심번호가 아닌 RDD 방식의 경우 지역과 성별 나이 속이기가 가능해서 표본이 오염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때문에 서울의소리-윈지코리아컨설팅에서 20대 한정으로 뉴진스 노래 관련 질문을 던져서 지지후보 별로 20대 응답자 중에 실제로 20대가 아닌 사람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 분석하기도 했다. 사실 밴드웨건 효과를 노리고 일부러 이렇게 세팅하는 정치 목적성을 가진 기관도 아예 없다고 할 순 없다.[25] 특히 이 선거 조기 시행의 원인을 제공한 국민의힘세계 최초로 탄핵당한 대통령을 2명이나 배출한 정당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기 때문에 국민의힘 지지자들의 상당수가 자신의 본심을 여론조사 및 출구조사&예측조사를 통해 드러내기가 더욱 꺼려졌을 수밖에 없다. 다만 다른 여조 대비해서도 꽃에서 김문수 지지율이 덜 나온건 있어서, 하우스이펙트 현상도 있었다고 보여진다.[26] 다만 해당 조사의 경우 질문 자체는 비교적 드라이한 편이라, 유도성 질문을 강하게 넣으면 더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물론 이는 꽃 뿐만 아니라 우편향 여조 등 거의 대부분의 여조가 마찬가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여조는 단순 수치만 보고 판단할게 아니라 좀 더 정확하게 분석하려면 세부 데이터를 주의해서 볼 필요가 있고, 여러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수치보단 추세에 주목하는게 여론을 파악하는데 좀 더 이로울 것이다.[27] 여담으로 이때 리얼미터의 조사 결과도 공개되는 편이다. 다만 리얼미터 수치가 꽃과 차이가 제법 나거나 민주당에 불리할 땐 언급 없이 넘어가기도 한다.(...) 그 외 한국갤럽이나 NBS 등 다른 여론조사 수치도 심심찮게 언급하는 편이다.